051형 구축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051형 구축함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자체 개발하여 1970년대부터 운용한 구축함이다. 소련의 코틀린급 구축함을 모델로 설계되었으며, 총 17척이 건조되었다. 051형은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051/051D형(루다 I), 051Z형, 루다 II, 051DT형(루다 IV), 051G1/G2형(루다 III) 등 다양한 계열형이 존재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해군의 주력 전투함으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구축함 - 052C형 구축함
052C형 구축함은 중국 해군 최초로 AESA 레이다와 VLS를 탑재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향상시킨 미사일 구축함으로, 총 6척이 건조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구축함 - 051C형 구축함
051C형 구축함은 중국 해군이 자국산 구축함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적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러시아제 S-300F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탑재하여 건조한 2척의 구축함으로,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취역하여 북해 함대에 배치되었다. - 구축함 함급 - 플레처급 구축함
플레처급 구축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이 운용한 함급으로, 혁신적인 설계와 강력한 성능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 구축함 함급 - 마야급 구축함
마야급 구축함은 해상자위대의 이지스 구축함으로, 아타고급 설계를 기반으로 전기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며, SM-3, SM-6 미사일 운용이 가능하고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 051형 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급 | 구축함 |
| 이전 함급 | 안산급 구축함 |
| 다음 함급 | 052형 "루후"급 |
| 운용 국가 | 수상함대 |
| 건조 기간 | 1968년–1991년 |
| 취역 기간 | 1971년-2020년 |
| 건조 척수 | 17척 |
| 퇴역 척수 | 17척 |
| 보존 척수 | 12척 |
| 제원 | |
| 배수량 | 3,670톤 |
| 길이 | 132m |
| 폭 | 12.8m |
| 흘수선 | 4.6m |
| 속력 | 32노트 () |
| 항속 거리 | 2,970마일 |
| 승조원 | 280명 |
| 동력 | |
| 추진 방식 | 2 × 증기 터빈 |
| 무장 | |
| 미사일 | 2 × 3 HY-1 대함 미사일 (대부분의 변형) 4 × 4 YJ-83 대함 순항 미사일 (다롄(110), 051DT, 051G) 8 × HQ-7 함대공 미사일 + 16 예비 (다롄(110), 051DT, 051G) |
| 함포 | 2 × 2 76식 130mm 양용포 (대부분의 변형) 2 × 2 79식 100mm 함포 (051G) 4 × 2 76식 37mm 대공포 (051D, 051DT, 051G) 4 × 2 66식 57mm 기관포 (051, 051Z) 4 × 2 61식 25mm AAA 기관포 |
| 대잠 무기 | 2 × 12 75식 대잠 로켓 시스템 2 × 3 324mm 대잠 어뢰 발사관 4 × 64식 폭뢰 38 기뢰 |
| 항공 | |
| 항공기 | 1-2 하얼빈 Z-9C ASW/SAR 헬리콥터 (지난(105), 루다 II만 해당) |
| 항공 시설 | 격납고 및 비행 갑판 착륙 지원 시스템 |
| 기타 | |
| 건조 조선소 | 루다 조선소 중화 조선소 다롄 조선소 |
2. 역사
1950년대 중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소련으로부터 7호 계획형 구축함(그네브니급) 4척을 도입하여 안산급 구축함으로 운용하면서 구축함 전력을 갖추기 시작했다.[24] 그러나 안산급 구축함은 발해 등 근해에서만 활동이 가능했고, 외해 작전 능력은 제한적이었다.[23] 이에 중국은 태평양에서 작전 가능한 구축함을 자체 개발하기로 결정하고, 1950년대 말부터 051형 구축함 개발에 착수했다.
051형 구축함은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다양한 계열형이 존재한다. 초기형인 051/051D형은 소련제 무장과 장비를 사용했으나, 개량을 거치면서 HQ-7 함대공 미사일, YJ-83 대함 미사일, Yu-7 경어뢰 등 신형 무장을 탑재하고 전투 정보 체계를 개선하였다.
중소 분쟁으로 소련의 기술 지원이 중단되었지만,[24] 중국은 코틀린형(56형)을 모델로 하여 051형 구축함을 설계했다.[24] 1960년 중국 선박과학 연구센터에서 설계를 시작했으나 경제적 문제로 중단되었고, 1965년 유도탄 시험발사 시 해상경계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개발이 재개되었다. 1968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어 1970년 진수, 1971년 12월에 1번함 지난(济南|지난중국어)함이 전력화되었다.
총 17척의 051형 구축함이 1968년과 1991년 사이에 건조되었다. 이 함정들은 형식상 1970년대 초에 실전 배치되었지만,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1985년 이전에는 제대로 운용되는 함정이 거의 없었다.[8]
1980년, 중국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 (DF-5) 발사 실험을 위해 관측 함대에 051형 구축함을 참가시켜 피지 해역의 남태평양에 파견, 본격적인 외해 작전 행동을 수행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051형 구축함의 추가 건조와 개량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초에는 차세대 구축함용 서방계 기술을 적용한 개량형 2척이 건조되었다.[23][24] 1990년대에는 구형 HY-1/HY-2 미사일을 신형 YJ-83 (C-803) 미사일로 교체하고, 수동 조작식 포를 자동포로 교체하는 등 대대적인 개수가 이루어졌다. 방공 체계로는 8셀의 HQ-7 함대공 미사일 체계가 장착되었다.
051형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과 비슷한 시기에 운용되었으며, 중국 해군의 주력 전투함으로 활약했다. 마지막 두 척의 함정인 ''잔장''과 ''주하이''는 2020년 9월 3일에 퇴역하여, 이 함급의 마지막 퇴역 함정이 되었다.[14] ''지난'', ''인촨'', ''난징'', ''난창'', ''충칭'', ''시닝'', ''잔장'', ''주하이'', ''허페이'', ''준이'', ''다롄'', ''시안'' 등 12척의 동형 함정이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다.
3. 계열형
051Z형은 탄도 미사일 시험 관측을 위한 지휘함으로 개발되었으며, 381A형 3D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더와 ZKJ-1 전술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했다.
일부 함선은 방공 지휘함(루다 II)으로 개수되어 C3I 방공 통제소, ZKJ-4 전투 정보 체계, 381A형 3D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다를 갖추고 헬기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
051G1/G2형(루다 III)은 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프랑스제 장비를 도입하여 대함, 대공, 대잠 능력을 강화했다. 특히, ''주하이''(166)함은 1999년 개조를 통해 프랑스제 100mm 함포를 장착하고, HQ-7 SAM 발사기를 증설하는 등 현대화를 진행했다.
3. 1. 051/051D형 (루다 I)
051/051D형은 초기형으로, 소련제 또는 소련에서 파생된 시스템을 사용했다.[10] 주무장으로는 2 x 3연장 HY-1/HY-2 미사일 발사기,[11] 2 x 130mm 함포를 장비했다. 대공포는 2 x 76식 쌍열 25mm 대공포와 4 x 37mm 대공포를 장착하였으나, 051D형은 76식 쌍열 37mm 대공포를 쌍열 57mm 대공포로 교체했다.[15]
대잠 장비로는 소련제 선체 장착형 Pegas 2 및 Tamir-2 소나와 폭뢰, FQF-2500 로켓 발사기(소련 RBU-1200 파생형)를 탑재했다.[16]
051D형은 대잠전지휘체계, 무선통신체계, 위성항법체계, 해상 보급체계를 개선했다.[8] 051D형 건조 후 이전에 건조되었던 함선들은 모두 051D형으로 개수되었다.
함번 #105-110은 다롄의 홍치조선소에서, 함번 #131-134는 상하이의 중화조선소에서, 함번 #160-166은 광저우의 둥난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광저우(160)함은 1978년 폭발사고로 폐기되었다.
3. 2. 051Z형
051Z형은 1977년 탄도 미사일 발사 시험 관측을 위해 개발된 지휘함 형식이다. 초단파 통신 능력, 381A형 3D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더, 637-II형 정보 센터를 장착했다.[11] 051Z형으로는 다롄(大连, 110), 허베이(合肥, 132) 2척이 건조되었다.[11]
1980년 7월, 건조 중이던 "다롄"(110)은 ZKJ-1 전술 정보 처리 장치 탑재 개수를 받았다. ZKJ-1은 673-II형 컴퓨터를 중심으로 우한 숫자 공정 연구소(제709연구소)와 난징 선박 레이더 연구소(제724연구소)가 개발한 것으로, 하이선 1호라고 불렸다. 1983년에는 "허페이"(132)도 같은 사양으로 개조되었다. 이 함선들은 모두 지휘함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어, 381A형 3차원 대공 수색 레이더도 장비하고 있다.
1991년에 "다롄"(110)은 051DT형과 유사한 개수를 받았다.[23]
| # | 함명 (영어 표기) | 진수 | 취역 | 퇴역 | 비고 |
|---|---|---|---|---|---|
| 051Z형 | |||||
| 110 | 다롄 (Dalian) | 1979년 6월 25일 | 1984년 | 2019년 5월 16일 | 1991년, 051DT형에 준하여 개조 |
| 132 | 허페이 (Hefei) | 1977년 4월 5일 | 1980년 3월 18일 | 2012년 11월 16일 | |
3. 3. 루다 II
지난(济南|지난중국어)함과 카이펑(开封|카이펑중국어)함은 방공지휘형으로 개수되었는데, C3I 방공통제소, ZKJ-4 전투정보체계, 381A형(라이스 쉴드) 3D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다를 위해 상부구조물이 확대되었다.[10] 또한 HQ-8 함대공미사일 8셀이 설치되었고, 함미의 130mm 함포 및 대공포 등의 구조물이 철거되고 헬기데크가 설치되어 헬기 2대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3. 4. 051DT형 (루다 IV)
051DT형은 신형 ZKJ-4A-3 전투정보체계(C3I)를 장착하고, HQ-7, 16발의 YJ-83 대함미사일을 탑재했으며, 수동 조작 대공포를 76A식 2연장 37mm 자동 대공포로 교체한 개량형이다. 카이펑(109)함과 다롄(110)함, 총 2척이 051DT형으로 개수되었다.
3. 5. 051G1/G2형 (루다 III)
SJD-2와 SJD-4 소나가 설치되었다. 이 소나 체계는 가혹한 환경에서도 잠수함을 18km/h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주하이''(166)는 4 x 2연장 YJ-8 대함미사일, Yu-7 경어뢰를 발사하는 2 x 3연장 324mm WASS A244 어뢰발사관, 톰슨-CSF TAVITAC 전투정보체계(1985년 프랑스로부터 2세트를 구입하였다.), EFR-1 라이스 램프 사격통제레이다, ESS-1 VDS 소나를 장착했다.[13] 오버홀 동안 ''주하이''(166)는 HQ-7 SAM, 4 x YJ-83 미사일, 344형 사격통제레이다, 79A식 37mm 대공포를 추가로 장비했다.[13]
HQ-7 함대공미사일체계는 16발의 여분탄을 가진 "반자동 장전"체계로 설치되었다. 같은 체계는 052형 구축함에도 사용된다. 또한 Yu-7 경어뢰를 발사하는 2 x 3연장 324mm 어뢰발사관을 장비한다. ''잔장''(湛江, 165)는 051G2형과 매우 유사한 051G1형으로 개수되었다.[13]
051G형은 마지막 두 척의 함선인, ''잔장''과 ''주하이''의 설계가 개선된 변형이었다.[13] 이 함선들은 354형 3차원 대공 및 대수상 레이더를 장착했다.[7][11] 4기의 2연장 YJ-8 발사기가 HY-1/HY-2 발사기를 대체했다.[7] 소련제 소나 대신 프랑스제 DUBV-23 탐색 소나와 DUBV-43 가변 심도 소나(VDS)가 장착되었다.[17]
''주하이''는 1999년에 개조되었다. 소련제 130mm 함포는 자동 재장전 장치가 장착된 프랑스 크뢰소-루아르 콤팩트에서 파생된 79A형 100mm 함포로 교체되었다.[11][15] HQ-7 SAM 발사기가 051DT형과 마찬가지로 "X" 포탑을 대체했다. ''잔장''도 이와 유사하게 개조되었다.[11]
''잔장''과 ''주하이''는 각각 ZKG-4A 및 ZKG-4B 전투 데이터 시스템을 갖추었다.[11] 051G형은 또한 YU-7 경어뢰를 배치한 최초의 중국 함선이었으며,[17] 이탈리아 40mm 대공포도 장착했다.[15] 051G형은 루다 III급의 일부였으며,[11] 이후 루다 IV급의 일부였다.[5]
4. 퇴역 및 보존
2020년 8월 28일, 잔장함과 주하이함이 퇴역하면서[11] 051형 구축함은 모두 퇴역했다.
지난, 인촨, 난징, 난창, 충칭, 시닝, 잔장, 주하이, 허페이, 쭌이, 다롄, 시안 등 12척의 동형 함정이 박물관함 등으로 보존되어 있다.[3][9][19][20]
| 함명 | 퇴역일 | 보존 현황 | 비고 |
|---|---|---|---|
| 지난 | 2007년 11월 15일 | 칭다오 해군박물관 | [3] |
| 인촨 | 2007년 11월 15일 | 박물관함 | [3] |
| 난징 | 2012년 9월 26일 | 박물관함 | [3] |
| 난창 | 2016년 9월 26일 | 장시성 난창 군사 관광 명소 | [19] |
| 충칭 | 2014년 9월 26일 | 톈진 군사 관광 명소 | |
| 시닝 | 2013년 9월 25일 | 박물관함 | [3] |
| 잔장 | 2020년 8월 28일 | 박물관함 전환 예정 | [11] |
| 주하이 | 2020년 8월 28일 | 박물관함 전환 예정 | [11] |
| 허페이 | 2013년 9월 25일 | 박물관함 | [3] |
| 쭌이 | 2019년 5월 16일 | 박물관함 | [20] |
| 다롄 | 2019년 5월 16일 | 박물관함 | [3] |
| 시안 | 2007년 9월 29일 | 박물관함 | [9] |
참조
[1]
서적
Bussert and Elleman: Chinese Naval Shipyards
[2]
문서
After the former Chinese city of [[Lüda]].
[3]
웹사이트
PLAN decommissions four Type 051 destroyers
https://www.janes.co[...]
2019-05-17
[4]
서적
Cole: page 24
[5]
간행물
PLA Navy Identification Guide
https://www.oni.navy[...]
2018
[6]
서적
Jane's Warship Recognition Guide: page 74
[7]
서적
Jane's Warship Recognition Guide: page 76
[8]
서적
Forecast International: page 4
[9]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04-2005: p. 127
[10]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09-2010: p. 139
[11]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09-2010: p. 140
[12]
뉴스
China Builds Destroyers Around Imported Technology
https://www.afcea.or[...]
2004-08
[13]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04-2005: page 128
[14]
뉴스
Last two Type 051 destroyers decommissioned
https://global.china[...]
2020-09-03
[15]
서적
Bussert and Elleman: The Luda's Gun and Missile Systems
[16]
서적
Bussert and Elleman: The Luda's Antisubmarine Warfare Capability
[17]
웹사이트
Undersea dragon: Chinese ASW capabilities advance
https://www.janes.co[...]
Jane's
2017
[18]
서적
Forecast International: page 1
[19]
웹사이트
Farewell to Nanchang: first-generation Chinese guided missile destroyer decommissioned
http://eng.mod.gov.c[...]
People's Daily Online
2016-09-09
[20]
웹사이트
海军134舰于1988年命名的"遵义舰"要回家了-贵阳网-贵阳市融媒体中心
http://www.gywb.cn/s[...]
2021-04-21
[21]
웹사이트
Chinese military's last Type 051 destroyer to retire and settle down in Zhuhai
http://eng.chinamil.[...]
[22]
서적
写真特集 今日の中国軍艦
海人社
[23]
서적
People's Liberation Army Navy: Combat System Technology, 1949-2010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4]
서적
ソ連式から西側志向へ 中国駆逐艦の変針
海人社
[25]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Combat Fleets of the World, 16th Edition
Naval Institute Press
[26]
서적
中国軍艦のコンバット・システム
海人社
[27]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 systems 1997-1998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8]
웹사이트
PLAN decommissions four Type 051 destroyers
https://www.janes.co[...]
2019-05-17
[29]
웹사이트
051G2旅大Ⅲ型166珠海号导弹驱逐舰
http://www.twwtn.com[...]
2012-05-31
[30]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15-2016
Janes Information Group
[31]
웹사이트
051型驱逐舰全部退役
https://www.guancha.[...]
2020-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