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C 타트란 프레쇼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 FC 타트란 프레쇼우는 1898년 슬로바키아 프레쇼우에서 창단된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이다.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 중 하나로, 체코슬로바키아 시절과 슬로바키아 독립 이후에도 여러 차례 리그 우승과 컵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1981년 미트로파 컵에서 우승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준우승 2회, 슬로바키아 컵 우승 1회를 달성했다. 주요 라이벌은 FC 코시체이며, "동부 슬로바키아 더비" 경기를 펼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구단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를 연고로 1919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와 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오랜 역사를 지니며 UEFA 컵 위너스컵 우승, 슬로바키아 리그와 컵 대회 다수 우승 등 슬로바키아 축구의 강호로 테헬네 폴레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구단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는 1923년에 창단되어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5번의 리그 우승을 포함해 여러 우승 기록을 보유한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이다. - 1898년 설립된 축구단 - BSC 영 보이스
BSC 영 보이스는 1898년 창설되어 스위스 축구 역사에 족적을 남긴 클럽으로, 리그 3연패, 4연패 등의 전성기를 거쳐 재정적 어려움과 2부 리그 강등을 겪었으나, 2018년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과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예선에 처음 진출하는 등 현재 스타드 드 스위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스위스 슈퍼리그 17회, 스위스 컵 8회 우승을 기록했다. - 1898년 설립된 축구단 - CR 바스쿠 다 가마
CR 바스쿠 다 가마는 1898년 보트 클럽으로 시작하여 1915년 축구 부문을 창설한 브라질의 스포츠 클럽이며, 검은색 바탕에 흰색 띠와 붉은 십자가가 특징인 유니폼을 사용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22년 777 파트너스가 구단의 지배 지분을 인수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1. FC 타트란 프레쇼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FC Tatran Prešov |
별칭 | Zeleno-Bieli (초록-하양) Koňare (기수) |
창단 | 1898년 5월 25일 (ETVE Prešov로 창단) |
홈구장 | MŠK Tesla Stropkov Stadium 타트란 아레나 (재건축 중) |
수용 능력 | 2,500석 6,500석 (계획) |
구단주 | 프레쇼프 시 |
회장 | 류보시 미헬 |
감독 | 마렉 페트루시 |
리그 | 2. 리가 |
시즌 | 2023–24 시즌 |
현재 시즌 | 2023–24 FC Tatran Prešov 시즌 |
리그 순위 | 2. 리가, 16개 팀 중 3위 |
웹사이트 | FC Tatran Prešov 공식 웹사이트 (보관됨) |
2. 역사
1898년 5월 25일, 프레쇼우에서 슬로바키아 영토 최초의 공식 축구 경기가 개최되어 부다페스트의 오부다 TE와 부다페스트 TC가 대결했다.[10] 같은 날, 슬로바키아 최초의 축구 클럽이 창설되었다.[10]
2. 1. 초기 역사 (1898년 ~ 1945년)

1898년 5월 25일, 당시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에페레시(현 프레쇼우)에서 오부더이 TE와 부다페스티 TC 간의 경기가 열렸는데, 이는 현재 슬로바키아 영토에서 열린 최초의 공식 축구 경기였다. 이 경기는 현지 문법 학교의 체육 교사인 프란티셰크 페테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같은 날, 에페레시 체조 펜싱 협회(Eperjesi TVE)가 창립되었는데, 이것이 1. FC 타트란 프레쇼우의 전신이다.
초기에 에페레시 TVE는 헝가리 리그 시스템에서 경쟁했으며, 1907-08 시즌 북부 지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2] 1920년 프레쇼우가 신생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가 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1931년에 클럽 명칭을 슬라비아 프레쇼우로 변경하였다.
2. 2. 슬로바키아 독립 이후 (1993년 ~ 현재)
슬로바키아 독립 이후인 1993년, 클럽 명칭을 FC 타트란 프레쇼우로 변경하였다.[6]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FC 타트란 부코자 프레쇼우로 불렸다.[6] 슬로바키아 컵에서는 1991-92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3-94, 1996-97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6] 2005년 현재의 명칭인 1. FC 타트란 프레쇼우로 변경되었다.[6]2007-08 시즌과 2015-16 시즌 슬로바키아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1부 리그)로 승격하기도 했으나,[6] 2017-18 시즌 1부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6] 2019-20, 2021-22 시즌에는 슬로바키아 3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2022-23 시즌에는 슬로바키아 2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6] 2023-24 시즌에는 3위를 기록했다.[6]
3. 클럽 명칭 변천사
- 1898-1920: 에페르제시 토르나 에스 비보 에기쉬레트 (Eperjesi Torna és Vívó Egyesület|에페르제시 토르나 에스 비보 에게쉴레트hu, ETVE 프레쇼우)
- 1920-1931: TVE 프레쇼우
- 1931-1945: 슬라비아 프레쇼우
- 1945-1947: PTS 프레쇼우
- 1947: DSO 슬라비아 프레쇼우, DSO 스나하 프레쇼우 (PTS 프레쇼우에서 분리)
- 1948-1950: 스파르타 두클라 프레쇼우
- 1950-1951: 두클라 프레쇼우
- 1951-1952: 두클라 ČSSZ 프레쇼우
- 1952-1953: ČSSZ 프레쇼우
- 1953-1960: DSO 타트란 프레쇼우
- 1960-1989: TJ 타트란 프레쇼우
- 1989-1991: 타트란 아그로 프레쇼우
- 1991-1996: FC 타트란 프레쇼우
- 1996-1998: FC 타트란 부코자 프레쇼우
- 1998-2005: FC 타트란 프레쇼우
- 2005-: 1. FC 타트란 프레쇼우[10]
4. 선수단
1. FC 타트란 프레쇼우는 슬로바키아 리그에서 활동하는 축구 클럽으로, 선수단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현재 선수 명단은 2024년 8월 3일 기준이며, 마르틴 바란, 요제프 돌니, 아서 안젤로 레냐니, 알리우 디아오, 도미니크 소쿨 등이 있다.
역대 주요 선수로는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 선수를 다수 배출했다. 라디슬라프 파블로비치는 클럽 역사상 최다 득점자이며, 요제프 붐바, 스타니슬라프 바르가, 스타니슬라프 셰스타크, 요제프 코주레이, 마레크 슈필라르,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 아담 야쿠베흐 등이 있다. 현재 선수인 요제프 돌니는 클럽 역사상 두 번째 최다 득점자이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일 기준)
포지션 | 국가 | 이름 |
---|---|---|
마르틴 바란 | ||
요제프 돌니 | ||
아서 안젤로 레냐니 | ||
알리우 디아오 | ||
도미니크 소쿨 |
4. 2. 역대 주요 선수
1. FC 타트란 프레쇼우는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 선수를 다수 배출했다. 주요 선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라디슬라프 파블로비치sk: 1948년부터 1966년까지 타트란 프레쇼우에서 309경기에 출전하여 150골을 기록한 클럽 역사상 최다 득점자이다.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에서도 14경기 2골을 기록했으며, 2013년 프레쇼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
- 요제프 붐바cs: 1950년대 타트란 프레쇼우에서 활약한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 선수.[2]
- 스타니슬라프 바르가: 1990년대 타트란 프레쇼우에서 활약했으며,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에서도 뛰었다.[2]
- 스타니슬라프 셰스타크: 2000년대 초반 타트란 프레쇼우에서 활약한 슬로바키아 국가대표 선수.[2]
- 요제프 코주레이[2]
- 마레크 슈필라르[2]
-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2]
- 아담 야쿠베흐[2]
- '''요제프 돌니''': 현재 선수로 2010년부터 2014년, 그리고 2021년부터 현재까지 활약하고 있으며 통산 82골로 클럽 역사상 두 번째 최다 득점자다.[2]
# | 국적 | 이름 | 골 |
---|---|---|---|
1 | 라디슬라프 파블로비치 | 150 | |
2 | 요제프 돌니 | 82 | |
3 | 카롤 페트로스 | 67 | |
4 | 요제프 쿠차르 | 56 | |
5 | 게이저 시만스키 | 44 | |
6 | 다비트 레슈코 | 40 | |
7 | 페테르 카토나 | 39 |
5. 역대 감독
다음은 1. FC 타트란 프레쇼우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감독 | 임기 |
---|---|
페렌츠 세들라체크|Ferenc Szedlacsekhu | 1950 |
요제프 카렐|Jozef Karelcs | 1951–1957, 1964–1965, 1966, 1968–1972 |
게이차 시만스키|Gejza Šimanskýcs | 1959 |
슈테판 야치안스키|Štefan Jačianskycs | 1960–1961, 1976–1978 |
테오도르 레이만|Teodor Reimanncs | 1967–1968 |
라디슬라프 파블로비치|Ladislav Pavlovičcs | 1974 |
얀 자하르|Ján Zacharcs | 1981–1982 |
발레르 슈베츠|Valér Šveccs | 1982–1984 |
요제프 야라빈스키|Jozef Jarabinskýcs | 1984–1985 |
유스틴 야보렉|Justín Javorekcs | 1985–1986 |
이고르 노바크|Igor Nováksk | 1993–1994 |
안톤 야노시|Anton Jánošsk | 1995–1997 |
안드레이 단코|Andrej Daňkosk | 1997–1998 |
요제프 아다메츠 | 1998–1999 |
미쿨라시 코마니츠키|Mikuláš Komanickýsk | 1999–2001, 2004–2005 |
블라디미르 곰바르|Vladimír Gombársk | 2002, 2002-2004 |
세르히 코발레츠 | 2012, 2017–2018 |
안젤 체르벤코프|Ангел Червенковbg | 2012 |
요제프 부벤코|Jozef Bubenkosk | 2013 |
요제프 코스텔니크|Jozef Kostelníksk | 2013–2014 |
스타니슬라프 바르가 | 2014, 2016 |
미로슬라프 얀테크|Miroslav Janteksk | 2016–2017 |
안톤 미쇼베츠|Anton Mišoveccs | 2018–2019 |
야로슬라프 갈코|Jaroslav Galkosk | 2019 |
페테르 페트라시 | 2019–2021 |
스타니슬라프 셰스타크 | 2021–2022 |
마레크 페트루슈 | 2022–2023, 2023– |
페테르 흘린카|Peter Hlinkask | 2023 |
6. 수상 기록
FC 타트란 프레쇼우는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 대회와 유럽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6]
=== 국내 대회 ===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 1964–65, 1972–73 | ||
체코슬로바키아 컵 | 1965–66, 1991–92 | ||
1.SNL (1부 슬로바키아 전국 축구 리그) | 1979–80, 1989–90 | ||
슬로바키아 포하르 | 1992 | 1973, 1985, 1994, 1997 | |
2. 리가 | 2007–08, 2015–16 | 2022-23 | 2003–04, 2014–15, 2023–24 |
3. 리가 비호드 | 2019–20, 2021–22 | 2020–21 |
=== 유럽 대회 ===
- '''미트로파 컵'''
- * 1981 1회 우승
6. 1.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 1964–65, 1972–73 | ||
체코슬로바키아 컵 | 1965–66, 1991–92 | ||
1.SNL (1부 슬로바키아 전국 축구 리그) | 1979–80, 1989–90 | ||
슬로바키아 포하르 | 1992 | 1973, 1985, 1994, 1997 | |
2. 리가 | 2007–08, 2015–16 | 2022-23 | 2003–04, 2014–15, 2023–24 |
3. 리가 비호드 | 2019–20, 2021–22 | 20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