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6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그리스 선수단은 육상, 수영, 사이클,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4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육상에서는 마라톤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6개를, 수영에서는 100m 해군 자유형에서 금메달 1개, 500m 자유형에서 은메달 1개, 1200m 자유형에서 은메달 1개, 100m 해군 자유형에서 은메달 1개, 500m 자유형과 1200m 자유형에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사이클에서는 개인 도로 경기에서 금메달 1개, 독주와 스프린트에서 은메달 2개를, 100km 경기에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레슬링에서는 그레코로만형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그리스 - 1896년 하계 올림픽
1896년 하계 올림픽은 고대 올림픽의 부활을 목표로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최초의 근대 올림픽으로, 9개 종목에서 미국이 금메달 11개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896년 그리스 - 1896년 하계 올림픽 혼성 선수단
1896년 하계 올림픽 혼성 선수단은 국적이 다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테니스 종목에서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남자 복식에서 에드윈 플랙과 조지 S. 로버트슨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18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89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896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육상, 사이클, 체조, 사격, 테니스, 역도, 레슬링 등 7개 종목에 10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역도, 테니스, 사이클, 육상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 18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896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 선수단은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체조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는 개최국 자격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 요트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 2020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그리스 선수단은 양궁, 아티스틱 스위밍, 육상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밀티아디스 텐도글루와 스테파노스 두스코스가 각각 육상 남자 멀리뛰기와 조정 남자 싱글 스컬에서 금메달을, 그리스 수구 국가대표팀이 은메달, 엘레프테리오스 페트루니아스가 체조 남자 링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896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 |
---|---|
1896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 |
대회 정보 | |
국가 올림픽 위원회 | 헬레닉 올림픽 위원회 |
개최지 | 아테네, |
날짜 | 1896년 4월 6일 – 1896년 4월 15일 |
참가 정보 | |
선수 | 169명 |
종목 | 9개 |
세부 종목 | 39개 |
성적 | |
순위 | 2위 |
금메달 | 10개 |
은메달 | 17개 |
동메달 | 19개 |
총 메달 | 46개 |
관련 정보 | |
웹사이트 | 헬레닉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 |
이전 대회 | 1906 중간 올림픽 |
2. 메달 집계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그리스 선수단은 18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종목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6개를 획득하였다. 특히 마라톤에서는 스피리돈 루이스가 2시간 58분 50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1] 그러나 스피리돈 벨로카스는 마차를 타고 경기에 참여하여 실격 처리되었다.[1]
3. 육상
3. 1. 트랙 및 도로 경기
그리스 선수단은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400m와 높이뛰기를 제외한 모든 육상 종목에 출전했다. 육상 종목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6개를 획득했다. 처음에는 그리스 선수단이 마라톤에서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석권한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스피리돈 벨로카스가 마차를 타고 일부 거리를 이동하여 실격 처리된 것으로 밝혀졌다.
선수 | 종목 | 예선 시간 | 예선 순위 | 결선 시간 | 결선 순위 |
---|---|---|---|---|---|
알렉산드로스 찰코콘딜리스 | 100m | 12.8 | 2 Q | 12.6 | 5 |
게오르기오스 제니마타스 | 알 수 없음 | 4-5 | 진출 실패 | ||
콘스탄티노스 무라티스 | colspan="2" | | 진출 실패 | |||
콘스탄티노스 무라티스 | 400m | colspan="2" | | 진출 실패 | ||
안젤로스 페치스 | 800m | 알 수 없음 | 4 | 진출 실패 | |
디미트리오스 골레미스 | 2:16.8 | 2 Q | 2:28.0 | ||
디미트리오스 톰브로프 | 알 수 없음 | 5 | 진출 실패 | ||
안젤로스 페치스 | 1500m | colspan="2" rowspan="4" | | 알 수 없음 | 5 | |
디미트리오스 골레미스 | 알 수 없음 | 6 | |||
콘스탄티노스 카라카차니스 | 알 수 없음 | 7-8 | |||
디미트리오스 톰브로프 | 알 수 없음 | 7-8 | |||
아나스타시오스 안드레우 | 110m 허들 | 알 수 없음 | 4 | 진출 실패 | |
콘스탄티노스 무라티스 | colspan="2" | | 진출 실패 | |||
아타나시오스 스칼초기아니스 | 알 수 없음 | 3-4 | 진출 실패 | ||
스피리돈 벨로카스 | 마라톤 | colspan="2" rowspan="13" | | colspan="2" | | ||
디미트리오스 델리자니스 | colspan="2" | | ||||
에반겔로스 게라케리스 | 알 수 없음 | 7 | |||
게오르기오스 그리고리우 | colspan="2" | | ||||
일리야스 카페치스 | colspan="2" | | ||||
소크라티스 라고다키스 | 알 수 없음 | 9 | |||
이오안니스 라브렌티스 | colspan="2" | | ||||
스피리돈 루이스 | 2:58:50 OR | ||||
스타마티오스 마수리스 | 알 수 없음 | 8 | |||
엘레프테리오스 파파시메온 | 알 수 없음 | 5 | |||
하릴라오스 바실라코스 | 3:06:03 | ||||
이오안니스 브레토스 | 알 수 없음 | 4 |
3. 2. 필드 경기
선수 | 종목 | 결선 | 순위 |
---|---|---|---|
에반젤로스 다마스코스 | 남자 장대높이뛰기 | 2.6m | |
이오안니스 테오도로풀로스 | 2.6m | ||
바실리오스 시다스 | 2.4m | 5 | |
알렉산드로스 찰코콘딜리스 | 남자 멀리뛰기 | 5.74m | 4 |
아타나시오스 스칼초기아니스 | 알 수 없음 | 5-9 | |
콘스탄티노스 무라티스 | 출전 포기 | ||
이오안니스 페르사키스 | 남자 세단뛰기 | 12.52m | |
크리스토스 주미스 | 알 수 없음 | 6-7 | |
밀티아디스 고스코스 | 남자 포환던지기 | 11.2m | |
게오르기오스 파파시데리스 | 10.36m | ||
게오르기오스 파파시데리스 | 남자 원반던지기 | 알 수 없음 | 5-9 |
파나기오티스 파라스케보풀로스 | 28.95m | ||
소티리오스 베르시스 | 27.28m |
4. 수영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게오르기오스 안니노스 | 100m 자유형 | ? | |
디미트리오스 드리바스 | 100m 해군 자유형 | ? | |
스피리돈 카사피스 | 100m 해군 자유형 | ? | |
안토니오스 페파노스 | 500m 자유형 | 9:57.6 | |
알렉산드로스 크리사포스 | 100m 자유형 | ? | |
에프스타티오스 코로파스 | 100m 자유형 | ? | |
500m 자유형 | ? | ||
1200m 자유형 | ? | ||
요아니스 안드레우 | 1200m 자유형 | 21:03.4 | |
이오아니스 말로키니스 | 100m 해군 자유형 | 2:20.4 | |
N. 카르타바스 | 1200m 자유형 | ? | |
이름을 알 수 없는 선수 4명 | 100m 자유형 | ? | |
이름을 알 수 없는 선수 3명 | 1200m 자유형 | ? |
5. 사이클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 선수단은 사이클 도로 종목에 참가하여 아리스티디스 콘스탄티니디스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트랙 종목에서는 게오르기오스 콜레티스가 100km 경기에서 은메달을, 스타마티오스 니콜로풀로스가 독주와 스프린트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5. 1. 도로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
게오르기오스 아스피오티스 | 개인 도로 | ? | ? |
게오르기오스 파라스케보풀로스 | 개인 도로 | ? | ? |
밀티아데스 이아트루 | 개인 도로 | ? | ? |
아리스티디스 콘스탄티니디스 | 개인 도로 | 3:22:31 | |
콘스탄티노스 콘스탄티누 | 개인 도로 | ? | ? |
5. 2. 트랙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게오르기오스 겐니마타스 | 100m | ? | 진출 못함 | ||
디미트리오스 골레미스 | 800m | 2:16.8 | 2 | 2:28.0 | |
1500m | colspan=2| | ? | 6 | ||
디미트리오스 톰프로프 | 800m | ? | 5 | 진출 못함 | |
1500m | colspan=2| | ? | |||
아나스타시오스 안드레우 | 110m 허들 | ? | 4 | 진출 못함 | |
아타나시오스 스칼초기안니스 | 110m 허들 | ? | 진출 못함 | ||
안겔로스 페치스 | 800m | ? | 4 | 진출 못함 | |
1500m | colspan=2| | ? | 5 | ||
알렉산드로스 칼코콘딜리스 | 100m | 12.8 | 2 | 12.6 | 5 |
콘스탄티오스 카라카차니스 | 1500m | colspan=2| | ? | ||
6. 레슬링
레슬링 종목에서 스테파노스 크리스토풀로스는 8강전에서 몸칠로 타파비차를 상대로 승리했다.[1] 이후 크리스토풀로스는 부전승으로 올라온 게오르기오스 치타스와 준결승에서 맞붙었으나, 어깨 부상으로 기권하여 치타스가 결승에 진출했다.[1] 크리스토풀로스는 동메달을 획득했다.[1] 결승에 진출한 치타스는 카를 슈만과 경기했으나 패배했다.[1] 슈만은 준결승에서 부전승으로 올라와 이틀에 걸쳐 55분 동안 치타스를 상대했는데, 첫날 40분 경기 후 어둠 때문에 경기가 연기되기도 했다.[1]
선수 | 종목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스테파노스 크리스토풀로스 | 남자 그레코로만형 | Tapavicza Momcsilló|몸칠로 타파비차hu (헝가리) 승 | Γεώργιος Τσίτας|게오르기오스 치타스el (그리스) 패 | 진출 실패 | |
게오르기오스 치타스 | 부전승 | Στέφανος Χρηστόπουλος|스테파노스 크리스토풀로스el (그리스) 승 | Carl Schuhmann|카를 슈만de (독일) 패 |
참조
[1]
문서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