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6년 러시아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6년 러시아 총선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제국에서 최초로 실시된 의회 선거이다. 1905년 10월 선언을 통해 시민권을 약속하고 의회 구성을 발표했지만, 선거법은 25세 이상 남성 시민에게만 선거권을 부여하고 선거구 규모의 불평등으로 인해 제한적이었다. 선거 결과, 입헌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차르는 두마의 개혁적인 성향에 반발하여 1906년 기본법을 공포해 두마의 권한을 약화시켰다. 두마는 정치범 사면,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요구했지만, 정부와의 갈등으로 인해 10주 만에 해산되었고, 이에 반발한 입헌민주당은 체포되어 다음 선거에서 배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4월 -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은 1906년 4월 18일 샌앤드리어스 단층에서 발생하여 모멘트 규모 7.9로 추정되며, 지진과 화재로 3,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도시가 파괴된 사건이다. - 1906년 4월 - 1906년 중간 올림픽
올림픽 부활 10주년 기념으로 아테네에서 개최된 1906년 중간 올림픽은 IOC 공식 올림픽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올림픽 운동 지속에 기여하고 현대 올림픽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20개국 85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12개 스포츠 종목에서 경쟁을 펼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이다.
1906년 러시아 총선 | |
---|---|
선거 정보 | |
국가 | 러시아 제국 |
선거 유형 | 입법 |
다음 선거 | 1907년 1월 러시아 입법부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07년 |
선출 의석수 | 국가두마의 모든 497석 |
선거 날짜 | 1906년 3월 |
정당별 결과 | |
![]() | |
대표 | 파벨 밀류코프 |
의석수 | 184 |
![]() | |
대표 | 알렉세이 알라딘 |
의석수 | 85 |
![]() | |
대표 | 알렉산드르 구치코프 |
의석수 | 38 |
의장 정보 | |
직책 | 의장 |
직책 지정 | 의장 지명자 |
선거 이후 | 세르게이 무롬체프 |
소속 정당 | 입헌민주당 |
2. 배경
190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비폭력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여 1,000명 가까이 사망한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러시아 전역의 소요 사태로 이어졌고, 혁명군은 50개 도시를 점령했다. 결국 니콜라이 2세 차르 정권은 유화책으로 민권 신장과 의회 구성을 골자로 한 10월 선언을 발표했다.
같은 해 10월, 제국 관리들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과 대중 봉기가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1905년 러시아 혁명으로 알려진 전국적인 파업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로 인해 국가 두마(의회)가 창설되었다. 국가 기반 시설이 마비되자, 차르 니콜라이 2세는 10월 선언을 발표하여 국민들에게 시민권을 약속하고 러시아 최초의 의회를 창설했다.[1]
2. 1. 선거법
1905년 12월에 선거법이 공포되었다. 이 법은 25세 이상 남성 시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4개의 선거인단을 통해 대표를 선출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여성, 군인, 장교는 선거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보편적인 선거라고 할 수 없었다. 또한 선거구의 규모 차이가 커서 평등한 선거도 아니었다.[1]3. 선거 결과
1906년 3월에 실시된 러시아 국가 두마 총선은 여러 정당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 선거는 1905년 12월에 공포된 선거법에 따라 25세 이상 남성 시민에게만 선거권이 주어졌고, 4개의 선거인단을 통해 간접 선거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여성, 군인, 장교는 선거에서 제외되었으며, 선거구 규모의 차이로 인해 평등하지 않은 선거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사회주의 그룹과 볼셰비키는 선거를 보이콧했다. 주요 정당으로는 농민 지도자 중심의 트루도비키, 자유주의 지식인 중심의 입헌민주당(카데트), 상대적으로 덜 자유주의적인 10월 17일 연합(옥토브리스트), 그리고 반동적인 토지 소유주 연합 등이 있었다.
제1대 국회에는 12명의 유대인 의원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들 중 그리고리 보리소비치 이올로스와 미하일 헤르첸슈타인은 반유대주의 테러 단체인 흑백인단에 의해 암살되었다.[5] 이는 당시 러시아 사회에 만연했던 반유대주의 정서를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3. 1. 정당별 의석 분포
정당 | 의석수 |
---|---|
입헌민주당[7] | 161석 |
트루도비크[8] | 97석 |
자치주의자[9] | 70석 |
진보당[10] | 60석 |
사회혁명당[11] | 34석 |
10월 17일 연합[12] | 13석 |
사회민주노동당 (당원이나 무소속으로 참여한 자만 표시)[13] | 10석 |
기타 | 52석 |
합계 | 497석 |
국회의 정당 구성에 대한 공식 기록은 모호하기 때문에, 이 수치는 추정치로 보아야 한다.[1] 좌파 중에서는 입헌민주당이 사회민주당에 2명, 사회혁명당에 17명이 소속되어 있다고 주장했다.[1]
콩그레스 왕국 출신 국회의원 36명 중 34명은 폴란드인으로, 이후 폴란드 클럽에 가입했다. 다른 19명의 폴란드 국회의원은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서 선출되었다. 제1 국회에는 12명의 유대인 의원이 있었다.[2] 이들 중 빌뉴스 지방에서는 슈마리야후 레빈 박사가, 카우나스 지방에서는 레온 브람손이 당선되었다.[2]
다른 유대인 의원으로는 러시아 유대인 평등권 획득 연맹 (''폴크스그루페'')의 의장이자 입헌민주당의 공동 설립자인 막심 비나베르, 니산 카첸엘슨 박사 (쿠를란트 지방, 시온주의자, ''카데트''), 모이세이 야코블레비치 오스트로고르스키 박사 (그로드노 지방, ''카데트''), 변호사 시몬 야코블레비치 로젠바움 (민스크 지방, 시온주의자, ''카데트''), 미하일 이사코비치 셰프텔 (예카테리노슬라프 지방, ''카데트''), 브루크 박사, 빅토르 야콥슨 박사가 있었다.[3] 유대인 의원 3명은 노동자 파벌에 합류했고, 나머지 9명은 카데트 파벌에 합류했다.[3] 12명 중 2명인 그리고리 보리소비치 이올로스 (폴타바 지방)와 미하일 헤르첸슈타인은 모두 입헌민주당 출신으로, 반유대주의 테러 단체인 흑백인단에 의해 암살되었다.[5]
3. 2. 주요 의원
국회의 공식 기록이 정당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아, 아래 의원 수는 추정치로 이해해야 한다. 입헌민주당은 사회민주당 소속 2명, 사회주의 혁명당 소속 17명이 자당 소속이라고 주장했다.[1]콩그레스 왕국 출신 국회의원 36명 중 34명은 폴란드인으로, 폴란드 클럽에 가입했다. 다른 19명의 폴란드 국회의원은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서 선출되었다.
1906년 선거에서 유대인 노동자 연맹은 리투아니아 노동자당 (''트루도비키'')과 선거 협약을 맺어 리투아니아 지방에서 2명의 비(非)번디스트 후보가 국회에 선출되었다. 빌뉴스 지방에서는 슈마리야후 레빈 박사가, 카우나스 지방에서는 레온 브람손이 당선되었다.[2]
제1 국회에는 12명의 유대인 의원이 있었다. 주요 의원은 다음과 같다.
- 막심 비나베르: 러시아 유대인 평등권 획득 연맹 (''폴크스그루페'') 의장이자 입헌민주당 공동 설립자
- 니산 카첸엘슨 박사: 쿠를란트 지방, 시온주의자, ''카데트''
- 모이세이 야코블레비치 오스트로고르스키 박사: 그로드노 지방, ''카데트''
- 시몬 야코블레비치 로젠바움 변호사: 민스크 지방, 시온주의자, ''카데트''
- 미하일 이사코비치 셰프텔: 예카테리노슬라프 지방, ''카데트''
- 브루크 박사
- 빅토르 야콥슨 박사
유대인 의원 3명은 노동자 파벌에, 나머지 9명은 카데트 파벌에 합류했다.[3] 루퍼스 레어시에 따르면, 이들 중 5명(슈마리야후 레빈 박사, 빅토르 야콥슨 박사, 시몬 야코블레비치 로젠바움 포함)은 시온주의자였다.[4] 12명 중 2명(그리고리 보리소비치 이올로스 (폴타바 지방), 미하일 헤르첸슈타인)은 모두 입헌민주당 출신으로, 반유대주의 테러 단체인 흑백인단에 의해 암살되었다.[5]
정당 | 의석 수 |
---|---|
입헌민주당 | 184 |
트루도비키 | 85 |
10월 17일 연합 | 38 |
소수 민족 | 32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17 |
우익 | 7 |
사회주의 혁명당 | 2 |
무소속 | 112 |
4. 두마의 활동과 해산
1905년 러시아 혁명으로 국가 두마가 창설되어 러시아 최초의 의회가 열렸다. 차르 니콜라이 2세는 10월 선언을 발표하여 시민권을 약속하고 의회 창설을 약속했다.[1]
두마가 개혁적인 성향으로 구성되자, 차르는 기본법을 발의하여 두마의 권한을 약화시키려 했다. 그러나 두마는 이에 저항하며 개혁을 외치고 진정한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르는 의회 구성 10주 만에 의회를 해산시켰다.[1]
4. 1. 기본법 제정
1906년 4월, 선거가 치러진 지 몇 주 만에 세르게이 비테 내각은 새로운 정치 질서의 한계를 설정하는 1906년 기본법을 공포했다. 차르는 행정부, 외교 정책, 교회, 그리고 군대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진 절대적인 지도자로 확정되었다. 국가 두마는 1810년부터 러시아의 입법 기관이었던 러시아 제국 국가 평의회 아래의 하원으로 변경되었다. 법률은 두마, 평의회, 황제의 승인을 받아야 효력이 발생했으며,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정부가 두마를 무시할 수 있었다. 기본법은 특별 조항인 ''제87조''를 도입하여, 정부가 국가 두마 휴회 기간 동안 ''당연직''으로 새로운 법률을 공포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차르 니콜라이 2세는 국가 두마의 지지를 받지 못한 법률을 시행하기 위해 이 조항을 자주 사용했다.[1]4. 2. 두마 의장과 회기
러시아 제국 하원(국가 두마)은 1906년 4월 27일에 처음 소집되었다. 5월 10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법학 교수인 세르게이 무롬체프가 두마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자유주의 정당인 카데트당의 지도자였던 무롬체프 교수는 어려운 의회에서 질서와 위엄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엄격한 법적 절차를 지키면서도 헌법적이고 반전제주의적인 의제를 추구하며 토론을 진행하여 많은 칭찬을 받았다.[1]반전제주의는 제1차 두마의 첫날부터 분명하게 드러났다. 5월 5일 차르의 개회사에 대한 응답으로, 의회는 정치범 사면, 진정한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요구했다. 8일 후, 러시아 각료회의 의장이자 총리인 이반 고레미킨은 이러한 모든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국가 두마는 정부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을 채택하고 고레미킨 총리의 사임을 요구했다. 제1차 두마의 72일간의 회기 동안 정부의 불법 행위에 대한 총 391건의 요청이 제출되었다. 사형 금지와 기근 피해 지역 지원을 위한 조치 등 단 두 개의 법안만이 통과되었다.[1]
4. 3. 비보르크 호소와 두마 해산
두마가 개혁적인 성향으로 채워지자, 선거 직후 차르는 기본법을 발의해 두마를 격하시켜 유명무실하게 만들려 했다. 두마는 이에 저항해 개혁을 외치며 진정한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요구했으나, 결국 차르는 의회 구성 10주 만에 의회를 해산시켜 버린다.[1]국가 두마와 니콜라이 2세 차르의 각료 회의, 특히 고레미킨 총리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의회는 1906년 7월 21일, 불과 10주 만에 제국 칙령에 의해 해산되었다. 차르는 의원들이 법률을 제정하는 대신 당국을 조사하여 자신의 권위에 침해했다고 말했다. 자유주의 입헌민주당 당원들은 선출된 두마가 계속 활동하기를 원했고 러시아령 핀란드의 비보르크로 후퇴할 것을 제안하며 좌절감을 드러냈다. 입헌민주당의 희망과 정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대중의 반응은 없었다. 그러나 표트르 스톨리핀에 대한 암살 시도는 테러리스트에 대한 즉결 재판을 수립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비보르크 호소''에 서명한 입헌민주당 (무롬체프 두마 의장 포함)은 체포되어 수개월 동안 투옥되었고, 그 결과 향후 두마 선거에서 배제되었다.[1] 이는 1907년의 제2 두마의 구성을 위한 길을 열었다.
참조
[1]
논문
Political Parties in the Russian Dumas
1950
[2]
서적
The Litvaks: a short history of the Jews in Lithuania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3]
서적
Russian Jewry: 1860-1917
https://books.google[...]
T. Yoseloff
[4]
서적
Fulfillment - The Epic Story of Zionism: The Authoritative History of the Zionist Movement from the Earliest Days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Read Books
[5]
간행물
12. July 1909
http://www.ajcarchiv[...]
[6]
서적
The Second Duma: A Study of the Social-Democratic Party and the Russian Constitutional Experiment
https://archive.org/[...]
Archon Books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