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월 17일 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월 17일 연합(옥토브리스트)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차르 니콜라이 2세가 발표한 10월 선언에 기초하여 온건한 입헌주의를 표방하며 결성된 러시아의 정당이다. 입헌 군주제를 지지하며 국회의 권한 강화를 추구했고, 1905년 말 알렉산드르 구치코프를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1907년 제3차 두마 선거에서 154석을 얻으며 제1당이 되었으나, 1912년 이후 당내 분열과 쇠퇴를 겪었다. 2월 혁명 당시 국회의장을 배출했지만, 10월 혁명 이후 백군에 가담하여 볼셰비키에 대항하다가 러시아 내전에서 패배하며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군주주의 - 검은 백인대
    검은 백인대는 1905년경 러시아에서 발생한 극우 반혁명 단체들의 총칭으로, 차르 정권의 지원 아래 반혁명 운동, 반유대주의 선동, 포그롬 등의 폭력 및 테러를 자행하며 "정교, 전제, 민족성"을 표방하고 러시아 정교회와 황제에 대한 충성을 강조했다.
  • 러시아의 군주주의 - 러시아 제국 (마이크로네이션)
    2011년 안톤 바코프가 쿡 제도에서 러시아 제국의 부활을 선언하며 수립된 마이크로네이션인 러시아 제국은 자체 여권 발급, 영토 확보 시도, 대통령 선거 출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국제적인 승인은 받지 못하고 감비아와의 협력 시도 또한 부인되었다.
  • 러시아의 자유주의 - 노바야 가제타
    노바야 가제타는 1993년 러시아에서 창간된 독립 언론으로, 탐사 보도로 사회적 관심을 환기했으나 푸틴 정권의 탄압과 검열로 활동이 중단되었고, 편집장 드미트리 무라토프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노바야 가제타 유럽'으로 해외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러시아의 자유주의 - 진보당 (러시아)
  • 1905년 설립된 정당 - 얼스터 연합당
    얼스터 연합당은 1905년 얼스터 연합주의 의회 설립으로 시작되어 아일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며, 북아일랜드 정부 수립 이후 장기간 집권하다가 벨파스트 협정을 지지하며 당내 분열을 겪었고, 현재 영국 상원, 북아일랜드 의회 등에서 의원 및 장관을 배출하고 있다.
  • 1905년 설립된 정당 - 입헌민주당 (러시아)
    입헌민주당은 1905년 러시아 혁명기에 결성된 자유주의 정당으로, 입헌군주제와 의회제를 추구하며 지식인, 전문직, 자유주의 성향 지주 귀족을 지지 기반으로 하였으나, 1917년 2월 혁명 후 임시 정부 핵심 세력이 되었지만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의해 탄압받고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에 참여하며 쇠퇴하였다.
10월 17일 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0월 17일 연합 로고
로고
창립1905년 10월 (사실상 형성)
1906년 2월 8일~12일 (첫 번째 총회)
해산1917년 3월 16일 이후
본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신문Slovo
Golos Moskvy
지도부
대표알렉산드르 구치코프 (1907년부터)
창립자드미트리 시포프
파벨 코르프
알렉산드르 구치코프
미하일 스타호비치
정치적 입장
이념개혁주의
자유보수주의
입헌 군주제
스톨리핀 개혁 지지
정치 성향중도우파 ~ 우익
국내 연합진보 블록 (1915년~1917년)
상징색파란색 및 흰색
의회 (국가 두마)
1906년 선거13석 / 497석
1907년 1월 선거35석 / 518석
1907년 10월 선거154석 / 441석
1912년 선거98석 / 442석

2. 역사적 배경

1905년 러시아 혁명의 혼란 속에서 니콜라이 2세10월 선언을 발표하여 시민의 자유와 입법권을 가진 의회(두마) 설립을 약속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온건한 자유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알렉산드르 구치코프가 이끄는 10월당이 창설되었다.

10월당은 입헌 군주제를 지지하면서도 강력한 의회와 책임 정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1905~1906년 세르게이 비테와 1906~1911년 표트르 스톨리핀 정부와 대체로 협력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907년 혁명이 종식된 후, 정부의 비합법적인 조치와 느린 개혁 속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1905~1907년에 마지못해 지지했던 특별 조치의 필요성에 더 이상 공감하지 않았다.

10월당은 스톨리핀의 강령과 유사하게 사유 농업과 추가적인 토지 개혁을 지지했다. 또한 제국 내 소수 민족에게 정치적 자치를 부여하는 데는 반대했지만, 민족과 종교에 따른 법적 제한에는 대체로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2]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05-1907)

10월 선언에 나타난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1905년 11월 알렉산드르 구치코프를 중심으로 10월 17일 연합(10월당)이 결성되었다.[2] 주요 인물로는 미하일 로잔코, Nikolay Khomyakov|니콜라이 호먀코프영어 등이 있었다.[2]

10월당은 1906년 2월 제1차 창립 대회를 열고 당 강령을 제정했다.[2] 이들은 10월 선언에 명시된 자유권 및 선거권 확대와 국회(두마)의 권한 강화를 목표로 했다. 같은 해 치러진 총선에서 10월당은 13석(또는 16석)[2]을 얻어 원내에 진출했다. 1907년 5월 제2차 당 대회에서 당 강령을 보다 보수적으로 변경했다.[2]

년도의석 수
1906년13석 (혹은 16석)[2]
1907년 2월32석
1907년 10월154석
1912년98석


2. 2. 제3차 두마와 전성기 (1907-1912)

표트르 스톨리핀 총리는 1907년 6월 3일(구력) 제2차 국가 두마를 해산하고 선거법을 재산 계급에 유리하게 변경했다. 이 새로운 선거법 하에 치러진 1907년 10월 총선에서 10월 17일 연합은 154석을 확보하여 제3차 국가 두마(1907~1912년)에서 가장 큰 파벌이 되었다.[2] 10월 17일 연합은 스톨리핀 정부와 대체로 협력하며 그의 개혁 정책을 지지했지만, 점차 정부의 비합법적인 조치와 느린 개혁 속도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특히 1905~1907년에 마지못해 지지했던 특별 조치의 필요성에 더 이상 공감하지 못했다.

10월 17일 연합의 강령에는 스톨리핀의 강령과 일치하는 사유 농업과 추가적인 토지 개혁이 포함되었다. 그들은 또한 제국 내의 소수 민족에게 정치적 자치를 부여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민족과 종교에 근거한 법적 제한에는 대체로 반대했다.

2. 3. 분열과 쇠퇴 (1912-1917)

1912년 러시아 총선에서 10월 17일 연합은 96석(또는 98석)을 얻어 의석수가 감소했다.[2] 정부와의 관계, 개혁 방향 등을 둘러싼 의견 차이로 당내 분열이 심화되었다. 1913년 12월, 10월당은 좌파, 젬스트보파, 우파의 세 파벌로 분열되었다.[2]

파벌주요 인물의원 수
좌파 10월 17일 연합호미아코프, I. V. 고드네프, S. I. 시들롭스키16명
젬스트보 10월 17일 연합로지안코, N. I. 안토노프, A. D. 프로토포포프57명
우파 10월 17일 연합N. P. 슈빈스키, G. V. 스코로파드스키13명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10월당은 급격히 쇠퇴했다.

2. 4. 2월 혁명과 그 이후 (1917-1920)

1917년 2월 혁명 당시, 10월당(옥트야브리스트) 소속 미하일 로잔코는 국회 의장이었다. 그는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도록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니콜라이 2세는 로잔코를 총리로 임명하려 했으나, 소비에트와 입헌 민주당의 밀류코프에 의해 저지되었다.

미하일 로잔코


1917년 3월 2일 임시 정부 수립 후, 10월당에서는 구치코프가 육군 대신, 고드네프가 회계 감사원장으로 입각했다. 그러나 구츠코프는 정부 내 보수파로 고립되어 곧 각료에서 물러났다.

10월당은 1917년 8월 "사회 활동가 회의"를 주도하는 등 활동했지만,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 단독 정권이 수립되면서 몰락했다. 이후 10월당은 백군에 가담하여 반소비에트 측으로 러시아 내전을 치렀으나 패배했다.

3. 정책

10월당은 입헌군주제를 확고하게 지지했으며, 10월 선언에 명시된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했다. 차르의 권력을 인정하는 동시에 강력한 의회와 책임 정부 구성을 추구했다.[2]

경제 정책으로는 자유주의를 지향하며, 대지주와 상공업자들의 이익을 대변했다. 표트르 스톨리핀의 농업 개혁을 지지했지만, 급진적인 토지 재분배에는 반대했다. 소작농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구제책을 마련하고자 했지만, 근본적인 토지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

민족 문제에서는 러시아 제국의 통합을 강조했다. 핀란드를 제외한 다른 민족의 자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민족주의적인 노선을 요구하는 압력과도 연관되어 있었다.[2]

3. 1. 외교 정책

10월당은 기본적으로 친서방, 친제국주의적 외교 노선을 지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10월당은 러시아 정부의 참전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4. 평가

10월당은 러시아 정치사에서 온건 보수 세력을 대표하는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혁명적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했으며, 입헌군주제와 의회 제도의 틀 안에서 러시아의 발전을 모색했다. 하지만, 10월당은 급변하는 정치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내부 분열로 인해 쇠퇴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 이들의 이념적 포지션은 현대 대한민국의 정당 중에서는 국민의힘의 중도 온건파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10월 17일 연합은 러시아 제국에서 여러 차례 국가 두마 의회 선거에 참여했다.

선거의석 수
제1차16
제2차54
제3차154
제4차98



제4국회 의석 배치도. 옥토브리스트가 의석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5. 1. 러시아 국가 두마 의회 총선



참조

[1] 웹사이트 Союз 17 октября https://old.bigenc.r[...] Big Russian Encyclopedia 2016
[2] 웹사이트 Octobrists http://encyclopedia2[...]
[3] 백과사전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https://kotobank.jp/[...] 2018-11-01
[4]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11-01
[5]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2018-11-01
[6] 간행물 "Соловьев К. А. Союз 17 Октября." http://www.stolyp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