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뉴딜 정책과 보수 연합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48.7%의 득표율로 262석을 차지하며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72석을 잃었다. 공화당은 47.5%의 득표율로 169석을 얻어 81석이 증가했다. 선거 이후, 루스벨트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반대가 심화되었고, 보수주의자들이 정책을 막는 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미국 - 제10회 아카데미상
    제10회 아카데미상은 1938년 2월 6일에 1937년 공개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시상했으며, 작품상은 《에밀 졸라의 생애》가, 감독상은 레오 맥캐리가 수상했다.
  • 1938년 미국 - 제11회 아카데미상
    제11회 아카데미상은 1939년 2월 23일에 개최되었으며, 프랭크 카프라 감독의 《우리 집의 낙원》이 작품상을, 스펜서 트레이시, 베티 데이비스 등이 남녀 주연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선거 개요
선거 이름1938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국가미국
미국의 국기 (1912-1959)
미국의 국기 (1912-1959)
선거 유형입법부 선거
이전 선거1936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36
차기 선거1940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차기 선거 연도1940
선출 의석 수미국 미국 하원의 모든 435석
과반 의석 수218
선거일1938년 11월 8일
선거 결과
정당민주당
윌리엄 브록먼 뱅크헤드
윌리엄 브록먼 뱅크헤드
대표윌리엄 뱅크헤드
대표 취임일1936년 6월 4일
이전 선거 의석334
당선 의석262
의석 변동'[[파일:Decrease2.svg|}|alt=}|link=|}]] 72'
득표수17,715,450
득표율48.7%
정당공화당
버트랜드 스넬
버트랜드 스넬
대표버트랜드 스넬 (은퇴)
대표 취임일1931년 3월 4일
이전 선거 의석88
당선 의석169
의석 변동' 81'
득표수17,274,585
득표율47.5%
정당위스콘신 진보당
이전 선거 의석8
당선 의석2
의석 변동'[[파일:Decrease2.svg|}|alt=}|link=|}]] 6'
득표수350,346
득표율1.0%
정당농민-노동자당
이전 선거 의석5
당선 의석1
의석 변동'[[파일:Decrease2.svg|}|alt=}|link=|}]] 4'
득표수342,530
득표율0.9%
정당미국 노동당
이전 선거 의석0
당선 의석1
의석 변동' 1'
득표수250,796
득표율0.7%
1938년 미국 하원 선거 결과 지도
1938년 미국 하원 선거 결과 지도
하원 의장
선거 전 의장윌리엄 뱅크헤드
선거 전 정당민주당
선거 후 의장윌리엄 뱅크헤드
선거 후 정당민주당

2. 선거 배경

1930년대 미국은 대공황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러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뉴딜 정책을 추진했다. 뉴딜 정책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경제에 개입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 복지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

그러나 뉴딜 정책은 민주당 내부에서도 갈등을 일으켰다.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와 같은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다. 이들은 뉴딜 정책이 정부의 권한을 지나치게 확대하고 개인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존 낸스 가너 부통령도 루스벨트에게 더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도록 압력을 가했다.[6]

한편, 공화당은 뉴딜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을 등에 업고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이들은 뉴딜 정책의 실패를 강조하며 보수적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특히, 남부 민주당 의원들과 연합하여 '보수 연합'을 형성하고 뉴딜 정책에 대한 반대 강도를 높였다.[6]

1938년 선거 이후, 민주당은 여전히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루스벨트를 지지하는 데 신뢰할 수 없는 약 40명의 민주당 하원 의원들로 인해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정책을 막을 수 있었다.[6]

2. 1. 뉴딜 정책

New Deal영어 정책은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원문 소스에 따르면, 1938년 중간 선거와 관련된 특별 선거에서 민주당은 의석을 유지하거나, 공화당에 의석을 내주기도 했다. 이는 뉴딜 정책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보다는 개별 선거구의 특성과 후보자 개인의 역량에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2. 2. 보수 연합

1937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 반대하는 남부 민주당 의원들과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비공식적인 연합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재정 보수주의와 주(州)의 권리를 옹호하며, 뉴딜 정책이 연방 정부의 권한을 지나치게 확장하고 개인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했다.[1]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앨라배마주와 조지아주에서는 이러한 보수 연합의 영향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앨라배마주에서는 9명의 민주당 현직 의원 중 5명이 무투표 당선되었고, 조지아주에서는 10명의 민주당 현직 의원 중 4명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이는 보수 성향의 민주당 후보들이 공화당의 도전 없이 당선된 것으로, 보수 연합의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2][3]

다음은 1938년 선거에서 앨라배마주와 조지아주에서 보수 연합의 일원으로 볼 수 있는 후보들의 명단과 득표율을 정리한 표이다.

1938년 앨라배마주 및 조지아주 보수 연합 후보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
앨라배마1프랭크 W. 보킨민주당무투표 당선
앨라배마2조지 M. 그랜트민주당무투표 당선
앨라배마3헨리 B. 스티걸민주당무투표 당선
앨라배마6피트 자먼민주당무투표 당선
앨라배마8존 스파크먼민주당무투표 당선
조지아2에드워드 E. 콕스민주당무투표 당선
조지아4에멧 마샬 오언민주당무투표 당선
조지아8W. 벤자민 깁스민주당무투표 당선


3. 주요 정당 및 후보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하원에서 72석을 잃었지만, 262석을 유지하며 다수당 지위를 지켰다. 공화당은 81석을 얻었고 재선에 실패한 현직 의원은 없었다.[6] 위스콘신 진보당은 2석, 미네소타 농민노동당과 미국노동당은 각각 1석을 획득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재임 초기부터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을 비롯한 보수파와 의회 내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했다. 특히,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 등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다. 선거 후 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루스벨트를 지지하지 않는 민주당 하원의원이 약 40명에 달해 보수파가 그의 정책을 저지할 수 있었다.[6]

{| class="wikitable"

|+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주요 정당 및 후보

|-

! 주

! 민주당

! 공화당

! 기타

|-

| 애리조나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애리조나주 광역 선거구존 R. 머독민주당1936재선



|

|

|-

| 아이다호주

|

선거구현직정당처음
당선
결과후보
아이다호주 제1선거구컴턴 I. 화이트민주당1932재선
아이다호주 제2선거구D. 워스 클라크민주당1934미국 상원 의원 출마 위해 은퇴, 공화당 승리



|

|

|-

| 일리노이주

|

선거구현직정당처음
당선
결과후보
일리노이주 제1선거구아서 W. 미첼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2선거구레이먼드 S. 맥키오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3선거구에드워드 A. 켈리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4선거구해리 P. 빔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5선거구아돌프 J. 사바스민주당1906재선
일리노이주 제6선거구토머스 J. 오브라이언민주당1932쿡 카운티 보안관 출마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일리노이주 제7선거구레너드 W. 슈에츠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8선거구레오 코시알코프스키민주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9선거구제임스 맥앤드류스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10선거구랄프 E. 처치공화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11선거구챈시 W. 리드공화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12선거구노아 M. 메이슨공화당1936재선
일리노이주 제13선거구레오 E. 앨런공화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14선거구체스터 톰슨민주당1932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5선거구루이스 L. 보이어민주당1936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6선거구에버렛 디르크센공화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17선거구레슬리 C. 아렌즈공화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18선거구제임스 A. 믹스민주당1932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9선거구휴 M. 리그니민주당1936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20선거구스콧 W. 루카스민주당1934미국 상원 의원 출마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일리노이주 제21선거구프랭크 W. 프리스민주당1936재선
일리노이주 제22선거구에드윈 M. 셰이퍼민주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23선거구로렌스 F. 아놀드민주당1936재선
일리노이주 제24선거구클로드 V. 파슨스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25선거구켄트 E. 켈러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광역 선거구루이스 M. 롱민주당1936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rowspan=2
일리노이주 광역 선거구에드윈 V. 챔피언민주당1936은퇴, 민주당 유지



|}

|}

3. 1. 민주당 (미국)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하원에서 72석을 잃었지만, 262석을 유지하며 다수당 지위를 지켰다. 패배는 거의 모두 북부에서 일어났으며, 남부는 의회에서 민주당의 기반으로서의 역사적인 역할을 재개했다.[6]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통령 재임 초기부터 보수적인 민주당과 의회 내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했다.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를 비롯한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소수였다.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은 루스벨트에게 더 보수적인 정책을 지지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 민주당의 다수당 지위는 유지되었지만, 약 40명의 민주당 하원 의원들이 루스벨트를 지지하는 데 신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정책을 막을 수 있었다.[6]

민주당은 애리조나, 아칸소, 조지아, 아이다호, 일리노이 주에서 다음과 같은 의석 변동을 보였다.

{| class="wikitable"

|+ 민주당 의석 변동

|-

! 주

! 선거 결과

|-

| 애리조나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애리조나주 광역 선거구존 R. 머독민주당1936재선



|-

| 아칸소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아칸소주 제1선거구윌리엄 J. 드라이버민주당1920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아칸소주 제2선거구공석1930존 E. 밀러 (민주) 사임, 민주당 유지
아칸소주 제3선거구클로드 A. 풀러민주당1928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아칸소주 제4선거구윌리엄 B. 크레이븐스민주당1932재선
아칸소주 제5선거구데이비드 D. 테리민주당1933재선
아칸소주 제6선거구존 L. 매클렐런민주당1934미국 상원 의원 출마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아칸소주 제7선거구웨이드 H. 키친스민주당1936재선



|-

| 조지아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조지아주 제1선거구휴 피터슨민주당1934재선
조지아주 제2선거구에드워드 E. 콕스민주당1924재선
조지아주 제3선거구스티븐 페이스민주당1936재선
조지아주 제4선거구에멧 마샬 오언민주당1932재선
조지아주 제5선거구로버트 램스펙민주당1929재선
조지아주 제6선거구칼 빈슨민주당1914재선
조지아주 제7선거구말콤 C. 타버민주당1926재선
조지아주 제8선거구브라스웰 딘민주당1932은퇴, 민주당 유지
조지아주 제9선거구B. 프랭크 휠첼민주당1934재선
조지아주 제10선거구폴 브라운민주당1933재선



|-

| 아이다호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아이다호주 제1선거구컴턴 I. 화이트민주당1932재선
아이다호주 제2선거구D. 워스 클라크민주당1934미국 상원 의원 출마 위해 은퇴, 공화당 승리



|-

| 일리노이주

|

선거구현직정당첫 당선결과후보
일리노이주 제1선거구아서 W. 미첼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2선거구레이먼드 S. 맥키오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3선거구에드워드 A. 켈리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4선거구해리 P. 빔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5선거구아돌프 J. 사바스민주당1906재선
일리노이주 제6선거구토머스 J. 오브라이언민주당1932쿡 카운티 보안관 출마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일리노이주 제7선거구레너드 W. 슈에츠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8선거구레오 코시알코프스키민주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9선거구제임스 맥앤드류스민주당1934재선
일리노이주 제14선거구체스터 톰슨민주당1932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5선거구루이스 L. 보이어민주당1936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8선거구제임스 A. 믹스민주당1932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19선거구휴 M. 리그니민주당1936낙선, 공화당 획득
일리노이주 제20선거구스콧 W. 루카스민주당1934미국 상원 의원 출마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일리노이주 제21선거구프랭크 W. 프리스민주당1936재선
일리노이주 제22선거구에드윈 M. 셰이퍼민주당1932재선
일리노이주 제23선거구로렌스 F. 아놀드민주당1936재선
일리노이주 제24선거구클로드 V. 파슨스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제25선거구켄트 E. 켈러민주당1930재선
일리노이주 광역 선거구루이스 M. 롱민주당1936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rowspan=2 |
일리노이주 광역 선거구에드윈 V. 챔피언민주당1936은퇴, 민주당 유지



|}

3. 2. 공화당 (미국)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81석을 획득했으며, 재선에 실패한 현직 의원은 없었다.[6] 공화당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 반대하며 성장했다.

1938년 선거에서 주목할 만한 공화당 의원
이름
해리 레인 잉글브라이트
리처드 J. 웰치
앨버트 E. 카터
버트란드 W. 기어하트
칼 힌쇼
헨리 드워샥
랄프 E. 처치
챈시 W. 리드
노아 M. 메이슨
레오 E. 앨런
에버렛 디르크센
레슬리 C. 아렌즈



루스벨트 대통령은 재임 초기부터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을 비롯한 보수파와 의회 내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했다. 특히,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 등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다. 선거 후 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루스벨트를 지지하지 않는 민주당 하원의원이 약 40명에 달해 보수파가 그의 정책을 저지할 수 있었다.[6]

3. 3. 기타 정당

정당의석수
위스콘신 진보당2석
미네소타 농민노동당1석
미국노동당1석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위스콘신 진보당은 2석, 미네소타 농민노동당과 미국노동당은 각각 1석을 획득했다.[6]

4. 선거 결과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적 성격을 띠었다. 특히 코네티컷주에서는 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들이 모두 재선에 실패하면서 공화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코네티컷 1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코네티컷 2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코네티컷 3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
코네티컷 4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코네티컷 5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
코네티컷주 광역 선거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4.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 변화

정당총 의석 (변동)의석 비율득표율유효 득표수
민주당262
72
60.2%48.7%17,715,450
공화당169
81
38.9%47.5%17,274,585
진보당2 60.5%1.0%350,346
파머-노동당1 40.2%0.9%342,530
아메리카 노동당1 10.2%0.7%250,796
사회당00.0%0.4%141,575
타운센드당00.0%0.3%96,489
무소속00.0%0.2%81,170
공산당00.0%0.1%28,781
로열 오크 당00.0%<0.1%8,783
금주당00.0%<0.1%8,499
연합당00.0%<0.1%5,905
사회주의 노동자당00.0%<0.1%2,641
자유 노동 선택당00.0%<0.1%2,627
헌법 민주당00.0%<0.1%971
사회주의 노동당00.0%<0.1%753
케니 하원의원 후보 당00.0%<0.1%527
자유당00.0%<0.1%492
안정적인 고용 창출당00.0%<0.1%489
주 권리당00.0%<0.1%314
패스파인더당00.0%<0.1%215
커먼웰스당00.0%<0.1%113
기타00.0%0.1%45,368
합계435100.0%100.0%36,359,419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하원에서 72석을 잃었지만, 262석을 유지하며 다수당 지위를 지켰다. 민주당의 패배는 대부분 북부에서 발생했으며, 남부는 전통적으로 민주당의 기반 역할을 하였다. 공화당은 81석을 얻었으며, 재선에 실패한 현직 의원은 없었다.[6]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재임 초기부터 보수적인 민주당 의원들과 의회 내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했다.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를 비롯한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소수였다.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은 루스벨트에게 더 보수적인 정책을 지지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 민주당의 다수당 지위는 유지되었지만, 약 40명의 민주당 하원 의원들이 루스벨트를 지지하는 데 신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정책을 막을 수 있었다.[6]

4. 2. 지역별 선거 결과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켄터키 8구민주당1930년현직 의원 프레드 M. 빈슨은 1938년 5월 27일 D.C. 순회 항소 법원 판사가 되기 위해 사임.
1938년 6월 4일에 새 의원 선출.
민주당 유지.
nowrap |
앨라배마 2구민주당1923년현직 의원 J. 리스터 힐은 1938년 1월 11일 미국 상원 의원으로 임명되어 사임.
1938년 6월 14일에 새 의원 선출.
민주당 유지.
nowrap |
사우스캐롤라이나 6구민주당1922년현직 의원 알라드 H. 가스크는 1938년 6월 17일에 사망.
1938년 9월 13일에 새 의원 선출.
민주당 유지.
nowrap |
오하이오 4구민주당1932년현직 의원 프랭크 L. 클로엡은 1937년 8월 19일 오하이오 북부 연방 지방 법원 판사로 임명되어 사임.
새 의원은 1938년 11월 8일에 선출.
공화당 획득.
nowrap |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코네티컷 1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nowrap |
코네티컷 2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nowrap |
코네티컷 3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코네티컷 4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nowrap |
코네티컷 5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코네티컷주 광역 선거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nowrap |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플로리다 1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플로리다 2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플로리다 3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플로리다 4구민주당1932년미국 상원 의원 출마를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nowrap |
플로리다 5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nowrap |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아이다호 1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아이다호 2구민주당1934년미국 상원 의원 출마를 위해 은퇴.
공화당 승리.
nowrap |



선거구정당당선 연도결과후보
일리노이 1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2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3구민주당1930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4구민주당1930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5구민주당1906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6구민주당1932년현직, 쿡 카운티 보안관 출마를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nowrap |
일리노이 7구민주당1930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8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9구민주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0구공화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1구공화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2구공화당1936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3구공화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4구민주당1932년현직 낙선.
공화당 획득.
nowrap |
일리노이 15구민주당1936년현직 낙선.
공화당 획득.
nowrap |
일리노이 16구공화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7구공화당1934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18구민주당1932년현직 낙선.
공화당 획득.
nowrap |
일리노이 19구민주당1936년현직 낙선.
공화당 획득.
nowrap |
일리노이 20구민주당1934년미국 상원 의원 출마를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nowrap |
일리노이 21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22구민주당1932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23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24구민주당1930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 25구민주당1930년현직 재선.nowrap |
일리노이주 광역 선거구민주당1936년현직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rowspan=2 nowrap |
민주당1936년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5. 선거의 영향

1938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와 미국 의회 내 권력 구도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민주당은 하원에서 72석을 잃었지만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 선거를 통해 보수적인 성향의 의원들이 의회 내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특히,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연합하여 루스벨트 대통령의 정책에 제동을 거는 경우가 많아졌다.[6]

5. 1. 루스벨트 대통령의 정책 변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임기 초기부터 의회 내 보수적인 민주당 의원들과 공화당 의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를 비롯한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소수였다.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은 루스벨트에게 더 보수적인 정책을 지지하도록 압력을 가했다.[6]

1938년 선거 이후, 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약 40명의 민주당 하원 의원들이 루스벨트를 지지하는 데 신뢰할 수 없게 되면서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정책을 막을 수 있는 힘을 얻게 되었다.[6]

5. 2. 의회 권력 변화

193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하원에서 72석을 잃었지만, 262석을 유지하며 다수당 지위를 지켰다. 민주당의 패배는 거의 모두 북부에서 일어났으며, 남부는 의회에서 민주당의 기반으로서의 역사적인 역할을 재개했다. 공화당은 81석을 얻었으며, 재선에 실패한 현직 의원은 없었다.[6]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재임 초기부터 보수적인 민주당과 의회 내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했다. 에드워드 E. 콕스, 하워드 W. 스미스를 비롯한 남부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과 함께 루스벨트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소수였다. 존 낸스 가너 부통령은 루스벨트에게 더 보수적인 정책을 지지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 민주당의 다수당 지위는 유지되었지만, 약 40명의 민주당 하원 의원들이 루스벨트를 지지하는 데 신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정책을 막을 수 있었다.[6]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1939 Britannica Book of the Year, "Democratic Party"
[2] 서적 Mr. Republican: A Biography of Robert A. Taft
[3] 서적 Remaking California: Reclaiming the Public Good https://books.google[...] Heyday
[4] 서적 Thomas E. Dewey and His Times
[5] 서적 The Republican Party and American Politics from Hoover to Reag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6] 서적 Political Parties In American History, Volume 3, 1890-present G. P. Putnam's Sons 1974
[7] 웹사이트 KY - District 08 Special Election Race - Jun 4, 1938 https://www.ourcampa[...] 2010-03-05
[8] 웹사이트 AL District 2 - Special Election Race - Jun 14, 1938 https://www.ourcampa[...] 2011-01-08
[9] 웹사이트 SC - District 06 Special Election Race - Sep 13, 1938 https://www.ourcampa[...] 2008-11-26
[10] 웹사이트 OH District 04 - Special Election Race - Nov 08, 1938 https://www.ourcampa[...] 2008-05-16
[11] 웹사이트 OH - District 04 Race - Nov 08, 1938 https://www.ourcampa[...] 2008-05-15
[12] 웹사이트 Our Campaigns - AK Territorial Delegate Race - Sep 13, 1938 https://www.ourcam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