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1: 세바스토폴 상륙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1: 세바스토폴 상륙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저격수 류드밀라 파블리첸코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1941년 오데사 전투와 세바스토폴 포위전을 배경으로, 파블리첸코가 309명의 적군을 사살하는 과정과 그녀의 개인적인 고난을 그린다. 율리야 페레실드가 파블리첸코 역을 맡았으며, 2015년 북경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로맨스 영화 - 아이스 (영화)
피겨 스케이팅 선수 나디아가 부상 후 아이스하키 선수 사샤를 만나 재활에 성공하고 사랑을 이루는 과정을 그린 영화 아이스는 국가대표를 꿈꾸던 나디아가 사고 후 코치와 사샤의 도움으로 다시 일어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드라마 영화 - 미스터 존스 (2019년 영화)
미스터 존스는 1930년대 초 우크라이나 홀로도모르의 진실을 알린 언론인 가레스 존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그가 소련의 감시를 피해 우크라이나에 잠입하여 기근의 참상을 목격하고 알리려는 과정을 그린 2019년 영화이다. - 우크라이나의 드라마 영화 - 돈바스 (영화)
2018년 우크라이나,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루마니아 합작 영화인 돈바스는 돈바스 지역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분쟁의 현실을 고발하며,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감독상, 카이로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인도 국제 영화제 황금 공작상 등을 수상했다.
1941: 세바스토폴 상륙작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러시아어) | Битва за Севастополь |
로마자 표기 | Bitva za Sevastopol' |
원제 (우크라이나어) | Незламна |
로마자 표기 | Nezlamna |
다른 제목 | 로시안 스나이퍼 |
영화 정보 | |
감독 | 세르게이 모크리츠키 |
제작 | 나탈리아 모크리츠카야 예고르 올레소프 |
각본 | 막심 부다린 막심 단케비치 레오니드 코린 예고르 올레소프 |
출연 | 율리아 페레실드 조안 블랙햄 예브게니 치가노프 올레그 바실코프 비탈리 리네츠키 |
음악 | 예브게니 갈페린 |
촬영 | 유리 코롤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2015년 4월 2일 (러시아) |
상영 시간 | 122분 |
제작 국가 | 러시아 우크라이나 |
언어 |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더빙) 영어 (더빙) 스페인어 (더빙) |
제작비 및 흥행 | |
제작비 | 124,000,000 루블 |
흥행 수입 | 435,468,256 루블 |
2. 줄거리
1937년, 류드밀라 파블리첸코는 키예프 국립 대학교 입학 시험에 합격한다. 친구들과 사격장에 갔다가 우연히 뛰어난 사격 실력을 발견하고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저격수 훈련을 받게 된다. 동부 전선에 투입된 류드밀라는 베테랑 저격수 마카로프와 팀을 이루지만, 사랑을 느끼지 못하고 거절한다. 이후 새로운 파트너 레오니드를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레오니드는 전투 중 사망한다.[1]
거듭된 상실과 부상 속에서도 류드밀라는 뛰어난 저격 실력으로 적들을 사살하며 영웅으로 떠오른다. 그녀는 소련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어 미국을 방문하고, 엘리너 루즈벨트 여사와 만나 우정을 쌓는다. 우디 거스리는 그녀의 활약을 바탕으로 노래를 만들기도 한다.
2. 1. 오데사 전투와 세바스토폴 포위전
류드밀라는 동부 전선에 참전하여 오데사 전투와 세바스토폴 포위전에 참여한다.[1] 류드밀라는 베테랑 저격수 마카로프와 한 팀이 되어 전투에 임하지만, 마카로프는 전사하고 소련군은 세바스토폴로 후퇴한다.[1]이후 류드밀라는 레오니드라는 새로운 저격수와 팀을 이루게 되고, 두 사람은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1] 그러나 레오니드 역시 전투 중 사망하고, 류드밀라는 큰 부상과 정신적 충격을 받는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드밀라는 뛰어난 저격 실력으로 적군 최고 저격수를 사살하는 데 성공한다.[1]
3. 등장인물
- 율리야 페레실드 – 류드밀라 파블리첸코
- 예브게니 치가노프 – 레오니드 키첸코
- 올레크 바실코프 – 마카로프 대위
- 니키타 타라소프 – 보리스 초팍
- 조안 블랙햄 – 엘리너 루스벨트
- 폴리나 파호모바 – 마샤
- 블라디미르 릴리츠키 – 그리샤, 1 조종사
- 아나톨리 코트 – 니콜라이, 2 조종사
- 나텔라 아벨레바-타가노바 – 소냐 초파카
- 발레리 그리쉬코 – 이반 예피모비치 페트로프
- 세르게이 바르코프스키 – 필리프 옥탸브르스키
- 비탈리 리네츠키 – 소령, 신병 훈련 교관
- 세르게이 푸스케팔리스 – 1 지휘관
- 겐나디 센초프 – 정치 장교
- 스베틀라나 오사드첸코 – 독자
- 뱌체슬라프 니콜렌코 – 우디 거스리
- 마리야 호무토바 – курсантка
3. 1. 주연
- 율리아 페레실드 : 류드밀라 파블리첸코 역
- 에브지니 츠시가노브 : 레오니드 역
- 올레크 바실코프 : 마카로프 대위 역
- 니키타 타라소프 : 보리스 초팍 역
- 조안 블랙햄 : 엘리너 루스벨트 역
- 폴리나 파호모바 : 마샤 역
- 블라디미르 릴리츠키 : 그리샤 역
- 아나톨리 코트 : 니콜라이 역
- 나텔라 아벨레바-타가노바 : 소냐 초파카 역
- 발레리 그리쉬코 : 이반 예피모비치 페트로프 역
- 세르게이 바르코프스키 : 필리프 옥탸브르스키 역
- 비탈리 리네츠키 : 소령, 신병 훈련 교관 역
- 세르게이 푸스케팔리스 : 1 지휘관 역
- 겐나디 센초프 : 정치 장교 역
- 스베틀라나 오사드첸코 : 독자 역
- 뱌체슬라프 니콜렌코 : 우디 거스리 역
- 마리야 호무토바 : курсантка 역
3. 2. 조연
- 율리야 페레실드 : 류드밀라 파블리첸코 역
- 예브게니 치가노프 : 레오니드 키첸코 역
- 조앤 블랙햄 : 엘리너 루스벨트 역
- 폴리나 파호모바 : 마샤 역
- 올레크 바실코프 : 마카로프 대위 역
- 니키타 타라소프 : 보리스 초팍 역
- 아나톨리 코트 : 니콜라이 역
- 나텔라 아벨레바-타가노바 : 소냐 초파카 역
- 발레리 그리쉬코 : 이반 예피모비치 페트로프 역
- 세르게이 바르코프스키 : 필리프 옥탸브르스키 역
- 비탈리 리네츠키 : 소령, 신병 훈련 교관 역
- 블라디미르 릴리츠키 : 그리샤 역
- 세르게이 푸스케팔리스 : 1 지휘관 역
- 겐나디 센초프 : 정치 장교 역
- 스베틀라나 오사드첸코 : 독자 역
- 뱌체슬라프 니콜렌코 : 우디 거스리 역
- 마리야 호무토바 : курсантка 역
4. 제작 과정
영화는 2012년부터 류드밀라 파블리첸코에 대한 기록 자료를 검토하며 제작되기 시작했다. 촬영 감독으로 더 잘 알려진 세르히 모크리츠키가 감독을 맡았으며, 그의 합류 이후 줄거리는 파블리첸코의 실제 삶에 더 가깝게 맞춰 변경되었다. 제작 과정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지만, 영화는 양국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개봉되었다.
5. 흥행
이 영화는 1.24억러시아 루블의 제작비로 러시아 박스 오피스에서 4.35468256억러시아 루블(870.2273999999999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상업적으로 성공했다.[4]
6.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
2015년 | 북경국제영화제 | 여우주연상 | 율리아 페레실드 |
2015년 | 인도국제영화제 | 세계의 영화 | 1941: 세바스토폴 상륙작전 |
7. 역사적 사실과 영화적 허구
이 영화는 류드밀라 파블리첸코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지만, 일부 내용은 영화적 재미를 위해 각색되었다.
7. 1. 류드밀라 파블리첸코의 실제 삶
키예프 국립 대학교 학생이었던 류드밀라는 뛰어난 사격 실력으로 붉은 군대의 저격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동부 전선에 배치된 그녀는 마카로프라는 베테랑 저격수와 사랑에 빠지지만, 그는 전투 중 사망한다. 이후 레오니드라는 새로운 파트너와 깊은 관계를 맺지만, 그 역시 전사한다.전쟁의 상처에도 불구하고 류드밀라는 뛰어난 저격 실력으로 309명의 적군을 사살하며 소련의 영웅으로 떠오른다.[1] 그녀는 소련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어 전 세계를 돌며 파시즘에 맞서 싸우기 위한 지원을 호소한다. 특히 엘리너 루즈벨트 미국 영부인과의 만남은 그녀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뉴욕 연설에서 "신사 여러분, 너무 오랫동안 제 뒤에 숨어 있지 않았나요?"라는 질문을 던지며 참전을 독려하는 연설을 한다.
전쟁이 끝난 후, 류드밀라는 1957년 모스크바를 방문한 루즈벨트 여사와 재회하고, 그녀의 아들과 함께 오페라를 관람한다.
7. 2. 영화 속 허구
영화에서 류드밀라와 레오니드의 로맨스는 깊게 발전된 관계로 묘사된다. 류드밀라는 레오니드에게 아들을 원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두 사람 사이의 깊은 감정적 유대를 보여준다. 하지만 레오니드는 지뢰를 밟아 사망하고, 류드밀라는 큰 상실감과 정신적 외상을 겪는다.참조
[1]
간행물
Eleanor Roosevelt and the Soviet Sniper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2013-02-21
[2]
뉴스
'Battle for Sevastopol' sold into Asia
http://www.screendai[...]
[3]
웹사이트
Leonid Korin, the screenwriter of the movie "Battles for Sevastopol", died in the battles for Artemovsk 14:14 - Social Bites
https://socialbites.[...]
2023-05-05
[4]
웹사이트
Битва за Севастополь, 2015
https://www.kinopois[...]
2023-12-26
[5]
웹사이트
Битва за Севастополь (2015) — смотреть онлайн — КиноПоиск
https://www.kinopois[...]
[6]
뉴스
実在したロシアの凄腕女スナイパー描いた戦争ドラマ、予告完成
https://eiga.com/new[...]
映画.com
2015-09-12
[7]
웹인용
Colleagues spoke about the scriptwriter of the “Battle for Sevastopol” who died in the NMD – Oops Top
https://oopstop.com/[...]
2023-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