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6년 아시안 게임 복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아시안 게임 복싱은 1966년 아시안 게임의 복싱 종목이다. 대한민국이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태국이 금메달 3개로 2위를 기록했다. 총 11개의 금메달, 11개의 은메달, 2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버마가 금메달, 이란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6강 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 아시안 게임 복싱 - 2018년 아시안 게임 복싱
    2018년 아시안 게임 복싱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팔렘방에서 남자 7체급, 여자 3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편파 판정, 미흡한 경기 운영 등 논란이 있었다.
  • 아시안 게임 복싱 - 2010년 아시안 게임 복싱
    2010년 아시안 게임 복싱은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에서 개최되었으며, 35개국 21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 10종목, 여자 3종목으로 총 13개의 금메달을 두고 경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5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1966년 아시안 게임 복싱
대회 개요
종목복싱
대회1966년 아시안 게임
이미지
개최지방콕
경기장후아막 실내 경기장
날짜12월 10일 – 12월 16일
이전 대회1962년
다음 대회1970년

2.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대한민국5319
2태국3317
3인도1102
4일본1089
5필리핀1034
6파키스탄0224
7인도네시아0202
8이란0044
9말레이시아0022
10미얀마0011
합계11112244


3. 메달리스트

(48 kg)프라판 두앙차옴|쁘라판 두앙차옴th (태국)서상영 (대한민국)로돌포 디아스 (필리핀), 가라사와 마사오 (일본)플라이급
(51 kg)손영찬 (대한민국)이드완 안와르|이드완 안와르id (인도네시아)아흐마드 모크타르|아흐마드 모크타르ms (말레이시아), 사토 아키나미|사토 아키나미일본어 (일본)밴텀급
(54 kg)체르드차이 우돔파이칫쿨|체르드차이 우돔파이칫쿨th (태국)나라인 모레 (인도)윈 마웅|윈 마웅my (버마), 오카다 고이치|오카다 고이치일본어 (일본)페더급
(57 kg)김성은 (대한민국)통차이 찬다라수콘|통차이 찬다라수콘th (태국)혼마 하루노부|혼마 하루노부일본어 (일본), 나세르 아가에이|나세르 아가에이fa (이란)라이트급
(60 kg)로돌포 아르폰 (필리핀)이문웅 (대한민국)다카야마 마사타카|다카야마 마사타카일본어 (일본), 엘테파트 탈레비|엘테파트 탈레비fa (이란)라이트 웰터급
(63.5 kg)니욤 프라세르솜|니욤 프라세르솜th (태국)사이드 피달|사이드 피달id (인도네시아)후토미 요시히사|후토미 요시히사일본어 (일본), 무하마드 칼리크|무하마드 칼리크ur (파키스탄)웰터급
(67 kg)박구일 (대한민국)숙다 송상|숙다 송상th (태국)무쿠바야시 히데오|무쿠바야시 히데오일본어 (일본), 테렌스 슈탈만|테렌스 슈탈만ms (말레이시아)라이트 미들급
(71 kg)이홍만 (대한민국)무하마드 가즈나비|무하마드 가즈나비ur (파키스탄)펠릭스 오캄포 (필리핀), 야마모토 도요히로|야마모토 도요히로일본어 (일본)미들급
(75 kg)사토 세이이치|사토 세이이치일본어 (일본)이금택 (대한민국)베르나르도 벨레자 (필리핀), 차이유트 투이토|차이유트 투이토th (태국)라이트 헤비급
(81 kg)김덕팔 (대한민국)찰리우 찬드라마니|찰리우 찬드라마니th (태국)바르카트 알리|바르카트 알리ur (파키스탄), 알루쉬 아바시|알루쉬 아바시fa (이란)헤비급
(+81 kg)하와 싱 (인도)압둘 레만|압둘 레만ur (파키스탄)호세인 파티안푸르|호세인 파티안푸르fa (이란), 이춘인 (대한민국)


3. 1. 남자

(48 kg)프라판 두앙차옴|쁘라판 두앙차옴th (THA)서상영 (KOR)로돌포 디아스 (PHI)
가라사와 마사오 (JPN)플라이급
(51 kg)손영찬 (KOR)이드완 안와르|이드완 안와르id (INA)아흐마드 모크타르|아흐마드 모크타르ms (MAL)
사토 아키나미|사토 아키나미일본어 (JPN)밴텀급
(54 kg)체르드차이 우돔파이칫쿨|체르드차이 우돔파이칫쿨th (THA)나라인 모레 (IND)윈 마웅|윈 마웅my (BIR)
오카다 고이치|오카다 고이치일본어 (JPN)페더급
(57 kg)김성은 (KOR)통차이 찬다라수콘|통차이 찬다라수콘th (THA)혼마 하루노부|혼마 하루노부일본어 (JPN)
나세르 아가에이|나세르 아가에이fa (IRN)라이트급
(60 kg)로돌포 아르폰 (PHI)이문웅 (KOR)다카야마 마사타카|다카야마 마사타카일본어 (JPN)
엘테파트 탈레비|엘테파트 탈레비fa (IRN)라이트 웰터급
(63.5 kg)니욤 프라세르솜|니욤 프라세르솜th (THA)사이드 피달|사이드 피달id (INA)후토미 요시히사|후토미 요시히사일본어 (JPN)
무하마드 칼리크|무하마드 칼리크ur (PAK)웰터급
(67 kg)박구일 (KOR)숙다 송상|숙다 송상th (THA)무쿠바야시 히데오|무쿠바야시 히데오일본어 (JPN)
테렌스 슈탈만|테렌스 슈탈만ms (MAL)라이트 미들급
(71 kg)이홍만 (KOR)무하마드 가즈나비|무하마드 가즈나비ur (PAK)펠릭스 오캄포 (PHI)
야마모토 도요히로|야마모토 도요히로일본어 (JPN)미들급
(75 kg)사토 세이이치|사토 세이이치일본어 (JPN)이금택 (KOR)베르나르도 벨레자 (PHI)
차이유트 투이토|차이유트 투이토th (THA)라이트 헤비급
(81 kg)김덕팔 (KOR)찰리우 찬드라마니|찰리우 찬드라마니th (THA)바르카트 알리|바르카트 알리ur (PAK)
알루쉬 아바시|알루쉬 아바시fa (IRN)헤비급
(+81 kg)하와 싱 (IND)압둘 레만|압둘 레만ur (PAK)호세인 파티안푸르|호세인 파티안푸르fa (IRN)
이춘인 (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