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은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한의 통일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국호를 '대한'으로 정하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수도는 서울이며, 국제사회에서는 '코리아'로 통용된다. 정치 체제는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하며, 국회, 행정부, 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행정 구역은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로 나뉘며, 경제는 세계 10위권 규모로 제조업, IT, 전자, 자동차 산업 등이 발달했다. 인구는 약 5170만 명으로,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며, 사회적으로는 이념 갈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높은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한글, 전통 예술, K팝,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스포츠에서도 국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개요
    대한민국은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며 서울을 수도로 하는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국이며, 산지가 많고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고조선 건국 이후 삼국 시대, 통일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을 거쳐 분단 이후 수립되었고, IT,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이 발달하고 한류 열풍으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 한국어권 -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발해의 영역이었고,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곳으로, 1955년 자치주로 변경되었으며, 백두산 등 자연경관과 항일 독립운동 유적, 옌볜 대학 등의 교육 시설을 갖추고, 중국어와 한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경제적으로 목재 생산과 국경 무역이 활발하고, 한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며,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이 운항되고, 중국 축구에서도 중요한 지역이다.
  • 한국어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이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유지하고 주체사상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운영하며, 대한민국과는 분단 상태이고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 G20 회원국 -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동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포르투갈 식민 지배에서 독립하여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며,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경제적으로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발달한 스포츠 강국이다.
  • G20 회원국 - 튀르키예
    튀르키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아나톨리아 반도를 포함하는 나라로, 1923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2022년 "Türkiye"로 명칭을 변경했고,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대한민국
지도 정보
대한민국 지도
영토
서울 특별시 위치
서울 특별시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대한민국
로마자 표기Daehanminguk
한자 표기大韓民國
통용 명칭한국, 남한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 국장
대한민국 국장
대한민국 국새
대한민국 국새
국가 모토없음
수도서울
행정 중심지세종특별자치시
최대 도시서울
공용어한국어, 한국 수어
공식 문자한글
민족 구성95.1% 한국인
4.9% 기타
종교51% 무종교
31% 기독교
17% 불교
1% 기타
국가한국
한국인
정치와 정부
정치 체제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대통령윤석열 (직무 정지)
최상목 (직무 대행)
국무총리한덕수 (직무 정지)
최상목 (직무 대행)
국회의장우원식
대법원장조희대
헌법재판소장문형배 (권한대행)
입법부국회
역사
고조선 건국기원전 2333년 10월 3일 (신화적)
삼국 시대 시작기원전 57년
남북국 시대 (발해, 신라)668년
고려 왕조918년 7월 25일
조선 왕조1392년 8월 13일
대한제국1897년 10월 12일
일본의 강점1910년 8월 22일
독립 선언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1919년 4월 11일
일본으로부터 해방1945년 8월 15일
미국 군정1945년 9월 8일
대한민국 수립1948년 8월 15일
현재 헌법 시행1988년 2월 25일
지리
면적 (북한 제외)100,363 km²
면적 순위107위
면적 (제곱마일)38,770 sq mi
수역 비율0.3%
인구
추정 인구52,081,799명
인구 추정 년도2024년
인구 순위28위
인구 밀도507명/km²
인구 밀도 순위15위
경제
구매력평가 기준 GDP3조 2580억 달러
구매력평가 기준 GDP 년도2024년
구매력평가 기준 GDP 순위14위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62,960 달러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 순위28위
명목 GDP1조 8690억 달러
명목 GDP 년도2024년
명목 GDP 순위14위
명목 1인당 GDP36,131 달러
명목 1인당 GDP 순위33위
지니 계수33.3
지니 계수 년도2021년
지니 계수 변화감소
기타
인간 개발 지수0.929
인간 개발 지수 년도2022년
인간 개발 지수 변화증가
인간 개발 지수 순위19위
통화한국 원 (₩)
통화 코드KRW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 오프셋+9
날짜 형식yyyy년 m월 d일
yyyy. m. d. (CE)
운전 방향우측
전화 코드+82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kr
.한국

2. 국호

20세기 전반까지 널리 사용되던 "조선"이라는 이름은 "대한(大韓)", "한국(韓國)", "한(韓)"으로 대체되어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국민은 자국의 국호를 "대한민국", "한국" 등으로 부르며, 자국을 칭할 때는 흔히 "우리나라"라고 한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며, 한반도 북부에 자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802] 대비해 한반도 남부에 있다 하여 "남한"으로도 부른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을 반국가단체로 보기 때문에 "남조선(南朝鮮)"이라고 부른다.[803][805][806]

대한민국 내에서는 대한민국을 간단히 '''한국'''(韓國) 또는 '''남한'''(南韓) 등으로도 부른다.[804] 과거엔 구한국(舊韓國), 신한국(新韓國)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국제사회에서는 관습상 대한민국을 간단히 '''코리아'''(Korea)라 부르며, 이 이름은 동아시아의 고대 국가인 고려에서 유래하였다.

'''코리아'''(Korea)란 영문 국호의 어원은 고려에서 유래하였다.[807][808][809][810] 고구려5세기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한 것[811][812]918년 건국한 중세 왕조 고려(高麗)가 계승하여 '고려'라는 국명이 아라비아 상인 등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 유럽인들이 '고려'를 '''코레'''(Core, Kore), '''코리'''(Kori)로 불렀고, 이 명칭에 '~의 땅'을 의미하는 '-a'를 붙어 '고려인의 땅'이라는 '코레-아'(Corea), '코리-아'(Korea), '코리-아'(Koria)가 되어 프랑스어로 Corée, 스페인어로 Corea, 영어로 Korea라고 부른다[813][814]. 현재 대한민국의 공식 영어 명칭은 '''Republic of Korea'''이며, 약칭 'R.O.K.',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KOR'로 부른다.

공식 문서에는 'Corea' 또는 'Korea'를 혼용하여 사용했으나, 1900년대 초기부터 영어권에서 'Korea'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1892년 외국인이 자주 보는 잡지 ''The Korean Repository'' 5월 호에는 “미국 국무부와 영국의 왕립지리학회는 우리가 차용한 이 땅의 이름을 아주 조리 있게 '''Korea'''로 표기하기 시작했던 것”이라는 내용이 나온다.[815]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베트남한자 문화권 국가들에서도 일상에서 대한민국을 간단히 한국( 韓国|간코쿠일본어 )이라 부른다. 다만 한반도 전체를 부를 때는 조선( 朝鮮|조센일본어 )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한국이라는 이름은 고구려의 축약형인 고려(Koryŏ)에서 유래하였다.

2. 1. '대한민국'의 유래

'대한민국'(大韓民國)이란 국호 중 '한' 또는 '대한'(大韓)의 어원은 삼국시대에서 유래했다. 고구려, 백제, 신라를 통틀어 삼한이라 칭했는데, 그 삼한이 통일되었다는 의미에서 대한이라 한다.[799] 삼국 시대 사람들은 한반도의 세 나라를 삼한이라 불렀고, 이것이 후대에 이어져 삼한을 ‘삼국’이라 부르고 삼한일통의 하나의 '한(韓)'으로 자리잡았다. 즉 ‘한(韓)’의 나라라는 뜻이다. 한(韓)이라는 말은 종교적 의미와 정치적 의미를 복합적으로 이룬 고대부터 내려온 낱말로, "하나", "하늘", "크다", '칸(汗) 등 여러 해석이 있다. 나중에는 한(汗)을 군주를 뜻하는 말로 사용하였다.

근대 국가의 국호로서 ‘대한’(大韓)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선택되었다. 고종은 새 국호를 정한 이유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799] 이후 여기에 민국(民國)[800]을 더한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는 이승만, 김구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결정되었다.

1948년 제헌 국회에서 이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801]

2. 2. 다양한 국호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에서 '한' 또는 '대한'은 삼국시대에서 유래했다. 고구려, 백제, 신라를 통틀어 삼한이라 칭했는데, 이 삼한이 통일되었다는 의미에서 '대한'이라 한다. 삼국 시대 사람들은 한반도의 세 나라를 삼한이라 불렀고, 이것이 후대에 이어져 삼한을 '삼국'이라 부르고 삼한일통의 하나의 '한(韓)'으로 자리 잡았다. '한(韓)'은 "하나", "하늘", "크다", '칸(汗)' 등 여러 가지로 해석되며, 군주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근대 국가의 국호로서 '대한'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선택되었다. 고종은 "우리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라고 밝혔다.[799] 이후 '민국(民國)'[800]을 더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는 이승만, 김구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결정되었다.

1948년 제헌 국회에서 이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801] 이에 따라 20세기 전반까지 널리 사용하던 "조선"이라는 이름은 "대한(大韓)", "한국(韓國)", "한(韓)"으로 대체되어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민은 자국을 "대한민국", "한국" 등으로 부르며, 흔히 "우리나라"라고도 한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며, 한반도 남부에 있다 하여 "남한"으로도 부른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을 반국가단체로 보기 때문에 "남조선(南朝鮮)"이라고 부른다.[803][805][806]

국제사회에서는 관습상 대한민국을 '''코리아'''(Korea)라 부르며, 이 이름은 고려에서 유래하였다.[807][808][809][810] 고구려5세기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한 것[811][812]918년 건국한 중세 왕조 고려(高麗)가 계승하여 '고려'라는 국명이 아라비아 상인 등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 유럽인들은 '고려'를 '코레'(Core, Kore), '코리'(Kori) 등으로 불렀고, 여기에 '~의 땅'을 의미하는 '-a'를 붙여 '고려인의 땅'이라는 '코레-아'(Corea), '코리-아'(Korea), '코리-아'(Koria)가 되었다. 이것이 프랑스어로는 Corée, 스페인어로는 Corea, 영어로는 Korea라고 불리게 되었다.[813][814] 현재 대한민국의 공식 영어 명칭은 '''Republic of Korea'''이며, 약칭은 'R.O.K.',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KOR'로 부른다.

1900년대 초기부터 영어권에서 'Korea'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1892년 외국인이 자주 보는 잡지 ''The Korean Repository'' 5월 호에는 "미국 국무부와 영국의 왕립지리학회는 우리가 차용한 이 땅의 이름을 아주 조리 있게 '''Korea'''로 표기하기 시작했던 것"이라는 내용이 나온다.[815]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베트남한자 문화권 국가들에서도 일상에서 대한민국을 간단히 한국(韓国|간코쿠일본어)이라 부른다. 다만 한반도 전체를 부를 때는 조선(朝鮮|조센일본어)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3. 역사

한민족의 영산(靈山)으로 일컬어지는 백두산 천지.


두만강


한반도의 역사는 기원전 약 70만 년 전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으며, 고대에는 고조선을 시작으로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를 거쳐 고려조선으로 이어졌다.

19세기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조선은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에 직면했다.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고,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는 미군소련군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현재까지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하여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유신 체제로 민주주의가 억압되었다. 1979년 박정희 암살 사건 이후 전두환 대통령이 집권(12·12 군사반란) 하였고,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으나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되었고, 이후 민주화와 함께 경제 발전을 지속해 왔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은 햇볕정책을 추진하여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였고, 같은 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에는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되었으나, 2016년 국정농단 사태로 탄핵되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여 남북 관계 개선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였다.

3. 1. 고대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약 70만 년 전으로 추정되며, 현생인류는 후기 구석기 시대인 약 2만 5천 년 전부터 해안과 강가를 중심으로 거주하기 시작했다.[821] 충청북도 단양군 상시굴과 두루봉동굴, 제천시 점말굴 등에서 현생인류로 추정하는 사람 뼈 화석이 발견되었다.[821] 이후 중석기 시대신석기 시대를 거치면서 빗살무늬 토기인, 무문토기인 등 여러 인종의 유입과 주변 세력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명이 발전했다.

한반도 최초의 국가는 고조선이다. 삼국유사고기를 인용하여 단군 왕검이 고조선을 세웠다고 기록하였고, 동국통감은 그 시기를 기원전 2333년이라 하였다. 개천절대종교에서 음력 10월 3일로 정해 지키던 것을 대한민국 정부에서 양력으로 고쳐 국경일로 지정하였다.[822] 고조선 멸망을 전후하여 부여, 옥저, 동예, 진국, 삼한 등 여러 나라가 생겨났고,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삼국 시대로 이어졌다. 신라가 삼국을 부분적으로 통일하는 한편 북쪽의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형성했다.[823]

4세기에는 고구려, 신라, 백제, 가야가 한반도 내에서 대립하였다. 6세기에는 가야가 신라 등에 병합되었고, 이후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이 패권을 다투었다. 663년 백촌강 전투에서 백제가 멸망하고,[825] 668년 고구려가 멸망하였다. 676년 나당 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하여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북쪽의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형성했다.[823] 892년 후삼국시대가 시작되었고, 918년 건국한 고려936년 전국을 통일하였다.[824]

3. 2. 고려와 조선

10세기 고려가 등장하면서 한민족 단일 국가의 시대를 시작했다.[824] 14세기 조선이 이를 계승했다.

918년 건국한 고려936년 전국을 통일하였다.[824] 고려는 왕건이 고구려의 계승 국가로 건국하였다.[13][14][73][74] 926년 발해거란에 멸망하였고, 10년 후 발해의 마지막 왕자는 남쪽으로 고려로 망명하여 왕건에 의해 따뜻하게 환영받고 왕실에 포함됨으로써 고구려의 두 계승 국가가 통일되었다.[75] 신라와 마찬가지로 고려는 높은 문화 수준을 가진 국가였으며, 금속 활자 인쇄술을 발명하였다.[76] 당시 가장 강력한 제국이었던 거란을 고려-거란 전쟁에서 물리친 후,[77][78] 고려는 1세기 동안 지속된 황금기를 맞이하였고, 그 기간 동안 팔만대장경이 완성되었으며 인쇄 및 출판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는 철학, 문학, 종교 및 과학에 대한 교육과 지식의 보급을 촉진하였다. 1100년까지 12개의 대학이 설립되어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였다.[79][80]

13세기 초, 몽골족이 통일된 국가를 형성하면서 몽골 제국을 세웠다. 1231년 고려에 왔던 몽골 사신 일행 저고여가 귀국하던 길에 국경 지대에서 거란족에게 피살되자 이를 구실로 몽골군이 침입해 왔는데, 이른바 고려-몽고 전쟁의 시작이었다.[826] 당시 집권자인 최우강화도로 도읍을 옮기고, 장기 항전을 위한 방비를 강화하였다. 이후 고려는 7차에 걸친 몽골 침략을 끈질기게 막아 내며, 약 30년간의 장기 항전에 들어갔다. 장기간의 전쟁으로 국토는 황폐해지고 백성들은 도탄에 빠졌다. 고려는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약화했고, 1392년 고려의 장수 이성계가 고려 공양왕을 폐위하고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조선을 성립했다.

이성계는 고조선을 참고하여 한국의 새 이름을 "조선"으로 선포하고 수도를 한성부( 서울의 옛 이름 중 하나)로 옮겼다.[82] 조선 왕조 초 200년은 평화로웠고 과학[83][84]과 교육[85]의 발전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세종대왕에 의해 훈민정음이 창제되었다.[86] 당시의 지배적인 이념은 성리학이었고, 부와 권력의 지위를 포기하고 학문과 청렴한 삶을 살았던 선비 계급이 이를 대표하였다.

2014년에 촬영된 창덕궁. 조선 시대에 건설된 서울의 5대 궁궐 중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수원 화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1592년부터 1598년까지 도요토미 히데요시휘하의 일본은 한국을 침략하였으나, 한국군(특히 이순신 제독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그의 유명한 "거북선")과 한국 민간인에 의해 구성된 의병명나라군의 지원으로 그 진격이 저지되었다.[87] 일련의 성공적인 소모전을 통해 일본군은 결국 철수하였고, 모든 당사국 간의 관계는 정상화되었다. 그러나 만주족은 조선의 전쟁으로 인한 약화된 상태를 이용하여 1627년과 1637년에 침략하였고, 불안정해진 명나라를 정복하였다. 새로운 청나라와 관계를 정상화한 후, 조선은 약 200년간의 평화를 누렸다. 특히 영조정조는 18세기 조선 왕조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이끌었다.[88][89]

조선은 점차 지속적인 세도정치로 왕족들은 힘을 쓰지 못했고, 왕권도 매우 약해졌다. 조선은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외교를 하지도 보지도 않았고, 눈과 귀를 닫았다. 대원군은 1866년(고종 3)에 천주교 탄압과 당시 우리나라에 잠입한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한 사건으로 프랑스와 전쟁을 하였다. 잇따라 1871년에는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전쟁을 벌였다. 대원군은 “서양 오랑캐의 침입에 맞서서 싸우지 않는 것은 화평하자는 것이며, 싸우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는 자는 매국노이다(洋夷侵犯非戰則和, 主和賣國).”라는 글을 새긴 척화비를 전국 각지에 세우고, 단호한 쇄국정책을 천명하였다. 19세기 근대화의 물결이 동아시아로 밀려오는 가운데 조선은 점차 약화해 갔으며, 19세기 중반부터 서구 열강들이 동아시아로 모여들었다.

3. 3.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년 3월 1일, 한국인들은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독립을 위한 3·1운동을 펼쳤다. 이 운동은 대체로 각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던 장(시장)의 개장일에 맞추어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이는 국내외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1919년 10월 11일).


4월 11일, 3·1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대통령제와 3권 분립을 채택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외교·군사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나 독립운동 노선의 갈등으로 여러 인사들이 빠져나가면서 국무령 중심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였다.

이후 김구를 주축으로 주석중심제로 재정비하고 조소앙삼균주의를 건국강령으로 채택하였다. 1942년에는 좌파 계열인 조선민족혁명당김규식, 김원봉 세력과 김성숙, 유림 등의 무정부주의자들이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민족통일전선 형성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미국 OSS와도 연계하여 1945년 9월을 기한으로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대한국민이 3·1운동에 따라 건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문구를 삽입하였다.[409]

3. 4.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1945년 8월 15일, 한반도얄타 회담에서 맺은 비공식적 합의에 따라 소련과 미국의 신탁 통치하에 들어갔다.[408] 1945년 9월,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쪽은 미군, 북쪽은 소련군이 포고령을 선포하여 각각 군정을 실시하면서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후 여운형, 안재홍 등은 1944년 설립한 지하조직 건국동맹을 모태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개최하였고, 9월 여운형, 박헌영 등에 의해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1945년 11월 중화민국 쓰촨성 충칭에서 개인 자격으로 귀국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과 '임정정통론' 문제로 갈등이 생겼고, 미군정은 맥아더 포고령에 따라 인공 내각(조선인민공화국 내각)과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고 해산하였다.[409]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신탁통치안 문제를 놓고 한반도 내 좌우익 세력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1946년 5월 미소공위가 개최되었으나 양측 주장이 엇갈려 성과 없이 끝났다. 김규식, 여운형, 안재홍 등은 통일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합작운동을 개시하여 미소공위 재개를 시도했지만, 한민당과 남로당 등 좌우익 세력은 불참하고 중도파 세력만 참여한 소규모 운동에 그쳤다. 1945년 12월 송진우 암살, 1947년 7월 여운형 암살 등 해방정국의 잇단 사건으로 좌우합작운동은 실패했다.

1948년 1월, UN은 UN 한국 위원단(UNTCOK)을 한국에 파견하여 총선거 실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소련이 UNTCOK의 북진을 거부하자, 미국 주도의 UN은 2월 26일 UNTCOK이 활동 가능한 남한 단독 총선거 실시를 결정했다. 김구, 김규식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중진과 북조선인민위원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월 10일 남한 단독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


미군정은 이승만이나 김구를 절대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중도파 중심의 좌우 세력을 포용한 정권 수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좌우 합작 운동)[412] 결국 이승만과 한민당의 연합으로 정권 수립이 추진되었다.[412] 헌법 제정 과정에서 대통령제와 내각 책임제 채택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는데, 강력한 권력을 원했던 이승만과 김구는 대통령제를, 의회 기반의 한민당은 내각 책임제를 주장했다.[419] 제헌 국회는 절충안으로 대통령을 국회의원의 간접 선거로 선출하는 대통령 간접 선거제를 채택했다.[415][416] 7월 12일 제헌 헌법이 제정되었고, 7월 20일 이승만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립 국가로서의 준비가 이루어졌다. 제헌 헌법에는 진보적인 조항도 포함되었지만, 법률에 의한 자유 제한을 광범위하게 인정하는 등 여러 정치 세력의 의향을 담은 타협의 결과였다.[415]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언했다.[417] 같은 날 독립 기념식이 거행되었고, 사실상 지배 지역을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한정하여 대한민국이 독립 국가가 되었다.[418]

1950년6월 25일, 조선인민군(북한군)이 북위 38도선을 넘어 남침하면서 한국 전쟁(한국 동란)이 발발했다. 한국군은 연패하여 낙동강 이남 부산 인근까지 밀려났다. 북한의 침공에 유엔 안보리는 비난 결의를 채택했고, 미국 중심의 서방 국가들은 유엔군을 결성하여 한국군과 함께 후퇴했다. 그러나 인천 상륙 작전으로 북한군의 전선이 붕괴되면서 반격이 시작되었다.

한국군과 유엔군은 패주하는 북한군을 추격하여 압록강 근처까지 진격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을 파병하여 북한을 지원했고, 한국군과 유엔군은 남쪽으로 밀려나 한때 서울을 다시 빼앗겼다. 이후 북위 38도선 부근에서 교착 상태가 이어졌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미국과 북한은 1951년7월 10일부터 휴전 협정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2년간의 협상 끝에 1953년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대규모 전투는 중단되었으나, 한국 정부는 휴전 협정에 서명하지 않아 전쟁은 협정상 정전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3. 5. 민주화와 경제 발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사퇴한 후,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 장군이 집권했다.[104] 박정희는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유신헌법을 제정하여 권력을 강화했다.[104] 박정희 정권 하에서 한국 경제는 크게 발전했고, 전국 고속도로망과 서울 지하철 시스템이 구축되었다.[104] 그의 집권은 1979년 암살로 끝났다.[104]

박정희 대통령


박정희 암살 이후 전두환 장군은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다.[105]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로 전국적인 민주화 요구 시위가 촉발되었고,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 특수부대에 의한 폭력적인 진압이 있었다.[105]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6월 항쟁이 일어났고,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되었다.[106] 노태우 대통령은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를 높였다.[107]

3. 6. 현대의 대한민국

226x226px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 일환으로 북한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109] 같은 해 김대중 대통령은 "한국과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및 인권 신장, 그리고 특히 북한과의 평화와 화해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10] 그러나 이전 정부들의 북한 접근 방식의 무효성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과 북한의 도발 속에서 2007년 서울특별시장 출신인 이명박 대통령이 이끄는 보수 정부가 당선되었다.[111] 한편, 한국과 일본2002년 FIFA 월드컵을 공동 개최했다.[112] 그러나 독도(일본명칭 죽도)에 대한 영유권 분쟁으로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악화되었다.[113]



2010년에는 북한의 공격이 격화되었다. 2010년 3월, 북한 잠수함에 의해 추정되는 한국 해군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한국 해군이 사망했다(ROKS Cheonan sinking). 2010년 11월에는 연평도가 북한의 대규모 포격 공격을 받아 4명이 사망했다(Bombardment of Yeonpyeong). 한국과 국제 사회 모두 이러한 공격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하지 못했고(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한 공식 유엔 보고서는 북한을 명시적으로 가해자로 지목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 국민들의 큰 분노를 야기했다.[115]

한국은 2012년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되어 취임하면서 또 다른 이정표를 세웠다. 전 대통령 박정희의 딸인 그녀는 보수적인 정치를 이어갔다.[116] 박근혜 대통령의 정부는 최순실의 국정 개입으로 인해 부패, 뇌물 수수, 권력 남용 혐의를 공식적으로 받았다. 2016년 11월부터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고,[117] 결국 탄핵되어 퇴진했다.[118]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및 파면 이후 선거가 치러졌고,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이 대통령에 당선되어 2017년 5월 10일 취임했다.[119] 그의 임기 동안 북한과의 정치 관계 개선, 미국과의 군사 동맹에서의 다소 증가하는 불일치,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등이 있었다.[120] 2018년 4월, 박근혜는 권력 남용 및 부패 혐의로 징역 24년을 선고받았다.[121] 2020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이 한국에 영향을 미쳤다. 같은 해 한국은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아 사상 처음으로 인구 감소를 기록했다.[123]

2022년 3월,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누르고 역대 최소 득표 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윤석열은 2022년 5월 10일 취임했다.[123] 그는 2024년 12월 3일 야당이 친북적이며 반국가 활동을 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계엄령을 선포했다.[124] 몇 시간 후, 국회는 190대 0 만장일치로 계엄령 무효화를 투표하여 윤석열은 12월 4일 계엄령을 조기 종료했다.[125] 2024년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 소속 일부 의원을 포함한 다수의 탄핵 찬성표로 탄핵되었다.[126]

4. 지리

대한민국은 아시아 대륙 동쪽 끝 한반도의 남쪽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륙과 동아시아 본토로부터 약 1100km 뻗어나와 있다. 이 산악 반도는 서쪽으로는 황해, 동쪽으로는 일본해에 접해 있으며, 남쪽 끝은 대한해협동중국해에 면한다. 대한민국의 영토는 모든 섬을 포함하여 북위 와 사이, 동경 와 사이에 위치하며, 총면적은 100410km2이다.[5]

한반도 위성 사진


대한민국은 조선반도 전역을 영토로 주장하며, 그중 남북 군사분계선 이남 및 그 부속도서를 통치하고 있다. 군사분계선 이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부에 의해 사실상 통치되고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북한 지역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북한"이 사용되고 있다.[652]

서쪽은 황해, 동쪽은 일본해에 면하며, 대한해협(쓰시마 해협의 서수도)을 사이에 두고 부산쓰시마는 약 50km의 거리에 있다. 전국토 면적은 100339km2이며,[653] 이는 일본의 총면적 377961km2의 약 4분의 1(26%)에 해당하고, 홋카이도 본섬의 면적 77984km2의 1.26배에 상당한다. 국토는 고기조산대가 지배적이다.

지진규슈 등 일본에서 전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저렴하게 고층 아파트 건설이 가능하며, 단독주택보다 인기가 있다. 활화산도 전혀 존재하지 않지만(제주도, 울릉도화산섬이지만 활동하지 않는다), 소수의 온천은 있다.

한일 간에는 독도(일본명: 竹島) 영유권 문제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1990년대 이후 일본해(한국명: 동해)의 국제적 명칭을 둘러싸고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가 대립하는 등 몇 가지 문제가 있다.

; 한국의 범위

4. 1. 지형

한반도는 제3기 마이오세 이후에 일어난 단층과 요곡운동의 결과 동쪽으로는 높은 산지가 급경사로 동해안에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서서히 고도가 낮아지는 동고서저의 경동지형을 보인다.[817] 높은 산들은 대부분 동부 지방에 치우쳐 한반도의 등줄기라 불리는 태백산맥에 자리한다. 태백산맥의 대표적인 산은 설악산이며, 남서쪽으로 소백산맥이 이어지며 지리산이 유명하다. 제주도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사화산한라산이 있다.

대한민국의 지형도


하천 유량은 매우 불규칙하여 여름철 집중호우로 연 강수량의 약 60% 이상이 홍수로 유출되며, 갈수기에는 강바닥을 거의 드러내는 하천이 많다. 대표적인 강으로는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이 있으며, 대다수 강이 산지가 많은 동쪽에서 평평하고 낮은 구릉이 대부분인 서쪽으로 흐르며 중하류에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한다.

산맥은 교통에 제약을 주어 지역의 문화나 풍습 차이를 유발한다. 산맥으로 가로막힌 지방은 고개를 넘어 왕래했는데, 영서 지방과 영동 지방을 연결하는 태백산맥의 대관령, 한계령, 진부령, 미시령, 중서부와 영남 지방을 연결하는 소백산맥의 죽령, 이화령, 추풍령, 육십령 등이 주요 교통로로 사용되었다.

한반도는 서쪽의 황해, 동쪽의 동해, 남쪽의 남해와 맞닿아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이며, 가장 큰 부속 도서인 제주도 남쪽으로는 동중국해와 접한다. 황해남해 연안은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해안 지형이 평탄하여 넓은 간석지가 발달한다. 또한 수많은 섬이 있어 다도해라고도 불린다. 반면 동해 연안은 해안선이 단조롭고 수심이 깊으며 간만의 차가 적다. 해안 근처에는 사구석호 등이 형성되며, 먼 해상에 화산섬인 울릉도가 있고 동쪽으로 약 87.4km 거리에 대한민국 최동단인 독도가 있다. 서쪽에는 평지가 발달했다.

대한민국의 지형은 크게 동쪽의 높은 산맥과 좁은 해안 평야, 서쪽의 넓은 해안 평야, 유역과 구릉성 언덕, 남서쪽의 산과 계곡, 남동쪽의 낙동강 분지 등 네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127] 중부 한국 활엽수림, 만주 혼합림, 남부 한국 상록수림 등 세 가지 육상 생태계가 존재하며,[128] 대부분 산악 지형으로 경작지가 아닌 곳이 많다. 주로 서쪽과 남동쪽에 위치한 저지대는 전체 면적의 30% 정도이다. 국립공원 20곳과 보성 녹차밭, 순천만 생태공원, 지리산 등 자연 명소가 있다.[129]

약 3,000개의 작고 무인도인 섬들이 대한민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남쪽 해안에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이다. 제주도에는 휴화산인 한라산이 있으며 해발 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다. 동쪽 섬으로는 울릉도독도가 있으며, 마라도와 소코트라 암초는 남쪽 끝 섬이다.[127]

4. 2. 기후

대한민국은 온대 습윤 기후온대 하우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동아시아 계절풍의 영향으로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이어지는 장마(East Asian rainy season) 기간 동안 여름철 강수량이 많다. 서울의 경우 1월 평균 기온은 -7°C ~ 1°C이며, 8월 평균 기온은 22°C ~ 30°C이다. 남해안 지역은 겨울 기온이 높고, 산악 지대는 상당히 낮다.[131] 여름은 덥고 습하며, 대부분 지역에서 기온이 30°C를 넘는다. 대한민국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뚜렷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으며, 봄은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여름은 5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가을은 9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겨울은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 지속된다.

강수량은 6월부터 9월까지 여름철에 집중된다. 남해안은 늦여름 태풍의 영향을 받아 강풍, 폭우, 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서울의 경우 1370mm(약 137cm), 부산의 경우 1470mm(약 147cm)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춘천시, 원주시 등 내륙 북부 및 산악 지대는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서울, 인천 등 수도권이나 부산, 대구 등 남부 지역은 온대 하우 기후온난 습윤 기후에 속한다. 한반도에 위치해 있으나, 현저한 대륙성 기후이며, 일교차와 연교차가 크다. 남부와 동부 연안 지역을 제외하고 1월 평균 기온은 영하이며, 특히 최저 기온이 매우 낮다. 겨울에는 시베리아에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일본의 동위도 연안 지역보다 춥다.[654] 예를 들어 서울은 니가타시 부근과 같은 위도에 있지만, 1월 평균 기온은 -2°C로 일본의 히다 지방이나 나가노현, 도호쿠 지방 내륙부와 비슷한 평균 기온이다. 강력한 시베리아 한랭기단에 덮이면 서울에서도 최저 기온이 -10°C에서 -15°C 정도가 되고, 교외에서는 -15°C를 밑도는 경우도 있어 평년보다 훨씬 추워질 수 있다. 하지만 삼한사온 때문에 겨울철에는 기온 변화가 매우 크고, 기온이 크게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해마다 한랭과 온난의 차이도 매우 크다. 부산나고야시교토시 부근과 같은 위도에 있지만, 1월 평균 기온은 3.6°C로 나고야시나 교토시보다 1°C 낮다. 한국 전체의 1월 기온은 일본의 관동 지방, 토산 지방, 도호쿠 지방의 기온과 비슷하다.

한랭한 기후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고, 2월 평균 기온은 1월보다 크게 상승한다. 1월과 2월의 평균 기온이 거의 변하지 않는 일본과는 대조적으로, 추위의 절정이 1월에 집중되어 있다.

겨울은 습도가 낮고 건조하며 맑은 날이 많아 복사 냉각으로 아침 기온이 매우 낮은 반면, 한국 최대의 폭설 지대인 울릉도 외에 과거 1m가 넘는 적설을 관측한 적이 있는 동해안의 강릉시, 동해시, 속초시나 내륙의 평창군(대관령) 등 강원도를 제외하면 강설량은 적고, 간토 지방·간사이 지방 태평양 연안의 강설량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적다. 실제로 서울 주변 지역의 과거 최심 적설조차 30cm 정도로 적다.

제주도후쿠오카현과 같은 위도에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온난한 지역으로 여겨지지만,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현재 한국에서 북위 38선 이남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해발 1950m)이 솟아 있는 지형적 요인으로 바람이 매우 강하여, 제주시의 1월 평균 기온은 5°C~6°C로 쓰시마나 도쿄와 거의 같은 평균 기온이다. 서귀포시가 위치한 남부는 고치현이나 미야자키현과 비슷한 기온이다.

여름은 일본이나 중국과 마찬가지로 고온다습하며, 연 강수량의 50~70%가 집중되어 있다. 2018년 8월 1일에는 홍천군에서 41°C, 의성군에서 40.4°C, 서울에서 39.6°C 등의 고온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각 지역의 평년값 (통계 기간: 1981년 - 2010년, 출처: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평년값
(월 단위)
북서부 연안북부 내륙북부 고지서울 수도권북동부 연안
강화철원춘천원주양평제천충주청주평창군
대관령
태백서울수원인천이천천안속초강릉
기후 구분DwaDwaDwaDwaDwaDwaDwaCfaDfbDwbCwaCwaCwaDwaCfaCfaCfa
평균
기온
(℃)
최난월24.5°C
(8월)
23.8°C
(8월)
24.6°C
(8월)
24.8°C
(8월)
25°C
(8월)
23.8°C
(8월)
24.9°C
(8월)
25.8°C
(8월)
19.1°C
(7,8월)
21°C
(8월)
25.7°C
(8월)
25.6°C
(8월)
25.2°C
(8월)
24.8°C
(8월)
25.1°C
(8월)
23.7°C
(8월)
24.6°C
(8월)
최한월-3.8°C
(1월)
-5.5°C
(1월)
-4.6°C
(1월)
-4.3°C
(1월)
-3.4°C
(1월)
-5.2°C
(1월)
-4.2°C
(1월)
-2.4°C
(1월)
-7.7°C
(1월)
-4.8°C
(1월)
-2.4°C
(1월)
-2.9°C
(1월)
-2.1°C
(1월)
-3.1°C
(1월)
-2.9°C
(1월)
-0.3°C
(1월)
0.4°C
(1월)
강수량
(mm)
최다월358.2mm
(7월)
400.9mm
(7월)
383.8mm
(7월)
362.2mm
(7월)
429.4mm
(7월)
373.5mm
(7월)
293.5mm
(7월)
285.1mm
(8월)
420.9mm
(8월)
287.3mm
(7월)
394.7mm
(7월)
351.1mm
(7월)
319.6mm
(7월)
370.2mm
(7월)
298.3mm
(7월)
293mm
(8월)
298.9mm
(8월)
최소월17.7mm
(1월)
20.6mm
(1월)
20.3mm
(1월)
22mm
(1월)
16.6mm
(12월)
23mm
(12월)
21.1mm
(12월)
25.3mm
(12월)
36.8mm
(12월)
19.2mm
(12월)
20.8mm
(1월)
21.8mm
(12월)
19.3mm
(12월)
16.3mm
(12월)
23.4mm
(1월)
38.2mm
(12월)
38.3mm
(12월)
평년값
(월 단위)
중서부 연안중부 내륙울릉도남동부 연안남부 내륙남부 연안제주도
서산보령군산대전전주남원안동대구울릉포항울산광주밀양목포부산통영창원
마산
제주서귀포
기후 구분CfaCfaCfaCfaCfaCfaCfaCfaCfaCfaCfaCfaCwaCfaCwaCwaCwaCfaCfa
평균
기온
(℃)
최난월25.1°C
(8월)
25.5°C
(8월)
25.7°C
(8월)
25.6°C
(8월)
26.2°C
(8월)
25.2°C
(8월)
24.8°C
(8월)
26.4°C
(8월)
23.6°C
(8월)
25.7°C
(8월)
25.9°C
(8월)
26.2°C
(8월)
25.8°C
(8월)
26.1°C
(8월)
25.9°C
(8월)
26.1°C
(8월)
26.5°C
(8월)
26.8°C
(8월)
27.1°C
(8월)
최한월-2°C
(1월)
-0.8°C
(1월)
-0.4°C
(1월)
-1°C
(1월)
-0.5°C
(1월)
-1.4°C
(1월)
-2.2°C
(1월)
0.6°C
(1월)
1.4°C
(1월)
1.8°C
(1월)
2°C
(1월)
0.6°C
(1월)
0°C
(1월)
1.7°C
(1월)
3.2°C
(1월)
3.1°C
(1월)
2.8°C
(1월)
5.7°C
(1월)
6.8°C
(1월)
강수량
(mm)
최다월295.9mm
(8월)
297.1mm
(8월)
263.1mm
(8월)
333.9mm
(7월)
299.6mm
(7월)
346.1mm
(8월)
244.3mm
(7월)
235.9mm
(8월)
170.7mm
(9월)
227.4mm
(8월)
240.3mm
(8월)
308.9mm
(7월)
269.5mm
(7월)
236.7mm
(7월)
316.9mm
(7월)
313.5mm
(7월)
299mm
(8월)
262.5mm
(8월)
309.8mm
(7월)
최소월26.6mm
(2월)
28.1mm
(1월)
29.3mm
(12월)
25.9mm
(12월)
31.1mm
(12월)
25.4mm
(12월)
16.6mm
(12월)
15.3mm
(12월)
72.2mm
(3월)
25.7mm
(12월)
23mm
(12월)
33.5mm
(12월)
16.4mm
(12월)
29.3mm
(12월)
22.8mm
(12월)
21.1mm
(12월)
22mm
(12월)
47.7mm
(12월)
45.1mm
(12월)


  • 최난월 22°C 미만 - 연한 하늘색
  • 최한월 -3°C 미만 (=아한대(D)의 조건) - 연한 하늘색, 하늘색, 파란색

4. 3. 동식물

한반도 전역에는 10만여 종의 동식물이 분포한다. 과거에는 백두산호랑이가 서식했으나 현재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달가슴곰과 표범은 소수 개체군이 생존해 있다. 그 외에도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담비, , 다람쥐 등의 포유류까치, , 참새, 비둘기를 비롯한 텃새, 그리고 두루미, 기러기, 제비 같은 철새가 서식한다. 지네나 거미를 포함한 수많은 곤충류도 서식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난류한류에 서식하는 다양한 어패류와 고래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한류성 어류가 감소하고 불가사리해파리가 급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산삼, 진달래, 소나무 등 많은 식물은 약용이나 기타 여러 용도로 쓰인다. 제주도에는 열대림과 비슷한 야자수가 자생하며, 지리산이나 태백산맥에는 북방계형 특산 식물들이 자란다. 백두산에는 시베리아만주에서 볼 수 있는 침엽수림과 같은 북방계 식물류가 자란다. 중부 지방에는 높은 산지로 인해 고산형 식물과 여러 약용 식물이 자생한다.

4. 4. 천연자원

시멘트 공업과 석회공업의 원료인 석회암은 한국의 주요 자원으로 단양군 등지에 대량 분포한다. 다른 자원은 양이 적거나 품질이 낮아 채산성이 맞지 않아 거의 생산하지 않는다. 다만 21세기에 와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기술 발전으로 재개장하는 광산이 있다. 석탄은 삼척탄전, 영월탄전, 문경탄전 등지에 주로 분포하는 무연탄이다. 철광석은 양양, 충주 등지에서 주로 캤다. 텅스텐은 매장량이 매우 많으며 특히 영월군상동광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텅스텐 광산이다.

울산 앞바다에서 천연가스층을 발견하여 개발 중이며, 독도 부근 해저에서 메테인 하이드레이트 대규모 매장량을 발견했다. 석유제주도 남방 해역 대륙붕 제7광구에 천연가스와 함께 매장 가능성이 언급되나[820] 실제로 탐사하지 않았다. 이곳은 1974년에 체결한 한일 대륙붕 협정에 따라 2028년까지 한일이 공동 관리한다.

5. 정치

대한민국의 정치 체제는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통령 직선제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 체제로 발전해 왔다.

1945년 8월 15일, 일본포츠담 선언을 수락하면서 한국은 독립을 맞이했다.[408] 그러나 북위 38도를 경계로 남한은 미군이, 북한은 소련군이 점령하면서 분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09] 미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직접 통치를 실시했다.[409]

미군정 하에서 이승만을 중심으로 한 우파 세력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412] 김구 그룹과 한국 민주당도 우파 세력에 속했다.[412] 박헌영 그룹은 좌파 세력을 대표했으며,[413] 여운형김규식은 각각 중도좌파와 중도우파 그룹을 이끌었다.[413]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가 결정되었고, 1946년부터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1947년 결렬되었다.[409] 1947년 11월 14일, UN은 UN 감시하에 남북한 총선거를 통한 통일 정부 수립을 결정했다. 1948년 5월 10일 남한 단독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제헌 국회7월 12일 제헌 헌법을 제정, 7월 20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했다.[415][416] 1948년 8월 13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417]

1948년 9월 9일, 김일성을 주석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남북은 서로를 분단 국가로 인식하고, 통일을 주장했다.[420]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초대 대통령 이승만4·19 혁명으로 하야했다.[419]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가 집권하여 1972년 유신 헌법을 통해 제4공화국을 수립, 장기 집권했다.[419]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민주화 요구가 높아졌으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12·12 군사 반란5·17 쿠데타를 일으켜 5·18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고 제5공화국을 수립했다.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6·29 선언이 발표되었고,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한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문민정부가 출범했다.

대한민국은 헌법에 따라 복수정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정당 간 합당이나 분당이 자주 일어난다. 2024년 제22대 국회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등 여러 정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부는 대통령을 중심으로 국무총리국무위원으로 구성된 국무회의를 통해 운영된다. 대통령은 5년 단임으로 선출되며, 국회가 통과시킨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은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로 구성된다.

행정구역한글로마자
특별시 (Teukbyeolsi)
1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Seoul
광역시 (Gwangyeoksi)
2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Busan
3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Daegu
4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Incheon
5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Gwangju
6대전광역시대전광역시Daejeon
7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Ulsan
특별자치시 (Teukbyeoljachisi)
17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Sejong
도 (Do)
8경기도경기도Gyeonggi
10충청북도충청북도Chungcheongbuk
11충청남도충청남도Chungcheongnam
13전라남도전라남도Jeollanam
14경상북도경상북도Gyeongsangbuk
15경상남도경상남도Gyeongsangnam
특별자치도 (Teukbyeoljachi-do)
9강원특별자치도강원특별자치도Gangwon
12전라북도전라북도Jeonbuk
16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Jeju



이북 5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외교는 외교부가 담당하며, 미국과는 한국 전쟁 이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과는 1965년 수교했으나, 독도 문제 등 여러 갈등이 존재한다. 북한은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 지역은 대한민국의 영토로 간주된다.[153]

공동경비구역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이 평화의 집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3년 4월 26일,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과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 임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오른쪽)이 시진핑(왼쪽)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과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2015년)


대한민국의 섬 독도.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며,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라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의 기본입장이다.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유엔 사무총장(2007-2016), 반기문


2017년 9월 6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


독도(대한민국) / 다케시마(일본)로 알려진 독도 문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나는 모습.

5. 1. 정치 체제

1987년 6월 29일, 민주정의당 총재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가 대통령 직선제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6·29 선언을 발표했다. 이후 여야가 합의하여 대통령 직선제 등을 골자로 한 개헌을 성사했다. 이로써 야권의 정치 참여가 허용되었으며, 1988년 치러진 제13대 총선에서 사상 최초의 "여소야대" 국회가 나왔다. 민주정의당은 불리한 여론을 극복하는 돌파구로 3당 합당을 추진해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

1992년 치러진 제14대 대선에서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당선되어 1993년에 취임하면서 대한민국은 문민정부 시대로 접어들었다.[1] 이로써 윤보선 정부 이후 30여 년 만에 민간인 정부가 들어섰다.[1] 문민정부는 하나회 숙청, 금융실명제 실시, 표현의 자유 허용,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부활, OECD 가입 등의 업적을 남겼다.[1] 특히 군사 정변을 주도할 위험이 있는 군 내 사조직을 숙청하고, 12.12 관련자 및 5.18 관련 정치군인들을 처벌하기도 했다.[1] 하지만 대한항공기 괌 추락 사고, 우암상가아파트 붕괴,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의 대형 사고가 일어나 사회적인 혼란을 겪기도 했다.[1] 또한 자유방임적 시장경제와 세계화를 추구하면서 준비 없이 대규모 개방을 강행했고, 외환관리에 실패해 IMF 구제금융사건을 초래하였다.[1]

1990년대 이후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선거도 실시되고 있지만, 그 이전의 광역자치단체장은 정부가 임명했고, 기초자치단체장은 도지사나 특별시장, 직할시장이 임명했다.[2]

5. 2. 정당

대한민국은 헌법 제8조에 의해 정당 설립의 자유가 보장되며, 복수정당제를 채택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정당 정치는 정당의 수명이 비교적 짧고, 정당 간 합당이나 분당이 자주 일어나는 특징을 보인다.

2024년 5월 30일 제22대 국회 개원과 함께 현재의 정당 구도가 형성되었다. 원내 제1당이자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민주당과 함께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집권 여당 국민의힘이 주요 정당이다. 이 외에도 조국혁신당, 진보당, 개혁신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이 원내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섭단체는 국회의원 20인 이상으로 구성되는 단체로, 20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은 교섭단체 지위를 갖는다. 원외 정당으로는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등이 있다.

5. 3. 정부

윤석열국회의장
우원식국무총리
한덕수대법원장
조희대헌법재판소장
유남석


5. 4.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은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로 구성된다.

행정구역한글로마자
특별시 (Teukbyeolsi)
1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Seoul
광역시 (Gwangyeoksi)
2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Busan
3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Daegu
4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Incheon
5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Gwangju
6대전광역시대전광역시Daejeon
7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Ulsan
특별자치시 (Teukbyeoljachisi)
17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Sejong
도 (Do)
8경기도경기도Gyeonggi
10충청북도충청북도Chungcheongbuk
11충청남도충청남도Chungcheongnam
13전라남도전라남도Jeollanam
14경상북도경상북도Gyeongsangbuk
15경상남도경상남도Gyeongsangnam
특별자치도 (Teukbyeoljachi-do)
9강원특별자치도강원특별자치도Gangwon
12전라북도전라북도Jeonbuk
16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Jeju



현재 대한민국의 통치가 미치지 않는 이북 5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도 명목상으로는 존재한다.

5. 5. 외교

대한민국의 외교는 외교부가 담당하고 있다.

한국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과는 1965년에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유엔 회원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리아 2개국과 외교 관계가 없으며, 이 중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서사하라, 중화민국, 팔레스타인, 코소보 등과도 외교 관계가 없다. 중화민국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때부터 수교국이었으나 1992년에 단절되었다. 그러나 양국은 수도에 대표부(타이베이 대표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민간 교류는 자유롭다. 팔레스타인의 경우 대한민국이 대표부를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과거에는 통상 업무를 위해 외교통상부 산하 통상교섭본부를 설치했으나, 정부조직 개편으로 산업통상자원부로 이관되었다.

대한민국의 영토인 독도, 이어도 등에 대해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유엔과 WTO, OECD, G20의 구성원이며, APEC와 동아시아 정상회의의 창립 가맹국이고, 미국의 주요 비NATO 동맹국(MNNA)이다.

남한은 북한국가로 승인하지 않으며, 북한 정부에 대해 국제법교전단체의 지위만을 인정한다. 남한은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한 국내법상 북한 지역을 남한의 영토로 간주하며, 자국 영토를 불법 점거하는 반국가단체로 본다.[153]

국민의 정부 당시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참여정부 말까지 북한과의 물자 교류가 활발했으나, 북한의 도발로 2013년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이 중지되었다. 남북회담을 통해 재가동이 검토되었으나, 북한의 계속된 도발, 핵 실험, 미사일 발사로 완전히 종료되었다.

남북한은 오랜 적대감 속에서도 평화 추구를 위한 합의에 서명했다.[155] 2007년 10월 4일, 노무현 전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 김정일은 8개 항에 대한 합의에 서명했다.[155]

햇볕정책과 화해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실험으로 진전이 복잡해졌다. 2009년 초, 남북한 관계는 긴장되었다. 북한은 미사일을 배치했고,[156] 남한과의 이전 합의를 종식시켰으며,[157] 위성 발사 계획에 대해 남한과 미국이 간섭하지 말 것을 위협했다.[158] 남북한은 기술적으로 전쟁 중이며(한국 전쟁 후 평화 조약을 체결하지 않았다) 세계에서 가장 요새화된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159]

1948년 대한민국은 민주 정부를 수립했고, 미국은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을 조직하여 참전했다. 휴전 이후에도 주한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제5공화국 때는 미국에 대한 반감이 형성되었고, 이는 1982년 3월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을 시작으로 미국문화원 점거 농성 사건 등을 통해 반미운동이 가속되었고, 정부간에는 통상마찰이 심화되어 국민적 갈등으로 확대되었다.

2002년 7월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에 따른 촛불 집회 등의 영향으로 반미 감정이 고조 되었다.

2007년 한미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었고,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은 촛불 시위로 비화되었다.

대한민국은 1992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지 않고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1980년대에 들어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모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80년 1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은 "관문불상쇄(關門不上鎖, 문은 잠겨 있으나 빗장은 걸지 않았다)"라는 말로 대한민국과의 교류확대의사가 있음을 사실상 부인하지 않았다. 1989년 12월 냉전 종식 선언은 한-중 수교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012년 8월 수교 20주년을 맞았다. 2013년 6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로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5년 9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하였는데, 이 행사에는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세 나라들의 정상들만이 참여하였다. 2016년 주한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배치 추진과 미・중 무역 갈등 문제 등 국제 사회에서의 충돌로 인하여 한중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이후 한한령(限韓令)과 같이 한국 문화의 중화인민공화국 진출을 강제로 통제하면서 대한민국에는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끼쳤다.

2024년 11월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인 단기 방문자에 대한 30일 무비자 정책을 도입하게 되면서, 2024년 11월과 12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한 한국인 여행자가 이전보다 급증하기도 하는 등[842] 한중 관계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양국 정부의 성향에 따라 한일관계 정책의 방향이 달라지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한일 양국은 1965년에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나 역사 인식, 영토 등에 대한 갈등이 존재한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독도 문제, 동해 명칭 문제, 일본군 위안부도 민감한 문제이다.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류 열풍이 불어 양국 간 교류가 많이 증진되었다. 또한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은 여행자들이 상호 왕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상대국가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고 익히는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역사·영토 문제 등 여러 부분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고, 일본의 군사력 강화 문제는 한일 관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러시아는 구 소비에트 연방의 법통을 이어받은 나라로, 냉전으로 인해 대한민국과는 적대적인 관계였으나 탈냉전 이후 1990년에 한소수교가 이루어졌으며, 소련 붕괴 이후의 러시아와 경제, 문화, 우주기술협력, 군사(불곰사업) 등에서 밀접한 관계를 추진해나가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우주개발 계획인 나로호 사업은 러시아의 협조 하에 진행 중이다.

녹둔도 문제, 연해주 등 잠재된 영토 문제가 아직 남아있지만 남북분단으로 인해 가시화되지는 않았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반러감정이 대한민국에서 형성되고 있다.

현재 5만 여명의 재한 러시아인이 대한민국에, 12만 5000명의 고려인이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러시아와 한국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아에로플로트 등 여러 항공사가 매일 운항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1991년 북한과 동시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 2007년 1월 1일, 전직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인 반기문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대한민국은 아세안+3의 회원국이자 옵서버 국가로서, 그리고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를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09년 11월, 대한민국은 OECD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하여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제공국으로서 회원국이 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대한민국은 2010년 11월 서울에서 G20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같은 해 대한민국과 유럽 연합은 무역 장벽을 줄이기 위한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대한민국은 2014년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과 한-호주 자유무역협정을, 2015년에는 뉴질랜드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다. 대한민국과 영국은 2023년 10월 유럽연합산 부품을 포함한 양국 간 상품에 대한 저관세 또는 무관세 기간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152]

역사적으로 한국은 중국의 왕조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일부 한국 왕국들은 중국 황실의 조공 체제의 일원이었다. 한국 왕국들은 청나라 이전에 거란족과 만주족을 포함한 일부 중국 왕국을 지배하기도 했고, 그들로부터 조공을 받기도 했다.[160] 현대에 들어서는, 대한민국이 수립되기 전,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일본 강점기 동안 중국 군인들과 함께 활동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마오이즘을 받아들였지만, 대한민국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추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국 전쟁 중에 북한에 병력과 물자를 지원했으며, 그 여파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는 거의 완전히 단절되었다. 관계는 점차 해빙되었고,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 8월 24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재수립했다. 두 국가는 양국 관계 개선을 추구하고 40년 된 무역 금수 조치를 해제했으며,[161] 1992년 이후 대한민국-중국 관계는 꾸준히 개선되었다.[161]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공식 관계를 맺으면서 중화민국(타이완)과의 공식 관계를 단절했는데,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162] 중국은 2016년 대한민국 수출의 26%에 해당하는 1240억달러 상당의 물품을 수입하는 등 압도적으로 대한민국의 최대 교역국이 되었으며, 홍콩으로의 수출까지 합치면 320억달러에 달한다.[163] 대한민국은 또한 2016년 930억달러 상당의 중국 수입품을 수입하며 중국의 4번째로 큰 교역 파트너이다.[164]

한국 전쟁 이후, 소련은 북한과의 관계로 인해 소련 해체까지 거의 접촉이 없었다. 1990년대 이후 두 국가 간의 무역과 협력이 증가했다.

한국과 일본은 고대부터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지만, 동아시아와 일본을 잇는 관문 역할을 한 한국을 중심으로 상당한 문화 교류도 이루어졌다. 일본에 대한 현대적 인식은 여전히 20세기 일본의 35년간의 한국 식민지배에 크게 좌우되며,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1945년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수립되지 않았다. 한국과 일본은 결국 1965년 한일 기본 조약에 서명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일본은 현재 한국의 세 번째로 큰 교역국이며, 2016년 수출의 12%(460억달러)를 차지했다.[163]

한국인 민간인에 대한 일본군의 전쟁 범죄, 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만행과 관련된 역사 부정적인 일본 교과서 개정, 독도(대한민국) / 다케시마(일본)로 알려진 독도 분쟁과 같은 영토 분쟁,[165] 그리고 전쟁 중 사망한 일본인을 기리는 야스쿠니 신사를 일본 정치인들이 참배하는 행위 등은 오랫동안 한일 관계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독도는 1905년 일본에 의해 강제로 식민지화된 최초의 한국 영토였다. 샌프란시스코 조약 체결로 1951년 다른 영토와 함께 한국에 반환되었지만, 일본은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주장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166] 2009년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대응으로 노무현 대통령은 2009년 한일 정상회담을 전면 중단했다.[167] 결국 2018년 2월 9일 한국에서 개최된 동계올림픽 기간 중 양국 정상회담이 열렸다.[168] 한국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도쿄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본의 욱일기 사용 금지를 요청했고,[169][170] IOC는 "경기장은 어떠한 정치적 시위도 허용해서는 안 된다. 경기 중 문제가 발생하면 개별적으로 검토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171]

유럽 연합(EU)과 대한민국은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며, 대한민국이 2006년 FTA 우선 협상 파트너로 지정된 이후 수년간 자유 무역 협정을 협상해 왔다. 자유 무역 협정은 2010년 9월 승인되었고 2011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172] 대한민국은 EU의 10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EU는 대한민국의 4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 되었다. 2015년 EU와 대한민국의 무역액은 900억유로를 넘었으며,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9.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173]

EU는 1962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외국 투자국이었으며, 2006년 한국으로 유입된 모든 FDI의 거의 45%를 차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U 기업들은 엄격한 제품 및 서비스 표준 및 시험 요건으로 인해 한국 시장에 진출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종종 무역 장벽을 만든다. EU는 한국과의 정기적인 양자 접촉과 한국과의 FTA를 통해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173]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는 2차 세계 대전 직후 미국이 3년간 한국을 임시 통치(주로 남한, 북한은 소련이 관여)하면서 시작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과 함께 미군은 북한의 남침에 대항하기 위해 파병되었고, 이후 유엔군 최대 파병국으로서 전투에 참여하였다. 미국의 참전은 북한군에 의한 대한민국의 패배 직전 상황을 막고 오늘날 대한민국을 이루는 영토를 지켜내는 데 결정적이었다.

정전협정 이후 대한민국과 미국은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여 태평양 지역에서 어느 한쪽이 공격받으면 양측이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하였다.[174] 1967년 대한민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지원을 위해 대규모 지상군을 파병하여 상호방위조약을 이행하였다. 두 나라는 긴밀한 경제, 외교, 군사적 유대 관계를 맺고 있지만, 북한에 대한 정책이나 한국의 일부 로켓 또는 핵 기술 관련 산업 활동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특정 시기에 강한 반미 정서가 존재했으나, 현대에는 상당히 완화되었다.[175]

두 나라는 또한 긴밀한 경제 관계를 공유하고 있으며, 미국은 2016년 기준 수출액 660억달러를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두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이다.[163] 2007년에는 대한민국-미국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양국 의회의 비준을 거치면서 공식 시행이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 2011년 10월 12일 미국 의회는 오랫동안 표류해 온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통과시켰다.[176] 그리고 2012년 3월 15일 발효되었다.[177]

6. 국방

대한민국은 북한과의 대립으로 인해 일찍부터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으며, 1990년대까지는 양적 위주의 성장을 추진했으나, 2000년대 들어 새로운 무기 기술의 개발과 발달로 인해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대한민국 국방부가 '''국군'''(國軍)이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의 군을 지휘하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병력 규모는 현역이 약 555,000명, 대한민국 예비군은 약 3,100,000명이다.[843] 세계에서 11번째로 탄도미사일을 독자 개발했다.[844]

대한민국 국군여군기갑, 포병, 잠수함 병과에는 진출할 수 없었으나, 2014년 9월 창군 이래 최초로 여군 포병장교가 탄생하였고 기갑병과에도 여군이 진출함에 따라 다양한 병과에서 여군들이 활약하고 있다.[845]

해군 세종대왕함,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세종대왕급 유도탄 구축함


북한과의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GDP)의 2.6%와 정부 지출의 13.2%를 국방에 할당하고 있으며(정부 지출 GDP 대비 비중: 14.967%), 남성에 대한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다.[178] 그 결과 대한민국 국군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상비군 중 하나로, 2022년 기준으로 3,600,000명(현역 500,000명, 예비역 3,100,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79]

대한민국 군대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및 예비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병력의 상당수는 한국 비무장지대(DMZ)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 모든 대한민국 남성은 헌법에 따라 군 복무를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18개월 동안 복무한다.[180] 또한 주한미군 한국군 지원단은 제8 미국 육군에 배속된 한국인 병사들로 구성된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이다. 2010년 대한민국은 주한미군에 대한 예산 지원을 위해 미국과의 비용 분담 협정에 따라 1.68조을 지출했으며, 자체 군사 예산 29.6조에 더해졌다.

현대로템이 건조한 대한민국산 K2 흑표 전차


한진중공업이 건조한 독도급 상륙함의 선두함인 독도함


대한민국은 때때로 미군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에 병력을 파병해 왔다. 지난 50년 동안 미국이 참전한 대부분의 주요 분쟁에 참여했다. 대한민국은 베트남 전쟁에 32만 5,517명의 병력을 파병했으며, 최대 5만 명에 달했다.[181] 2004년에는 자이툰 부대 3,300명을 이라크 북부 지역 재건 지원을 위해 파병했으며, 미국과 영국에 이어 다국적군에서 세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였다.[182] 2001년부터 대한민국은 테러와의 전쟁 지원을 위해 중동 지역에 2만 4,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양심적 병역 거부는 최근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양심적 병역 거부권이 확립되기 이전 수년 동안 정치적 또는 종교적 이유로 군 복무를 거부한 남성 400명 이상이 수감되었다.[183] 2018년 6월 28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병역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하고 정부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를 위한 민간 대체복무를 마련하도록 명령했다.[184] 2018년 11월 1일, 대한민국 대법원은 양심적 병역 거부를 병역 거부의 근거로 인정했다.[185]

미국은 대한민국 방어를 위해 상당한 규모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약 28,500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으며,[186] 대부분 1년 단독 근무를 수행한다. 주로 지상 및 공군 부대인 미군은 주한미군에 배속되어 있으며, 주로 주한미육군 8군, 제7공군, 주한미해군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오산, 군산, 용산, 동두천, 성북, 험프리스 기지, 대구와 더불어 비무장지대(DMZ) 내 공동경비구역에 있는 보니파스 캠프 등의 시설에 주둔하고 있다.

완전한 기능을 갖춘 유엔사령부는 미군과 대한민국 군 전체를 포함한 대한민국 내 모든 군대의 지휘계통 최상위에 있다. 만약 북한과 남한 사이에 전쟁이 갑자기 확대될 경우 미국은 모든 군사 및 준군사적 조치에서 대한민국 국군의 지휘권을 장악하게 된다. 미국과 대한민국 간에는 대한민국이 결국 자체 방위를 주도해야 한다는 장기적인 합의가 존재해 왔다. 대한민국 주도로의 이러한 전환은 더디고 자주 연기되어 왔지만, 현재는 2020년대에 이루어질 예정이다.[187]

무기 제조 수주는 한국 국내 기업 중 대부분을 HD현대중공업이 담당하고 있으며, 보병용 총기 제조는 대우조선해양이 담당하고 있다. 또한 많은 무기를 수입(라이선스 생산 포함)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국의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무기 수입액은 7403000000USD로 인도와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였다.[489] 2000년대에 들어 국산화가 잇따라 진행되었지만, K2 전차, K9 자주포, K21 장갑차, K11 복합소총, 검독수리급 미사일 고속정 등의 초기 운용 전후에 결함이 잇따라 발각되어 신형 국산 무기의 생산 및 배치가 지연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490]

6. 1. 육군

대한민국 육군은 병력 약 52만 명, 전차 약 2,300대, 장갑차 약 2,500대, 견인포/자주포/다연장 로켓포 약 5,200문, 유도무기 30기, 헬기 600기를 보유하고 있다.[846] 보병은 K2C1 소총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력 전차인 K2 흑표 전차는 2014년부터 대한민국 육군에 정식으로 배치되었다. K-21 전투장갑차는 2012년경 전력화했다.[847]

2019년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이었던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했다.

대한민국 육군은 병사들의 개인화기 및 개인장비, 피복을 개선하여 전투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글, 무릎 및 팔꿈치 보호대, 장갑, 방탄복, 야간 야시장비, 스코프, 도트사이트, 광학장비를 개선 중이다. 또한 보병장비, 개인장비, 장구류, 군장이 늘어나고 저격소총, 옵션장비 ,사격장, 1인당 교탄 수도 증가하였다.

소대장이 항공근접지원을 직접 유도할 수 있고 병사들은 무인 항공기를 수시로 띄울 수 있도록 하는 방침을 운영 중이다. 시가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속대응 훈련과 CQB 훈련, 시가전 훈련을 실전 기준에 맞춰 자주 진행하고 있다. 현대전에 맞추기 위해 육군 전 부대 대대급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저격수와 정찰 저격수들을 육군 전 부대(소대급)에서 양성 중이며, 이를 위해 저격수 학교를 운영하고, 미국 저격수 규범과 똑같은 저격수 교범을 채택하였다.

6. 2.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함대 병력 4만 1천 명, 잠수함 약 18척, 전투함정 약 100척, 상륙함정 약 10척, 지원함정 약 10척, 대잠헬기 및 해상초계기 약 100대를 보유하고 있다.[843] 현재 대한민국 해군은 건조 중인 군함들에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 설계를 적용하는 원칙을 수립했다.

대한민국 해군은 3개 함대 사령부, 1개 기동전단, 2개 독립사령부, 2개 기타 독립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DDG-993 서애류성룡함


대한민국 해병대대한민국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국가 전략기동군으로서 상륙 작전을 주 임무로 한다.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수행하며 병력 2만 1천 명, K1A1 전차K9 자주포, 상륙돌격장갑차(KAAVP7A1) 등의 기갑 차량, 상륙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843]

대한민국 해병대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기도 김포시, 경상북도 포항시·경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제주특별자치도 등의 방어, 상륙작전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으며, 해당 지역 일부 예비군 교육 및 훈련 등의 임무도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2개 사단, 2개 독립여단, 1개 독립연대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해병대원들이 상륙 훈련을 하고 있다.

6. 3. 공군

대한민국 공군은 F-35A 39대, F-15K 59대, F-16 파이팅 팰콘 계열 165대, KF-5E/F 61대, FA-50 60대, KA-1 전선항공통제기/경공격기 19대를 보유하고 있다.

수송기로는 C-130J-30 4대, C-130H 계열 12대, CN-235-220M 18대, VIP 수송용 보잉 747-400 1대( 대한항공 임차), 보잉 737-300 1대, VCN-235 2대, VC-118 1대, BAe-748 2대, KC-330 시그너스 수송기 4대가 있다.

정찰기로는 금강정찰기와 백두정찰기 10대, RF-4C 18대, RKF-16 5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E-737 피스아이 4대를 운용 중이다. 훈련기는 KC-100 나라온 23대, KT-1 기본 훈련기 82대, T-50 고등 훈련기 49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 헬리콥터 40여 대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은 사병들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소화기 실탄 사격 훈련을 강화하고 개인 장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 개발 전투기인 KF-21 보라매의 취역을 앞두고 있으며, 원격지원 전자전기 사업, 스텔스 무인 전투기(UCAV) 개발 사업도 진행 중이다.[843]

7. 경제

대한민국의 혼합경제[188][189][190]는 명목 GDP 기준 세계 13위, 구매력평가 기준 1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하며, G20 주요 경제국 중 하나이다.[191] 선진국이자 고소득 경제 국가이며, OECD 회원국 중 가장 산업화된 국가 중 하나이다. LG전자, 삼성과 같은 한국 브랜드는 국제적으로 유명하며, 고품질 전자 제품 및 기타 제조품으로 대한민국의 명성을 높였다.[192] 대한민국은 1996년에 OECD에 가입했다.[193]

교육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문맹률을 낮추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기술 강국으로 성장시켰다.[194] 높은 기술력을 갖춘 노동력을 바탕으로 국가 경제는 1960년대 초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으며, 2000년대에도 홍콩, 싱가포르, 중화민국(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과 함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선진국 중 하나였다.[195]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1인당 평균 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196] 한국인들은 이러한 성장을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른다.[197]

대한민국 경제는 국제 무역에 크게 의존하며, 2014년에는 세계 5위 수출국이자 7위 수입국이었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큰 외환보유고를 보유한 국가 중 하나이다.[198]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금융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나,[199][200] 낮은 국가 부채와 높은 외환 보유고는 여러 경제 위기에 대한 회복력을 높여준다.[201] 대한민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와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202][203]

2023년 기준 한국 평균 가구소득은 7,185만 원이다.[382] 세계은행은 한국을 '고소득 국가'로 분류한다.[383] 2022년도 평균 소득(월수입)은 364만 원, 중앙값은 267만 원이며, 기업 규모에 따라 대기업 591만 원, 중소기업 286만 원으로 소득 격차가 존재한다.[384][385] 주요 사회 문제로는 긴 노동 시간, 낮은 출산율, 높은 자살률,[386] 물가 상승과 부동산 버블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 심화 등이 있다.[387]

7. 1. 개관

대한민국은 혼합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명목 GDP 기준 세계 13위, 구매력 평가 기준 14위의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다.[188][189][190][191] G20 주요 경제국 중 하나이며, 선진국이자 고소득 경제 국가, OECD 회원국이다.[192]

1948년 정부 수립 당시 대한민국은 자유, 평등, 창의를 존중하고 공공복리 향상을 위한 체제를 채택했다. 1988년 헌법 개정에서는 '''①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 ②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 분배 유지, 시장 지배와 경제력 남용 방지, 경제 주체 간 조화를 통한 경제 민주화'''를 명시했다.

이승만 정부의 경제 관료 양성으로 시작된 경제는 4·19 혁명 이후 장면 정부에서 경제 개발 계획을 준비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는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경공업 육성을 통한 산업화를 시작했다. 1973년 이후 중화학공업 발전 정책으로 철강, 전자, 조선 산업이 발전하며 수출이 증가했고, 1980년대 전두환 정부는 3저호황과 중화학공업 과잉 투자를 조정하여 공업 국가로 성장했다.[848]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고속 경제 성장으로 중화민국, 홍콩,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혹은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로 불렸으며, 1994년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로 IMF 구제금융사건을 겪으며 한계를 드러냈다. 김대중 정부는 정보통신산업을 육성하고 닷컴 버블 경제에 편승하여 경제 위기를 극복했으나, 비정규직 양산, 고용 불안정, 청년 실업 등의 부작용이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는 경제 개혁을 통해 2007년까지 매년 100억 달러 이상의 경상흑자와 평균 4%대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2007년 골드만삭스2050년 대한민국이 미국에 이어 주요 경제국 2위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849]

2015년 국제통화기금(IMF) 발표에 따르면 한국PPP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은 3만 6,601달러로 세계 29위이다.[850] 대한민국은 자본 부족 환경에서 재벌 기업 중심,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인도, 호주,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독일, 러시아, 말레이시아 등이다.[852] 삼성, 현대, LG, 포스코 등 여러 기업 집단을 가지고 있다.[853]

대한민국 경제는 대규모 기업집단의 지배 구조 문제, 경영권 행사와 기업 가치의 괴리, 비효율적 산업 구조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1990년대 이후 기업들은 임금이 싼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기 시작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동남아시아, 중앙유럽 등에 진출했다. 개성공단에 입주하는 기업도 늘었으나, 북한의 도발로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다.

2023년 기준 한국 평균 가구소득은 7,185만 원이다.[382] 세계은행은 한국을 '고소득 국가'로 분류한다.[383] 2022년 평균 소득은 364만 원, 중앙값은 267만 원이며, 기업 규모에 따른 소득 격차가 존재한다.[384][385] 주요 사회 문제로는 긴 노동 시간, 낮은 출산율, 높은 자살률,[386] 물가 상승과 부동산 버블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 심화 등이 있다.[387]

7. 2. 산업

1973년 이후 박정희 정부의 중화학공업 발전 정책으로 철강, 전자, 조선 산업 등이 크게 발달하며 수출이 증대했고 국가 경제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848] 1960~80년대 고속 경제 성장으로 한때 중화민국, 홍콩,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혹은 아시아의 네 마리 용)'로 불렸으며, 199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넘어섰다.

1963년 이후 집권한 박정희는 공업화,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농업 인구는 1970년 1,442만 명(전체 인구의 44.7%)에서 2010년 302만 1천 명(전체 인구의 7.5%)으로 감소했다. 농업 인구 고령화와 함께 식량 위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한국의 공업 역사는 고대부터 제철, 제련 공업이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채 보상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등 민족 자본 형성 노력이 있었으나, 본격적인 공업 발전은 제3공화국의 경제성장 정책 이후 이루어졌다. 1960년대에는 수공업, 식료품, 섬유 공업 중심의 수입 대체 산업이,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제조업, 수출 위주의 공업 정책이 추진되었다. 1980년대에는 전자 제품, 건설, 중화학 공업이 발달했다.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은 조선, 전자, 자동차, 반도체 등이다. 조선 산업은 2008년 기준 세계 점유율의 절반을 넘었으며[860], 삼성전자LG전자가 전자 산업을 이끌고 있다.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5위이며[861],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수출을 주도한다.[862] 로봇,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산업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골목 상권은 정부 규제가 없는 시장 경제 구조를 채택하여 기업형 슈퍼마켓(SSM), 프랜차이즈, 대기업의 시장 독과점화가 진행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에 정부는 동반성장위원회 출범(2010년)[863], 중소기업 적합 업종 선정[864] 등 제재를 가하고 있다.[865] 일부 대기업은 사업에서 철수하기도 하지만,[866] 기업형 슈퍼마켓 기업은 중소 업체를 인수하는 등 대기업의 영향력은 여전하다는 지적도 있다.[867]

7. 3. 부채

대한민국의 가계부채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급증했다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감소했다. 이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다시 급증했고, 2008년 금융 위기로 인해 증가세가 지속되어 2011년에는 처음으로 가구당 가계부채가 5000만원을 넘어섰다. 이는 자산 증가 속도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854][855]

특히 소득이 적을수록 부채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졌다. 2010년 소득 하위 20%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009년보다 68.2% 급증한 279.5%로, 소득의 3배에 달했다. 이는 소득이 적은 20, 30대 가구와 저소득층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준다.[855] 이러한 현상은 저축은행들이 건설업체의 잇따른 부도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해지자 금리가 높은 가계 대출 비중을 늘렸고,[856] 전월세 가격을 포함한 물가 급등과 교육비 지출 증가로 인해 '생계형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855]

이명박 정부는 가계부채의 약 70%를 고소득층이 차지하고 있어 빚 상환 능력이 양호하며, 자산 불평등도 외국에 비해 낮다는 이유로 가계 부채가 한국 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 그러나 20, 30대와 저소득층의 가계 부실이 본격화되면 미국이나 유럽처럼 '가계부채 대란'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855]

정부 부채와 공기업 부채를 합한 공공 부문 부채는 2011년 3분기 말 한국은행 집계 기준 7890억으로, 1년 만에 9.2% 급증했다. 이 중 공기업 부채는 1년 만에 14.4%나 급증한 3630억이었다. 공기업 부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정부가 보금자리 주택이나 4대강 사업 등 국책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공사채 발행 등을 통해 마련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857]

소득 양극화 지수는 2003년 기준으로 2006년 2.12%, 2008년 2.05%, 2010년 0.89%로 계속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었다.[858]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는 2003년 기준으로 2009년 5.65%, 2010년 2.7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858] 공적 연금 지출은 OECD 30개국 중 29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0개국 중 30위였다.[859]

8. 사회

대한민국은 보편적 의료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모든 국민은 건강보험에 의무 가입해야 한다.[882]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은 무상의무교육이다.[870]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는 보수와 진보 간 이념 대립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겪고 있다.[883]

201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인구 구성은 한국인이 96.8%로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외 중국인(2.5%), 베트남인(0.33%), 태국인(0.3%)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870]

OECD 가입국 중 높은 자살률[386] 고령자 빈곤율,[676] 낮은 합계출산율은[364] 사회 문제로 지적된다.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한 세대 간 지식 격차,[364] 물가 상승과 부동산 버블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 심화[387]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 여론과 촛불 집회를 통해 사회 갈등이 표출되기도 한다.[883] 진보 진영은 촛불 집회를 시민들의 민주 의식 성장으로 보지만,[884] 보수 진영은 사회 혼란과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고 비판한다.[885] 삼성경제연구소의 2009년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갈등 지수는 OECD 회원국 중 4위이며, 높은 사회 갈등으로 인해 국내총생산(GDP)의 27%에 해당하는 약 3000억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89]

2023년 기준 한국 평균 가구소득은 71.85억이다.[382] 세계은행은 한국을 '고소득 국가'로 분류한다.[383] 2022년도 평균 소득(월수입)은 3.64억이며, 기업 규모에 따라 대기업은 5.91억, 중소기업은 2.86억으로 소득 격차가 존재한다.[384][385]

최근 교육에 대한 투자가 늘면서, 인간개발지수는 '매우 높음' 수준을 기록했다.[388] 유네스코에 따르면, 2019년 기준 19세 이상 25세 미만의 대학 진학률은 98.4%, 대학원 진학률은 44%이다.[389]

과학 기술 분야는 유럽 선진국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 공학, 임상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기반을 갖추고 있다.[39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지표 2024에 따르면, 자연과학 분야 논문 수는 세계 7위, 상위 10% 논문 수는 세계 9위이며, 특허 취득 수는 세계 4위이다.[391][392]

8. 1. 인구

2010년 10월, 대한민국의 주민등록상 총인구는 5000만 명을 돌파했다.[870] 국민 대부분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민족이다.[870] 1990년대 이후 중국인, 베트남인 등 외국인 유입이 늘면서 다민족적인 요소가 증가했다.[870] 2018년 통계청 기준 인구는 총 51,629,512명이며, 한국인 (96.8%), 중국인 (2.5%), 베트남인 (0.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870]

2012년 6월 23일, 대한민국 통계청은 총인구가 50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1960년대 이후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는 도시화 현상이 일어났으며, 1988년 서울 인구는 1000만 명을 돌파했다. 2007년 수도권 거주 인구는 2390만 3785명으로 전국 인구의 48.6%를 차지했다. 인구 밀도는 503명/km2이다.

2022년 기준 대한민국의 인구는 약 5170만 명으로 추산된다.[260][261] 인구밀도는 514.6/km2로, 세계 평균의 10배가 넘는다.[260]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속한 경제 성장 기간 동안 농촌에서 도시로 인구가 이동하여 대부분의 한국인은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274] 인구의 약 절반은 서울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275]

대한민국의 도시화율은 81.5%이다. 2020년을 기준으로 인구증가율이 감소율로 바뀌었다. 2018년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이후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여 2021년 0.81명,[271] 2022년 0.78명, 2023년 0.72명을 기록했다. OECD 국가 중 생산가능인구 감소율이 가장 가파르며,[272]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25년 20%를 넘어 2050년에는 45%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273]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며 ‘고령화 사회’가 되었고, 2017년에는 14%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이다.[680] 2019년에 총인구 정점을 기록하고 2020년부터 인구 감소 사회에 진입했다.

8. 2. 사회적 소수자

대한민국에서는 노동자, 성소수자, 여성, 이주민, 난민 등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현황과 정책이 존재한다.

2025년 기준 대한민국 정부 고시 최저임금은 1만 30원이며,[873] 대한민국 노동자 평균 임금은 OECD 평균의 약 90% 수준이다. 다만, 남녀간 노동자 임금격차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874] 2024년 최저임금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최저임금의 영향을 받는 노동자는 3.9%이다.[875] 2024년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2023년 기준 노동조합 조직률은 13%이고, 전체 노동조합 가입 조합원은 273만 7000명이다.[876] 대한민국의 노동조합 연맹체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이 있다.

1992년 이후 성소수자들은 한국 사회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1993년 성소수자 단체 초동회를 처음 결성하고 1년 뒤 남자 동성애자인 게이, 트랜스젠더 모임인 친구사이레즈비언 단체인 끼리끼리로 분리했다. 1997년에는 대학생 동성애자 인권단체인 대학생동성애자인권연합을 결성하고 이듬해 동성애자인권연대로, 2015년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8년 5월 17일 성소수자 인권 운동가 오세인1997년 자신이 게이임을 가족에게 밝혔다가 추방당한 후 활동하던 단체 사무실에서 자살하였고, 2003년 4월 26일에는 동성애자를 악마, 사탄 등으로 비판하는 개신교계의 공격과 동성애를 청소년 유해 단어, 음란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 등 성소수자 혐오에 저항하던 시인 겸 작가 육우당이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2000년 이후 게이임을 커밍아웃홍석천을 시작으로 트랜스젠더하리수, 이시연 등이 공개적 활동을 하며 성소수자들에 대한 맹목적 사회적 거부감이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일부 단체와 사회 인사들을 중심으로 성소수자들의 활동을 지지하고, 성소수자 문화제를 개최하는 행사가 등장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내 대표적인 성소수자 인권단체 연맹체로는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무지개행동)이 있다.

2017년 이코노미스트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 고위직 여성 비율은 10.5%, 기업 이사회 내 여성 임원 비율은 2.4%로 OECD 29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국회 내 여성 비율은 17%로 OECD 평균(28.2%)보다 낮다.

1990년대 이후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하여 청년층이 "3D 업종" 또는 "4D 업종"으로 분류하는 직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879] 그로 인해 각지에서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대한민국에 들어와 일한다. 2010년 기준 대한민국 이주노동자 수는 55만 명으로,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2.2%를 차지한다.

대한민국 내 난민 대부분은 경제적 곤란 등의 이유로 북측에서 나온 탈북자로, 정부는 이들을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영토를 불법 점거하는 반국가단체의 집단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의 영역으로 들어온 대한민국 국민이라고 본다. 또한 1990년대 이후 정치적 난민을 인정하기 시작하여 아프리카나 아랍권 일부 국가에서 정치적 혹은 종교적 박해를 피해 입국한 이들을 인도적으로 받아들이나 그 수는 일반적인 선진국에 비해 많지 않다. 2017년에는 양성애자 여성이 난민 인정을 신청하여 성 정체성을 이유로 박해받을 우려가 있어 대법원에서 난민으로 인정한 사례가 있었다.[880] 2018년 500명이 넘는 예멘인들이 제주도로 입국해 난민 인정 신청을 하면서 대한민국에서 난민 수용 여부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어났다.

보수 기독교단체는 대한민국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반대를 예배나 각종 집회를 통해 선동하였고, 자유한국당 안상수 의원은 2019년 11월 "국가인권위원회법에서 정한 차별금지 대상에서 성적 취향을 제외하자"는 개정안을 발의하며 논란을 낳았다.[877]

8. 3. 교육과 문화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은 무상의무교육이다.[870] 고등학교는 3년 과정이며, 일반계(인문계, 자연계)·전문계(실업계)·특수 목적 고등학교(특목고)로 분리되어 있다. 고등교육은 4~6년제 대학교와 2~3년제 전문대학이 있다.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정규학교 재학자는 1089만 명(24.7%), 졸업자는 2987만 명(67.8%), 중퇴자는 96만 명(2.2%)이다. 졸업자 중 초등학교 및 중학교 졸업자는 750만 명(24.5%), 고등학교 졸업자는 1263만 명(41.2%), 대학 졸업 이상은 1050만 명(34.3%)으로, 교육 수준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교육 수준은 학력 인플레이션과 청년 실업 증가라는 사회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대학교 진학률은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대학교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르며, 이 외에도 각 대학에서 수시입학전형, 특별전형 등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한다. 대한민국은 사교육 시장이 크게 발달하여, 각 가정마다 사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하다.[881]

한국의 교육 제도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6-3-3-4 학제이다. 일본 이상의 학력 사회이며 대학 입시는 매우 치열하며, 학원 등을 위한 교육비 부담이 큰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719] 대학 진학률과 자녀가 학원에 다니는 비율도 매우 높으며, 2012년의 대학 진학률(대학 입학자 수/고등학교 졸업자 수)은 71.3%이다.[720]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이라는 점도 있어, 미국의 일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존중받았다. 정부 고관이나 대학교수 등의 높은 지위가 약속되어 있었고, 1970년대 후반까지는 신문에 얼굴 사진과 경력이 게재될 정도였다. 또한 기업과 장학재단도 미국 유학을 적극적으로 권장했다. 그래서 치열한 입시 경쟁을 뚫고 선발된 최상위권 학생들은 미국 유학으로 향했다. 1980년대 이후 박사 학위 취득자가 증가하여, 그 수는 1998년까지 3만 명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는 단순히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정도로는 대학교수로 채용되는 일이 없다고 한다. 이러한 인재들이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미국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1년 학기에 미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 유학생 수는 중국 15만 7000명, 인도 10만 3000명에 이어 제3위인 7만 3000명이다.[721]

영어 교육에 대한 과도한 열정으로 인해 TOEFL 시험 접수 페이지 로그인을 위해 연속 클릭 도구 등을 사용하여 서버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사건이 발생했고, 그 결과 TOEFL은 세계에서 한국만 유일하게 시험이 제외되는[722] 시기가 있었다.

;부동산 투자로 인한 주택난과 반지하 문제

문재인 대통령 취임 무렵인 2017년과 2022년 시점에서 주택 가격이 2배나 될 정도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여, 대졸자라도 부동산을 살 수 없는 청년들은 2년 계약에 약 350만 원이라는 반지하 생활을 강요받고 있다.[723]

;취업난·공무원 인기

대졸자 중 30%가 비정규직으로 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청년들이 희망을 거는 공무원 시험이 인기이며, 경찰관 시험 경쟁률은 30배이다. NHK에 따르면, 서울 중심부의 노량진에는 지방 출신 수험생과 공무원 시험 학원이 밀집해 있으며, 각종 수험생들이 생활하는 "고시원"이라 불리는 저렴한 숙소가 많고, 합격할 때까지 2, 3년 동안 그곳에 머무는 사람이 적지 않다. 수험생에게는 대학 졸업생이나 20대뿐만 아니라, 직장을 바꿔 공무원을 목표로 하는 30대도 많이 보인다고 보도하고 있다.[723]

8. 4. 복지

2010년 10월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주민등록상 5000만 명을 돌파했다.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은 자동으로 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며 국가가 피부양자로 지정한다.[882]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은 무상의무교육이다.

대한민국의 생계·의료 등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한부모지원 등 소득·재산조사를 실시하는 15개 복지사업은 기존 수급자, 수급희망이력관리제 신청자 및 신규 신청자를 대상으로 우선 도입했으며,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했다. 의료복지는 기본적으로 건강보험제도가 있다. 복지 예산은 2019년에 148.9조였으며 2020년에는 167조, 2021년에는 185조였다.[882]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386]과 고령자 빈곤율[676]을 기록하고 있으며, OECD 가입국 중 평균 노동 시간은 2위, 합계출산율은 최저 수준[364]이다.

8. 5. 사회 갈등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는 보수와 진보 간의 극심한 이념 대립으로 인한 사회 갈등이 존재한다.[883]

2000년대 들어 이러한 갈등은 인터넷 여론을 통해 촛불 집회와 같은 전국적인 규모의 시위로 표출되기도 한다. 촛불 집회에 대한 평가는 진영에 따라 다르다. 진보 진영은 시민들의 민주 의식 신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884]으로,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인 시민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점과 인터넷을 통해 직접 민주주의에 다가갔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반면 보수 진영은 선동에 의한 자유민주주의 왜곡과 특정 정파의 이익을 위한 창구로 활용된다는 점을 들어 사회 혼란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고 비판한다.[885]

2024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운동


또한, 한국의 노사 갈등에 대해 상당수 국민들이 문제라고 인식하며, 국제경영개발원(IMD)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노사 관계는 57개국 중 56위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힌다.[887]

이념 대립의 연장선에서, 국가 주도의 사회 운영과 성장을 주장하는 국가주의 세력과 개인의 자유에 따른 사회 운영을 주장하며 분배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진보주의 세력 간의 논리 충돌도 존재한다. 이는 서구와 같은 좌우 대립의 이념 지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데서 기인한 사회 갈등이다. 일각에서는 대한민국이 반공·반북을 중요시하여 좌파의 존재를 부정해야 하는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었고, 1980년대 학생·노동 운동 진영에 의해 만들어진 좌우 대립의 이념 지형도 1990년대 초 세계적인 공산주의 몰락으로 사라져 서구와 같은 이념 지형이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888]

삼성경제연구소가 2009년에 조사한 결과, 대한민국의 갈등 지수는 OECD 회원국 중 4위에 해당했으며, 이와 같이 높은 사회 갈등에 따른 비용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7%인 약 3000억을 지출한다고 나타났다.[889]

아시아포럼21이 2011년에 조사한 결과, 대한민국의 소통 지수는 100점 만점에 이명박 정부의 소통 지수는 45.8점, 한나라당의 소통 지수는 42.6점,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 소통 지수는 36.2점으로 모두 50점 이하로 나타났다.[890]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2011년 8월 21일에 발표한 순위에 따르면, 삶의 질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39개국 가운데 27위였다. 대한민국의 삶의 질은 2000년과 2008년 모두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891]

행복 지수는 OECD 평가 국민 행복도에서 34개국 중 26위, 영국 NEF 재단 행복도 조사 결과에서 68위, 미국 포브스 행복 순위 조사 결과에서 56위, MBN과 매일경제신문의 국민 행복 지수 조사에서 5점 만점에 3.4점으로, 해외 평가에서는 낙제점을 겨우 면한 수준으로 나타났다.[892]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2011년 3월 ~ 4월 간 조사한 결과, 어린이·청소년 행복 지수는 OECD 23개 회원국 중 23위로 최하위였다.[893]

이혼율은 OECD 국가 중 2000년 8위[895], 2001년 4위[896][897]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전 세계 6위이다.[898]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인종 차별이 심하며, 백인은 차별이 거의 없으나, 흑인 및 황인은 오히려 차별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899] 또한, 한국어를 모르는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사람들에게도 차별 대우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유럽의 경우에는 차별이 그렇게 심하지 않다.

경쟁 심리도 심각하다. 대한민국은 어려서부터 성적, 경쟁 위주의 교육과 문화 속에서 성장하여 경쟁과 그 속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우게 한다. 이는 성인이 되어서 학력 위주 경쟁, 스펙 위주 경쟁, 실적 위주 경쟁, 외모지상주의,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획일화된다.[900][901][902][903]

SBS와 한국갤럽이 2011년 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우리 사회의 경쟁 수준은 평균 76점으로 10년 전보다 20점 가까이 높아져 경쟁이 계속 가속화되고 있다. 국민 10명 중 8명이 "과도한 경쟁에 부담을 느낀다"라고 대답하여 상당수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901][904]

경쟁은 모두를 스트레스 속에 놓으며, 장기간 스트레스로 인해 매우 예민하여 분노, 불면증, 우울증 등의 신체·정신적 증상을 동반한다.[905] 그래서 정신과 진료와 심리 상담 치료 횟수가 늘어나지만, 여전히 언덕 위 하얀 집으로 불리는 등 차별의 대상이 되어 상당수가 기피한다.[906][907][908] 또 경쟁은 다수의 패배자를 만들며, 이는 다수의 자존감 저하와 수치심, 분노심 상승의 원인이 된다.[900][901]

결국 사회 전반의 동질성 추구와 이질성 거부 심리, 경쟁 심리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외국인 차별, 왕따, 학교 폭력, 인터넷 악플 등으로 표출되며, 이에 따른 피해로 정신 이상자 수가 늘거나, 그런 정신 이상자를 방치해 자살자를 늘리고, 사회에 불만을 품고 불특정 다수에게 행하는 묻지마 범죄 수를 늘리는 결과가 나타난다.[909][910]

이에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2011년 10월 '대한민국 3, 4차 정부 보고서에서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최종 견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학생의 성적에 따른 차별과 경쟁적인 교육 체제에 대해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하였다.[911][912]

학력 차별에 대한 대응으로 이명박 대통령은 2011년 라디오 연설에서 "학력 차별 없는 사회"를 강조하였으며, 고용노동부가 고등학교 직업 교육에 지원을 강화하는 등 능력 중심의 열린 고용 지원에 나섰다.[913] 하지만 백혈병이 생겨 산업 재해로 인정받는 학생도 있었고, 음료 공장 실습 중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지기도 하고, 제주도에서는 지하철 청소 실습 중 지하철에 치어 숨지는 사고 등으로 고등학교 현장 실습이 노동력 착취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914]

2011년 정부는 "정신과" 명칭을 "정신건강의학과"로 변경하는 등 다양한 진료를 하는 분야임을 알리고자 시도하며,[915] 남녀 심리, 치료, 범죄 심리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주제로 사용하거나,[917] 교수가 직접 매체로 나와 강의를 하는[916] 등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과거 대학교의 비인기 학과였던 '심리학과'가 상위 경쟁률을 기록하고, 관련 주제의 책을 대거 출간하고,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등 인기가 높아졌다.[917]

8. 6. 여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1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 전체의 여가 시간에는 게임을 즐기는 비율이 29.9%로 가장 높았다.[918] 30세 미만의 젊은 층에서는 게임이 가장 인기 있는 여가 활동이었지만, 30대 이상에서는 영화와 TV 시청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18] en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대한민국의 1인당 영화 관람 횟수는 4.12편으로, 미국의 3.88편을 넘어 세계에서 영화를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918]

자신의 여가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시간 부족'이 45.9%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 부담'이 45.6%로 그 뒤를 이었다.[919]

9. 문화

강릉 경포대


김홍도의 서당


한국은 반도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대륙과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고대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동남아시아의 남방계 문화가 혼합된 바탕 위에, 중국 등 이웃 나라의 외래 문화와 한국 고유의 독자적 문화가 융합하여 발전했다.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


2019년에는 1,700만 명이 넘는 외국인 관광객이 대한민국을 방문했다.[225] 이는 K팝 및 한국 드라마와 같은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 즉 한류의 영향이 크다.[226]

가야금을 연주하는 음악가


대한민국은 북한과 전통 문화를 공유하지만, 1945년 분단 이후 서로 다른 현대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독자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발전시켜 왔다.[31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1건[314], 세계유산 15곳을 보유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전통 예술과 현대 예술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315] 2023년 언론자유지수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대만 다음으로 동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언론 자유를 가지고 있다.[316]

산업화와 도시화는 현대 한국인의 삶의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경제 환경과 생활 방식의 변화는 주요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핵가족 형태의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18세기 조선 시대 청화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


한국 미술은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백자, 분청, 청자 등 한국 도자기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318][319] 한국 다례, 판소리, 탈춤, 부채춤 또한 주목할 만한 한국 공연 예술이다.

전후 현대 한국 미술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었다. 1980년대에는 사회 문제가 주요 주제로 등장했다. 1988년 올림픽 조각공원, 1993년 휘트니 비엔날레 서울 개최,[321] 광주 비엔날레 개최,[322]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참가[323]는 주목할 만한 사건들이었다.

9. 1. 언어

관습적이며 법적인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한국어는 고립된 언어로 분류되지만, 많은 학자들, 특히 한국 학자들은 알타이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한다.[920]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는 한글이다. 세종대왕은 원로대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1446년에 한글을 반포하였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표음문자이다. 한글의 자음은 발음기관 모양을, 모음은 천(ㆍ), 지(ㅡ), 인(ㅣ)을 본떠 만들었다. 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 원리가 밝혀진 문자이다. 한글 창제 이전에는 한자향찰, 구결, 이두 등이 한국어 기록 수단이었다.

한자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양반층과 관공서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야 공문서에 한글을 쓰기 시작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2년 한글전용 정책을 시행하여 한글 표기를 주류로 만들었다. 현재 한자는 중의적 표현을 막기 위해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영어를 제1외국어로 의무 교육한다. 중, 고등학교에서는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하여 배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제2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중국어와 일본어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제2외국어이다.[920]

대한민국의 한국어는 표준어로 알려진 서울 방언을 사용하며, 전국적으로 충청 방언, 강원 방언, 경상 방언, 전라 방언 등 네 가지 방언과 제주어가 사용된다. 오늘날 거의 모든 대한민국 학생들은 영어를 배운다.[283][284]

2015년 12월 31일 제정된 「한국수어언어법」에 따라 한국수어는 두 번째 공용어가 되었다.[668]

9. 2. 언론

대한민국 헌법은 언론의 자유, 집회·결사,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921]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은 전국지와 지방지로 나뉜다. 전국지는 대한민국 전국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지방 소식을 전달하기 위해 일부 지면을 할애한다. 지방지는 특정 지역의 뉴스를 주로 다루지만, 전국적인 뉴스를 다루기도 한다.

전국지로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 성향의 신문(이른바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등 진보 성향의 신문(이른바 '한경오')이 있다.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 따르면 신문사별 열독률은 조선일보 24.1%, 중앙일보 13.3%, 동아일보 12.9%, 한겨레 5.1%, 경향신문 2.9% 순이다.[921] 경제, 스포츠, 연예 등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문지도 있다.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신문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2008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약 1,040개의 인터넷 신문이 있었다.[922]

방송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FM 및 AM 라디오 방송, 단파 라디오 방송, 케이블 방송, 디지털위성방송, 지상파 DMB 방송 등이 있다. 전국 단위 지상파 방송으로는 국공영 방송한국방송공사(KBS)와 준공영방송인 문화방송(MBC)이 있다. 지역 단위 민영 방송으로는 한국방송공사문화방송(MBC)을 중심으로 한 계열과 서울 지역 민영방송인 SBS를 중심으로 한 SBS 네트워크 계열, 그리고 경인 지역의 경인TV가 있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는 한국교육방송공사법에 따른 공영방송으로 지상파 방송을 하고 있다.

종합편성채널로는 중앙일보JTBC, 매일경제의 MBN, 동아일보채널A, 조선일보TV조선이 있으며, 보도 채널로는 연합뉴스TVYTN이 있다. 케이블TV 최대 PP사업자로는 CJ E&M티캐스트가 있다.

라디오 방송은 지상파 방송사인 KBS, MBC, SBS, EBS 외에도 기독교방송(CBS), 극동방송(FEBC), 불교방송(BBS), 가톨릭평화방송(CPBC), 원음방송(WBS) 등 종교방송, 한국교통방송, 국악방송, 국군방송 등이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와 높은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을 자랑한다.[923] 2000년대 초중반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 인터넷 신문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 언론 매체가 성장했다. 이들은 신속성과 접근성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사회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인터넷 신문사와 포털사이트를 언론 기관으로 보고 법적 규제를 마련했다.[923]

1961년부터 1987년까지 군사정권의 언론 통제로 신문업계가 재편되고, 민영 방송국들이 한국방송공사(KBS)에 통합되는 등 언론의 자유가 억압되었다.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 언론의 자유가 어느 정도 보장되었지만, 정부의 보도 개입은 1998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990년대에는 SBS, 불교방송, 원음방송, 평화방송, 교통방송, 한국교통방송, 한국교육방송공사, 아리랑TV, 국악FM방송 등 새로운 방송국들이 개국했다.

신문들은 1980년대까지 세로쓰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가로쓰기를 사용한다.

일본과의 역사 인식 문제나 영토 문제 등의 보도에서는 일본 측 주장을 “왜곡”, “날조”, “망언” 등의 주관적인 단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790][791] 애국심을 고취하는 보도가 자주 나타나며, 스포츠 경기 등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792]

9. 3. 종교

대한민국에는 고대로부터의 전통적인 토착신앙으로서 무교(무속신앙)가 있다.[924]

불교유교는 삼국시대부터 유입되었으며, 불교는 5세기부터 14세기 말(삼국시대 및 고려시대)에 이르는 약 1천 년 동안 한반도에서 융성하여 많은 사찰과 문화유산을 남겼고 현재 단일 종교로는 대한민국에서 신도수가 많다.[925] 14세기 말 조선에서는 유교를 국교로 지정했다. 그러나 현재 유교를 학문과 사상, 가치관 그리고 철학으로서 배우는 사람은 있으나 신앙 대상으로 삼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유교는 현재까지 한국인 풍습이나 습관, 습성, 가치관, 사상, 생활 방식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독교의 경우 천주교는 조선 후기에 이승훈 등이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전파했으며[926], 그 교세가 확장되자 병인박해, 신유박해 등 대규모 박해 사건이 일어났다. 이는 프랑스 병인양요가 일어난 계기가 되어 조선 정부의 탄압이 거세졌다. 당시 순교자 중 103명이 천주교회에서 시성하여 성인이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이 선교활동을 하여 학교와 개신교 교회들을 세웠다. 이 시기에 감리교, 장로회 등의 개신교, 성공회, 정교회 선교사를 파송하여 전파하였고 양적으로 성장했다. 대한민국 기독교 역사는 비록 짧으나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발휘하며 전 세계적인 종교활동 및 선교가 활발하다. 현재 개신교, 천주교, 정교회 등 기독교 인구는 전 종교 중에서 가장 많다.

그 밖에 천도교(동학), 대종교, 원불교, 증산도, 통일교 등 여러 신흥 종교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기간 한국에서 창시하여 현재까지 신봉한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56.1%)이 어떠한 종교 단체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다고 밝혔다.[285] 종교 단체에 소속된 사람들 중 대부분은 기독교인과 불교 신자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27.6%가 기독교인(개신교 19.7%, 천주교 7.9%)이고 15.5%가 불교 신자이다.[285] 다른 종교로는 이슬람교(13만 명의 무슬림, 대부분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출신 이주 노동자이지만 약 3만 5천 명의 한국인 무슬림 포함[288]), 토착 종파인 원불교, 그리고 천도교(유교적 영향을 받은 종교), 증산도, 대종교, 대순진리회 등 다양한 토착 종교가 있다. 종교의 자유는 헌법으로 보장되며, 국교는 없다.[289] 전반적으로 2005년과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사이에 기독교는 약간 감소(29%에서 27.6%로), 불교는 급격히 감소(22.8%에서 15.5%로), 무종교 인구는 증가(47.2%에서 56.9%로)했다.[285]

기독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조직화된 종교이며, 대한민국 종교 단체 신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약 1,350만 명의 기독교인이 있으며, 그중 약 3분의 2가 개신교 교회에, 나머지는 천주교회에 속해 있다.[285]

9. 4. 예술



한국은 반도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대륙과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고대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동남아시아의 남방계 문화가 혼합된 바탕 위에, 중국 등 이웃 나라의 외래 문화와 한국 고유의 독자적 문화가 융합하여 발전했다.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통 민요이며, 각 지방마다 다른 민요가 전해진다. K-POP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가수들이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K-POP 가수로는 보아,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인피니트, 방탄소년단, BLACKPINK, 트와이스, 아이유 등이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2012년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며 미국 빌보드 차트 2위까지 올랐고, 방탄소년단의 "버터"는 빌보드 차트 5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927]

한국 미술은 기원전 7천여 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고조선 시대에는 비파형 동검, 동경 (거울), 방울 등 제의를 위한 도구가 만들어졌다.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의 고분벽화, 백제금동대향로, 신라금관 등 왕족과 귀족을 위한 예술이 등장했다. 고려 시대에는 고려 청자와 문인화가 발달했고, 조선 시대에는 문인화와 백자가 양반 사대부 문화를 대표했다. 영조정조 시대에는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특색 있는 화가들이 등장했으며, 서민 미술인 민화도 발달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서양 고전 미술과 모더니즘 미술이 도입되었고, 미국, 프랑스, 독일 유학을 다녀온 이들이 현대 미술을 시도했다. 현대 한국 미술은 서양화가 주를 이루지만, 서예, 동양화 같은 전통 미술도 명맥을 잇고 있다. 백남준비디오 아트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건축, 그래픽디자인, 산업디자인, 게임 등 상업 미술 분야는 점차 주목받고 있다.

남대문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불국사


대한민국의 건축은 격동적인 역사로 인해 파괴와 재건이 반복되면서 다양한 양식과 디자인이 혼합된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324] 전통 한국 건축은 자연과의 조화를 특징으로 하며, 초가 지붕과 온돌을 사용한 가구식 구조를 채택했다.[325] 상류층은 기와 지붕과 높이 솟은 처마를 가진 큰 집을 지었다. 전통 건축은 궁궐, 사찰, 한옥[326], 하회마을, 양동마을, 한국민속촌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여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재되어 있다.[327]

19세기 말 서양 건축이 도입되면서 교회, 학교, 대학교 등이 새로운 스타일로 지어졌다. 그러나 1910년 일본에 의한 합병으로 일본식 현대 건축이 강요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인해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다.[328]

한국 전쟁 이후 현대 한국 건축은 새로운 발전 단계에 접어들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외국 건축가들에게 시장이 개방되면서 다양한 스타일이 나타났다.[329] 현대 건축은 전통적인 "자연과의 조화" 철학과 빠른 도시화를 균형 있게 조화시키려 노력하고 있다.[330]

국제적인 인기를 얻은 BTS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K팝 걸그룹 블랙핑크


대한민국은 활기찬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통해 드라마, 영화, 대중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인 인기를 얻으며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한류"는 대한민국을 대중문화 수출국이자 주요 소프트 파워로 만들었다.[331][332][333][334][335]

1990년대까지 트로트와 민요가 주류였으나,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K팝이 시작되었다. K팝은 서구 대중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며 발전했다.[336] K팝 아이돌은 아시아 전역과 서구 세계에서 명성을 얻으며 많은 수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2012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99년 영화 ''쉬리''의 성공 이후 한국 영화 산업은 크게 성장했다. 스크린쿼터 제도[337] 덕분에 국내 영화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K-드라마로 알려진 텔레비전 드라마도 국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많은 드라마는 로맨스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사극도 유명하다.[338][339] 황동혁 감독의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 최고 시청률 시리즈가 되었다.[340][341][342][343]

9. 5. 스포츠

대한민국은 고대부터 무술에 근거한 체육 활동이 발달했으며, 특히 대한민국의 국기(國技)인 태권도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되기도 하였다.[345] 이 외에도 한국 전통 무술(스포츠)인 궁술(국궁), 택견, 씨름이 있다.

발차기가 특징적인 태권도


1948년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88년 하계 올림픽서울에서 개최하여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로 종합 4위를 기록하였다.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이 강세를 보이는 종목은 양궁, 사격, 탁구, 배드민턴, 쇼트트랙, 핸드볼, 유도, 태권도, 역도 등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종합 5위에 올랐으며, 2018년 동계 올림픽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서 개최하였다.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종합 5위를 기록하며 최고 기록을 세웠다.

1986년 아시안 게임, 2002년 아시안 게임, 2014년 아시안 게임 등을 개최했으며,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200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선정되고 있으며,[928][929] 축구, 야구, 농구, 배구, e스포츠, 바둑 등 6개 종목이 프로 리그를 갖추고 있다. 이 중 야구축구가 프로 리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목으로 꼽히며, 최근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사직야구장, 부산에 위치한 야구장. 야구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한국 무술이자 올림픽 종목인 태권도


1990년대 말 게임 및 전자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e스포츠는 2001년 '한국e스포츠협회' 창립 후 선수 관리, 경기 규칙, 대회 방식 등이 체계화되어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2004년부터 파트 3 경마국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대한민국의 서러브레드 경주마 생산은 1000여 마리였다.[930] 경기도 과천시, 경상남도 김해시부산광역시 강서구, 제주도에 경마공원이 있고, 32개의 KRA 플라자(장외 마권 발매소)가 있다.

대한민국이 개최했거나 개최 예정인 스포츠 대회는 다음과 같다.

대회 종류대회명
올림픽1988년 서울 하계, 2018년 평창 동계
FIFA 월드컵2002년 한국/일본 월드컵, 2007년 U-17 월드컵, 2017년 U-20 월드컵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2011년 대구
아시안 게임1986년 서울 하계, 1999년 강원 동계, 2002년 부산 하계, 2014년 인천 하계
AFC 아시안 컵1960년 한국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2019년 광주
유니버시아드1997년 무주-전주 동계, 2003년 대구 하계, 2015년 광주 하계, 2027년 충청 하계
F1코리아 그랑프리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2013년 충주


9. 6. 한류

한류(韓流, Korean wave)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외국에서 대중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331][332][333][334][335] 1997년 무렵부터, 문화 수출국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국책을 배경으로, 2000년 전후부터 대한민국 드라마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방송되었다. 그 후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일본에서도 한국의 대중문화가 널리 유입되어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국내 소비 외에도, 대한민국은 활기찬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드라마, 영화, 대중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한국 엔터테인먼트 분야가 국제적인 인기를 얻어 국가 경제에 상당한 수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한류"로 알려진 문화 현상은 대륙과 동아시아 전역의 많은 국가를 강타하여 대한민국을 미국, 영국과 같은 서구 국가들과 경쟁하는 대중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수출국이자 주요 소프트 파워로 만들었다.

1990년대까지는 트로트와 전통적인 민요가 한국 대중음악계를 지배했다. 1992년 힙합 그룹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은 K팝으로도 알려진 한국 대중음악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1990년대 이후 K팝 장르는 서구 대중음악, 실험 음악, 재즈, 가스펠, 라틴 음악, 힙합, R&B, 일렉트로닉 댄스, 레게, 컨트리, 포크, 록 등 전 세계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와 트렌드의 요소들을 수용하면서 지속적인 재창조와 현대화 과정을 거쳤다. 한국 전통 음악적 기반 위에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것이다.[336] 서구 스타일의 팝, 힙합, R&B, 록, 포크,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이 현대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트로트는 여전히 고령층 한국인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K팝 아이돌은 대륙 아시아 전역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서구 세계에서도 명성을 얻었고, 전통적인 동아시아 음악 시장을 넘어 수백만 달러의 수출 수익을 창출했다. 많은 K팝 아티스트들은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탄탄한 글로벌 팬층을 확보하며 자리매김했다.

강남 스타일을 추는 아이들.




K팝은 2012년 가수 싸이의 국제적인 음악적 성공작 "강남 스타일"이 글로벌 음악 차트를 정복하면서 대륙과 동아시아를 넘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1999년 영화 ''쉬리''의 성공 이후, 한국 영화 산업은 크게 성장하여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극장에서 한국 영화를 1년에 최소 73일 상영하도록 의무화하는 정부의 스크린쿼터 제도 덕분에 국내 영화가 한국 영화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37] 봉준호 감독의 2019년 영화 ''기생충''은 대한민국 최고 매출 영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미국 기반의 아카데미상 당해 다수의 수상 경력 중 비영어권 영화로는 최초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한국 밖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K-드라마로 알려진 텔레비전 드라마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많은 드라마는 로맨스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경향이 있다. 사극도 유명하다.[338][339] 황동혁이 제작한 2021년 서바이벌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공개 직후 비평가들의 찬사와 폭넓은 국제적인 관심을 받으며 넷플릭스 최고 시청률 시리즈가 되었고, 공개 후 4주 동안 1억 4200만 가구 이상이 시청했다.[340][341][342][343]

10. 국제 순위

평가기관항목순위조사 시기
국제통화기금(IMF)국내총생산(GDP)191개국 중 12위[931]2023년
미국특허청(USPTO)출원-공개된 특허주요국가 20개 중 3위[932]2023년
국제통화기금 (IMF)1인당 국민 총소득 (GNI)184개국 중 28위[933]2021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IMD)국가 경쟁력64개국 중 23위[934]2021년
OECD결핵 발생률30개국 중 1위[935]2021년
OECD결핵 사망률30개국 중 3위[936]2021년
국경 없는 기자회 (RSF)인터넷 통제180개국 중 41위2019년
통계청 (Statistics Korea)선박 건조량30개국 중 1위[937]2013년
세계은행 (IMF)관세행정61개국 중 1위[938]2012년
[https://web.archive.org/web/20080820072125/http://www.clarksons.co.uk/ Clarkson PLC.]조선산업 경쟁력15개국 중 1위[939]2012년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AKAM)인터넷 평균 속도226개국 중 1위[940]2012년
옥스퍼드대학교 (University of Oxford)
오비에도 대학교
초고속 인터넷 품질66개국 중 1위[941]2012년
세계 경제 포럼 (WEF)정보통신 활용도138개국 중 1위[942]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교통사고 사망률31개국 중 2위[943]2014년
OECD청소년 자살률OECD 회원국 중 1위2013년
OECD청소년 행복지수OECD 회원국 중 34위2013년
프리덤하우스 (Freedom House)정치인권 및 시민자유부분적 자유(Partly Free)[944]2012년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10만 명당 자살률전 세계 1위[898]2011년
OECD제왕절개분만률1위[945]2005년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law.go.kr[...] 2017-07-26
[2] 웹사이트 Foreign population in Korea tops 2.5 million https://www.koreatim[...] 2020-02-24
[3] 웹사이트 https://hrcopinion.c[...] 2023-12-12
[4]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2-27
[5] 웹사이트 South Korea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m/[...] 2023-10-17
[6] 웹사이트 Inequality – Income inequality – OECD Data https://data.oecd.or[...] OECD
[7] 웹사이트 CIA
[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South Kore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22
[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0]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Averting Global War: Regional Challenges, Overextension, and Options for American Strategy https://web.archive.[...] Palgrave Macmillan 2007-11-27
[12]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13]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5-20
[14]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Religious culture of Korea Hollym International
[16] 웹사이트 Atlas de Fernão Vaz Dourado https://digitarq.arq[...]
[17] 웹사이트 1369MAPAS E ICONOGRAFIA DOS SÉCS. XVI E XVII https://www.tdx.cat/[...]
[18] 웹사이트 Cartas de Afonso de Albuquerque, vol. 1 https://pt.scribd.co[...]
[19] 뉴스 http://city.udn.com/[...] 2008-07-05
[20] 뉴스 A 'C' Change in Spelling Sought for the Koreas https://www.latimes.[...] 2003-09-15
[21] 뉴스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7-08-30
[22] 뉴스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08-08-14
[23] 웹사이트 North Korea's state-loyalty advantage. https://www.thefreel[...] 2018-05-20
[24] 웹사이트 Still the Unloved Republic http://sthelepress.c[...] 2016-12-28
[25] 보도자료 Ancient civilizations http://www.rom.on.ca[...] Royal Ontario Museum 2005-12-12
[26] 웹사이트 Prehistoric Korea http://www.opm.go.kr[...]
[27] 웹사이트 Korea's History http://www.asianinfo[...] Asian Shravan
[28]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8] 서적 Archaeology of As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8] 서적 Korea Between Empir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8] 서적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8]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Infobase Publishing
[30] 서적 A History of Korea, An Episodic Narrative Palgrave Macmillan
[31] 웹사이트 Early Korea http://www.shsu.edu/[...] 2015-04-17
[32] 웹사이트 ko:낙랑군 https://terms.naver.[...] 2019-07-15
[33] 서적 ko:이야기보따리 삼국시대: 역사친구 004 https://books.google[...] Sowadang 2024-03-28
[34]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35] 학술지 RReconstructing the Language Map of Prehistorical Northeast Asia
[36]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1-21
[37] 서적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oondang 2016-08-26
[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29
[39]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6-07-29
[40]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29
[41]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0-11
[42] 웹사이트 Kings and Queens of Korea http://world.kbs.co.[...] KBS World Radio 2016-08-26
[43] 서적 A Panorama of 5000 Years: Korean History https://archive.org/[...] Hollym International Corporation 2005
[44]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6-09-12
[45]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21
[46]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29
[47]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9-12
[48]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6-11-21
[49]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9-12
[50] 서적 Korea: Outline of a Civilis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6-09-12
[51]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52]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in 100 Object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1-10-06
[53] 서적 Arts of Kore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4] 서적 The Rotarian https://books.google[...] Rotary International 1989-04-00
[55] 서적 After Pusan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13-01-17
[56] 웹사이트 Gyeongju, Korea's treasure house https://web.archiv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57] 서적 Koreaʾs pottery heritage https://books.google[...] Seoul International Pub. House
[58] 서적 Kore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59]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Moon Living Abroad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Avalon Travel 2013-09-10
[61]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9-30
[62]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21
[63] 서적 Ennins Travels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Canada, Limited 2016-07-21
[64]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7-21
[6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7-21
[66] 서적 Buddhist Exploration of Peace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Blue Pine Books 2016-07-29
[67] 서적 Speeche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6-07-29
[68]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7-29
[69] 서적 Ordinary Mind as the Way: The Hongzhou School and the Growth of Chan Buddh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29
[70] 서적 Spreading Buddha's Word in East Asia: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29
[71] 서적 The Zen Canon: Understanding the Classic Tex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3-25
[72]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16-07-18
[73]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01-30
[74] 서적 Korea – A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75]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76] 웹사이트 Korea, 1000–1400 A.D. Chronology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08-19
[77]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Brief: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1-01
[78]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12-20
[79]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80]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09-05
[81]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6-11-12
[82]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1-19
[83]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07-27
[84] 서적 Fonts & Encoding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16-11-08
[85]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6-07-27
[86] 서적 Concise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From the Sumerians to the Cognitivist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6-11-08
[87] 서적 Japan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6-19
[88]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6-11-08
[89] 서적 Su-un and His World of Symbols: The Founder of Korea's First Indigenous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1-08
[90] 웹사이트 Korea – Korea under Japanese rule https://www.britanni[...] 2022-04-27
[91] 백과사전 Korean-Provisional-Government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8-08
[92]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Korea, and the 38th Parallel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3-08-05
[93]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94] 서적 The Korean War 1950–1953 Fitzroy Dearborn
[95] 간행물 195 (III) The problem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http://daccess-dds-n[...] 1948-12-12
[96] 서적 Korea through the Ages Center for Information on Korean Cultu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5
[97]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98] 서적 The Korean War: The Essential Bibliography Potomac Books Inc.
[99] 서적 Korean War: World Histor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
[100] 서적 Korea's Grievous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1]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 Rowman & Littlefield
[102] 서적 The Korean War: A History Modern Library
[103] 서적 America in Vietnam Oxford University Press
[104] 뉴스 The 'forgotten' My Lai: South Korea's Vietnam War massacres https://www.cnn.com/[...] 2018-02-23
[105] 웹사이트 Flashback: The Kwangju massacre https://web.archive.[...] 2000-05-17
[106] 웹사이트 20 years later, father still seeks truth in son's death https://web.archive.[...] 2007-01-15
[107] 뉴스 Two Decedes After Seoul Olympics https://www.koreatim[...] 2007-10-30
[108] 뉴스 Kim Dae-jung https://www.theguard[...] 2009-08-18
[109] 뉴스 North and South Korean leaders meet https://www.theguard[...] 2000-06-13
[110]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2000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111] 뉴스 South Korea's New President Sworn In – DW – 02/25/2008 https://www.dw.com/e[...] 2022-10-31
[112] 뉴스 FIFA World Cup: When South Korea created history in 2002 https://www.goal.com[...] 2022-11-01
[113] 뉴스 Rocky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over disputed islands https://www.theguard[...] 2010-08-18
[114] 간행물 Seoul: S Korea looks forward to its own party 2010-06-25
[115] 서적 Cheonan and Yeonpyeong. The Northeast Asian Response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https://www.asiafoun[...] Asia Foundation 2011-05-01
[116] 뉴스 Park Geun-hye sworn in as South Korea president https://www.bbc.com/[...] 2013-02-25
[117] 뉴스 How long will Seoul protests remain peaceful? https://asiatimes.co[...] Asia Times 2016-11-28
[118] 뉴스 South Korea's president is removed from office as court upholds her impeachment https://latimes.com/[...] 2017-03-10
[119] 뉴스 New Korean president willing to work with North – DW – 05/10/2017 https://www.dw.com/e[...]
[120] 뉴스 South Korea's Moon may be on brink of legacy-defining moment https://www.usatoday[...] 2018-02-11
[121] 뉴스 Park Geun-hye: South Korea's ex-leader jailed for 24 years for corruption https://www.bbc.com/[...] 2018-04-06
[122] 웹사이트 As Birthrate Falls, South Korea's Population Declines, Posing Threat to Economy https://www.nytimes.[...] 2021-01-04
[123] 뉴스 Who is South Korea's new president Yoon Suk Yeol? https://www.france24[...] 2022-05-10
[124] 뉴스 South Korea lifts president’s martial law decree after lawmakers reject military rule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4-12-03
[125] 뉴스 South Korea cabinet lifts martial law - report https://www.bbc.com/[...] 2024-12-03
[126] 뉴스 South Korean parliament votes to impeach President Yoon Suk Yeol https://www.abc.net.[...] 2024-12-14
[127] 웹사이트 Geography of Korea http://www.asianinfo[...] Asia Info Organization
[128]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29] 웹사이트 Korea National Park Service official site http://english.knps.[...]
[130] 웹사이트 Climate data in seoul, 1971 ~ 2000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31] 웹아카이브 South Korea climate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14-03-30
[132] 웹사이트 Korea Air Pollution Problems https://web.archive.[...] American University of Washington 2010-02-18
[133] 뉴스 Letter to Lee administration: Save the Songdo Tidal Flat https://web.archive.[...] 2009-08-28
[134] 웹사이트 South Korea Boosts Renewable-Energy Investments by 60% https://web.archive.[...] 2008-07-28
[135] 뉴스 South Korea's green new deal https://web.archive.[...] 2009-10-18
[136] 웹아카이브 R&D status and prospects on fuel cells in Korea https://web.archive.[...] 2013-12-05
[137] 웹아카이브 Renewable Energy Policy Mechanisms by Paul Gipe http://www.wind-work[...] 2012-05-10
[138] 웹아카이브 The fuel cell industry review 2012 http://www.fuelcellt[...] 2016-07-01
[139] 뉴스 Jobs come first in South Korea's ambitious 'Green New Deal' climate plan https://www.reuters.[...] 2020-06-08
[140] 뉴스 Moon vows to shut down 30 more coal plants to bring cleaner air and battle climate change http://www.koreahera[...] 2020-09-08
[141] 웹사이트 Seoul City holds second Arisu Festival to show tap water is safe to drink https://web.archive.[...] Newsworld
[142]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A Clean, Attractive & Global City, Seoul!" https://web.archive.[...]
[143]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44] 웹사이트 Party Grouping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07-11-28
[145] 웹사이트 Index of Democracy 2008 https://web.archive.[...]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46] 웹사이트 South Korea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International Constitutional Law
[147] 웹사이트 Korea, Sout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02-10
[148] 뉴스 The world's most, and least, democratic countries in 2022 https://www.economis[...] 2023-02-01
[149]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3
[150] 웹사이트 CPI 2022 https://www.transpar[...]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23-01-31
[151]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통계>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web.archive.[...] 2018-05-02
[152] 뉴스 Exclusive: Britain, South Korea extend tariff-free trade on goods with EU links https://www.reuters.[...] 2023-10-16
[153] 뉴스 Can North Korea get South to join dispute with Japan over two islands in Asia? http://www.newsweek.[...] 2018-03-21
[154] 웹사이트 modern Korean history – Home https://web.archive.[...] 2015-04-17
[155] 뉴스 North, South Korea pledge peace, prosperity https://web.archive.[...] 2007-10-04
[156] 뉴스 North Korea deploying more missiles http://news.bbc.co.u[...] 2009-02-23
[157] 뉴스 North Korea tears up agreements http://news.bbc.co.u[...] 2009-01-30
[158] 뉴스 North Korea warning over satellite http://news.bbc.co.u[...] 2009-03-03
[159] 뉴스 Koreas agree to military hotline http://edition.cnn.c[...] 2004-06-04
[160]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161] 뉴스 Asia Times – News and analysis from Korea; North and South http://www.atimes.co[...] 2004-09-11
[162] 뉴스 Chinese and South Koreans Formally Establish Relations https://www.nytimes.[...] 1992-08-24
[163] 웹사이트 South Korea Country Profile https://web.archive.[...] 2018-03-10
[164] 웹사이트 China Country Profile https://web.archive.[...] 2018-03-10
[165] 웹사이트 Professor from Japan Discovers Map Proving Dokdo Island is Korean Territory http://www.dynamic-k[...] 2008-02-22
[166] 웹사이트 Dokdo Takeshima Island Liancourt Rocks The Historical Facts of the Dokdo / Takeshima Island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http://www.dokdo-tak[...] 2012-06-28
[167] 뉴스 President Roh Moo-hyun will not hold a summit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until Koizumi stops visits to Japan's Yasukuni shrine http://www.voanews.c[...] 2006-03-17
[168] 뉴스 Japan PM tells South Korea's Moon that 2015 'comfort women' deal is final https://www.reuters.[...] 2018-02-09
[169] 뉴스 South Korea formally requests Japan's 'rising sun' flag be banned at 2020 Olympics https://www.independ[...] 2019-09-11
[170] 뉴스 South Korea asks IOC to ban Japan's use of 'Rising Sun' flag at Olympics https://www.reuters.[...] 2019-09-11
[171] 뉴스 S. Korea urges IOC to ban Japanese imperial flag from 2020 Olympics https://english.kyod[...] 2019-09-12
[172] 뉴스 EU agrees free trade deal with S.Korea https://www.google.c[...] 2009-09-16
[173] 웹사이트 South Korea-EU – trade in goods – Statistics Explained http://ec.europa.eu/[...]
[174] 웹사이트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October 1, 1953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175] 논문 South Korean Attitudes toward the ROK–U.S. Alliance: Group Analysis
[176] 뉴스 Congress Ends 5-Year Standoff on Trade Deals in Rare Accord https://www.nytimes.[...] 2011-10-13
[177] 뉴스 New Opportunities for U.S. Exporters Under the U.S.-Korea Trade Agreement http://www.ustr.gov/[...] 2012-06-09
[178] 웹사이트 Defense Budget https://www.mnd.go.k[...] 2024
[179] 웹사이트 Public Notebook https://www.mnd.go.k[...]
[180] 뉴스 Military Duty Exemption for Biracial Koreans Will Be Scrapped https://koreatimes.c[...] 2009-09-30
[181] 논문 North Korea's Continued Detention of South Korean POWs since the Korean and Vietnam Wars 2009-03-25
[182] 웹사이트 Iraq: Lessons learned on both sides as Zaytun heads home https://reliefweb.in[...] 2008-12-26
[183] 웹사이트 Country report and updates: Korea, South – War Resisters' International https://www.wri-irg.[...] 2023-06-15
[184] 뉴스 South Korea Must Offer Alternatives to Military Draft, Court Rules https://www.nytimes.[...] 2018-06-28
[185] 뉴스 South Korea's top court legalizes conscientious objection after decades-long fight https://edition.cnn.[...] CNN 2018-11-01
[186] 뉴스 America's Unsinkable Fleet http://www.newsweek.[...] 2007-02-26
[187] 뉴스 Allies' future command to be led by S. Korean general: minister http://english.yonha[...] 2018-02-22
[188] 웹사이트 South Korea: Introduction >> globalEDGE: Your source for Global Business Knowledge http://globaledge.ms[...]
[189] 간행물 SOUTH KOREA Market overview http://www.tiq.qld.g[...]
[190] 서적 A Dictionary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3 https://www.imf.org/[...] 2023-04-00
[192] 서적 North Korea in Pictures Lerner Publishing Group
[193] 웹사이트 About Korea http://www.oecd.org/[...] OECD
[194] 웹사이트 OECD.Stat Education and Training > Education at a Glance > Educational attainment and labor-force status > Educational attainment of 25–64 year-olds http://stats.oecd.or[...] OECD
[195] 웹사이트 Economic Growth Rates of Advanced Economies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6] 웹사이트 GDP per capita growth (annual %) – Data https://data.worldba[...]
[197] 서적 Korea,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98] 웹사이트 The Korean Economy – the Miracle on the Hangang River https://www.korea.ne[...]
[199] 뉴스 Moody's Raises Korea's Credit Range http://english.chosu[...] 2010-08-02
[200] 뉴스 Financial markets unstable in S.Korea following Cheonan sinking http://www.hani.co.k[...] 2010-05-26
[201] 뉴스 S Korea stands among world's highest-level fiscal reserve holders: IMF http://news.xinhuane[...] 2010-09-07
[202] 뉴스 Lessons from South Korea's Chaebol economy http://theconversati[...] 2013-12-06
[203] 뉴스 South Korea Survived Recession With CEO Tactics https://www.newsweek[...] 2010-05-10
[204] 뉴스 South Korea GDP grew revised 6.2pc in 2010 http://www.brecorder[...] 2011-03-30
[205]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South Korea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11-07-07
[206] 웹사이트 Subway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7] 웹사이트 Express bus terminal guide http://www.kobus.co.[...] Korea Express Bus Lines Association
[208] 뉴스 Surging Seoul: Traffic at Incheon Airport is booming. But can South Korea's Big Two airlines capitalize? https://airlineweekl[...] Airline Weekly 2017-10-23
[209] 뉴스 South Korea's abandoned airports http://news.bbc.co.u[...] 2009-05-18
[210] 웹사이트 Transportation Statistics > Heliports (most recent) by country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
[211] 웹사이트 Company Info https://www.koreanai[...] Korean Air 2018-03-09
[2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viation Policy https://web.archiv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2005-05-19
[213] 뉴스 If you're looking for a ticket to Jeju, leave late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07-02
[214] 뉴스 Another Korean Nuclear Issue https://thediplomat.[...] 2010-07-19
[215] 뉴스 ITER Members http://www.iter.org/[...] 2017-03-02
[216] 뉴스 South Korea wins landmark Gulf nuclear power deal https://www.reuters.[...] 2009-12-29
[217] 뉴스 All systems go for Jordan's first nuclear reactor http://www.upi.com/S[...] UPI 2010-03-31
[218] 뉴스 South Korea-Jordan sign $130M nuclear deal http://www.world-nuc[...] 2010-07-27
[219] 뉴스 Korea, Argentina Sign MOU for Nuclear Plant Project http://english.chosu[...] 2010-09-18
[220] 뉴스 Argentina eyes nuclear role in S. America http://www.upi.com/T[...] UPI 2010-09-17
[221] 웹사이트 Korea nearing Turkey nuclear plant contract https://www.koreatim[...] 2010-06-15
[222] 뉴스 U.S. Wary of South Korea's Plan to Reuse Nuclear Fuel https://www.nytimes.[...] 2010-07-14
[223] 웹사이트 S. Korean Pyroprocessing Awaits U.S. Decision http://www.armscontr[...] Arms Control Association 2010-10-06
[224] 웹사이트 Countries – Network Readiness Index https://networkreadi[...]
[225] 서적 UNWTO Tourism Highlights 2017 https://tede.ufrrj.b[...] 2017-07
[226] 뉴스 Hallyu fuels foreign investment in Korea https://www.koreatim[...]
[227] 간행물 Study of Korean Corporations' Retirement Allowance Schemes Korea Labor Institute 1998
[228] 웹사이트 South Korea and Japan's Pension System Compared http://www.umdcipe.o[...]
[229] 웹사이트 The Korean Pension System: Current State and Tasks Ahead http://www.oecd.org/[...] OECD
[230] 웹사이트 Coverage http://english.nps.o[...] National Pension Service
[231] 웹사이트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Asia and the Pacific, 2010 – South Korea https://www.ssa.gov/[...] U.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Office of Retirement and Disability 2016-12-01
[232] 웹사이트 These are the 10 smartest countries in the world when it comes to science http://www.businessi[...] 2015-12-04
[233] 뉴스 These Are the World's Most Innovative Countries https://www.bloomber[...] 2019-05-05
[234] 간행물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35] 웹사이트 Can South Korean Startups (and the government) Save its Flailing Giant Tech Conglomerates? http://www.innovatio[...] 2016-06-22
[236] 논문 South Korea, a science spending champion, proposes cutbacks https://www.science.[...] 2023-09-22
[237] 뉴스 Seoul Puts a Price on Cyberdefense https://blogs.wsj.co[...] 2013-09-23
[238] 뉴스 South Korean war on 'fake news' raises concern of censorship https://www.apnews.c[...] 2018-10-26
[239] 뉴스 Is South Korea Sliding Toward Digital Dictatorship? https://www.forbes.c[...] 2019-02-25
[240] 뉴스 Korea, Russia Enter Full-Fledged Space Partnership http://www.defenceta[...] 2007-07-05
[241] 뉴스 South Korea Confirms Contact With Satellite Lost http://www.spacedail[...] Space Daily 2008-01-07
[242] 뉴스 Scientist Yi So Yeon becomes first Korean astronaut http://www.timesonli[...] The Times (London) 2008-04-09
[243] 뉴스 First S Korean astronaut launch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4-08
[244] 뉴스 S. Korea Completes Work on Naro Space Cent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Seoul) 2009-06-10
[245] 웹사이트 South Korea launch STSAT-2C via KSLV-1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3-01-30
[246] 뉴스 South Korea's first rocket ready – at last https://archive.toda[...] Asia Times 2009-08-11
[247] 뉴스 S. Korea DAPA commissioner confirms 500 km-range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 research http://english.hani.[...] The Hankyeoreh 2009-10-09
[248] 웹사이트 South Korea succeeds in putting satellites into orbit, 7th in world https://english.kyod[...] Kyodo News 2022-06-21
[249] 간행물 Special Report: [Business Opportunities] R&D http://www.mke.go.k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07-09-03
[250] 뉴스 Robot parks, a world first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9-02-13
[251] 뉴스 Android Has Human-Like Skin and Expressions http://www.livescien[...] Live Science 2006-05-08
[252] 잡지 Female Android Debuts in S. Korea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6-05-15
[253] 웹사이트 EveR-3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09-04-20
[254] 뉴스 South Korean Robot English Teachers Are Go http://www.popsci.co[...] Popular Science 2010-02-24
[255] 웹사이트 Korean Robot Game Festival http://www.robotwar.[...] Official Site
[256] 웹사이트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Korea Country Profile http://www.bio2008.o[...] Bio2008.org
[257] 웹사이트 Discovery Channel :: News – Animals :: Endangered Wolf Cloned in South Korea http://dsc.discovery[...] Dsc.discovery.com
[258] 웹사이트 Biotechnology http://www.philau.ed[...]
[259] 뉴스 With $900M IPO, SK Bioscience has big plans for manufacturing expansion—even beyond COVID-19 vaccines https://www.fierceph[...] FiercePharma 2021-02-25
[260]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for Provinces (2013~2040) http://kostat.go.kr/[...] Statistics Korea 2016-04-16
[261] 웹사이트 Major Indicators of Korea http://kosis.kr/eng/ 2016-09-09
[262] 뉴스 Korea's Population Tops 50 Million https://web.archive.[...] 2010-02-01
[263] 뉴스 South Korea's birthrate world's lowest https://www.koreatim[...] 2009-05-22
[264]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s://www.cia.gov/[...] 2009-06-26
[265] 웹사이트 Childbirths in S. Korea grow 5.7 pct in 2010 http://english.yonha[...]
[266] 뉴스 South Korea's fertility rate is the lowest in the world https://www.economis[...] 2018-06-30
[267] 웹사이트 S. Korea's childbirth tally drops to another historic low in October https://archive.toda[...] 2018-12-27
[268] 웹사이트 Fertility rate dips below 1 in 2018: official https://archive.toda[...] 2019-01
[269] 웹사이트 As Birthrate Falls, South Korea's Population Declines, Posing Threat to Economy https://www.nytimes.[...] 2021-01-04
[270] 웹사이트 South Korea is facing a crisis of extinction and it's not due to North's nukes https://economictime[...] 2021-01-05
[271] 웹사이트 Korea marks first-ever decline in registered population https://koreajoongan[...] 2021-01-03
[272] 잡지 South Korea's Japanese Mirror https://thediplomat.[...] 2014-02-06
[273] 학술지 South Korea's population shif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023
[274]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countrystudie[...]
[275] 웹사이트 Summary of Census Popul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sex/age) http://kosis.kr/eng/[...]
[276] 웹사이트 South Korea – Population Trends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77] 웹사이트 Population by Census (2016) http://kosis.kr/eng/[...]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78] 뉴스 South Koreans Struggle With Ra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1-02
[279] 뉴스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9-08-06
[280] 뉴스 Foreign Teachers Unenthusiastic Over Culture Cours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11-26
[281]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2008 https://www.cia.gov/[...] 2014-05-28
[28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13-08-10
[283] 웹사이트 Korea, South https://www.cia.gov/[...] 2021-01-23
[284] 웹사이트 South Korea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2024-03-28
[285] 간행물 Religion organizations' statistics http://image.kmib.co[...] South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12-20
[286] 서적 Religion and Contemporary Politics: A Global Encyclopedia ABC-CLIO 2020-06-03
[287] 웹사이트 Global Index of Religiosity and Atheism 2012 http://www.wingia.co[...] WIN-Gallup International
[288] 뉴스 Korea's Muslims Mark Ramadan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8-09-11
[28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ccourt.go[...]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290]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Church Growth in Korea and Japan: With Special Application to Japa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84
[291] 논문 Christianity, Shamanism, and Modernization in South Korea https://web.archive.[...] 2000-06-01
[292] 간행물 Korean Social Sciences Journal Korean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1997
[293] 뉴스 Missions Incredible https://web.archive.[...] 2006-03-01
[294] 웹사이트 Buddhism in Korea https://web.archive.[...]
[295] 웹사이트 South Korea Now Open For Foreign Students https://web.archive.[...] Education-blog.net 2008-08-28
[296] 뉴스 What the world can learn from the latest PISA test results https://web.archive.[...] 2016-12-10
[297] 웹사이트 Education OECD Better Life https://web.archive.[...] OECD
[298] 잡지 South Korea: Kids, Stop Studying So Hard! https://web.archive.[...] 2011-09-25
[299] 웹사이트 The overeducated generation https://web.archive.[...] 2015-12-11
[300] 웹사이트 South Korea's Education Success Has a Dark Side https://web.archive.[...] 2013-11-14
[301] 웹사이트 Why South Korea Is So Fixated With the College-Entrance Exam https://www.theatlan[...] 2016-11-17
[302] 웹사이트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 Achieving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https://web.archive.[...] KRIVET 2014-09-26
[303] 뉴스 Drive for education drives South Korean families into the red https://www.csmonito[...] 2012-11-10
[304] 웹사이트 Korea https://web.archive.[...] OECD
[305] 웹사이트 High performance, high pressure in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http://monitor.icef.[...] ICEF Monitor 2014-01-23
[306] 웹사이트 Health at a Glance 2015 http://www.keepeek.c[...] Keepeek.com 2018-02-07
[307] 웹사이트 Revealed: Countries With The Best Health Care Systems, 2021 https://ceoworld.biz[...] 2021-04-27
[308] 웹사이트 Health at a Glance 2015 http://www.keepeek.c[...] Keepeek.com 2018-02-07
[309]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increased by 5 years since 2000, but health inequalities persist https://www.who.int/[...] WHO 2016-05-19
[310] 웹사이트 WHO – World Health Statistics 2016: Monitoring health for the SDGs https://web.archive.[...]
[311] 비디오 Why South Korea has high suicide rates https://www.youtube.[...] KOREA NOW 2021-09-07
[312] 웹사이트 Suicide rates, age standardized – Data by country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04-13
[313] 서적 East Asia: Tradition & Transformation Houghton Mifflin
[314] 웹사이트 UNESCO -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2021-10-14
[315] 웹사이트 Associated Organisations http://www.mct.go.kr[...] MCT 2006-04-11
[315] 웹사이트 Mission and Goal https://web.archive.[...] Korea Cultural Administration 2006-04-11
[316] 웹사이트 Index 2023 – Global score https://rsf.org/en/i[...] 2023-05-03
[317] 뉴스 South Koreans drink twice as much liquor as Russians and more than four times as much as Americans https://web.archive.[...] 2014-02-09
[318] 웹사이트 Korean painting http://www.asia-art.[...]
[319] 웹사이트 Korean Pottery and Celadon http://www.armkor.co[...]
[320] 웹사이트 Contemporary Korean Art in 1990s http://www.apexart.o[...] 1999
[321] 뉴스 Whitney Biennal to come to Seoul again http://www.seoul.co.[...] Seoul News 2010-03-26
[322] 웹사이트 Gwangju Biennale http://gb.or.kr/?mid[...] Gwangju Biennale 2010-10-29
[323] 웹사이트 Korean Pavilion http://www.korean-pa[...]
[324] 웹사이트 Korean architecture http://www.asianinfo[...] Asian Info Organization
[325] 뉴스 Exhibit Focuses on Traditional Architectur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03-31
[326] 웹사이트 List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http://ata.hannam.ac[...] Asian Tradition in Architecture
[327]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Republic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2010-10-29
[328] 웹사이트 Brief Review of Korea Modern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Architectural Design Lab, GSNU
[329] 웹사이트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http://www.asianinfo[...] Asian Info Organization
[330] 뉴스 Korean buildings that captivate world http://www.asianewsn[...] Asia News 2010-01-15
[331] 뉴스 'Korean Wave' piracy hits music industry http://news.bbc.co.u[...] 2001-11-09
[332] 웹사이트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ade K-Pop A Thing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21-09-04
[333] 뉴스 'Korean Wave' of pop culture sweeps across Asia http://edition.cnn.c[...]
[334] 뉴스 Surfing the Korean Wave: How K-pop is taking over the world https://web.archive.[...] 2019-05-31
[335] 논문 Korean Wave as Cultural Imperialism: A study of K-pop Reception in Vietnam https://openaccess.l[...] Leiden University
[336] 웹사이트 Seo Taiji http://rki.kbs.co.kr[...]
[337] 뉴스 S.Korea's Screen Quota Hinders Market Access http://rki.kbs.co.kr[...] 2010-07-16
[338] 웹사이트 List of Korean dramas http://www.koreandra[...] Koreandrama.org 2007-06-04
[339] 웹사이트 콘텐츠산업정보포털 https://web.archive.[...] 2021-03-27
[340] 웹사이트 Squid Game tops global Netflix chart https://www.koreatim[...] 2021-09-26
[341] 웹사이트 Squid Game: the hellish horrorshow taking the whole world by storm https://www.theguard[...] 2021-10-24
[342] 웹사이트 'Squid Game': Netflix Reveals A "Mind-Boggling" 142M Households Have Watched Korean Drama https://deadline.com[...] 2021-10-24
[343] 웹사이트 Netflix calls Squid Game its 'biggest ever series at launch' https://www.theverge[...] 2021-10-24
[344] 웹사이트 재미있는 동양3국의 젓가락 문화비교 https://web.archive.[...] 2016-10-05
[345] 웹사이트 Taekwondo https://web.archive.[...]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02-11-29
[346] 웹사이트 Korea Martial Arts Federation https://web.archive.[...]
[347] 웹사이트 프로스포츠, 흥행 봄날 오나…야구·축구 인기몰이 중 http://news1.kr/arti[...] EBN 2015-03-17
[348] 웹사이트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 Gallup.co.kr 2009-05-20
[349] 서적 Handbook of Korea, 11th ed Hollym
[350] 웹사이트 S. Korean Game Developer NCsoft Interested in Pro Baseball https://web.archive.[...] 2010-12-21
[351] 뉴스 Baseball comes roaring back to Seoul http://www.koreahera[...] 2013-10-25
[352] 뉴스 Professional baseball rising in popularity http://english.hani.[...] 2011-04-21
[353] 웹사이트 나라지표-프로스포츠 관중현황 http://www.index.go.[...] 2016-01-26
[354] 뉴스 Japan beats South Korea to be Baseball Champions https://www.wsj.com/[...] 2009-03-24
[355] 뉴스 South Korea takes Olympics baseball gold http://latimesblogs.[...] 2008-08-23
[356] 웹사이트 FIBA Asia Competition Archives http://www.fibaasia.[...] International Basketball Federation FIBA 2011-09-26
[357] 웹사이트 Asia League Ice Hockey official site http://www.alhockey.[...] alhockey.com
[358] 웹사이트 Dextro Energy International Triathlon Union World championship Series Seoul http://seoul.triathl[...]
[359] 웹사이트 2011 World Championships Results http://www.superspor[...] MultiChoice (Pty) Ltd
[360] 웹사이트 2013 Formula 1 Korean Grand Prix http://www.formula1.[...] 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 Limited
[361] 웹사이트 New Jersey, Mexico, and Korea dropped from 2014 F1 calendar https://www.bbc.com/[...] BBC Sport 2013-12-04
[362] 웹사이트 Horse Racing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3
[363] 서적 Korea's Online Gaming Empire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364] undefined
[36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eb.archive.[...] IMF 2022-04
[366] 웹사이트 https://www.imf.org/[...]
[367] 웹사이트 https://www.imf.org/[...]
[368] 웹사이트 https://www.imf.org/[...]
[369]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IMF
[370] undefined
[371] 웹사이트 대한민국국기법 https://www.law.go.k[...] 2022-02-21
[372] 웹사이트 日本の領土データ https://www.mofa.go.[...] 2022-06-22
[373] 웹사이트 세계의 숲률 랭킹, 세계의 경작지 면적률 국가별 랭킹·추이 http://www.globalnot[...]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374] 뉴스 우리나라 인구 절반은 수도권에 산다…10가구 중 셋은 ‘나홀로 가구’ https://www.hani.co.[...] 2022-06-24
[375] 웹사이트 Global Wealth GDP Nominal Distribution: Who Are The Leaders Of The Global Economy? - Full Size https://web.archive.[...] 2022-06-22
[376] 웹사이트 GDP, current prices https://www.imf.org/[...] IMF 2021-03-08
[377] 웹사이트 パリクラブ英語版ホームページ https://clubdeparis.[...] Paris Club 2022-05-15
[37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2 https://www.imf.org/[...] IMF 2022-06-21
[379] 웹사이트 Exports 2021 Country Ranks, by Rank https://stats.wto.or[...] 2022-06-24
[380] 웹사이트 新興国とはどこの国? 中国は新興国or先進国? 新興国に明確な定義はないってホント? https://web.archive.[...] Dijima 2022-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381] 웹사이트 製造業の競争力 韓国は世界3位 ドイツ・中国に次ぐ https://world.kbs.co[...] KBS 2021-03-08
[382] 웹사이트 韓国統計局 KOSIS国家統計情報サービス 『2024年家計金融福祉調査結果』(2023年度データ分) 公開日:2024-12-09 https://kostat.go.kr[...] 大韓民国 統計局 2024-12-11
[383]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2022
[384] 웹사이트 韓国統計局調べ(2022年度分) 公開日:2024年2月27日 https://kostat.go.kr[...] 大韓民国 統計局 2024-12-11
[385] 웹사이트 韓国統計局調べ(2022年度分) 公開日:2024年2月27日 https://kostat.go.kr[...] 大韓民国 統計局 2024-12-11
[386] 뉴스 自殺率OECD1位は韓国…米国6位、日本は? https://web.archive.[...] 朝鮮日報 2021-10-15
[387] 웹사이트 マンション価格が平均1億円超 「ヘル朝鮮」韓国若者は保守化した https://www.asahi.co[...] 2022-06-22
[388] 웹사이트 人間開発報告書 2021-2022年版 https://www.undp.org[...] 2022-09-26
[389] 웹사이트 世界の大学進学率 国別ランキング・推移 https://www.globalno[...] 2022-07-13
[390] 웹사이트 科学技術指標2024 https://www.nistep.g[...] 2024-11-13
[391] 웹사이트 科学技術指標2024 https://www.nistep.g[...] 2024-11-13
[392] 웹사이트 世界の知的財産指標2024 公開日:2024年11月7日 https://www.wipo.int[...] 世界知的所有権機関(WIPO) 2024-12-11
[393] 웹사이트 '대한민국' 국호의 결정 (충남지역신문협회) http://cafe.naver.co[...]
[394] 기타
[395] 기타
[396] 웹사이트 「韓国」「北朝鮮」と呼ぶわけは? https://www.jcp.or.j[...] 2004-01-15
[397] 기타
[398] 뉴스 北朝鮮、アジア大会で韓国へあからさまな敵対姿勢… http://webcache.goog[...] 読売新聞 2023-10-04
[399] 뉴스 北朝鮮が韓国を「大韓民国」と呼び始めたのはなぜなのか 朝鮮労働党機関紙から「わが民族」も消えた https://www.tokyo-np[...] 2023-07-31
[400] 뉴스 正恩氏、韓国の呼称を「南朝鮮」から「大韓民国」に…核攻撃の対象と示す意図か https://www.yomiuri.[...] 2023-09-06
[401] 뉴스 北朝鮮 キム・ヨジョン氏が「新年のメッセージ」で韓国を挑発 https://www3.nhk.or.[...] 2024-02-26
[402] 뉴스 金与正が岸田首相に助けを求めた理由 最大の要因は「最後の同盟国」の裏切り https://www.dailyshi[...] 2024-02-26
[403] 텍스트
[404] 텍스트
[405] 텍스트
[406] 웹사이트 カイロ宣言 https://www.ndl.go.j[...]
[407]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408] 뉴스 日本政府、南北共闘を警戒 板門店宣言「民族共同行事」で 慰安婦・徴用工問題が再燃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5-06
[409] 간행물 韓国の憲法事情 諸外国の憲法事情3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410] 뉴스 今日の歴史(9月9日) http://japanese.yonh[...] 2009-09-09
[411]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412] 서적 国際政治のなかの韓国現代史 山川出版社 2012
[413] 서적 国際政治のなかの韓国現代史 山川出版社 2012
[414] 서적 国際政治のなかの韓国現代史 山川出版社 2012
[415] 서적 国際政治のなかの韓国現代史 山川出版社 2012
[416] 일반
[417] 웹사이트 国定教科書の「1948年建国」は抗日・臨時政府の否定 http://japan.hani.co[...] 2015-11-09
[418]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419] 서적 国際政治のなかの韓国現代史 山川出版社 2012
[420]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421]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422] 뉴스 韓ソが国交樹立 富山新聞 1990-10-02
[423] 웹사이트 野党第1党候補が第20代大統領に当選、5年ぶりに保守政党の政権へ https://www.jetro.go[...] 2024-01-14
[424] 웹사이트 韓国戒厳令、2時間半で効力失う 尹大統領は弾劾危機で窮地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12-04
[425] 웹사이트 韓国 ユン大統領の弾劾議案可決 職務停止 妥当性判断へ https://www3.nhk.or.[...] 2024-12-15
[426] 뉴스 韓国首相の弾劾訴追案を可決 副首相が「大統領代行の代行」に https://mainichi.jp/[...] 2024-12-27
[427] 웹사이트 「李承晩ライン」で韓国が繰り広げたこと https://ironna.jp/ar[...] 2019-09-02
[428] 뉴스 今日の歴史(1月7日) http://japanese.yonh[...] 2009-01-07
[429] 웹사이트 최소 60만명, 최대 120만명! http://legacy.h21.ha[...] 2019-09-02
[430] 웹사이트 8.「李承晩ライン」の設定と韓国による竹島の不法占拠 https://www.mofa.go.[...] 外務省 2012-08
[431] 웹사이트 今日の歴史(8月18日)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2-09-21
[432] 웹사이트 韓国軍の蛮行伝える「ライダイハン像」 文政権はどう応える https://www.news-pos[...] 2019-09-02
[433] 서적 文京洙『韓国現代史』
[434] 웹사이트 韓国、IMFへの救済要請から20年…その不吉な予感が再来した(1) https://japanese.joi[...] 2017-11-21
[435] 뉴스 アフガン派遣部隊が14日に帰国、完全撤収完了 http://app.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09-21
[436] 웹사이트 韓国・長城に「平和の少女像」 来月の慰安婦記念日に除幕式 https://web.archive.[...] 2019-09-02
[437] 뉴스 GSOMIA「協定終了を停止」韓国政府が日本政府に伝える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19-11-22
[438] 웹사이트 韓国大統領府「GSOMIA終了通告」効力停止=WTO提訴手続き中止 https://jp.yna.co.kr[...] 2019-11-22
[439] 웹사이트 韓国の人口、初めて減少に転じる 政府予想より9年早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7-29
[440] 웹사이트 韓国社会が大揺れ、「接待文化」と決別できるか 劇薬「金英蘭法」が突き付ける究極の選択 https://toyokeizai.n[...]
[441] 웹사이트 建設が進む韓国行政中心複合都市 大韓民国(ソウル、セジョン) https://www.mlit.go.[...] 2022-02-21
[442] 뉴스 「通訳めぐり法廷混乱 「二股」は「かけはし」、「志願」は「しえん」と誤訳 国際化対応に遅れ」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443] 뉴스 韓国検察、2ちゃんねるの書き込みを証拠として提出 記事は「大統領の名誉を傷つける意図」 https://archive.is/2[...] 産経ニュース
[444] 뉴스 検察の強引手法に批判も 15日には大統領府元秘書官「無罪」 地元紙「最初から間違った起訴だった」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6-10-24
[445] 뉴스 韓国・名誉毀損罪、「告訴数」増加だが、起訴率は低下…公判で無罪のケースも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446] 뉴스 「政権意向や世論動向に影響されやすい韓国の司法判断 判決出る10月の日韓関係が重要な要素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447] 웹사이트 性暴力犯罪の処罰などに関する特例法 第20条(「刑法」上減軽規定に関する特例) https://www.law.go.k[...] 国家法令情報センター 2023-09-28
[448] 뉴스 韓国社会、いつまで酔っ払いたちの犯罪を大目に見続けるのか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449] 웹사이트 韓国統計局 KOSIS国家統計情報サービス 『2024年家計金融福祉調査結果』(2023年度データ分) 公開日:2024-12-09 https://kostat.go.kr[...] 大韓民国 統計局 2024-12-11
[450] 웹사이트 Exports 2021 Country Ranks, by Rank https://stats.wto.or[...] 2022-06-24
[451] 웹사이트 製造業の競争力 韓国は世界3位 ドイツ・中国に次ぐ https://world.kbs.co[...] KBS 2021-03-08
[452] 웹사이트 韓国サムスン、半導体売上高で3年ぶり首位 インテル抜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5-12
[453] 웹사이트 2021年の世界スマートフォン出荷台数、韓国サムスン首位 https://japan.cnet.c[...] cnet 2022-05-12
[454] 웹사이트 世界テレビ市場で韓国サムスン・韓国LGエレクトロニクスがシェアの半分を占める https://japanese.joi[...] 日本経済新聞 2022-05-12
[455] 웹사이트 家電業界の市場シェア、韓国企業が1位と2位を独占。韓国勢約25パーセントのシェア。 https://deallab.info[...] deallab 2022-05-12
[456] 웹사이트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의 경제 복잡성 https://oec.world/en[...] 2022-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00으로 설정
[457] 간행물 韓国の経済成長に果たした円借款の役割 https://www.jica.go.[...] 国際協力機構 2004-07-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일단 월까지만 표기
[458] 웹사이트 # 또는 논문으로 분류 가능 韓国の経済発展の軌跡 https://megalodon.jp[...] 立命館大学 2006-07-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일단 월까지만 표기
[459] 뉴스 韓国政府に無償提供資金返還と補償求め提訴 https://web.archive.[...] 朝鮮日報 2017-08-14
[460] 뉴스 元徴用工ら韓国政府に賠償請求、無償提供金をめぐり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7-08-14
[461]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Overview http://www.worldbank[...] 2014-04-28
[462] 서적
[463] 웹사이트 韓国の経済発展の軌跡 https://megalodon.jp[...] 立命館大学 2006-07
[464] 웹사이트 成長率低下政府は緊急対策を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02-27
[465] 뉴스 大卒者の正規雇用就職率48{{nbsp}}%、3年連続で低下 http://www.wowkorea.[...] wawkorea 2008-09-25
[466] 웹사이트 専門家に聞く韓国のサンドイッチ現象、原因は何?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02-27
[467] 웹사이트 最低賃金「韓国の大失敗」俗説を信じる人の短絡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3-01-21
[468] 웹사이트 [2020년 주거실태 조사] 최소주거기준 미달가구 6년만에 4%대 추락 https://www.fnnews.c[...] 2021-09-08
[469] 뉴스 국민 500만명은 지하·옥탑방·쪽방에 산다 http://news.khan.co.[...] 慶南新聞 2013-02-05
[470] 뉴스 「財閥の娘たち」がパン屋を突然閉めた理由 韓国財閥に批判噴出「企業ばかりが儲けすぎ」 http://business.nikk[...] nikkeiBP 2012-02-07
[471] 웹사이트 サムスンの売り上げ規模…「韓国GDPの約14%」を占める https://www.wowkorea[...] エイアイエスイー株式会社 2023-09-28
[472] 웹사이트 韓国サムスンが日本人技術者引き抜き加速、人材戦略弱い国内勢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09-08
[473] 웹사이트 [単独]現代車販売量史上初の「世界3位」 https://www.asiae.co[...] Steam Charts 2022-01-17
[474] 웹사이트 Hyundai Motor's IONIQ 5 is Selected for German Car of the Year 2022. https://carbing.in/h[...] 2022-01-17
[475] 웹사이트 韓国の自動車産業及び市場動向とその将来展望 http://www.jama.or.j[...] 日本自動車工業会 2001-03
[476] 웹사이트 米控訴裁、韓国現代自・起亜の燃費訴訟和解は有効と判断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03-08
[477] 뉴스 現代自、デザインと品質向上努力が実り躍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05-08
[478] 웹사이트 韓国のディスプレイはなぜ日本を抜かしたのか https://www.jstage.j[...] 2022-04-09
[479] 웹사이트 Cyworld # URL 정보 없음
[480] 웹사이트 OhmyNews # URL 정보 없음
[481] 웹사이트 2001년 이후 삼성건설의 건물 기울어짐 사례 및 이후 건축 기준 강화
[482] 웹사이트 세계 최첨단을 걷는 한국 조선 메이커(하)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6-12-27
[483] 웹사이트 한국, 플랜트 수출 300억 달러 시대의 개막(상) http://www.chosunonl[...] 2007-11-27
[484] 웹사이트 한국, 플랜트 수출 300억 달러 시대의 개막(하) http://www.chosunonl[...] 2007-11-27
[485] 뉴스 해양 플랜트 국산화율, 겨우 20%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1-06-25
[486] 뉴스 수주 실적 겨우 10%, 조선 불황에 돌입할까 http://news.nna.jp/f[...] NNA.ASIA 2009-12-09
[487] 뉴스 조선 수주량·수주잔량, 처음으로 중국을 하회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01-12
[488] 뉴스 조선: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준 한국, 그 진실은 무엇인가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0-08-01
[489] 뉴스 한국, 세계 3위 무기 수입국 내년에도 증액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07
[490] 뉴스 한국산 무기가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조선일보 2011-04-07
[491] 웹사이트 韓国富川金型事業共同組合のご紹介 http://www.ipros.jp/[...]
[492] 웹사이트 韓国の輸出支えるメカトロニクス産業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02-27
[493] 웹사이트 鉄鋼技術の流出訴訟が終結 新日鉄住金と元社員が和解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9-08
[494] 웹사이트 韓国証券業界大再編? 上位4社が相次ぎ身売り(2014年) https://jbpress.isme[...]
[495] 웹사이트 Korean-made KF94 masks gaining popularity in US https://www.korea.ne[...] 2022-01-17
[496] 웹사이트 2021年の農産品輸出目標は81億ドル、輸出拡大戦略を策定 https://www.jetro.go[...] JETRO 2022-10-04
[497] 뉴스 狙われる日本ブランド 中国・韓国でイチゴやブドウ高級品種の無断栽培が横行 対策はあるの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7-07-04
[498] 뉴스 【独自】日本の高級ブドウなぜ“韓国産”? 無断栽培か 直撃に「大目に見て」 https://web.archive.[...]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1-08-09
[499] 뉴스 「シャインマスキャット」続いて「マイハート」まで… また日本品種違法流入 https://v.daum.net/v[...] 農民新聞 2022-11-18
[500] 뉴스 サツマ「べにはるか」無断流通 韓国で拡大 栽培面積の4割 輸出競合に懸念 https://web.archive.[...] 日本農業新聞 2020-11-15
[501] 웹사이트 日本の果物品種の韓国流出はここまで、中国で「自主開発が必要」と強調―中国メディア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 2022-10-04
[502] 웹사이트 日本が開発したが…韓国産シャインマスカットが中国・ベトナムで人気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1-07-05
[503] 웹사이트 社説:種苗法改正 懸念解消へ随時見直せ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社 2021-07-08
[504] 웹사이트 「あまおう」など種苗の海外持ち出し禁止 農水省リス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7-08
[505] 간행물 国内育成品種の海外への流出状況について p.2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506] 간행물 日本国 農林水産省 第2回 農林水産省・経済産業省知的財産連携推進連絡会議 配布資料3 農林水産省における平成20年度知的財産関連施策の概要(平成20年3月)p.24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507] 웹사이트 '설향'은 한국 딸기...농진청 "일본 '종자 훔쳤다'는 주장 사실 아냐"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2-09-09
[508] 웹사이트 Chadwick International School Songdo https://www.isi.go.k[...] NRF 2021-03-08
[509] 웹사이트 “本書における用語等の意義は、次のとおりである https://www.npa.go.j[...] 警察庁 2022-09-09
[510] 웹사이트 “1)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전국) https://kosis.kr/sta[...] 2022-09-09
[511] 웹사이트 自殺者も…韓国・性犯罪者監視の「GPS足輪」“成果と課題” https://www.fnn.jp/a[...] フジテレビ 2022-09-09
[512] 웹사이트 South Korea International Travel Information https://travel.state[...] 2021-08-04
[513] 웹사이트 Foreign travel advice South Korea https://www.gov.uk/f[...] イギリス外務省 2021-08-04
[514] 웹사이트 韓国 国防費を大幅増 自主防衛にシフト 文政権、米との関係苦慮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0-06-29
[515] 웹사이트 「兵長様は王様」韓国の兵役中にもっとも嫌がられる内務班の“集団生活”とは https://bunshun.jp/a[...] 週刊文春 2020-01-28
[516] 웹사이트 韓国政府高官らの息子16人、韓国国籍捨て外国人に…兵役逃れか https://web.archive.[...]
[517] 뉴스 米韓、戦時作戦統制権移譲を再延期 韓国国防相「20年代半ば」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4-10-24
[518] 뉴스 朴元大統領、78年まで核開発推進か CIA文書 http://www.wowkorea.[...] WoW!Korea 2014-04-29
[51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20] 웹사이트 https://japanese.joi[...]
[52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22] 뉴스 北朝鮮、ソウルとワシントンを「火の海にする」と威嚇(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3-07
[523] 뉴스 北朝鮮、ソウルとワシントンを「火の海にする」と威嚇(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3-07
[524] 웹사이트 천안함, 북파공작원 그리고 ‘국가의 거짓말’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0-06-19
[525] 서적 北朝鮮を知るための51章 明石書店 2006-03-31
[526] 서적 北朝鮮――変貌を続ける独裁国家 中央公論新社 2013-05-25
[527] 서적 北朝鮮を知るための51章 明石書店 2006-03-31
[528] 서적 北朝鮮――変貌を続ける独裁国家 中央公論新社 2013-05-25
[529] 서적 北朝鮮を知るための51章 明石書店 2006-03-31
[530] 뉴스 韓国、北朝鮮に人道支援へ 3億円規模、関係改善を模索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4-11
[531] 뉴스 北朝鮮、中韓関係の情報収集を指示 急接近に警戒強め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4-11
[532] 뉴스 中国、血盟北朝鮮のAIIB加入要請を拒否した理由とは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5-03-31
[533] 뉴스 朴・韓国大統領:中国で厚遇 習氏らと並んでパレード観覧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9-04
[534] 웹사이트 対中投資:韓国、日本を抜いて1位に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11-30
[535] 뉴스 中国「世界の工場」に陰り…韓国続々撤退/台湾は南アへ https://web.archive.[...] フジサンケイ ビジネスアイ 2008-01-30
[536] 뉴스 参加の韓国「中国が透明性確保を表明」 北朝鮮開発にも期待感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3-27
[537] 뉴스 ロシア・韓国首脳、習氏と並び厚遇 中国軍事パレード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09-03
[538] 뉴스 韓国に最新ミサイルTHAAD、米韓が配備決定 http://www.yomiuri.c[...] 2016-07-08
[539] 뉴스 中国「強烈な不満」…在韓米軍へTHAAD配備 http://www.yomiuri.c[...] 2016-07-08
[540] 뉴스 中国、韓国との国交正常化記念式典の共催拒否 http://www.yomiuri.c[...] 2017-08-24
[541] 뉴스 中国との国交正常化25年も祝賀ムードなし 関係改善に苦心=韓国 http://japanese.yonh[...] 2017-08-24
[542] 서적 国会社会主義の成立 明石書店 2006-03-31
[54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jetro.go.[...]
[544] 웹사이트 韓国 軍も企業もベトナム参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08-01-28
[545] 서적 韓国現代史 岩波書店
[546] 일반
[547] 뉴스 두 美軍慰安婦 身勢悲觀自殺(釜山) http://ws.donga.com/[...] 1957-07-21
[548] 뉴스 亞洲第二毒感 韓國에도 侵入 一次보다 더 惡性保健當局警告 全國에 蔓延할 氣勢//이미 三百餘名 感染 釜山서 猖獗一路 美軍慰安婦로부터 傳染된 듯 http://ws.donga.com/[...] 1957-11-29
[549] 뉴스 Ex-Prostitutes Say South Korea and U.S. Enabled Sex Trade Near Bases https://www.nytimes.[...] 2009-01-08
[550] 뉴스 【社説】国際的な恥、韓国の売買春 https://japanese.joi[...] 2002-10-18
[551] 뉴스 Openly revealing a secret life http://joongangdaily[...] 2005-07-31
[552] 뉴스 Former sex workers in fight for compensation http://joongangdaily[...] 2008-10-30
[553] 뉴스 韓国が対米不和に苦慮、対北協調で修復狙うが…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5-04-10
[554] 웹사이트 http://www.chosunonl[...]
[555] 웹사이트 米議会「在韓米軍の規模維持」に合意、バイデン氏の意向を反映か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1-07-29
[556] 웹사이트 我が国は、五についてで述べた点を踏まえ、これまで北朝鮮を国家承認していない。— 衆議院議員鈴木宗男君提出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を巡る国家承認、政府承認に関する再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557] 웹사이트 第50回国会 衆議院 日本国と大韓民国との間の条約及び協定等に関する特別委員会 第6号 昭和40年10月29日 https://kokkai.ndl.g[...]
[558] 웹사이트 韓国は本当に「国が割れている」のか? (下)文政権の失敗と韓国社会に必要な「癒やし」とは https://news.yahoo.c[...]
[559] 웹사이트 無意味な反日活動を蒸し返す韓国「共に民主党」の正体 https://ironna.jp/ar[...]
[560] 뉴스 なぜ韓国は、中国のように「日本敵視」を強めているか {{!}} 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http://president.jp/[...] 2015-08-10
[561]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Pew Research Center Asian Views of Each Other Report FINAL http://www.pewglobal[...] 2018-06-03
[562] 웹사이트 最近の日韓関係 平成28年3月 外務省 北東アジア課 https://www.mofa.go.[...] 2018-06-03
[563] 뉴스 訪中でわかった韓国・朴大統領の「歴史感覚」 日本はうんざり!深まるミゾ (1/2ページ) https://www.zakzak.c[...] 2013-07-06
[564] 웹사이트 undefined http://japanese.dong[...] 2015-04-28
[565] 뉴스 拷問・戦争・独裁逃れ…在日女性60年ぶり済州島に帰郷へ http://www.asahi.com[...] 2008-03-29
[566] 간행물 朝鮮戦争と日本の関わり―忘れ去られた海上輸送―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防衛研究所戦史部石丸安蔵
[567] 논문 朝鮮戦争と日本の対応:山口県を事例として https://www.nids.mod[...] 東京 : 防衛省防衛研究所 2006-03
[568] 웹사이트 第023回国会 衆議院法務委員会 第3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1950-12-08
[569] 웹사이트 「石見タイムズ」が語る李承晩ライン https://www.pref.shi[...] 島根県
[570] 서적 「韓国への戦後賠償はまだ済んでいない」と言われたら 2006-04
[571] pdf 日本国と大韓民国との間の基本関係に関する条約 https://www.mofa.go.[...]
[572] 웹사이트 日韓請求権並びに経済協力協定(財産及び請求権に関する問題の解決並びに経済協力に関する日本国と大韓民国との間の協定) http://www.ioc.u-tok[...]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10-05-19
[573] 뉴스 徴用被害者の未払い賃金請求は困難、政府が立場表明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8-14
[574] 서적 韓国現代史
[575] 웹사이트 アジア通貨危機に学ぶ -短期資金移動のリスクと21世紀型通貨危機― 参考資料 20.我が国のアジア支援について http://www.mof.go.jp[...] 外務省 2010-06-01
[576] 웹사이트 論点1: アジア通貨危機発生時の我が国による支援は適時適切であったのか。 http://www.mof.go.jp[...] 外務省 2010-06-01
[577] 웹사이트 斉藤国雄IMFアジア・太平洋地域事務所長 http://www.mof.go.jp[...] 2010-06-18
[578] 뉴스 読売新聞 2007-08-13
[579] 웹사이트 日帝植民支配協力者の財産調査を終了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07-14
[580] 뉴스 「加害者と被害者の立場は千年経っても変わらない」 http://japanese.dong[...] 東亞日報
[581] 웹사이트 https://www.recordch[...]
[582] 웹사이트 https://www.recordch[...]
[583] 뉴스 靖国放火男引き渡し拒否 安倍首相「極めて遺憾。強く抗議する」 http://www.fnn-news.[...] FNNニュース 2012-01-04
[584] 웹사이트 内閣官房長官記者会見 平成25年3月12日(火)午前 https://www.kantei.g[...]
[585] 뉴스 韓国と「基本的な価値を共有」削除へ…外交青書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5-04-05
[586] 뉴스 【2018平昌五輪】“日本消滅”の公式ホームページに一転、列島復活 「急いで直した」ツイッターで動揺広がる(1/2ページ)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 2017-09-27
[587] 뉴스 【2018平昌五輪】“日本消滅”の公式ホームページに一転、列島復活 「急いで直した」ツイッターで動揺広がる(2) http://www.sankei.co[...] 産経デジタル 2017-09-27
[588] 웹사이트 平昌五輪HP地図に日本列島ない 政府抗議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1-07-29
[589] 웹사이트 「日本中心の奇異な政策」「中露朝を敵対視」韓国野党6党、弾劾訴追で尹氏の日本接近批判 https://www.sankei.c[...] 2024-12-16
[590] 웹사이트 「価値外交」、弾劾案から削除 野党李代表が指示―韓国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4-12-13
[591] 뉴스 【追跡〜ソウル発】韓国、世界規模で“ディスカウント・ジャパン”運動 漫画祭、ユネスコ… https://megalodon.jp[...] zakzak 2014-01-18
[592] 뉴스 「中華世界」復活を喜ぶ韓国人 韓国の異様な行動を岡本隆司准教授と読む(2)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13-06-20
[593] 뉴스 日本の力落ちたと李大統領 竹島上陸、66{{nbsp}}%が評価 https://web.archive.[...] 47NEWS 2012-08-13
[594] 뉴스 <民論団論>目をそらすな「慰安婦」問題 米下院決議案採択の意味と課題 国際世論の日本政府指弾続く http://www.mindan.or[...] 在日本大韓民国民団 2007-08-29
[595] 뉴스 慰安婦問題関連の世界連帯集会、光復節に開催 http://japanese.yonh[...] 2007-08-06
[596] 뉴스 "謝罪せよ!"ベルリンに響いた'700回要求集会'-オーマイニュース http://www.ohmynews.[...] 2006-03-16
[597] 뉴스 韓国女性家族部関係者、在日婦人会と懇談 http://www.mindan.or[...] 在日本大韓民国民団 2006-12-20
[598] 뉴스 慰安婦問題訴える世界連帯集会、12日ワシントンで http://japanese.yonh[...] 2009-08-11
[599] 웹사이트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http://en.wikisource[...] wikisource
[600] 뉴스 慰安婦집서 變死 美兵이 阿片맞고(仁川) http://ws.donga.com/[...] 1959-07-10
[601] 뉴스 朝鮮戦争時の韓国軍にも慰安婦制度 韓国の研究者発表 http://www.asahi.com[...] 2002-02-24
[602] 뉴스 「米国に日本軍慰安婦追慕碑」在米同胞高校生が設立を推進 https://japanese.joi[...] 2010-05-13
[603] 뉴스 「慰安婦問題忘れない」、在米同胞が追慕碑設立推進 http://japanese.yonh[...] 2009-08-03
[604] 웹사이트 【コラム】日本大使館の前の少女像(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12-16
[605] 웹사이트 慰安婦は平行線=大統領「障害」、決着済みと首相―未来志向で一致・日韓首脳 http://jp.wsj.com/Ja[...]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日本版 2011-12-18
[606] 뉴스 従軍慰安婦を侮辱した書き込みで検挙…日本留学中に洗脳か=韓国 http://news.searchin[...] 2010-12-09
[607] 뉴스 放通審議委"親日称賛サイト制裁する" http://www.mt.co.kr/[...] マネートゥデイ 2012-08-31
[60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09] 뉴스 韓国議長「天皇は戦犯の息子」謝罪要求の音声が公に https://www.asahi.co[...] 2019-02-13
[610] 뉴스 「日本は盗人猛々しい」 天皇謝罪要求の韓国国会議長 https://www.sankei.c[...] 2019-02-18
[611] 뉴스 三一節にNYタイムズスクエア「独島広告」 https://japanese.joi[...] 2010-03-01
[612] 뉴스 在外同胞が「独島広報」の先鋒に、紙媒体や映像活用 http://japanese.yonh[...] 2010-03-15
[613] 뉴스 "韓国の歴史カリフォルニア教科書に反映" 再推進 http://www.koreatime[...] 2012-03-20
[614] 뉴스 「東海」を世界に知らせた韓国のサイバー外交使節団「VANK」(1) http://japanese.join[...] 2012-09-06
[615] 뉴스 米バージニア州で「日本海」「東海」併記の法律成立 http://www3.nhk.or.j[...] 2014-04-03
[616] 뉴스 반크,‘일본 디스카운트’ 운동 http://www.munhwa.co[...] 2005-03-25
[617] 뉴스 日本のLA独島広告撤去要求、政府は「強く対応」方針 http://japanese.yonh[...] 2010-04-14
[618] 웹사이트 韓国大陸棚、「沖縄トラフまで」追加主張 対日圧力強化狙い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2-12-27
[619] 웹사이트 https://www.recordch[...]
[620] 웹사이트 http://www.focus-asi[...]
[621] 논문
[622] 목록
[623] 목록
[624] 목록
[625] 목록
[626] 목록
[627] 논문
[628] 논문
[629] 뉴스 対馬で盗難の仏像「返還ダメ」=地裁が仮処分、外交摩擦も-韓国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3-02-26
[630] 뉴스 日本・イギリス・オーストラリアも「韓国発表強力支持」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05-21
[631] 뉴스 【鳩山ぶら下がり】韓国哨戒艦沈没で安保理決議「日本が先頭で走る」(20日夜) http://sankei.jp.msn[...] 2010-05-20
[632] 웹사이트 もはや隠しようもない韓国・文在寅の「独裁気質」 http://jbpress.ismed[...] JB press 2019-02-15
[633] 웹사이트 対日貿易赤字が再拡大 輸出不振、不買運動も下火 https://world.kbs.co[...] KBS 2021-03-08
[634] 웹사이트 国交正常化後50年以上続く対日貿易赤字 累計65兆円超=韓国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3-08
[635] 웹사이트 「韓国、世界で稼いだ金の半分以上が日本に流出」 LG経済研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7-01-28
[636] 웹사이트 한국, 무역흑자 1위 중국→홍콩…무역적자 1위는 일본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21-03-08
[637] 웹사이트 G20、円安攻撃に“けん制”だけ…韓国が提起した円切り下げ問題は明示されず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2-18
[638] 웹사이트 G20会合、日本の円安政策に「免罪符」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13-04-20
[639] 웹사이트 RCEP、国会で承認 世界経済3割の巨大貿易圏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1-07-05
[640] 웹사이트 「韓国が厳しい時、日本が最も遅く外貨融通」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7-07
[641] Twitter 片山さつき https://x.com/kataya[...] 2011-08-30
[642] 웹사이트 38년만에 부친 혈육 만난 라이따이한 https://www.yna.co.k[...] 2024-08-11
[643] 웹사이트 韓国軍のベトナム虐殺を扱った『最後の子守歌』、ベトナム国営VTVドキュメンタリー賞 http://japan.hani.co[...]
[644] 웹사이트 韓国軍のベトナム民間人虐殺、「徴用工」に重なる判決認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8-11
[645] 웹사이트 韓国とベトナム、戦略的協力パートナー関係に格上げ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7-29
[646] 웹사이트 韓国でも外国人労働者が増加傾向―外国人労働者増加のきっかけとなった雇用許可制の現状と課題を探る― https://www.nli-rese[...] ニッセイ 2020-01-28
[647] 웹사이트 ベトナム首相「韓国企業の持続的投資を期待」 http://www.chosunonl[...]
[648] 웹사이트 ベトナム・韓国FTAが発効 https://www.jetro.go[...] JETRO 2021-07-29
[649] 웹사이트 ベトナム、新型コロナで入国規制もサムスンは優遇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5-08
[650] 웹사이트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서 우리가 최소한은 알아야할 것들 (상) https://www.mk.co.kr[...] 毎日経済新聞 2021-03-08
[651] 웹사이트 출입국통계 https://www.moj.go.k[...] 한국법무부 2021-07-05
[652] 기타
[653] 기타
[654] 기타
[655] 웹사이트 韓国で「ソウルと地方の格差」がどんどん拡大中…そのウラで日本から“輸入”された「まさかの解決策」(河 昇彬) @moneygendai https://gendai.media[...] 2024-07-12
[656] 웹사이트 韓国に暮らす在留外国人、18年に200万人突破 http://world.kbs.co.[...] KBS 2020-01-28
[657] 간행물 undefined http://www.clair.or.[...] 財団法人自治体国際化協会
[658] 뉴스 農村男性の36{{nbsp}}%が国際結婚 韓国、深刻な嫁不足で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6-04-02
[659] 웹사이트 青少年の4割超 国家機関や公企業への就職希望=韓国統計 https://jp.yna.co.kr[...] 聯合新聞 2020-05-09
[660] 웹사이트 韓国の新生児100人に6人は多文化家庭の子ども https://japan.hani.c[...] ハンギョレ 2023-09-28
[661] 웹사이트 연도별 주요 국적별 외국인 현황 https://www.moj.go.k[...] 법무부 2022-10-04
[662] 웹사이트 No 'real' Chinatown in S. Korea, the result of xenophobic attitudes http://english.hani.[...] 한겨레 2022-10-04
[663] 웹사이트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수 첫 감소… 외국적동포 수는 4만명 증가 https://www.worldkor[...] 2022-10-04
[664] 뉴스 初等教科書、高麗の時「23万帰化」言及もしない http://news.nate.com[...] 경향신문 2007-08-21
[665] 간행물 권두논단 국민의식 선진화가 시급하다 http://www.sdjs.co.k[...] 시대정신 2015-09
[666]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Journal of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Vol.5 동아시아문화교섭학회 2014
[667] 서적 韓洪九の韓国現代史 韓国とはどういう国か 평범사 2003-12-17
[668] 웹사이트 수화언어, 한국어와 대등한 공용어로 인정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1-04
[669] 웹사이트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South Korea http://www.globalrel[...] Pew Research Center 2010
[670] 웹사이트 Religions https://www.cia.gov/[...] CIA 2021-09-08
[671] 일반
[672] 뉴스 한국의 거대 기독교회, 세습めぐり 논쟁 촛불ともす 항의 집회도 https://www.afpbb.co[...] 2018-09-29
[673] 뉴스 한국의 교단 신자 수백 명, 피지에서 신변이 위험해짐 지도자는 감금 혐의로 체포 https://www.cnn.co.j[...] 2018-08-26
[674] 뉴스 신자를 감금하고 의식이라고 해서 폭행 컬트 교단의 한국인 지도자를 체포 - 라이브도어 뉴스 http://news.livedoor[...] 2018-08-26
[675] 뉴스 한국에서 개를 숭배하는 종교 단체의 신자 3세 아이를 폭행해 사망시킴 - 라이브도어 뉴스 http://news.livedoor[...] 2018-08-26
[676] 뉴스 한국 대통령 선거 노후의 불안과 진행되는 저출산 선진국 최악의 고령 빈곤율, 과거 최저의 출산율 https://web.archive.[...] 東京新聞 2022-02-21
[677] 웹사이트 「저학력국 일본」의 대학 진학률은 한국의 3분의 2, 왜 이렇게 낮은가 https://news.yahoo.c[...] 2022-07-13
[678] 웹사이트 「저학력국 일본」의 대학 진학률은 한국의 3분의 2, 왜 이렇게 낮은가 https://diamond.jp/a[...] 2022-07-13
[679] 웹사이트 Positive Peace Index The most and least resilient countries in the world https://www.visionof[...] 2021-12-06
[680] 웹사이트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진입한 한국…일본보다 7년 짧음 http://japan.hani.co[...] (출판사 정보 없음) 2018-09-18
[681] 뉴스 「高齢化が最も速い韓国…老人貧困率もOECD1位」 https://megalodon.jp[...] 中央日報 2021-02-18
[682] 웹사이트 合計特殊出生率の推移 http://www2.ttcn.ne.[...]
[683] 뉴스 韓国の人口、初めて減少に転じる 政府予想より9年早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1-04
[684] 뉴스 韓国の出生率 去年0.72 過去最低を更新 8年連続で前年下回る https://web.archive.[...] NHK 2024-02-28
[685] 뉴스 韓国、23年の出生率0.72 8年連続減、世界最低水準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24-02-28
[686] 보고서 OECD Date Suicide rates OECD 2019-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687] 뉴스 '만인이 만인과 싸운다' 각자도생의 한국 사회 http://v.media.daum.[...] 京郷新聞
[688] 뉴스 お年寄りを敬う国・韓国で「高齢者の自殺」が異様に多いワケ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20-05-28
[689] 웹사이트 韓国・国土の16.7%が都市部…そこに住むのは国民の9割超 https://www.afpbb.co[...] AFP 2023-09-28
[690] 뉴스 【韓国の真実】自国民から外国人労働者まで… 実は差別だらけの韓国 https://www.zakzak.c[...] ZAKZAK 2013-07-07
[691] 웹사이트 【社説】40・50代に明日がない…自営業からも押し出される=韓国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7-24
[692] 웹사이트 「80歳までは…」 働かざるを得ない韓国の高齢者たち https://www.msn.com/[...] 2018-07-25
[693] 뉴스 廃止拾う高齢者が消えた理由 http://v.media.daum.[...] 2016-01-20
[694] 웹사이트 【コラム】ヘル朝鮮と地獄火半島をどうするつもりなのか(1)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7-25
[695] 웹사이트 退職の50代、「月700万保証」で創業も借金まみれ=韓国(1)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7-24
[696] 웹사이트 退職の50代、「月700万保証」で創業も借金まみれ=韓国(2)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7-24
[697] 웹사이트 名誉退職の30代、創業市場に集まる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7-24
[698] 뉴스 韓国の中年40代以後の“賃金絶壁”が深刻 http://japan.hani.co[...]
[699] 뉴스 「私の仕事は、求職者 」...会社員の平均退職年齢49歳 https://news.naver.c[...]
[700] 웹사이트 韓国に吹く「早退」旋風 https://www.asahi.co[...] 2018-07-24
[701] 뉴스 70歳まで働き続ける高齢者のつらい現実 https://megalodon.jp[...] 2018-07-24
[702]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21 OECD 2021-07
[703] 웹사이트 한국의 雇用問題、文在寅政権での改善は限定的 https://www.jetro.go[...] JETRO 2023-01-21
[704] 뉴스 3月失業率が4.5%に悪化 厳しい雇用状況=韓国 http://japanese.yonh[...] 2018-07-24
[705] 웹사이트 40-60代の4割、25歳以上の子を扶養=韓国(1)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japanese.join[...] 2018-07-24
[706] 웹사이트 厳しさ増す韓国の雇用 若者の失業率は10.5%でワースト更新 https://newsphere.jp[...] 2018-07-24
[707] 뉴스 韓国経済危機説の真相(後):データ・マックス NETIB-NEWS http://www.data-max.[...] 2018-07-24
[708] 뉴스 大卒就職率、日本98%・韓国67.7%-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b[...] 2018-05-23
[709] 웹사이트 40-60代の4割、25歳以上の子を扶養=韓国(2)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japanese.join[...] 2018-07-24
[710] 웹사이트 最悪の韓国青年失業率…世界金融危機水準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japanese.join[...] 2018-07-24
[711] 뉴스 【ビジネス解読】韓国はいま「大学は出たけれど」状態 「ヘル朝鮮」脱出へ若者は日本を目指す!?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8-02-05
[712] 뉴스 超学歴社会・韓国で「脱スペック」を訴える 元カリスマ予備校講師の「転身」(GLOBE+) - Yahoo!ニュース https://headlines.ya[...]
[713] 웹사이트 工事現場や宅配に追いやられる韓国の青年たち…単純労務職25万人で過去最大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714] 웹사이트 【中央時評】これからは若者を日本にやらなくてはならないのか=韓国(1)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715] 웹사이트 日本で就職した韓国人2万人越え…毎年大幅成長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716] 웹사이트 日本企業の扉たたいた韓国人インターン希望者、昨年の3倍に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717] 뉴스 생생경제] 소득보다 불로소득이 더 큰 불평등 이유] http://news.naver.co[...]
[718]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21 OECD 2021-10
[719] 뉴스 韓国、過酷な受験・就活戦争 「神の場所」求めて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11-08
[720] 뉴스 韓国の大学進学率、昨年71.3{{nbsp}}%…女子>男子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3-06-21
[721]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udent Enrollment Increased by 5 Percent in 2010/11, Led by Strong Increase in Students From China http://www.iie.org/W[...]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nc.
[722] 웹사이트 TOEFL受付、韓国だけ除外(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723] 웹사이트 “半地下”からの叫び 韓国大統領選・カギ握る若者たちの声 - クローズアップ現代+ https://www.nhk.jp/p[...] 2022-03-09
[724] 서적 『童蒙先習』総論末尾、1699年本、粛宗王序・宋時烈跋文
[725] 간행물 『正論』 2009-07
[726] 서적 국가・民族・私, 韓民族の進むべき道
[727] 뉴스 SBSスペシャル 韓日併呑100周年特集歴史戦争 https://megalodon.jp[...] 聯合ニュース 2010-08-26
[728] 뉴스 【その時の今日】永遠に癒やされない傷、庚戌国辱 https://megalodon.jp[...] 中央日報 2010-08-27
[729] 뉴스 초등 4~6학년 교과서, 단일민족・혈통 지나치게 강조 https://megalodon.jp[...] 京郷新聞 2007-08-21
[730] 뉴스 韓日不愉快な同伴者の歴史のなかに8人天皇ある https://megalodon.jp[...] 韓国 中央日報 2010-09-05
[731] 뉴스 「島国日本」と不適切発言 韓国駐日大使、与党も苦言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08-07-22
[732] 뉴스 日本人を「チョッパリ」と呼ぶのは何故なのか、あなたは知っていますか? https://megalodon.jp[...] デイリアン/Yahoo!Koreaニュース 2008-09-21
[733] 뉴스 糟糠の妻’日本中国猛非難“そんなやつらは周牢を課さなければならなくて” https://megalodon.jp[...] 中央日報 2008-09-28
[734] 뉴스 기고 일본에 맞대응 할 길을 찾아보자「日本に正面対抗する道を探してみよう 独島領有権問題提起 愛国民族愛の道考えてこそ」 https://megalodon.jp[...] 京畿新聞 2010-04-06
[735] 뉴스 チョッパリ'と豚足 https://megalodon.jp[...] ニューデイリー 2010-04-26
[736] 뉴스 日本、やっぱり答えは天罰にある! チョン・ジェハク編集委員 https://megalodon.jp[...] デイリアン 2012-08-18
[737] 참조 기성용
[738] 뉴스 愛国・反日、異様な熱狂 鬱陵島ルポ 島目指す日本人を厳戒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1-08-04
[739] 뉴스 サイテー韓国、日本人を犬・サル扱い…一触即発の最大侮辱 http://www.zakzak.co[...] 夕刊フジ 2011-08-23
[740] 참조 한국 기원설
[741] 서적 韓vs日「偽史ワールド」 小学館
[742] 뉴스 韓国悪ノリ「イチロー暗殺Tシャツ」なんと球団公認! http://www.zakzak.co[...] zakzak 2009-03-14
[743] 뉴스 猿のセレモニー人気キソンヨン、"旭日勝天見たら涙... https://megalodon.jp[...] 東亜日報 2011-01-26
[744] 뉴스 大韓サッカー協会「日本は韓国の優勝自販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6-01-30
[745] 방송 試合中継 テレビ朝日系列およびNHK BS1
[746] 뉴스 『韓国は本当に法治国家か… 戦時徴用訴訟で苦渋の決断迫られる日本企業 』 https://web.archive.[...] SankeiBiz 2013-08-18
[747] 웹사이트 세상을 보는 다른 눈 "뷰스앤뉴스" http://www.viewsnnew[...]
[748] 뉴스 高麗大学生51%「韓国が嫌い」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1-11-05
[749] 간행물 韓国の国籍法改正―限定的な重国籍の容認 http://www.ndl.go.jp[...] 国会国立図書館
[750] 간행물 兵役義務者の国外旅行案内パンフレット 韓国兵務庁 2014
[751] 웹사이트 영화『パラサイト』成功の裏側、韓国の「文化輸出」への思いと戦略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21-08-04
[752] 웹사이트 BTS、米ビルボードの年末決算チャート全9部門で1位 https://tower.jp/art[...] 2021-04-01
[753] 웹사이트 YouTube史上初!100億回再生を達成した「Baby Shark」で 英語学習DVDが再注目 https://www.atpress.[...] 2021-04-01
[754] 웹사이트 過去4年間でSteam上で最もプレイされたゲームは?圧倒的人気を誇る2つのゲームが浮き彫りに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2-01-17
[755] 웹사이트 【2019年版】最強国はどこ!?世界esports(eスポーツ)ランキング https://esports-doga[...] 2022-01-17
[756] 웹사이트 なぜ基本プレイ無料という仕組みは韓国から登場したのか──国策が韓国をオンラインゲーム大国に押し上げた経緯を語ろう https://news.denfami[...] 電ファミニコゲーマー 2022-01-17
[757] 웹사이트 韓国ゲーム大手ネクソンの創業者が死去 https://news.yahoo.c[...] 2022-01-17
[758] 웹사이트 バトルロイヤル型ゲームの火付け役『PUBG: BATTLEGROUNDS』2022年1月12日から基本プレイ無料に。 https://news.denfami[...] 電ファミニコゲーマー 2022-01-17
[759] 목록 가장 많이 팔린 컴퓨터 게임 목록
[760] 웹사이트 [엔터테인&]국산 3D 애니메이션, 'K애니 시대'를 준비하라 https://m.etnews.com[...] 2021-04-01
[761] 서적 TVアニメ25年史 徳間書店 1988
[762] 서적 21世紀式正しいアニメの作り方 宝島社 2004
[763] 서적 東映アニメーション50年史 東映アニメーション 2006
[764] 서적 PLUS MADHOUSE 04 りんたろう キネマ旬報社 2009
[765] 서적 押井守検証インタビュー フットワーク出版 1998
[766] 뉴스 韓国地上波放送で日本歌手が日本語の歌、初の生放送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09-13
[767] 뉴스 <芸能>韓国アイドルの新曲 日本語使用で「放送不適合」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4-04-03
[768] 뉴스 産経新聞 ENAK 文春側が勝訴 ヨン様写真集めぐり ソウル地裁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6-09-11
[769] 서적 私は韓国人。でも日本文化がスキだ!
[770] 서적 私は韓国人。でも日本文化がスキだ!
[771] 뉴스 韓国映画 “脱韓流”へ模索(東京新聞2010年8月6日)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0-08-06
[772] 뉴스 韓流“終焉”!? 韓国映画界、上映作の9割が赤字(ZAKZAK2008年7月28日) http://www.zakzak.co[...] ZAKZAK 2008-07-28
[773] 뉴스 【ニッポンの分岐点】日韓関係(1)「嫌韓」の奔流 称賛の陰で膨らんだ違和感 https://www.zakzak.c[...] ZAKZAK 2014-01-15
[774] 웹사이트 TWICE、BLACKPINK、BTS……K-POPブーム再燃に至った理由 日本における歴史を振り返る https://realsound.jp[...] リアルサウンド 2021-08-07
[775] 웹사이트 第4次ブーム、料理も進化 八田靖史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21-08-07
[776] 웹사이트 日本のドラマが抱える問題は…? 『愛の不時着』にどハマりしたジャーナリストが各国のドラマを比較・分析! https://bunshun.jp/a[...] 週刊文春 2021-08-07
[777] 웹사이트 (2ページ目)冬ソナから20年…コロナ禍での韓流“第4次ブーム”は必然だった? ドラマやK-POPから見る潮流 https://dot.asahi.co[...] AERA dot. (アエラドット) 2024-05-06
[778] 웹사이트 日本剣道連盟 韓国起源説に関する正式声明 http://www.kendo.or.[...] 日本剣道連盟
[779] 웹사이트 剣道の歴史(英語) http://www.kendo-fik[...] 国際剣道連盟
[780] 참고자료 2002 FIFAワールドカップ 誤審問題
[781] 웹사이트 同点ゴールを決め、スケートパフォーマンスをするアン・ジョンファンと韓国選手たち。 https://web.archive.[...]
[782] 웹사이트 IFFHS HISTORY : ASIA - PLAYER OF THE CENTURY (1900-1999) https://iffhs.de/iff[...] 2018-12-17
[783] 뉴스 United's Park first Asian to play Champions League final http://in.reuters.co[...] Reuters 2009-12-26
[784] 웹사이트 マンC戦で2ゴールのソン・フンミン、アジア人CL最多得点記録を更新! https://www.soccer-k[...]
[785] 웹사이트 ソン・フンミンがアジア人初のPFAプレミアリーグベストイレブン入り。王者マンCは6人 https://www.football[...]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21-06-05
[786] 웹사이트 ソン・フンミンが快挙!! アジア人初のプレミア得点王に!! トッテナム、4位フィニッシュでCL出場権獲得 https://web.gekisaka[...] ゲキサカ 2022-05-23
[787] 웹사이트 http://www.liverpool[...]
[788] 웹사이트 韓国人が好きなスポーツ選手 1位はトットナム孫興民 https://jp.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9-10-31
[789] 웹사이트 韓国人が選択した今年を輝かせたスポーツ選手 ソン·フンミンが5年連続1位 https://sports.news.[...] 文化日報 2021-12-13
[790] 뉴스 해군 특수전여단 독도에 상륙..日 망언에 강경대응(종합) http://news.naver.co[...] イーデイリー 2013-10-25
[791] 뉴스 日 독도망언 규탄 http://news.donga.co[...] dongaA.com
[792] 뉴스 스포츠 민족주의’ 이젠 그만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新聞 2013-07-29
[793] 웹인용 대한민국국기법 http://www.law.go.kr[...] 2018-07-06
[794] 웹사이트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795] 웹인용 Global Metro Monitor https://www.brooking[...] 2015-01-22
[796]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South Korea http://www.imf.org/e[...] IMF 2015-04-15
[797] 웹인용 대한민국, 명실상부 선진국 국제적 인정 자랑스러운 일 http://www.kihoilbo.[...] 2022-05-03
[798] 웹사이트 http://data.worldban[...]
[799] 서적 고종실록 고종34년(광무 1년, 1897년) 양력 10월 11일 3번째 기사: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 이하의 관리들을 인견하다.
[800] 서적 '민국(民國)'의 뜻은 민주 정치를 시행하는 나라, 즉 국민이 국가의 주인인 국가라는 뜻이다.
[801] 일반텍스트
[802] 웹인용 북한, 비무장 지대(DMZ) http://www.kidshanko[...] 2022-05-10
[803] 뉴스 남북 공식호칭 ‘남한’‘북한’으로 쓴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11-29
[804] 웹인용 청와대 "북한 주민들, 평양 5.1경기장 연설 때 남한 대통령 목소리 처음 들어" https://m.newspim.co[...] 2022-05-10
[805] 웹인용 "미국 트럼프 대통령·김정은 역사적 대화 기대" https://news.koreada[...] 2022-05-10
[806] 웹인용 북한 “남북정상 친서교환… 노력하면 관계 발전할 것” http://www.newscj.co[...] 2022-05-10
[807]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15
[808] 서적 Averting Global War: Regional Challenges, Overextension, and Options for American Strateg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7-15
[809]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2016-11-08
[810]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1-19
[811] 뉴스 박대종의 어원 이야기 http://daily.hankook[...] 데일리한국
[812] 웹사이트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tps://www.culturec[...]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7-02-06
[813] 웹인용 ‘차이나는 클라스’ 기경량 박사, “코리아(KOREA) 어원은 고려 아닌 고구려” https://www.topstarn[...] 2022-05-03
[814] 웹인용 고려 통일의 시사점…KBS 특별기획 다큐 https://n.news.naver[...] 2022-05-03
[815] 논문 국호영문표기, Corea에서 Korea로의 전환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2005-12
[816] 법률 대한민국 헌법 제3조
[817] 서적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비상교육 2017
[818] 웹사이트 국내기후자료 - 한국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819] 웹인용 “한반도 사계절 사라지고 ‘아열대’ 굳어진다” http://mn.kbs.co.kr/[...] 2019-11-08
[820] 서적 Seabed Petroleum in Northeast Asia: Conflict or Cooperation?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05
[821] 웹인용 충북대-중국 연구기관 '청주 두루봉동굴 고동물화석' 공동연구 http://www.inews365.[...] 2022-04-10
[822] 웹인용 개천절 ‘한국주간’ 첫 이벤트 http://m.koreatimes.[...] 2022-03-08
[823] 웹인용 발해, 고려시대 유물 한자리 http://www.ibulgyo.c[...] 2022-04-10
[824] 웹인용 '고려시대 차·술 문화 조명' https://n.news.naver[...] 2022-03-08
[825] 웹인용 ‘백제’로 시작하는 2021 세계유산축전 http://www.hyunbulne[...] 2022-04-10
[826] 웹인용 강화군·한국관광공사, '고려궁지' 관광명소 만든다 https://n.news.naver[...] 2022-03-08
[827] 웹사이트 http://www.mediatoda[...]
[828]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829] 웹사이트 http://news.khan.co.[...]
[830] 뉴스 5.18 내란 사건 대법원 판결문 요지 http://www.munhwa.co[...]
[831] 뉴스 김대중 前 대통령 서거 과감한 구조개혁 'DJ노믹스'로 최단기간 환란극복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832] 뉴스인용 이라크 "韓-쿠르드 유전개발 MOU 승인 안해"(종합) https://news.naver.c[...] 2008-02-22
[833] 웹인용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A puzzle https://www.oecd-ili[...] OECD 2022-02-26
[834] 웹인용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계 https://jumin.mois.g[...] 2024-09-13
[835] 웹사이트 http://www.index.go.[...]
[836] 판례 대법원 1990.9.25. 선고 90도1451 판결 1990-09-25
[837] 서적 대한민국 헌법 전문
[838] 웹인용 "한국은 국제법상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아니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https://web.archive.[...] 2018-04-20
[839] 서적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1990
[840] 판례 92헌바6 1997-01-16
[841] 법률 2016헌바361
[842] 뉴스 중국 무비자 발표 후 정말 ‘중국행’ 늘었나 살펴보니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4-12-29
[843] 간행물 남북 군사력 현황 국방백서 2020-12
[844] 간행물 세계 주요 국가의 국방비 비교 국방백서 2009
[845] 뉴스 육군 3사관학교 여생도 뽑는다-내년까지 여군 활용 직위 재검토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2-11-13
[846] 간행물 육군의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 국방백서 2012
[847] 뉴스 두산인프라, 헬기잡는 장갑차 'K21'...내년부터 공급 http://gonews.freech[...] 고뉴스 2008-10-30
[848]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849] 간행물 The N-11: More Than an Acronym http://www.chicagogs[...] Goldman Sachs 2007-03-28
[850] 웹인용 mk 뉴스 - 구매력 기준으로 보면 한국 1인당 소득 3만弗 http://news.mk.co.kr[...] 2010-06-06
[851] 뉴스 조선일보 최우석, 2008-11-01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08-11-16
[852] 간행물
[853] 웹사이트 Global 500 2008: Countries - South Korea http://money.cnn.com[...]
[854] 뉴스인용 몇년째 '시한폭탄'... 가계부채, 올해는 터질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01-17
[855] 뉴스 가구당 부채 5000만원 처음 넘어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11-12
[856] 뉴스인용 ‘빚’으로 내몰리는 사회.. 위기의 가계대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2-02-04
[857] 뉴스인용 [경제365] 공공부문 부채 급증…800조 육박 http://news.sbs.co.k[...] SBS뉴스 2012-01-30
[858] 뉴스인용 "소득 양극화 다소 완화...불평등은 여전" http://www.ytn.co.kr[...] YTN NEWS 2011-11-17
[859] 뉴스인용 공정사회·공생발전 한참 멀었네 http://news.mk.co.kr[...] MK News 2012-01-04
[860] 웹인용 South Korea dominates shipbuilding industry https://web.archive.[...] 2009-02-14
[861] 뉴스 한국 자동차 생산, 3년 연속 세계 5위 http://paper.icross.[...]
[862] 뉴스 자동차수출 '현대-삼성 웃고 기아-대우-쌍용은 울고' http://www.mjknews.c[...]
[863] 뉴스 동반성장위 창립 1주년 맞아 http://www.eto.co.kr[...] 경제투데이 2011-12-13
[864] 뉴스 중기적합 3개업종 합의 무시한 채 선정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2-01-05
[865] 뉴스 李대통령, 사업 무분별 확장 소상공인 생계 위협 질타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2-01-25
[866] 뉴스 삼성-LG, 서민업종인 빵·분식사업 잇따라 철수 http://news.sbs.co.k[...] SBS 2012-01-27
[867] 뉴스 상생은 뒷전…SSM ‘몸집 불리기’ 혈안 http://news.kbs.co.k[...] KBS 2012-02-01
[868] 뉴스인용 경부고속도에 '아시안하이웨이' 표지판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06-06-20
[869] 웹사이트 '철의 실크로드' 앞서 '말(言)의 실크로드'부터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08-10-01
[870] 웹사이트 http://inu.ac.kr/use[...]
[871] 웹사이트 http://kosis.kr/stat[...]
[872] 웹사이트 http://kosis.kr/stat[...]
[873] 뉴스 내년도 최저임금 1만 30원 확정 전망…“노사 이의제기 없어” https://news.kbs.co.[...] KBS 2024-12-29
[874] 뉴스 한국 노동자 임금 OECD 평균 90% 돌파…남녀 격차는 OECD ‘1위’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4-12-29
[875] 뉴스 최저임금 영향받는 노동자 비율, 15년 만에 최저치…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4-12-29
[876] 뉴스 2년연속 노조 조직률 감소... 조합원, 노조수는 소폭 증가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4-12-29
[877] 뉴스 '성적취향' 차별금지 대상서 빼자는 정치권...인권위원장 "대한민국 인권 위상 추락" https://sedaily.com/[...] 서울경제 2020-08-06
[878] 웹인용 SK그룹 린다 마이어스 상무 “글로벌 기업 되려면…”“직원들 더 큰 리스크 감수할 수 있게 도와야” https://www.hani.co.[...] 2022-05-03
[879] 일반
[880] 뉴스 “귀국땐 박해 우려”…우간다 양성애 여성 난민인정 판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7-07-24
[881] 뉴스 S Korea slams high tuition cost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9-23
[882] 웹인용 “차상위 계층 청소년에 도움의 손길”...박해광 B.B.S경기도연맹 회장 https://www.kyeonggi[...] 2022-05-04
[883] 뉴스 “정치가 여론 양극화 부채질… 합리주의 절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4-18
[884] 뉴스 〈"`촛불집회'는 민주주의의 질적 변화 상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7-14
[885] 뉴스 “촛불집회가 민주주의 왜곡 초래”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9-04-22
[886] 뉴스 국민 65%, "한국 노사관계 대립적"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09-10-17
[887] 뉴스 한국 국가경쟁력 27위‥노사관계 '꼴찌' https://news.naver.c[...] MBC 뉴스 2009-05-20
[888] 웹인용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대한민국 이념지형 http://www.pncreport[...]
[889] 뉴스 [신년기획-갈등의 시대] 갈등지수 OECD 4위…사회적 손실 GDP 27% 무려 300조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2-01-09
[890] 뉴스 2012 총선-대선의 키워드는 '국민과 소통' http://www.breaknews[...] BreakNews 2011-11-28
[891] 뉴스 한국 삶의 질 27위, 2000년과 2008년 연속 하위권 머물러 https://web.archive.[...] 뉴스웨이브 2011-08-22
[892] 뉴스 [해피 코리아] 행복점수 68점…해외 평가선 '낙제점' http://mbn.mk.co.kr/[...] MBN 뉴스 2012-01-02
[893] 뉴스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3년 연속 OECD ‘꼴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5-04
[894] 웹인용 입양체계 개편과 국내로 들어오는 국제입양 준비 https://eiec.kdi.re.[...] 한국개발연구원 2023-12-06
[895] 뉴스 한국 이혼율 OECD중 8위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12-12
[896] 뉴스 [통계청] 한국 이혼율 OECD 4위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3-21
[897] 뉴스 오피니언 [이렇게 생각한다] `부부의 날` 에 돌아본 이혼율 1위 한국 http://news.mk.co.kr[...] MK뉴스 2011-05-20
[898] 웹인용 Suicide Rates by Country,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Repository. http://gamapserver.w[...] 2014-11-22
[899] 뉴스 1. 또 다른 차별 https://news.naver.c[...] MBC 2011-01-06
[900] 뉴스 오피니언 [편집자에게] '왕따'와 '패거리 정치' 심리는 닮은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1-09
[901] 뉴스 [미래한국리포트] 무한경쟁에 빠진 대한민국 http://news.sbs.co.k[...] SBS 뉴스 2011-10-24
[902] 뉴스 대학생 98%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말 동의" https://web.archive.[...] 뉴스한국 2011-11-16
[903] 뉴스 특급호텔 웨딩·200만원대 유모차… "남보다 더…" 호화병, 고질병 됐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1-11-16
[904] 간행물 제9차 미래한국리포트 특집다큐 - 경쟁하는 당신 행복하십니까 SBS 2011-10-31
[905] 뉴스 [스트레스 공화국] ① 경쟁사회, 스트레스 쌓인다 https://news.naver.c[...] MBC 2011-04-05
[906] 뉴스 “매일 30여명 자살 한국, 의사보다 무속인에…” https://web.archive.[...] 헤럴드경제 2011-07-07
[907] 뉴스 "자살 부르는 '우울증', 환자 중 85% 치료 안 받아" http://news.inews24.[...] 아이뉴스24뉴스 2011-06-22
[908] 뉴스 정신병원을 가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8-05-30
[909] 뉴스 대한민국도 ‘묻지마 범죄’,안전지대 아니다 https://web.archive.[...] 일요서울 2011-11-29
[910] 뉴스 [저자 인터뷰] “성격이상자들 ‘묻지마’ 사건 늘어 한국도 더 이상 안전한 나라 아니다” 주간조선 2188호 2012-01-02
[911] 뉴스 유엔 "학생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하라"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12-12
[912] 뉴스 유엔아동권리위원회 보고서 및 번역본 원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1-19
[913] 뉴스 고졸 성공스토리 담은 '제빵왕 김탁구' 드라마 나온다 https://web.archive.[...] 머니투데이 2012-01-02
[914] 뉴스 ‘빛 좋은 개살구’ 고졸 취업…실습 대신 착취 https://web.archive.[...] KBS 2011-12-28
[915] 뉴스 정신건강, 사회적 편견부터 고쳐드립니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8-08
[916] 웹인용 한국콜마, 미혼한부모 가정에 심리상담 지원 http://www.100ssd.co[...] 2022-05-04
[917] 뉴스 ‘소통’과 ‘행복’에 목 마른 사회가 잠들어 있던 ‘심리학’ 깨웠다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0-01-20
[918] 뉴스 "올해 한국인 평균 영화관람횟수 세계 1위"(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8-30
[919] 뉴스 [게임연중기획] 게임은 문화다-여가활동 1순위 게임 https://web.archive.[...] 전자신문 2012-01-25
[920] 뉴스 영화속 ‘영어 지상주의’ …“왠지 씁쓸한데” https://web.archive.[...] 세계일보 2008-10-06
[921] 뉴스 조중동, 종이신문 열독 점유율 50.3% https://www.mediatod[...] 미디어오늘 2024-12-29
[922] 간행물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2008.4.30 기준) 문화체육관광부
[923] 법률 언론중재및피해구제등에관한법률 http://likms.assembl[...] 대한민국 국회 법률지식정보시스템
[924] 웹사이트 http://kosis.kr/stat[...]
[925] 웹인용 2005년 통계청 인구 총조사 http://www.kosis.kr/[...] 2018-11-13
[926] 서적 여인열전 김영사
[927] 웹인용 BTS ‘버터’ 빌보드 5주 연속 1위…“무서우면서 기뻐” https://www.hani.co.[...] 2021-06-29
[928] 웹인용 한국인이 좋아하는 취미와 운동 (2004-2009) http://www.gallup.co[...] 한국갤럽 2009-05-20
[929] 웹인용 한국인이 좋아하는 취미와 운동 (2004-2014) http://www.gallup.co[...] 한국갤럽 2015-10-24
[930] 웹사이트 한국마사회 말등록원 통계 http://studbook.kra.[...]
[931] 웹인용 [세계] (순위) GDP(국내총생산)가 높은 국가 (2023년) https://insfiler.com[...] 2023-05-03
[932] 웹인용 객관적인 데이터로 증명된, 기술 강대국 대한민국! https://wiki.patentp[...] 2024-01-04
[933] 웹인용 블룸버그 "작년 한국 1인당 국민총소득, 사상 최초 G7 진입"…이탈리아 제쳐 http://www.newsworks[...] 2022-05-02
[934] 웹인용 韓 국가경쟁력 23위 ‘제자리’…稅부담 등 정부 효율성은 하락 https://www.joongang[...] 2022-05-03
[935] 뉴스 국내 결핵 발생률 OECD 1위…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 주요 내용은? https://www.medicalw[...] MEDICAL WORLD NEWS 2023-03-24
[936] 뉴스 국내 결핵 발생률 OECD 1위…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 주요 내용은? https://www.medicalw[...] MEDICAL WORLD NEWS 2023-03-24
[937] 뉴스 한국, 4년 만에 ‘선박건조 1위’ https://web.archive.[...] 세계일보 2014-06-26
[938] 뉴스 한국 관세행정 6년 연속 세계 '1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4-10-29
[939] 웹인용 한국, 조선산업 1위 유지(S. Korea Stays Top Shipbuilding Nation) RZD-Partner Portal https://web.archive.[...] 2018-11-13
[940] 뉴스 옛 마산시,인터넷속도 세계 1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0-14
[941] 뉴스 "한국 초고속 인터넷망 세계1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0-22
[942] 뉴스 인터넷·휴대폰 요금, 외국보다 훨씬 비싸 https://web.archive.[...] 경향신문 2011-04-13
[943] 뉴스 한국 교통사고 사망자 수 OECD 회원국 중 2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9-08
[944] 뉴스 한국, `부분적 언론자유국' 강등〈프리덤하우스〉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1-05-03
[945] 뉴스 수술은 신중해야… 자칫하면 생명 위협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9-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