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72년 유러피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1-72년 유러피언컵은 각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AFC 아약스가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결승전에서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전과 1, 2회전을 거쳐 8강, 준결승,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요한 크라위프, 안탈 두나이, 루 마카리, 실베스터 타카치가 5골로 공동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축구 -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중부, 동부, 서부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태국, 크메르 공화국, 대한민국, 이라크,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1971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0-71는 스페인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FC 바르셀로나가 발렌시아 CF를 결승에서 이기고 우승했다. - 1972년 축구 - 1972년 AFC 아시안컵
1972년 AFC 아시안컵은 태국에서 개최되어 이란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태국과 크메르 공화국이 각각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 1972년 축구 -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에서 개최되어 콩고 공화국이 말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판타마디 케이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8번째 대회이다. - 유러피언컵 - 1967-68년 유러피언컵
1967-68년 유러피언컵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SL 벤피카를 꺾고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우승했으며, SL 벤피카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유러피언컵 - 1955-56년 유러피언컵
1955-56년 유러피언컵은 UEFA가 주관한 첫 번째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스타드 드 랭스를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으며 밀로시 밀루티노비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71-72년 유러피언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이름 | 유러피언컵 |
| 연도 | 1971–72 |
![]() | |
| 날짜 | 1971년 8월 19일 – 1972년 5월 31일 |
| 참가 팀 수 | 33 |
| 참가 협회 수 | 32 |
| 경기 수 | 63 |
| 총 득점 | 175 |
| 총 관중 수 | 2091421 |
| 결과 | |
| 우승 팀 | 아약스 |
| 우승 횟수 | 2 |
| 준우승 팀 | 인테르 밀란 |
| 득점왕 | 두나이 안탈 (우이페슈티 도저) 요한 크라위프 (아약스) 루 마카리 (셀틱) 실베스테르 타카치 (스탕다르 리에주) |
| 득점 | 각 5골 |
| 대회 연혁 | |
| 이전 시즌 | 1970–71 |
| 다음 시즌 | 1972–73 |
2. 참가 팀
| 국가 (리그) | 팀명 | 비고 |
|---|---|---|
| 알바니아 (1970–71 시즌) | 파르티자니 티라나 | |
| 오스트리아 (1970–71 시즌) | 바커 인스브루크 | |
| 벨기에 (1970–71 시즌) | 스탕다르 리에주 | |
| 불가리아 (1970–71 시즌) | CSKA 세템브리 플라크 | |
| 키프로스 (1970–71 시즌) |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 | |
| 체코슬로바키아 (1970–71 시즌)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
| 덴마크 (1970 시즌) | 볼드클루벤 1903 | |
| 잉글랜드 (1970–71 시즌) | 아스널 | |
| 핀란드 (1970 시즌) | 레이파스 라흐티 | |
| 프랑스 (1970–71 시즌) | 마르세유 | |
| 동독 (1970–71 시즌) | 디나모 드레스덴 | |
| 서독 (1970–71 시즌)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 그리스 (1970–71 시즌) | AEK 아테네 | |
| 헝가리 (1970–71 시즌) | 우이페슈티 도사 | |
| 아이슬란드 (1970 시즌) | ÍA | |
| 아일랜드 (1970–71 시즌) | 코크 히버니안스 | |
| 이탈리아 (1970–71 시즌) | 인테르 밀란 | |
| 룩셈부르크 (1970–71 시즌) | 유니온 룩셈부르크 | |
| 몰타 (1970–71 시즌) | 슬리에마 원더러스 | |
| 네덜란드 (1970–71 시즌) | 페예노르트 | |
| 네덜란드 (1970–71 시즌) | 아약스 | 전년도 우승 팀 자격 |
| 북아일랜드 (1970–71 시즌) | 린필드 | |
| 노르웨이 (1970 시즌) | 로센보르그 BK | |
| 폴란드 (1970–71 시즌) | 구르니크 자브제 | |
| 포르투갈 (1970–71 시즌) | 벤피카 | |
| 루마니아 (1970–71 시즌) | 디나모 부쿠레슈티 | |
| 스코틀랜드 (1970–71 시즌) | 셀틱 | |
| 스페인 (1970–71 시즌) | 발렌시아 | |
| 스웨덴 (1970 시즌) | 말뫼 FF | |
| 스위스 (1970–71 시즌) | 바젤 | |
| 튀르키예 (1970–71 시즌) | 갈라타사라이 | |
| 소련 (1970 시즌) | CSKA 모스크바 | |
| 유고슬라비아 (1970–71 시즌) |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71-72년 유러피언컵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경기 결과
파르티자니 티라나 바커 인스브루크 스탕다르 리에주 CSKA 세템브리 플라크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볼드클루벤 1903 아스널 레이파스 라흐티 마르세유 디나모 드레스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AEK 아테네 우이페슈티 도사 ÍA 코크 히버니안스 인테르 밀란 유니온 룩셈부르크 슬리에마 원더러스 페예노르트 아약스 TH 린필드 스트룀스고드세토르 구르니크 자브제 벤피카 디나모 부쿠레슈티 셀틱 발렌시아 말뫼 FF 바젤 갈라타사라이 CSKA 모스크바 하이두크 스플리트
예선전에서는 발렌시아 (스페인)가 유니온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를 합계 4-1로 꺾고 1회전에 진출했다.[1]
1, 2회전과 8강전, 준결승전을 거쳐 결승전이 진행되었다. 2회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인테르나치오날레의 경기에서는 관중 난입으로 인해 재경기가 열렸다.[3][4]
3. 1. 예선전
발렌시아es (스페인)가 유니온 룩셈부르크lb (룩셈부르크)를 합계 4-1로 꺾고 1회전에 진출했다.[1]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발렌시아es | 4–1 | 유니온 룩셈부르크lb | 3–1 | 1–0 |
1차전은 1971년 8월 19일 스페인 발렌시아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렸으며, 프랑스의 미셸 키타브지안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발렌시아의 포르멘트, 클라라문트, 발데스가 득점하고, 위니옹 룩셈부르크에서는 클레멘이 득점하여 발렌시아가 3-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0,105명이 입장하였다.[1]
2차전은 1971년 8월 24일 룩셈부르크의 아킬레 하머렐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네덜란드의 예프 도르프만스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발렌시아의 포르멘트가 득점하여 발렌시아가 1-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230명이 입장하였다.[1]
3. 2. 1회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마르세유 (프랑스) | 3-2 | 구르니크 자브제 (폴란드) | 2-1 | 1-1 |
| 아약스 (네덜란드) | 2-0 | 디나모 드레스덴 (동독) | 2-0 | 0-0 |
| 레이파스 라흐티 (핀란드) | 1-9 | 그라스호퍼 (스위스) | 1-1 | 0-8 |
| 스트룀스고세 (노르웨이) | 1-7 | 아스널 (잉글랜드) | 1-3 | 0-4 |
| 디나모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a) 2-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체코슬로바키아) | 0-0 | 2-2 |
| 페예노르트 (네덜란드) | 17-0 |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 (키프로스) | 8-0 | 9-0 |
| 바커 인스브루크 (오스트리아) | 1-7 | 벤피카 (포르투갈) | 0-4 | 1-3 |
| CSKA 소피아 (불가리아) | 4-0 | 파르티자니 티라나 (알바니아) | 3-0 | 1-0 |
| 발렌시아 (스페인) | (a) 1-1 | 하이두크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 0-0 | 1-1 |
| 우이페슈티 도사 (헝가리) | 4-1 | 말뫼 (스웨덴) | 4-0 | 0-1 |
| 볼클루벤 1903 (덴마크) | 2-4 | 셀틱 (스코틀랜드) | 2-1 | 0-3 |
| IA (아이슬란드) | 0-4 | 슬리마 원더러스 (몰타) | 0-4 | 0-0 |
|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 6-4 | AEK 아테네 (그리스) | 4-1 | 2-3 |
| 코크 하이버니언스 (아일랜드) | 1-7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서독) | 0-5 | 1-2 |
| 갈라타사라이 (터키) | 1-4 | CSKA 모스크바 (소련) | 1-1 | 0-3 |
| 스탕다르 리에주 (벨기에) | 5-2 | 린필드 (북아일랜드) | 2-0 | 3-2 |
3. 3. 2회전
2회전에서는 총 16개 팀이 경기를 펼쳐 8개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다음은 각 경기의 요약이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마르세유 (프랑스) | 2–6 | 아약스 (네덜란드) | 1–2 | 1–4 |
| 그라스호퍼 (스위스) | 0–5 | 아스널 (잉글랜드) | 0–2 | 0–3 |
| 디나모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0–5 | 페예노르트 (네덜란드) | 0–3 | 0–2 |
| 벤피카 (포르투갈) | 2–1 | CSKA 소피아 (불가리아) | 2–1 | 0–0 |
| 발렌시아 (스페인) | 1–3 | 우이페슈티 도사 (헝가리) | 0–1 | 1–2 |
| 셀틱 (스코틀랜드) | 6–1 | 슬리마 원더러스 (몰타) | 3–0 | 3–1 |
|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 4–2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서독) | 4–2 | 0–0* |
| CSKA 모스크바 (소련) | 1–2 | 스탕다르 리에주 (벨기에) | 1–0 | 0–2 |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인테르나치오날레의 경기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재경기가 열렸다.
3. 3. 1.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대 인테르나치오날레 경기 무효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인테르나치오날레의 2회전 1차전 경기에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가 7-1로 크게 이겼다.[3] 그러나 경기 도중 관중이 던진 코카콜라 캔에 인테르나치오날레의 로베르토 보닌세냐 선수가 맞아 실신하면서 경기가 무효 처리되었다.[4] 인테르나치오날레는 UEFA에 재경기를 요청했고, 베를린의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재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결국 2차전에서 인테르나치오날레가 4-2로 승리하면서 합계 4-2로 8강에 진출했다.3. 4. 8강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아약스 (네덜란드) | 3 – 1 | 아스널 (잉글랜드) | 2 – 1 | 1 – 0 |
| 페예노르트 (네덜란드) | 2 – 5 | 벤피카 (포르투갈) | 1 – 0 | 1 – 5 |
| 우이페슈티 도사 (헝가리) | 2 – 3 | 셀틱 (스코틀랜드) | 1 – 2 | 1 – 1 |
|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 (a) 2 – 2 | 스탕다르 리에주 (벨기에) | 1 – 0 | 1 – 2 |
3. 5. 준결승전
4. 결승전
1972년 5월 31일, 네덜란드의 아약스가 로테르담의 데 카위프에서 열린 1971-72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크라위프는 47분과 78분에 골을 넣어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날 경기에는 61,354명의 관중이 찾았으며, 프랑스 출신 로베르 엘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아약스는 이 우승으로 유러피언컵 통산 2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
| 1971-72년 유러피언컵 우승 팀 |
|---|
| 아약스 2번째 우승 |
5. 최다 득점자
| 순위 | 선수 | 팀 | 골 |
|---|---|---|---|
| 1 | 요한 크라위프 | 아약스 | 5 |
| 안탈 두나이 | 우이페슈트 FC | 5 | |
| 루 마카리 | 셀틱 | 5 | |
| 실베스터 타카치 | 스탕다르 리에주 | 5 | |
| 5 | 로니 콕스 | 슬리에마 원더러스 | 4 |
| 빌럼 판 하네험 | 페예노르트 | 4 | |
| 리너스 이스라엘 | 페예노르트 | 4 | |
| 아르투르 조르제 | 벤피카 | 4 | |
| 레이 케네디 | 아스널 | 4 | |
| 쿠르트 뮐러 | 그라스호퍼 | 4 | |
| 렉스 쇠네메이커르 | 페예노르트 | 4 |
참조
[1]
기타
Újpesti Dózsa v Celtic, 8 March 1972
2022-03-13
[2]
기타
Újpesti Dózsa v Celtic, 8 March 1972
2022-03-13
[3]
Youtube
Borussia Mönchengladbach - Inter Mailand 7:1
https://www.youtube.[...]
[4]
Youtube
Borussia Mönchengladbach - Inter Mailand Cola-Dose Boninsegna 1971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