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3년 프랑스 총선은 1968년 5월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의 변화와 정당 간의 연합, 정책 경쟁을 보여주는 선거였다. 사회당과 공산당은 공동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기업 국유화를 주장했고, 개혁 운동은 중도 노선을 제시했다. 선거 결과, 우파 연합이 314석을 얻고, 좌파 연합이 176석을 차지했다. 진보공화연합, 공산당, 사회당 등이 주요 정당으로, 우파와 좌파 간의 득표율과 의석 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선거 - 1973년 프랑스 캉통 선거
1973년 프랑스 캉통 선거는 프랑스 캉통 의원들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도 우파가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고 공산당과 사회당이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 1973년 프랑스 - 파리 평화 협정
파리 평화 협정은 1973년 1월 27일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해 체결되었으나, 남베트남 붕괴와 베트남의 공산화 통일을 초래했고, 헨리 키신저와 레득토는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으나 레득토는 수상을 거부했다. - 1973년 프랑스 - 1973년 칸 영화제
1973년 칸 영화제는 잉그리드 버그만이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스케어크로우》와 《고용인》이 황금종려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장편 영화와 단편 영화 경쟁 부문 외 다양한 섹션에서 여러 작품과 인물들이 수상했다. - 1973년 3월 - 아게오 사건
아게오 사건은 1973년 일본 국철 다카사키선 아게오역에서 준법투쟁으로 인한 열차 지연과 혼잡으로 승객 폭동이 발생, 인근 역으로 확산되어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공공 서비스 개선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1973년 3월 - 제45회 아카데미상
제45회 아카데미상은 1973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대부』와 『카바레』가 주요 부문에서 경쟁하여 각각 작품상과 감독상을 받았으며, 말론 브란도가 남우주연상 수상을 거부하고 사친 리틀페더를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여 논란이 되었고, 찰리 채플린의 『라임라이트』가 작곡상을 수상했다.
1973년 프랑스 총선 | |
---|---|
지도 정보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973년 프랑스 총선 |
국가 | 프랑스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선거일 | 1973년 3월 4일 및 11일 |
이전 선거 | 1968년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68년 |
다음 선거 | 1978년 프랑스 총선 |
다음 선거 연도 | 1978년 |
선출 의석 | 프랑스 국민의회 전체 491석 |
과반 의석 | 246석 |
투표율 | 81.2% (1차 투표), 81.9% (2차 투표)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제1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제1정당 지도자 | 피에르 메스메르 |
제1정당 지도자 선거구 | 모젤-8구 |
제1정당 이전 선거 결과 | 354석 |
제1정당 획득 의석 | 272석 |
제1정당 의석 변동 | 82 |
제1정당 득표수 | 8,242,661표 (1차), 10,701,135표 (2차) |
제1정당 득표율 | 34.68% (1차), 45.62% (2차) |
제2정당 | 사회당 |
제2정당 지도자 | 프랑수아 미테랑 |
제2정당 지도자 선거구 | 니에브르-3구 |
제2정당 이전 선거 결과 | 57석 |
제2정당 획득 의석 | 102석 |
제2정당 의석 변동 | 45 |
제2정당 득표수 | 4,559,241표 (1차), 5,564,610표 (2차) |
제2정당 득표율 | 19.18% (1차), 23.72% (2차) |
제3정당 | 프랑스 공산당 |
제3정당 지도자 | 조르주 마르쉐 |
제3정당 지도자 선거구 | 없음 |
제3정당 이전 선거 결과 | 34석 |
제3정당 획득 의석 | 73석 |
제3정당 의석 변동 | 39 |
제3정당 득표수 | 5,085,108표 (1차), 4,893,876표 (2차) |
제3정당 득표율 | 21.39% (1차), 20.86% (2차) |
제4정당 | 개혁운동 |
제4정당 지도자 | 장자크 세르방슈레베르 (급진당), 장 르카뉘에 (CD) |
제4정당 지도자 선거구 | 낭시, 센마리팀 |
제4정당 이전 선거 결과 | 33석 (진보와 현대 민주주의) |
제4정당 획득 의석 | 30석 |
제4정당 의석 변동 | 3 |
제4정당 득표수 | 2,979,781표 (1차), 1,631,978표 (2차) |
제4정당 득표율 | 12.54% (1차), 6.96% (2차) |
정부 구성 | |
선거 전 총리 | 피에르 메스메르 |
선거 전 총리 소속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선거 후 총리 | 피에르 메스메르 |
선거 후 총리 소속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2. 배경
1968년 5월 혁명 이후, 샤를 드 골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여 공화당을 위한 민주주의자 연합(UDR)이 압승을 거두었다.[1] 그러나 1969년 헌법 개정 국민투표가 부결되면서 드 골 대통령은 사임하고, 조르주 퐁피두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
자크 샤방-델마 총리는 '새로운 사회' 건설을 위한 개혁을 추진했지만, 보수적인 퐁피두 대통령과 갈등을 빚고 1972년 피에르 메스메르로 교체되었다.[1] 한편, 사회당(PS)은 프랑수아 미테랑을 중심으로 프랑스 공산당(PCF)과 '공동 프로그램'을 체결하며 좌파 연합을 구축했다.[1] 급진당은 '공동 프로그램'에 대한 이견으로 분열되었고, 일부는 개혁 운동에 참여하였다.[1]
2. 1. 1968년 5월 혁명과 그 여파
1968년 5월, 학생 시위와 노동자 파업이 결합된 대규모 사회 운동이 발생하여 프랑스 사회 전체를 뒤흔들었다.[1] 샤를 드 골 대통령은 이 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해 국민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1]2. 2. 좌파의 재편과 공동 프로그램
1969년 대선에서 가스통 드페르 후보가 참패한 후, 사회당(PS)은 민주적 좌파의 다양한 정치 클럽과의 합병을 통해 새롭게 창당되었다.[1] 프랑수아 미테랑은 에피네이 의회에서 당권을 장악하고, 프랑스 공산당(PCF)과의 연합을 제안했다. 다가오는 총선을 준비하기 위해, 공산당과 사회당은 공동 프로그램에 서명했다.[1]2. 3. 개혁 운동의 등장
급진당은 공동 프로그램 문제를 두고 분열되었다. 좌파 소수는 "좌파 연합"에 합류하여 급진 사회주의 좌파 운동(MGRS)을 설립했다. 다수는 중도 우파의 일부와 함께 개혁 운동을 결성했다. 이 새로운 그룹은 "좌파 연합"과 대통령 다수당에 대한 독립성을 주장했다.[1]3. 선거 운동
'공동 프로그램'은 선거의 주요 쟁점이었다. 좌파는 주요 기업 국유화를 주장한 반면, 우파는 집산주의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개혁 운동은 좌파의 마르크스주의와 고리스당의 유럽 회의주의를 모두 비판하며 중도 노선을 제시했다.[1]
4. 선거 결과
1973년 3월 4일과 11일에 실시된 프랑스 총선에서 사회당을 비롯한 좌파 연합은 득표율과 의석수를 늘렸지만, 조르주 퐁피두 대통령이 이끄는 다수당은 여전히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다.[1] 특히, 샤를 드 골 전 대통령의 정당이었던 고리스당은 좌파의 약진과 연립 정당들과의 선거 협정으로 인해 의석수가 감소했다.
정당 | 1차 투표 득표율 | 1차 투표 득표수 | 결선 투표 득표율 | 결선 투표 득표수 | 의석수 |
---|---|---|---|---|---|
진보공화연합 (공화국민주연합, 독립공화당, 중도민주주의와 진보) | 34.68% | 8,242,661 | 45.62% | 10,701,135 | 272 |
개혁운동 | 12.54% | 2,979,781 | 6.96% | 1,631,978 | 30 |
대통령계 주류 | 3.30% | 784,735 | 1.44% | 337,399 | 12 |
기타 우파 | 2.83% | 671,505 | 0.09% | 21,053 | 0 |
우파연합 | 53.34% | 12,678,682 | 54.11% | 12,691,565 | 314 |
프랑스 공산당 | 21.39% | 5,085,108 | 20.86% | 4,893,876 | 73 |
사회당 - 급진사회좌파운동 | 19.18% | 4,559,241 | 23.72% | 5,564,610 | 102 |
통합사회당 | 3.27% | 778,195 | 0.49% | 114,540 | 1 |
기타 좌파 | 2.81% | 668,100 | 0.82% | 191,441 | 0 |
좌파연합 | 46.66% | 11,090,644 | 45.89% | 10,764,467 | 176 |
4. 1. 정당별 의석 분포
정당 및 선거연합 | 1차 투표 | 1차 투표 (%) | 결선 투표 | 결선 투표 (%) | 의석 | ||
---|---|---|---|---|---|---|---|
style="background-color:#1935D0" | | 진보공화연합 | URP | 8,242,661 | 34.68 | 10,701,135 | 45.62 | 272 |
style="background-color:#1935D0" | | * 공화국민주연합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183 | |
style="background-color:#1935D0" | | * 독립공화당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55 | |
style="background-color:#1935D0" | | * 중도민주주의와 진보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34 | |
style="background-color:#00CCCC" | | 개혁운동 | MR | 2,979,781 | 12.54 | 1,631,978 | 6.96 | 30 |
style="background-color:#4C4CB0" | | 대통령계 주류 | MAJ | 784,735 | 3.30 | 337,399 | 1.44 | 12 |
style="background-color:#4C4CB0" | | 기타 우파 | DVD | 671,505 | 2.83 | 21,053 | 0.09 | 0 |
우파연합 | 12,678,682 | 53.34 | 12,691,565 | 54.11 | 314 | ||
style="background-color:#FF0000" | | 프랑스 공산당 | PCF | 5,085,108 | 21.39 | 4,893,876 | 20.86 | 73 |
style="background-color:#FF3366" | | 사회당 - 급진사회좌파운동 | PS-MRG | 4,559,241 | 19.18 | 5,564,610 | 23.72 | 102 |
style="background-color:#DE3163" | | 통합사회당 | PSU | 778,195 | 3.27 | 114,540 | 0.49 | 1 |
style="background-color:#DA7B8B" | | 기타 좌파 | DVG | 668,100 | 2.81 | 191,441 | 0.82 | 0 |
좌파연합 | 11,090,644 | 46.66 | 10,764,467 | 45.89 | 176 | ||
합계 | 23,769,326 | 100.00 | 23,456,032 | 100.00 | 490 |
4. 2. 주요 정당 분석
정당 | 1차 투표 득표율 | 1차 투표 득표수 | 결선 투표 득표율 | 결선 투표 득표수 | 의석수 |
---|---|---|---|---|---|
진보공화연합 (공화국민주연합, 독립공화당, 중도민주주의와 진보) | 34.68% | 8,242,661 | 45.62% | 10,701,135 | 272 |
개혁운동 | 12.54% | 2,979,781 | 6.96% | 1,631,978 | 30 |
대통령계 주류 | 3.30% | 784,735 | 1.44% | 337,399 | 12 |
기타 우파 | 2.83% | 671,505 | 0.09% | 21,053 | 0 |
우파연합 | 53.34% | 12,678,682 | 54.11% | 12,691,565 | 314 |
프랑스 공산당 | 21.39% | 5,085,108 | 20.86% | 4,893,876 | 73 |
사회당 - 급진사회좌파운동 | 19.18% | 4,559,241 | 23.72% | 5,564,610 | 102 |
통합사회당 | 3.27% | 778,195 | 0.49% | 114,540 | 1 |
기타 좌파 | 2.81% | 668,100 | 0.82% | 191,441 | 0 |
좌파연합 | 46.66% | 11,090,644 | 45.89% | 10,764,467 | 176 |
1973년 총선에서 진보공화연합을 중심으로 한 우파연합은 1차 투표에서 53.34%, 결선 투표에서 54.11%를 득표하여 총 314석을 차지하며 승리하였다. 프랑스 공산당, 사회당 - 급진사회좌파운동 연합을 포함한 좌파연합은 1차 투표에서 46.66%, 결선 투표에서 45.89%를 득표하여 총 176석을 얻었다.
주요 정당별로 살펴보면, 진보공화연합이 272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프랑스 공산당은 73석, 사회당과 급진사회좌파운동 연합은 102석을 얻었다. 개혁운동은 30석, 대통령계 주류는 12석을 차지했다.
5. 선거 이후
피에르 메스메르는 총리로 유임되었다.[1] 이 선거는 사회당을 중심으로 하는 좌파 세력의 성장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비록 대통령 다수당이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고리스당은 좌파의 성장과 독립 공화당, 중도, 민주주의 및 진보와의 선거 협정으로 인해 의회 의석의 3분의 1을 잃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