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사회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사회당(PSF)은 1936년 7월 7일, 극우 단체 크루아 드 푸를 계승하여 창당된 정당이다. PSF는 1930년대 초 프랑스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극우 단체였던 크루아 드 푸의 후계자를 표방하며, 사회 가톨릭 협동조합주의, 최저임금, 여성 참정권 등을 지지했다. 1936년 총선에서 6명의 의원을 배출하며 선거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1930년대 말에는 프랑스 최대 정당으로 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비시 정권에 협력하기도 했으나, 레지스탕스 활동에도 참여했다. 전쟁 후 PSF는 프랑스 화해 사회 공화당으로 계승되었고, 이념적으로는 골리즘과 제5공화국 수립에 영향을 미쳤다. 역사적으로 PSF는 파시즘 논쟁에 휩싸였으나, 많은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이를 부인하고 보나파르트주의적 성향으로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사회당 당원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프랑수아 드 라 로크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전간기에는 극우 정치 활동을 했으며 프랑스 사회당을 창당하여 우익 대중 정당을 이끌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수용소 생활을 하다 전후 가택 연금 상태로 사망했으며, 그의 정치적 유산은 전후 프랑스 우파 정당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국민주의 정당 - 불의 십자단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중심으로 창설된 프랑스의 우익 연맹 불의 십자단은 프랑수아 드 라 로크의 지휘 아래 반공주의, 가톨릭주의, 권위주의적 이념을 내세웠으나 인민 전선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고, 프랑스 사회당으로 재편되었으나 프랑스 멸망과 함께 소멸하여 파시즘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 프랑스 국민주의 정당 - 재정복
프랑스 극우 정당 재정복은 에리크 제무르가 창당하여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의 재정복"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내부 분열과 의석 확보 실패를 겪었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입헌민정당
입헌민정당은 1927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에 존재했던 정당으로, 헌정회와 정우본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의회 중심 정치와 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을 표방하며 입헌정우회와 경쟁했지만 군부의 대두와 당내 분열로 해산되었다.
프랑스 사회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랑스 사회당 |
약칭 | PSF |
![]() | |
창립일 | 1936년 1월 10일 |
해산일 | 1940년 7월 10일 |
전신 | 불의 십자단 |
후계 정당 | 프랑스 화해 공화사회당 |
본부 | 파리, Rue de Milan |
신문 | 르 프티 주르날 르 플랑보 |
당원수 | 350,000명 |
당원수 년도 | 1940년 |
상징색 | 흑색 |
정치 | |
이념 | 프랑스 민족주의 사회 가톨릭주의 국가 보수주의 조합주의 대중주의 반공주의 |
정치적 위치 | 우익 ~ 극우 |
당수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하원 의석 | 11석 |
하원 의석 정수 | 608석 |
2. 역사적 배경 (1927-1936)
라 로크는 1927년 프랑스 사회당(PSF)의 전신인 크루아 드 푸를 설립했다. 크루아 드 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단체이자 극우 단체로, 1930년대 초 프랑스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단체 중 하나였다.[2]
크루아 드 푸는 액시옹 프랑세즈의 "정치 우선"에 대응하여 "사회 우선"을 슬로건으로 채택했다. 사회 가톨릭 협동조합주의, 최저임금 및 유급 휴가 제도, 여성 참정권 및 의회 절차 개혁을 지지했다.[3] 또한, 대통령제 방식으로 프랑스의 정치 제도를 개혁하여 국가의 안정성과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4]
1934년 2월 6일 위기에서 크루아 드 푸는 시위에 참여했지만, 라 로크는 회원들의 폭동 가담을 금지했다. 1936년 5월 23일 연설에서 라 로크는 공화국 지지를 명확히 하고, 전체주의와 인종차별을 비판하며 "국가 화해"를 강조했다.[5] 하지만 좌파와 중도 진영은 크루아 드 푸를 비롯한 우익 단체들을 파시스트 조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라 로크가 노동 계급 등 대중의 지지를 얻는 것에 위협을 느꼈기 때문에 그를 반대했다.[6]
피에르 라발 정부는 1935년 12월 6일 준군사 조직을 불법화했고, 이는 1936년 1월 10일 법으로 이어졌지만 부분적으로만 시행되었다. 액시옹 프랑세즈만 해산되었고, 크루아 드 푸는 계속 활동할 수 있었다. 1936년 5월 의회 선거에서 우익 단체 해산을 공약으로 내건 인민전선이 승리한 후, 정부는 6월 18일 크루아 드 푸와 무브망 소시알 프랑세를 금지하는 법령을 발표했다. 몇 주 후인 7월 7일, 라 로크는 해산된 단체를 계승하기 위해 프랑스 사회당을 창당했다.
2. 1. 크루아 드 푸 (Croix-de-Feu)
크루아 드 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단체이자 극우 단체로, 1930년대 초 프랑스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단체 중 하나였다.[2] 액시옹 프랑세즈의 "정치 우선" 슬로건에 대응하여 "사회 우선"을 내세웠다. 사회 가톨릭 협동조합주의, 최저임금 및 유급 휴가 제도, 여성 참정권 등을 지지했다.[3]1934년 2월 6일 위기에서 크루아 드 푸는 시위에 참여했지만, 지도자인 라 로크는 회원들의 폭동 가담을 금지하며 공화주의적 합법성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프랑스 사회당(PSF)이 중요하게 여긴 정치 원칙이기도 하다. 라 로크는 1936년 5월 23일 연설에서 공화국 지지를 명확히 하고, 전체주의와 인종차별을 비판하며 "국가 화해"를 강조했다.[5]
하지만 좌파와 중도 진영은 크루아 드 푸를 비롯한 우익 단체들을 파시스트 조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라 로크가 노동 계급 등 대중의 지지를 얻는 것에 위협을 느꼈기 때문에 그를 반대했다.[6]
2. 2. 프랑스 사회당 창당
1936년 총선에서 인민전선이 승리한 후, 크루아 드 푸를 비롯한 극우 단체들이 해산되자, 라 로크는 프랑스 사회당(Parti Social Français, PSF)을 창당했다.[5] 라 로크는 PSF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단체이자 1930년대 초 프랑스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극우 단체였던 크루아 드 푸의 정치적 후계자로 구상했다.[2]PSF는 사회 가톨릭 협동조합주의, 최저임금 및 유급 휴가 제도, 여성 참정권, 의회 절차 개혁 등 다양한 정책을 지지했다.[3] 또한, 대통령제 방식으로 프랑스의 정치 제도를 개혁하여 국가의 안정성과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4] 라 로크는 전체주의와 인종차별, 계급 투쟁을 비판하며 "국가 화해"를 강조했다.[5]
3. 정치적 성공과 협력 (1936-1940)
프랑스 사회당(PSF)은 1936년 프랑스 하원 의원 선거에서 6명의 의원을 당선시켰고, 이후 보궐선거를 통해 3명을 추가로 확보했다.[11] 다른 우익 정당 출신 의원 2명도 PSF로 당적을 옮겼다.[11] 1938년-1939년 지방 선거에서는 전국 득표율 15%를 기록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1] 1939년 6월에는 정비례 대표제 법안이 통과되어, 1940년 총선에서 약 100명의 의원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2] 1939년 당시 PSF는 11명의 의원 외에도 약 3,000명의 시장, 541명의 지방의회 의원, 수천 명의 시의회 의원을 배출했다.[12]
PSF의 성장은 공화연맹과 같은 기존 우익 정당들과의 경쟁을 심화시켰다. 1937년 노르망디 보궐선거에서 공화연맹 후보는 1차 투표에서 PSF 후보에게 뒤졌고, 처음에는 결선 투표에서 PSF 후보 지지를 거부했다. 결국 공화연맹 후보가 PSF 후보를 지지했지만, 두 정당 간의 불화로 중도 후보가 당선되면서 갈등을 드러냈다.[13] 자크 도리오의 극우 정당인 프랑스 인민당(PPF) 또한 PSF의 인기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도리오는 1937년 3월 자유전선 결성을 제안했지만, 라 로크는 이를 거부했다.[15]
1938년 4월, PSF 의원들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 이끄는 급진당 정부에 대한 신임 투표를 했다.[12] 인민전선이 붕괴되면서 PSF와 급진당의 연합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올랐다. 사회당 기관지 ''르 포퓔레르''는 1938년에 "PSF-급진당 연합은 정치 생활의 현실이 되었다"고 보도했다.[18] 한편, 상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우익 성향의 독립 급진당 의원들은 인민전선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대했으며, 1940년 선거에서 PSF의 약진을 예상하고 새로운 세력과 협력을 모색했다.[12]
3. 1. 조직과 대중 동원
프랑스 사회당(PSF)은 극우 단체인 푸른십자가의 광범위한 대중적 기반을 계승했으며,[7] 당시의 인민전선을 반영하여 체육 단체, 노동 단체, 레저 및 휴가 캠프 등 다양한 관련 단체를 통해 대중을 성공적으로 동원했다. PSF 회원들은 계급 협력을 주장하며 경영진을 노동 운동에 대항하여 조직하는 수단으로 여겨진 "직능별 노조"의 발전을 주도했는데, 1938년까지 1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8]3. 2. 선거에서의 성공
1936년 하원 의원 선거에서 신생 프랑스 사회당(PSF) 당원 6명이 선출되었고, 1936년부터 1939년 사이 보궐선거를 통해 3명이 추가로 선출되었다.[11] 다른 우익 의회 그룹의 의원 2명도 프랑스 사회당으로 당적을 바꾸었다.[11] 1938년-1939년 지방 선거에서는 전국 투표의 15%를 획득하면서 프랑스 사회당의 실제 선거 잠재력이 나타났다.[11] 1939년 6월 하원에서 정비례 대표제 법이 통과되어, 1940년에 계획된 총선에서 약 100명의 의원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2] 1939년까지 프랑스 사회당의 선출직 공무원은 11명의 의원 외에도 약 3,000명의 시장, 541명의 지방의회 의원, 수천 명의 시의회 의원을 포함했다.[12]3. 3. 기존 우익 정당들과의 경쟁
프랑스 사회당(PSF)의 성장은 공화연맹을 비롯한 기존 우익 정당들과의 경쟁을 심화시켰다. 1937년 노르망디 보궐선거에서 공화연맹 후보는 1차 투표에서 PSF 후보에게 뒤처졌고, 처음에는 결선 투표에서 PSF 후보 지지를 거부했다. 결국 공화연맹 후보가 PSF 후보를 지지했지만, 두 정당 간의 불화로 중도 후보가 당선되면서 두 정당의 공존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 두 정당은 이념적으로 많은 부분에서 합의를 보았지만, 특히 극우 단체에 대한 방어와 같은 부분에서, PSF는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연맹에게 "자신의 선거적 운명에 대한 경쟁자"로 여겨졌다.[13]자크 도리오의 극우 정당인 ''프랑스 인민당''(PPF) 또한 PSF의 인기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1936년 6월 PSF와 마찬가지로 창당된 PPF는 초기에는 성공했지만, PSF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쇠퇴했다.[14] 1937년 3월, 도리오는 인민전선에 반대하는 우익 통합을 목표로 ''자유전선'' 결성을 제안했다. 공화연맹을 비롯한 소규모 우익 정당들은 도리오의 제안을 받아들였지만, 라 로크는 이 전선을 자신의 당 인기를 "합병"하려는 시도로 간주하며 거부했다.[15]
3. 4. 급진당과의 관계 개선
1938년 4월, 프랑스 사회당(PSF) 의원들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 이끄는 급진당 정부에 대한 신임 투표를 진행했다.[12] 인민전선이 붕괴되면서 PSF와 급진당의 연합은 좌파 진영에서 유력한 대안으로 떠올랐다. 사회당 기관지 ''르 포퓔레르''는 1938년에 "PSF-급진당 연합은 정치 생활의 현실이 되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당시 대부분의 관찰자들은 이러한 관측을 시기상조로 여겼다.[18] 한편, 상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우익 성향의 독립 급진당 의원들은 인민전선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대했으며, 1940년 선거에서 PSF의 약진을 예상하고 새로운 세력과 협력을 모색했다.[12]4. 전쟁 중 활동 (1940-1945)
1939년 단치히 사건으로 PSF는 의회에서 발언권을 확보할 기회를 잃었다. 프랑스 총리 에두아르 달라디에는 임박한 선거 운동이 국방 사업을 방해할 것을 우려하여 하원 임기를 1942년 5월까지 연장했다.[19]
프랑스 함락과 비시 정권 수립 이후, PSF는 '프로그레 소시알 프랑세'(Progrès Social Français, 프랑스 사회 진보)로 개칭되었고, 점령 당국의 정치 활동 금지로 사회 지원 단체 형태를 취했다. 비시는 헌법적 정통성을 주장했지만, 샤를 발랭(Charles Vallin) 등 일부 PSF 구성원은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했다.
4. 1. 비시 정권과의 관계
프랑스 사회당은 프랑스 함락과 비시 정권 수립 이후, 비시 정권을 패배주의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이라고 규탄했지만, 필립 페탱(Philippe Pétain) 원수에 대한 충성은 유지했다.[20] PSF는 ''프로그레 소시알 프랑세''(Progrès Social Français, 프랑스 사회 진보)로 개칭되었고, 점령 당국의 정치 활동 금지로 인해 사회 지원 단체 형태를 취했다.라 로크는 초기에는 비시 정부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페탱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며, 비시의 ''레볼뤼시옹 나시오날''(Révolution Nationale) 중 온건한 측면, 특히 조합주의와 사회 정책에 동의했다. 또한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의 자유 프랑스군과 국가 저항 위원회를 비시에 대항하는 합법적인 프랑스 당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치 독일 점령군과의 협력에는 반대했으며, PSF 회원들이 세르비스 도르드 레지오네르(Service d'Ordre Légionnaire), 밀리스(Milice), 볼셰비키즘 반대 프랑스 자원 봉사단(Legion of French Volunteers Against Bolshevism) 등 비시 후원 단체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
1940년 8월, 라 로크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적극 참여했다. 그럼에도 페탱이 협력 노선을 포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고, 1943년 초 페탱과 세 차례 회담을 가졌으나, 마지막 회담 이틀 후인 3월 9일 게슈타포에 체포되었다.[21]
제3공화국 시대의 다른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PSF는 비시 정권 협력자와 저항자를 모두 배출했다. 예를 들어, 전 PSF 국회의원 장 이바르네가라이(Jean Ybarnegaray)는 페탱 휘하 첫 비시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했지만, 1940년 사임 후 1943년 레지스탕스 회원들의 스페인 망명을 돕다 체포되어 추방되었다.[22]
4. 2. 레지스탕스 활동
라 로크는 비시 정권을 패배주의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이라고 비판했지만, 필립 페탱 원수에게는 계속 충성했다.[20] 그러나 나치 독일 점령군과의 협력에는 반대하여, PSF 회원들이 비시가 후원하는 단체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1940년 8월, 라 로크는 영국 비밀 정보국에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42년에는 PSF 회원들 간의 정보 수집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레조 클랑''(Réseau Klan, 클랑 네트워크)을 결성하여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1]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 로크는 페탱이 협력주의 노선을 포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고, 1943년 초 페탱과 세 차례 회담을 가졌다. 그러나 마지막 회담 이틀 후인 3월 9일,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체코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로 추방되었다가 1945년 5월에야 프랑스로 돌아왔다.[21]
5. 전후 유산 (1945-1958)
프랑스 해방 직후, 프랑스 사회당(PSF)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지만, 그 이념적 유산은 여러 정당과 정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PSF의 공식적인 후계자를 자처한 정당은 1945년 8월에 설립된 프랑스 화해 사회 공화당(PRSRF)이었다. 그러나 이 당은 통합적인 지도력을 잃고 1956년 분열되면서 사실상 소멸했고, 일부 당원들은 독립농민 중앙연합(CNIP)에서 활동했다.
프랑스 사회당의 이념은 제4공화국 기간 동안 우익 및 중도 정치 세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본과 노동의 연합을 강조하는 조합주의적 이념과 강력하고 안정적인 대통령제 지지는 골리즘 발전에 기여하여, 1958년 대통령 중심제인 제5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다.[21] 전후 골리스트 정당인 프랑스 인민결집(RPF)은 프랑스 사회당이 개척한 대중 기반 조직 및 동원 모델을 적극적으로 채택했다.
5. 1. 공식적인 계승
프랑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 라 로크와 그의 남은 추종자들(주로 피에르 드 레오타르, 안드레 포르티에, 장 드 미에리 등)은 프랑스 화해 사회 공화당(Parti Républicain Social de la Réconciliation Française, PRSRF)을 설립했다. 이 당은 흔히 프랑스 화해(Réconciliation Française)로 알려졌으며, PSF의 공식 후계자를 목표로 했다.[23]레오타르의 주도로 PRSRF는 1946년 6월, 1946년 11월, 1951년, 1956년 선거에서 우익 공화 좌파 연합(RGR, 좌익주의 참조) 연합에 참여했다. 그러나 1946년 라 로크가 사망하면서 당은 통합적인 지도력을 잃었고, 전쟁 전의 인기를 활용하려던 기대는 무산되었다. 1956년 RGR가 중도좌파 및 중도우파 그룹으로 분열되면서 PRSRF는 사실상 소멸했지만, 일부 당원들은 이후 보수적인 독립농민 중앙연합(CNIP)에서 정치 경력을 이어갔다.
5. 2. 이념적 후계자들
프랑스 사회당(PSF)과 라 로크의 이념은 제4공화국 기간 동안 우익 및 중도 정치 세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라 로크는 추종자들에게 "진정으로 공화주의적이고 사회적으로 매우 대담한 제3당"을 만들 것을 조언했다.[24] 이는 공화좌파연합 내의 ''Réconciliation Française''를 의미했지만, 일부 전 PSF 당원과 동조자들에게는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인 인민공화운동(MRP)에 더 정확하게 적용되었고, 프랑수아 미테랑[25]과 같은 다른 이들에게는 좌파 자유주의 정당인 저항의 민주사회주의연합(UDSR)에 적용되었다.특히 자본과 노동의 연합을 강조하는 조합주의적 이념과 의회 공화국을 대체할 강력하고 안정적인 대통령제 지지는 골리즘 발전에 기여하여, 1958년 대통령 중심제인 제5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다.[21] 전후 골리스트 정당인 프랑스 인민결집(RPF)은 인민공화운동(MRP)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사회당(PSF)이 개척한 대중 기반 조직 및 동원 모델을 적극적으로 채택했는데, 이는 전쟁 전 고전 우익의 간부 중심 정당과는 뚜렷하고 영구적인 결별을 의미했다.
6. 역사적 평가
프랑스 사회당(PSF)에 대한 역사적 논쟁의 핵심은 이 당을 "프랑스 파시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현대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거부합니다.
- 르네 레몽(René Rémond)은 그의 저서 ''La Droite en France''에서 PSF를 프랑스 우익 정치의 보나파르트주의 전통의 한 갈래로 보았습니다. 즉, 포퓰리즘적이고 반의회주의적이지만 파시즘은 아니라는 것입니다.[26]
- 피에르 밀자(Pierre Milza)는 ''La France des années 30''에서 "PSF는 공화정 반대보다는 반의회주의적이었다"고 썼습니다.[27]
- 장 라쿠튀르(Jean Lacouture)는 "라 로크(La Rocque)의 운동은 파시즘적이거나 극단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습니다.[28]
- 르네 레몽은 PSF를 프랑스 파시즘에 대한 "해독제"로 규정하며, "프랑스식 파시즘을 대표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리, 라 로크는 중산층의 지지를 더욱 극단적인 대안으로부터 돌려 프랑스를 파시즘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했습니다.[29]
- 자크 노베쿠르(Jacques Nobécourt) 역시 "라 로크는 전쟁 전 전체주의 실험으로부터 프랑스를 구했다"고 비슷한 주장을 했습니다.[30]
하지만, 일부 외국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 지브 스턴헬(Zeev Sternhell)은 그의 저서 ''Neither Right Nor Left: Fascist Ideology in France''에서 PSF를 불랑지즘(Boulangism)과 조르주 소렐(Georges Sorel)의 혁명적 노동조합주의에 뿌리를 둔 "혁명적 우익" 전통과 연결합니다.[32]
- 로버트 수시(Robert Soucy),[33] 윌리엄 D. 어바인(William D. Irvine), 미셸 도브리(Michel Dobry)[34] 등은 십자화염(Croix-de-Feu)과 PSF가 프랑스적인 파시즘의 부분적으로 실현된 형태였으며, 그들의 정치적 잠재력은 독일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고 주장합니다.
- 스턴헬은 나치당이 따랐던 민주적인 권력 장악의 길을 지적하며, 공화주의적 합법성에 대한 라 로크의 존중이 그의 운동을 파시즘으로 규정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PSF의 "파시즘적" 경향에 대한 혼란은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첫째, PSF의 전신인 십자화염(Croix-de-Feu)은 겉으로는 파시즘적인 우익 연맹들이 사용한 것과 유사한 준군사적 모습을 보였습니다.
- 둘째, PSF는 의회주의를 비판했는데, 이는 당시 정치 담론에서 반공화적이고 "파시즘적"으로 여겨졌습니다.
참조
[1]
간행물
lecture at the Academy of Rouen
1998-02-07
[2]
간행물
Les Croix-de-Feu 1927-1936
[3]
서적
Service public
[4]
서적
Service public
[5]
간행물
Bulletin d'information du PSF du 8 juillet 1938, discours au Congrés PSF de Marseille, le 8 juin 1937
[6]
서적
French Conservatism in Cri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8]
간행물
Les Syndicats professionels français (1936-39)
[9]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10]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11]
서적
La Rocque
Fayard
[12]
서적
La Rocque
Fayard
[13]
서적
French Conservatism in Cri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15]
간행물
L'Union des droites, le PSF et le Front de la Liberté, 1936-37
[16]
간행물
L'Union des droites, le PSF et le Front de la Liberté, 1936-37
[17]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18]
서적
La Rocque
Fayard
[19]
서적
The Collapse of the Third Republic: An Inquiry Into the Fall of France in 1940
New York
[20]
서적
Mitterrand, une histoire de Français
Le Seuil
[21]
간행물
lecture at the Academy of Rouen
1998-02-07
[22]
서적
Vichy France
Columbia
[23]
간행물
Matériaux pour l'histoire du Rassemblement des Gauches Républicaines (RGR)
http://www.u-paris10[...]
[24]
간행물
lecture at the Academy of Rouen
1998-02-07
[25]
서적
L'UDSR ou la genèse de François Mitterrand
Paris
[26]
서적
La Droite en France
Aubier-Montaigne
[27]
서적
La France des années 30
Armand Colin
[28]
서적
Mitterrand, une histoire de Français
Le Seuil
[29]
서적
La Droite en France
Aubier-Montaigne
[30]
간행물
lecture at the Academy of Rouen
1998-02-07
[31]
서적
The Popular Front in France: Defending Democracy, 1934-38
Cambridge
[32]
서적
Neither Right Nor Left: Fascist Ideology in Fr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Fascismes français? : 1933-39
Autrement
[34]
서적
Le Mythe de l'allergie française au fascisme
Albin Mich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