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979년에 개최된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이다. 대한민국이 금메달 7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멕시코, 서독, 네덜란드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 종목별 메달리스트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가 디에고 마라도나를 중심으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로, 한국은 홈 이점을 안고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고베, 도쿄 등 4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했다. -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7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는 개인전에서 데럴 페이스와 김진호가 우승하고, 단체전에서 미국과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김진호는 더블라운드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한국 양궁의 도약에 기여, 대한민국이 양궁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79년 9월 -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가 디에고 마라도나를 중심으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로, 한국은 홈 이점을 안고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고베, 도쿄 등 4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했다. - 1979년 9월 - 벨라 사건
1979년 벨라 위성이 인도양에서 감지한 '이중 섬광'은 핵폭발로 추정되었으나 방사능 흔적이 없어 논란이 되었고,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77개 국가 및 난민팀에서 온 94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체급별 경쟁을 펼친 국제 태권도 대회로, 대한민국이 금메달 5개 등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2015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137개국 872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 이란이 남자부 1위, 대한민국이 여자부 1위를 차지했다.
197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
대회 요약 | |
명칭 | 197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명 | Taekwondo-Weltmeisterschaften 1979 |
횟수 | 제4회 |
개최지 | ' 슈투트가르트' |
경기장 | 진델핑겐 스포츠 홀 |
날짜 | 1979년 10월 26일 - 28일 |
참가국 | '38' |
참가 선수 | '453' |
세부 종목 | '10 (남 10)' |
남자 우승국 | '' |
최다 메달 획득국 | '' |
대회 정보 | |
위치 | ' 슈투트가르트, 서독' |
날짜 | 1979년 10월 26일 – 28일 |
경기장 | 글라스팔라스트 진델핑겐 |
이전 및 이후 대회 | |
이전 대회 | ' 1977년 시카고' |
다음 대회 | ' 1982년 과야킬' |
2.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7 | 0 | 2 | 9 | |
2 | 1 | 4 | 2 | 7 | |
3 | 1 | 2 | 4 | 7 | |
4 | 1 | 0 | 2 | 3 | |
5 | 0 | 2 | 4 | 6 | |
6 | 0 | 1 | 1 | 2 | |
7 | 0 | 1 | 0 | 1 | |
8 | 0 | 0 | 2 | 2 | |
0 | 0 | 2 | 2 | ||
10 | 0 | 0 | 1 | 1 | |
합계 | 10 | 10 | 20 | 40 |
3. 메달 리스트
체급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핀급 (−48kg) 이승형 (KOR) Jaime de Pablos (MEX) 이대성 (USA) Emilio Azofra(ESP) 플라이급 (−52kg) 양기모 (KOR) Jesús Benito (ESP) Ramiro Guzmán (MEX) Bachir Ouazzani (MAR) 밴텀급 (−56kg) 김종기 (KOR) Pablo Arizmendi (MEX) 최정식 (USA) Dragan Veljović (FRG) 페더급 (−60kg) 임대택 (KOR) Reynaldo Salazar (MEX) Bernd Bartsch (FRG) Martin Hall (AUS) 라이트급 (−64kg) 박오성 (KOR) Greg Fears (USA) Henk Horsten (NED) Hubert Leuchter (FRG) 웰터급 (−68kg) Óscar Mendiola (MEX) Lindsay Lawrence (GBR) Helmut Gärtner (FRG) 김무천 (KOR) 라이트미들급 (−73kg) Rainer Müller (FRG) Guillermo Aragonés (MEX) 박정호 (KOR) Hans Brugmans (NED) 미들급 (−78kg) 김상천 (KOR) Richard Schulz (FRG) Byl Be Yao (CIV) John Holloway (USA) 라이트헤비급 (−84kg) 정찬 (KOR) Eugen Nefedow (FRG) Scott Rohr (USA) Abdoulaye Cissé (CIV) 헤비급 (+84kg) Sjef Vos (NED) Thomas Seabourne (USA) Keith Whittemore (AUS) Carlos Obregón (MEX)
3. 1. 남자
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핀급 (−48kg) | 이승형 (KOR) | Jaime de Pablos (MEX) | 이대성 (USA) |
Emilio Azofra(ESP) | |||
플라이급 (−52kg) | 양기모 (KOR) | Jesús Benito (ESP) | Ramiro Guzmán (MEX) |
Bachir Ouazzani (MAR) | |||
밴텀급 (−56kg) | 김종기 (KOR) | Pablo Arizmendi (MEX) | 최정식 (USA) |
Dragan Veljović (FRG) | |||
페더급 (−60kg) | 임대택 (KOR) | Reynaldo Salazar (MEX) | Bernd Bartsch (FRG) |
Martin Hall (AUS) | |||
라이트급 (−64kg) | 박오성 (KOR) | Greg Fears (USA) | Henk Horsten (NED) |
Hubert Leuchter (FRG) | |||
웰터급 (−68kg) | Óscar Mendiola (MEX) | Lindsay Lawrence (GBR) | Helmut Gärtner (FRG) |
김무천 (KOR) | |||
라이트미들급 (−73kg) | Rainer Müller (FRG) | Guillermo Aragonés (MEX) | 박정호 (KOR) |
Hans Brugmans (NED) | |||
미들급 (−78kg) | 김상천 (KOR) | Richard Schulz (FRG) | Byl Be Yao (CIV) |
John Holloway (USA) | |||
라이트헤비급 (−84kg) | 정찬 (KOR) | Eugen Nefedow (FRG) | Scott Rohr (USA) |
Abdoulaye Cissé (CIV) | |||
헤비급 (+84kg) | Sjef Vos (NED) | Thomas Seabourne (USA) | Keith Whittemore (AUS) |
Carlos Obregón (MEX)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