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977년에 개최된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이다. 대한민국이 금메달 7개와 은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중화민국이 2위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핀급부터 헤비급까지 총 8개의 체급에서 메달 경쟁이 펼쳐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7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튀니지에서 개최된 FIFA 주관 청소년 축구 대회로, 16개국이 참가하여 소련이 멕시코를 꺾고 우승했으며, 튀니지의 4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명칭 |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 명칭 | 1977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
횟수 | 제3회 |
개최지 | ' 시카고' |
경기장 | 인터내셔널 엠피시어터 (International Amphitheatre) |
날짜 | 1977년 9월 15일 - 17일 |
참가국 | '46' |
참가 선수 | '720' |
세부 종목 | 8 (남 8) |
남자 우승국 | '' |
최다 메달 획득국 | '' |
이전 대회 | ' 1975년 서울' |
다음 대회 | ' 1979년 슈투트가르트' |
대회 요약 | |
위치 | ' 시카고, 미국' |
날짜 | 1977년 9월 15–17일 |
경기장 | 인터내셔널 엠피시어터 |
남자 우승 | '' |
이전 대회 | '1975' |
다음 대회 | '1979' |
2. 메달 집계
대한민국은 금메달 7개, 은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중화민국(대만)이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2위를 기록했다.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7 | 1 | 0 | 8 | |
2 | 1 | 2 | 1 | 4 | |
3 | 0 | 2 | 2 | 4 | |
4 | 0 | 1 | 4 | 5 | |
5 | 0 | 1 | 1 | 2 | |
6 | 0 | 1 | 0 | 1 | |
7 | 0 | 0 | 4 | 4 | |
8 | 0 | 0 | 3 | 3 | |
9 | 0 | 0 | 1 | 1 |
3. 메달 리스트
핀급 (-48kg) 대한민국 여성기가 금메달, 멕시코 하이메 데파블로스가 은메달, 중화민국 Sheu Jiom-shi와 서독 Turgay Ertuğrul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플라이급 (-53kg) 대한민국의 하석광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에콰도르의 호르헤 라미레스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멕시코의 Moritz Von Nacher와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가르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밴텀급 (-58kg) 대한민국의 김종기가 중화민국의 Hour Waei-shing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서독의 헬무트 스토페와 멕시코의 레이날도 살라사르에게 돌아갔다. 페더급 (-63kg) 섬네일 라이트급 (-68kg) 중화민국 황밍더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대한민국 최재천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미국 어니 레이스와 스페인 에두아르도 메르찬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웰터급 (-73kg) 대한민국의 유영합이 코트디부아르의 테오필 도수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멕시코의 마누엘 후라도와 서독의 라이너 뮐러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들급 (-80kg)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미들급 (-80kg)에서 금메달은 대한민국 허송이 차지했고, 은메달은 미국 제임스 커비가 획득했다. 동메달은 스페인 마누엘 살세도와 멕시코 카를로스 오브레곤에게 돌아갔다. 헤비급 (+80kg) 섬네일
3. 1. 핀급 (-48kg)
대한민국 여성기가 금메달, 멕시코 하이메 데파블로스가 은메달, 중화민국 Sheu Jiom-shi와 서독 Turgay Ertuğrul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플라이급 (-53kg)
대한민국의 하석광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에콰도르의 호르헤 라미레스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멕시코의 Moritz Von Nacher와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가르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3. 3. 밴텀급 (-58kg)
대한민국의 김종기가 중화민국의 Hour Waei-shing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서독의 헬무트 스토페와 멕시코의 레이날도 살라사르에게 돌아갔다.
3. 4. 페더급 (-63kg)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페더급(-63kg)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의 박정호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미국의 그레그 피어스가 은메달을, 네덜란드의 페터르 살름과 코트디부아르의 프레데리크 쿠아시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3. 5. 라이트급 (-68kg)
황밍더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최재천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어니 레이스와 에두아르도 메르찬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3. 6. 웰터급 (-73kg)
대한민국의 유영합이 코트디부아르의 테오필 도수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멕시코의 마누엘 후라도와 서독의 라이너 뮐러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3. 7. 미들급 (-80kg)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미들급 (-80kg)에서 금메달은 대한민국 허송이 차지했고, 은메달은 미국 제임스 커비가 획득했다. 동메달은 스페인 마누엘 살세도와 멕시코 카를로스 오브레곤에게 돌아갔다.
3. 8. 헤비급 (+80kg)
'''헤비급 (+80kg)''' 경기는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헤비급 경기이며, 80kg 초과급으로 진행되었다. 금메달은 대한민국의 안장식이, 은메달은 중화민국의 린잉펑이 차지하였고, 동메달은 서독의 디르크 융과 미국의 존 홀러웨이에게 돌아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