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9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은 아프리카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라자 카사블랑카가 MC 오랑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 라운드를 거쳐 본선에 진출한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원정 다득점, 승부차기 등의 규칙이 적용되었다. 8강, 준결승을 거쳐 라자 카사블랑카와 MC 오랑이 결승에서 맞붙었으며, 무라드 메지안이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축구 - 1989년 코파 아메리카
1989년 코파 아메리카는 브라질에서 개최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로, 10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꺾고 우승했으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1990년 FIFA 월드컵 준비에 영향을 주었다. - 1989년 축구 - 힐즈버러 참사
힐즈버러 참사는 1989년 4월 15일 잉글랜드 셰필드 힐즈버러 스타디움에서 FA컵 준결승전 중 과도한 관중으로 인해 발생한 압사 사고로, 97명이 사망하고 766명이 부상당한 영국 축구 역사상 최악의 참사 중 하나이다. -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 1992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1992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프리카 각국 최정상 클럽들이 아프리카 챔피언 자리를 놓고 경쟁한 대회로, 모로코의 위다드 카사블랑카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잠비아의 케네스 말리톨리가 득점 순위 1위에 올랐다. -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 1971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1971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은 CAF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카논 야운데가 아산테 코토코를 꺾고 우승했으며, 결승전 승점 동률 후 플레이오프에서 카논 야운데가 우승팀으로 선언되었고, 그레이트 올림픽스의 세실 존스 아투퀘이피오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1989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이름 |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
| 연도 | 1989년 |
| 개최 기간 | 1989년 |
| 참가 팀 수 | 38개 클럽 |
| 예선 참가국 수 | 37개국 |
| 우승 팀 | 라자 카사블랑카 (1번째 우승) |
| 준우승 팀 | MC 오랑 |
| 총 경기 수 | 69 |
| 총 득점 수 | 153 |
| 최다 득점 선수 | 무라드 메지안 (5골) |
| 이전 대회 | 1988년 |
| 다음 대회 | 1990년 |
2. 경기 결과
1989년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문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각 라운드별 진출팀만 간략하게 요약한다.
- 예비 라운드: ASDR 파티마, 음바바네 하일랜더스, 보츠와나 디펜스 포스, 마이티 블랙풀, 세인트루이스 FC, 에투알 필랑트 드 와가두구가 1라운드에 진출했다.
- 1라운드: AFC 레오파즈, 짐바브웨 세인츠, 졸리바 AC, 마이티 블랙풀, 에스페랑스 드 튀니스, 익스프레스 FC, 파이어 브리게이드, 인테르 클뤼브 브라자빌, 이와냐누 나티오날레, JAC 포르장틸, MC 오랑, 은카나 레드 데블스, 라자 카사블랑카, 토네르 야운데, AS 비타 클뢰브, 알무라다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 2라운드: 알무라다, 인테르 클뤼브 브라자빌, MC 오랑, 마이티 블랙풀, 은카나 레드 데블스, 라자 카사블랑카, 토네르 야운데, 짐바브웨 세인츠가 8강에 진출했다.
- 8강전 (준준결승전): MC 오랑, 토네르 야운데, 라자 카사블랑카, 은카나 레드 데블스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 준결승전: MC 오랑과 라자 카사블랑카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 결승전: 라자 카사블랑카가 MC 오랑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1. 예비 라운드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CD 엘라 응게마 | 1-4 | ASDR 파티마 | 1-0 | 0-4 |
| 음바바네 하일랜더스 | 2-0 | 팬 아프리칸 | 2-0 | 없음1 |
| 마틀라마 FC | 1-5 | 보츠와나 디펜스 포스 | 0-1 | 1-4 |
| 마이티 블랙풀 | 부전승 | 벤피카 드 비사우 | 없음 | 없음 |
| 세인트루이스 FC | 1-0 | COSFAP 안타나나리보 | 0-0 | 1-0 |
| 주문타 AC | 1-3 | 에투알 필랑트 드 와가두구 | 0-2 | 1-1 |
1 팬 아프리칸은 1차전 경기 후 기권했다.
벤피카 드 비사우는 기권했다.
2. 2. 1라운드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AFC 레오파즈 (케냐) | 1-1 (a) | AS 인테르 스타 (부룬디) | 0-0 | 1-1 |
| GD 마푸투 (모잠비크) | 3-3 (a) | 짐바브웨 세인츠 (짐바브웨) | 2-2 | 1-1 |
| 졸리바 AC (말리) | 1-0 | 호로야 AC (기니) | 1-0 | 0-0 |
| 앙탕트 드 세티프 (알제리) | 1-1 (승부차기 3-5) | 마이티 블랙풀 (시에라리온) | 1-0 | 0-1 |
| 에스페랑스 드 튀니스 (튀니지) | 2-1 | 에투알 필랑트 드 와가두구 (부르키나파소) | 2-1 | 0-0 |
| 익스프레스 FC (우간다) | 5-2 | 음바바네 하일랜더스 (에스와티니) | 4-0 | 1-2 |
| 파이어 브리게이드 (모리셔스) | 2-0 | 세인트루이스 FC (세이셸) | 1-0 | 1-0 |
| 인테르 클뤼브 브라자빌 (콩고 공화국) | 4-3 | 페트루 아틀레티쿠 (앙골라) | 2-1 | 2-2 |
| 이와냐누 나티오날레 (나이지리아) | 4-1 | 마이티 바롤레 (라이베리아) | 4-1 | 0-0 |
| JAC 포르장틸 (가봉) | 1-1 (승부차기 5-3) | 아프리카 스포르 (코트디부아르) | 1-0 | 0-1 |
| MC 오랑 (알제리) | 부전승 | 알이티하드 트리폴리 (리비아) | 없음 | 없음 |
| 은카나 레드 데블스 (잠비아) | 5-2 | 보츠와나 디펜스 포스 (보츠와나) | 4-1 | 1-1 |
| 라자 카사블랑카 (모로코) | 2-1 | ASC 잔 다르크 (세네갈) | 2-0 | 0-1 |
| 토네르 야운데 (카메룬) | 5-0 | ASDR 파티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0 | 3-0 |
| AS 비타 클뢰브 (자이르) | 6-1 | 무쿵와 (르완다) | 4-0 | 2-1 |
| 자말레크 (이집트) | 2-2 (a) | 알무라다 (수단) | 2-1 | 0-1 |
- 알이티하드 트리폴리(리비아)가 기권하여 MC 오랑(알제리)이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 1, 2차전 경기 결과 합계 점수가 같은 경우에는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2라운드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 합계 점수와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도 승리팀이 결정되지 않을 경우, 승부차기를 통해 2라운드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 에스와티니는 2018년 국명을 스와질란드에서 변경했다.
2. 3. 2라운드
(승부차기 4-5)(승부차기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