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24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전년도 우승팀인 AC 밀란과 각 리그 우승팀들이 조별 리그에 직행했다. 조 추첨을 통해 예선 라운드와 조별 리그 대진이 결정되었으며, 토너먼트 대진은 미리 정해진 대진표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었다. 조별 리그에서는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아약스가 AC 밀란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조지 웨아가 7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199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199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AFC 아약스가 AC 밀란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로, 파트릭 클라위버르트의 결승골과 아약스의 젊은 선수들의 활약, 그리고 AC 밀란의 세대교체 시기가 맞물려 큰 관심을 모았다. - 1994년 축구 -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94년 축구 - 1994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은 미국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의 우승으로 끝맺음되었으며, 미국 내 축구 인기 증가와 MLS 창설, 승점제 도입 등 축구 규칙 변화에 기여하고, 다양한 기록들을 남겼다. - 1995년 축구 - 1995년 코파 아메리카
1995년 코파 아메리카는 우루과이에서 개최되어 12개국이 참가,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1995년 축구 - 1994-95년 UEFA 컵위너스컵
1994-95년 UEFA 컵위너스컵은 1994년 8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레알 사라고사가 아스널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이안 라이트가 9골로 최고 득점자가 되었다.
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UEFA 챔피언스리그 |
개최 연도 | 1994–95 |
![]() | |
대회 기간 | 예선: 1994년 8월 10일 – 24일 |
대회 기간 (계속) | 본선: 1994년 9월 14일 – 1995년 5월 24일 |
참가 팀 수 (본선) | 16 |
참가 팀 수 (총합) | 24 |
우승 팀 | 아약스 |
우승 횟수 | 4회 |
준우승 팀 | 밀란 |
총 경기 수 | 61 |
총 득점 수 | 140 |
총 관중 수 | 2,328,515 |
최다 득점자 | 조지 웨아 (파리 생제르맹) |
최다 득점 | 7골 |
이전 시즌 | 1993–94 |
다음 시즌 | 1995–96 |
2. 참가 팀
총 24개 팀이 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다. 전년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이자 자국 리그에서도 우승한 밀란과, UEFA 클럽 랭킹에 따라 상위권을 차지한 23개 리그의 우승 팀들이 참가했다.[1] 우승 팀과 랭킹 상위 7개 리그의 우승 팀은 조별 리그로 직행했고, 9위에서 24위까지의 리그 우승 팀들은 예선 라운드에 진출했다.[1]
조별 리그 | |||
---|---|---|---|
밀란 (1위)TH | 바이에른 뮌헨 (1위) | 안데를레흐트 (1위) | 바르셀로나 (1위) |
벤피카 (1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위)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위) | 아약스 (1위) |
예선 라운드 | |||
파리 생제르맹 (1위) | 카지노 잘츠부르크 (1위) | AEK 아테네 (1위) | 갈라타사라이 (1위) |
레인저스 (1위) | 세르베트 (1위) | 실케보르 (1위)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위) |
예테보리 (1위) | 레기아 바르샤바 (1위) | 마카비 하이파 (1위) | 바츠 (1위) |
디나모 키예프 (1위) | 하이두크 스플리트 (1위) | 아베니르 베겐 (1위) | 스파르타 프라하 (1위) |
2. 1. 조별 리그 직행 팀
2. 2. 예선 라운드 진출 팀
3. 대회 일정
조 추첨은 1994년 7월 2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으며, 예선 라운드 대진과 조 편성이 결정되었다. 토너먼트 단계의 대진은 미리 정해진 대진표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었다.
단계 | 라운드 | 추첨 날짜 | 1차전 | 2차전 |
---|---|---|---|---|
예선 라운드 | 1994년 7월 20일 | 1994년 8월 10일 | 1994년 8월 24일 | |
조별 리그 | 1일차 | 1994년 9월 14일 | ||
2일차 | 1994년 9월 28일 | |||
3일차 | 1994년 10월 19일 | |||
4일차 | 1994년 11월 2일 | |||
5일차 | 1994년 11월 23일 | |||
6일차 | 1994년 12월 7일 | |||
토너먼트 | 8강 | 1995년 3월 1일 | 1995년 3월 15일 | |
준결승 | 1995년 4월 5일 | 1995년 4월 19일 | ||
결승 | 1995년 5월 24일 빈 에른스트-하펠 슈타디온에서 |
3. 1. 예선 라운드
1994-95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 라운드는 1994년 8월 10일에 1차전이, 8월 24일에 2차전이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EK 아테네 | 3–0 | 레인저스 | 2–0 | 1–0 |
아베니르 베겐 | 1–9 | 갈라타사라이 | 1–5 | 0–4 |
레기아 바르샤바 | 0–5 | 하이두크 스플리트 | 0–1 | 0–4 |
마카비 하이파 | 2–5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1–2 | 1–3 |
파리 생제르맹 | 5–1 | 바츠 FC 삼성 | 3–0 | 2–1 |
실케보르 | 1–3 | 디나모 키예프 | 0–0 | 1–3 |
스파르타 프라하 | 1–2 | 예테보리 | 1–0 | 0–2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5–2 | 세르베트 | 4–1 | 1–1 |
3. 2. 조별 리그
3. 3. 토너먼트
1995년 3월 1일과 3월 15일에 8강전 1차전과 2차전 경기가 열렸다. 준결승전은 4월 5일과 4월 19일에 1차전과 2차전 경기가 열렸다. 결승전 경기는 1995년 5월 24일에 오스트리아 빈의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에서 열렸다.4. 예선 라운드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8개 팀이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패배한 팀들은 UEFA컵 1라운드에 진출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EK 아테네 (그리스)영어 | 3–0 | 레인저스 (스코틀랜드)영어 | 2–0 | 1–0 |
아베니르 베겐 (룩셈부르크)영어 | 1–9 | 갈라타사라이 (터키)영어 | 1–5 | 0–4 |
레기아 바르샤바 (폴란드)영어 | 0–5 | 하이두크 스플리트 (크로아티아)영어 | 0–1 | 0–4 |
마카비 하이파 (이스라엘)영어 | 2–5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오스트리아)영어 | 1–2 | 1–3 |
파리 생제르맹 (프랑스)영어 | 5–1 | 바츠 FC 삼성 (헝가리)영어 | 3–0 | 2–1 |
실케보르 (덴마크)영어 | 1–3 | 디나모 키예프 (우크라이나)영어 | 0–0 | 1–3 |
스파르타 프라하 (체코)영어 | 1–2 | 예테보리 (스웨덴)영어 | 1–0 | 0–2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영어 | 5–2 | 세르베트 (스위스)영어 | 4–1 | 1–1 |
4. 1. 결과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EK 아테네 (GRE) | 3–0 | 레인저스 (SCO) | 2–0 | 1–0 |
아베니르 베겐 (LUX) | 1–9 | 갈라타사라이 (TUR) | 1–5 | 0–4 |
레기아 바르샤바 (POL) | 0–5 | 하이두크 스플리트 (CRO) | 0–1 | 0–4 |
마카비 하이파 (ISR) | 2–5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AUT) | 1–2 | 1–3 |
파리 생제르맹 (FRA) | 5–1 | 바츠 FC 삼성 (HUN) | 3–0 | 2–1 |
실케보르 (DEN) | 1–3 | 디나모 키예프 (UKR) | 0–0 | 1–3 |
스파르타 프라하 (CZE) | 1–2 | 예테보리 (SWE) | 1–0 | 0–2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ROU) | 5–2 | 세르베트 (SUI) | 4–1 | 1–1 |
5. 조별 리그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8개 팀과 조별 리그에 직행한 8개 팀, 총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 시즌부터 승리 시 승점 3점이 부여되었고, 무승부 시에는 승점 1점이 부여되었다.
참가한 16개 팀 중 10개 팀이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AEK 아테네, 아약스, 바이에른 뮌헨, 벤피카, 카지노 잘츠부르크, 디나모 키예프, 하이두크 스플리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파리 생제르맹,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이들 중 벤피카와 디나모 키예프는 이전에 1991–92 유러피언컵 조별 리그에 참가했었다. 카지노 잘츠부르크, 하이두크 스플리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그리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각각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잉글랜드, 루마니아에서 조별 리그에 진출한 최초의 팀이었다.
=== A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예테보리 | 6 | 4 | 1 | 1 | 10 | 7 | +3 | 9 |
바르셀로나 | 6 | 2 | 2 | 2 | 11 | 8 | +3 | 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6 | 2 | 2 | 2 | 11 | 11 | 0 | 6 |
갈라타사라이 | 6 | 1 | 1 | 4 | 3 | 9 | −6 | 3 |
A조에서는 예테보리가 4승 1무 1패(승점 9점)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예테보리는 10득점 7실점을 기록했다. 바르셀로나는 2승 2무 2패(승점 6점)로 2위를 기록, 8강에 진출했다. 바르셀로나는 11득점 8실점을 기록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바르셀로나와 승점, 득실차, 다득점까지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서 밀려 탈락했다. 갈라타사라이는 1승 1무 4패(승점 3점)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width=20%| | width=12%| | width=20%| |
---|---|---|
매치데이 1 | ||
바르셀로나 | 2–1 | 갈라타사라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2 | 예테보리 |
매치데이 2 | ||
갈라타사라이 | 0–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예테보리 | 2–1 | 바르셀로나 |
매치데이 3 | ||
예테보리 | 1–0 | 갈라타사라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2–2 | 바르셀로나 |
매치데이 4 | ||
갈라타사라이 | 0–1 | 예테보리 |
바르셀로나 | 4–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매치데이 5 | ||
갈라타사라이 | 2–1 | 바르셀로나 |
예테보리 | 3–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매치데이 6 | ||
바르셀로나 | 1–1 | 예테보리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0 | 갈라타사라이 |
=== B조 ===
B조에서는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이 6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2승 2무 2패(승점 6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1승 2무 3패(승점 4점), 디나모 키예프는 1승 5패(승점 2점)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파리 생제르맹은 1차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꺾은 것을 시작으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2차전, 2-1 승), 디나모 키예프(3차전, 2-1 승)를 차례로 꺾고 3연승을 달렸다. 4차전에서는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5차전에서는 바이에른 뮌헨을 1-0으로 다시 꺾으며 5연승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6차전에서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 4-1 대승을 거두며 6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를 마무리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파리 생제르맹과의 1차전에서 0-2로 패배했지만, 2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꺾고 3차전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1-1로 비기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 4차전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2-2로 다시 한 번 비겼지만, 5차전에서 파리 생제르맹에 0-1로 패하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마지막 6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4-1로 대파하며 조 2위를 확정지었다.
한편, 디나모 키예프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1차전에서 3-2로 승리하며 기분 좋게 출발했지만, 이후 5연패를 당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5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꺾었지만, 6차전에서 파리 생제르맹에 1-4로 패하며 조 3위에 머물렀다.
=== C조 ===
C조에서는 포르투갈의 벤피카가 3승 3무, 9득점 5실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크로아티아의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2승 2무 2패, 5득점 7실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루마니아의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1승 3무 2패, 7득점 6실점으로 3위,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는 4무 2패, 4득점 7실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1에서 안데를레흐트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벤피카 역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2에서는 벤피카가 안데를레흐트를 3-1로 이겼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하이두크 스플리트에게 0-1로 패했다. 매치데이 3에서는 벤피카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2-1로 이겼고,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안데를레흐트를 2-1로 이겼다.
매치데이 4에서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벤피카가 1-1 무승부를, 안데를레흐트와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5에서는 벤피카가 하이두크 스플리트를 2-1로 이겼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안데를레흐트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6에서는 안데를레흐트와 벤피카가 1-1 무승부를,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1-4로 패했다.
=== D조 ===
- 밀란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의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 난동에 관한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징계에 따라 승점 2점을 감점당하는 징계를 받았다.
1차전에서 아약스는 밀란을 2-0으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AEK 아테네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차전에서는 아약스가 AEK 아테네를 2-1로, 밀란이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3-0으로 이겼다. 3차전에서는 AEK 아테네와 밀란이 0-0,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아약스가 0-0으로 비겼다. 4차전에서는 밀란이 AEK 아테네를 2-1로, 아약스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5차전에서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가 AEK 아테네를 3-1로 이겼고, 아약스는 밀란을 2-0으로 이겼다. 마지막 6차전에서는 아약스가 AEK 아테네를 2-0으로, 밀란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1-0으로 이겼다.
5. 1. A조
A조에서는 예테보리가 4승 1무 1패(승점 9점)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예테보리는 10득점 7실점을 기록했다. 바르셀로나는 2승 2무 2패(승점 6점)로 2위를 기록, 8강에 진출했다. 바르셀로나는 11득점 8실점을 기록했다.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바르셀로나와 승점, 득실차, 다득점까지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서 밀려 탈락했다. 갈라타사라이는 1승 1무 4패(승점 3점)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예테보리 | 6 | 4 | 1 | 1 | 10 | 7 | +3 | 9 |
바르셀로나 | 6 | 2 | 2 | 2 | 11 | 8 | +3 | 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6 | 2 | 2 | 2 | 11 | 11 | 0 | 6 |
갈라타사라이 | 6 | 1 | 1 | 4 | 3 | 9 | −6 | 3 |
width=20%| | width=12%| | width=20%| |
---|---|---|
매치데이 1 | ||
바르셀로나 | 2–1 | 갈라타사라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2 | 예테보리 |
매치데이 2 | ||
갈라타사라이 | 0–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예테보리 | 2–1 | 바르셀로나 |
매치데이 3 | ||
예테보리 | 1–0 | 갈라타사라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2–2 | 바르셀로나 |
매치데이 4 | ||
갈라타사라이 | 0–1 | 예테보리 |
바르셀로나 | 4–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매치데이 5 | ||
갈라타사라이 | 2–1 | 바르셀로나 |
예테보리 | 3–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매치데이 6 | ||
바르셀로나 | 1–1 | 예테보리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0 | 갈라타사라이 |
5. 2. B조
B조에서는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이 6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2승 2무 2패(승점 6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1승 2무 3패(승점 4점), 디나모 키예프는 1승 5패(승점 2점)를 기록하며 탈락했다.파리 생제르맹은 1차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꺾은 것을 시작으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2차전, 2-1 승), 디나모 키예프(3차전, 2-1 승)를 차례로 꺾고 3연승을 달렸다. 4차전에서는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5차전에서는 바이에른 뮌헨을 1-0으로 다시 꺾으며 5연승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6차전에서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 4-1 대승을 거두며 6전 전승으로 조별 리그를 마무리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파리 생제르맹과의 1차전에서 0-2로 패배했지만, 2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꺾고 3차전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1-1로 비기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 4차전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2-2로 다시 한 번 비겼지만, 5차전에서 파리 생제르맹에 0-1로 패하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마지막 6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4-1로 대파하며 조 2위를 확정지었다.
한편, 디나모 키예프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1차전에서 3-2로 승리하며 기분 좋게 출발했지만, 이후 5연패를 당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5차전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1-0으로 꺾었지만, 6차전에서 파리 생제르맹에 1-4로 패하며 조 3위에 머물렀다.
5. 3. C조
{
C조에서는 포르투갈의 벤피카가 3승 3무, 9득점 5실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크로아티아의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2승 2무 2패, 5득점 7실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루마니아의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1승 3무 2패, 7득점 6실점으로 3위,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는 4무 2패, 4득점 7실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1에서 안데를레흐트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벤피카 역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2에서는 벤피카가 안데를레흐트를 3-1로 이겼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는 하이두크 스플리트에게 0-1로 패했다. 매치데이 3에서는 벤피카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2-1로 이겼고,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안데를레흐트를 2-1로 이겼다.
매치데이 4에서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벤피카가 1-1 무승부를, 안데를레흐트와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5에서는 벤피카가 하이두크 스플리트를 2-1로 이겼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안데를레흐트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치데이 6에서는 안데를레흐트와 벤피카가 1-1 무승부를,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1-4로 패했다.
5. 4. D조
{- 밀란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의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 난동에 관한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징계에 따라 승점 2점을 감점당하는 징계를 받았다.
1차전에서 아약스는 밀란을 2-0으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AEK 아테네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차전에서는 아약스가 AEK 아테네를 2-1로, 밀란이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3-0으로 이겼다. 3차전에서는 AEK 아테네와 밀란이 0-0,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아약스가 0-0으로 비겼다. 4차전에서는 밀란이 AEK 아테네를 2-1로, 아약스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5차전에서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가 AEK 아테네를 3-1로 이겼고, 아약스는 밀란을 2-0으로 이겼다. 마지막 6차전에서는 아약스가 AEK 아테네를 2-0으로, 밀란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1-0으로 이겼다.
6. 토너먼트
조별 리그를 통과한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를 치렀다.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 8강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바이에른 뮌헨 ( === 준결승전 === 바이에른 뮌헨 (GER])과 6. 1. 8강전wikita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