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는 이춘구 국회부의장의 사퇴로 인해 공석이 된 국회부의장 자리를 채우기 위해 실시되었다. 민주자유당 내 권력 투쟁과 이춘구 대표 임명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 속에서 치러졌으며, 이한동 민주자유당 의원이 207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 1993년 대한민국 국회의장 보궐선거
1993년 대한민국 국회의장 보궐선거는 박준규 의장의 사퇴로 실시되었으며, 민주자유당의 이만섭 의원이 후임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에서 황낙주가 국회의장으로, 이춘구와 홍영기가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는 김영삼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반발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단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1967년 7월 7일과 10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7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의 이효상이 국회의장에, 신민당의 윤제술과 민주공화당의 장경순이 국회부의장에 각각 선출되었으며, 신민당은 윤제술 외에 윤보선 또한 국회부의장 후보로 나서 당내 분열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단 선거 - 대한민국 제8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는 제8대 국회의 국회의장과 부의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백두진, 장경순, 정해영이 각각 국회의장, 민주공화당 몫 부의장, 신민당 몫 부의장에 당선되었다.
1995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1995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4년 |
선거일 | 1995년 2월 20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96년 |
투표율 | 82.3% |
후보 | |
후보 | 이한동 |
선거구 | 경기 연천군·포천군 |
정당 | 민주자유당 |
득표수 | 207 |
득표율 | 69.2% |
직책 | |
직책 | 국회부의장 |
선거 전 | 이춘구 |
선거 전 정당 | 민주자유당 |
선거 후 | 이한동 |
선거 후 정당 | 민주자유당 |
선거인단 | 재적 국회의원 수 299명 |
당선 조건 | 당선을 위해 150표 필요 |
국기 이미지 | |
2. 선거 제도
국회의 의장 및 부의장은 국회의원들의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되 만약 1차 투표 결과 재적 의원의 과반을 득표한 자가 없으면 2차 투표를 실시하고, 2차 투표에서도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시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3차 결선 투표를 실시하되 이 경우 단순 다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하도록 되어있었다.
1995년 1월, 민주자유당은 2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계파 갈등을 겪고 있었다. 당 총재인 김영삼 대통령은 당의 혁신을 명분으로 민주계를 중심으로 당내 질서 개편을 구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민주계는 공화계의 수장인 김종필 대표최고위원을 혁신 대상으로 보고 대표직 사퇴를 요구하였다.[1] 김종필 대표는 사퇴 압력이 거세지자 공개적으로 반발, 1월 14일에는 탈당 및 신당 창당을 시사하고, 1월 15일에는 김영삼 총재를 비판하는 발언을 하였다.[3] 민주자유당 지도부는 1월 18일 김종필 대표의 발언을 문제삼아 대표 직무를 정지시키고 자진 사퇴 및 탈당을 권고하였으며,[4] 결국 김종필 대표는 1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표직 사퇴를 선언하였다.[5]
3. 배경
김종필 대표가 사퇴하자 김영삼 총재는 2월 7일 전당대회에서 이춘구 국회부의장을 새 대표로 지명하였고, 전당대회는 만장일치로 이춘구 대표의 임명을 동의하였다.[7] 김영삼 총재는 충청 출신의 이춘구 대표를 기용함으로써 민주계의 당권 장악에 반감을 품은 민정계를 달래고, 김종필 축출로 요동치게 된 충청 민심을 잡으려는 생각인 것으로 보여졌다.[8]
국회법에 따르면 국회부의장은 의원직과 부의장직 외에 그 어떤 직책도 겸직할 수 없었으므로,[9] 이춘구 신임 민주자유당 대표는 2월 8일 국회에 부의장직 사퇴서를 제출하였다. 국회는 2월 20일 본회의를 열고 무기명 표결을 실시한 결과 이춘구 부의장의 사퇴를 허가하였다.가부 득표 % 비고 가 209 84.6 가결 부 31 12.6 기권 3 1.2 무효 4 1.6 투표수 247 100
이같이 국회부의장직이 공석이 됨에 따라 국회는 곧바로 국회부의장 보궐선거를 시행하게 되었다.
3. 1. 민주자유당 내 권력 투쟁
3. 2. 이춘구 대표 임명과 논란
3. 3. 국회부의장 사퇴안 가결
4. 후보
4. 1.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의 새 국회부의장 후보에는 이한동, 신상우 국회 정보위원장, 오세응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었다.민주자유당은 2월 10일 김영삼 총재가 국회부의장 후보로 이한동 전 원내총무를 내정하였다고 발표하였다.
5. 선거 결과
경기도 연천군·포천군 지역구의 이한동 민주자유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후보 | 소속 | 득표 | % | 비고 |
---|---|---|---|---|
이한동 | 민주자유당 | 207 | 69.2 | 당선 |
박희부 | 민주자유당 | 7 | 2.3 | |
이춘구 | 민주자유당 | 3 | 1.0 | |
오세응 | 민주자유당 | 2 | 0.7 | |
김상현 | 민주당 | 1 | 0.3 | |
김원기 | 민주당 | 1 | 0.3 | |
이세기 | 민주자유당 | 1 | 0.3 | |
최형우 | 민주자유당 | 1 | 0.3 | |
현경대 | 민주자유당 | 1 | 0.3 | |
기권 | 7 | 2.3 | ||
무효 | 15 | 5.0 | ||
결석 | 53 | 17.7 | ||
재적 | 299 | 100 |
참조
[1]
웹인용
김 대표 곧 거취 표명
https://newslibrary.[...]
2019-11-12
[2]
웹인용
대표직 사퇴 반발 김종필 민자 대표
https://newslibrary.[...]
2019-11-12
[3]
웹인용
정계 개편 주내 윤곽
https://newslibrary.[...]
2019-11-12
[4]
웹인용
김 대표 조기 퇴진 권고
https://newslibrary.[...]
2019-11-12
[5]
웹인용
김종필 대표 사퇴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5-01-20
[6]
웹인용
당 대표 실세 중진이냐... 원외 인사냐...
https://newslibrary.[...]
2019-11-12
[7]
웹인용
민자 대표 이춘구 씨
https://newslibrary.[...]
2019-11-12
[8]
웹인용
'관리형' 내세워 당 직할통치 포석
https://newslibrary.[...]
2019-11-12
[9]
웹인용
이춘구 대표 겸직 여부 논란
https://newslibrary.[...]
2019-11-12
[10]
웹인용
洪부의장 사퇴문제 공방-새정치국민회의
https://www.joongang[...]
2019-11-12
[11]
웹인용
민자 새 총장에 김덕룡 씨
https://newslibrary.[...]
2019-11-12
[12]
웹인용
새 국회부의장에 이한동 의원 내정
https://newslibrary.[...]
2019-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