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상우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우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KBO 총재였다. 부산상업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부산일보 기자, 베트남 전쟁 종군기자를 거쳐 김영삼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제8대부터 제15대까지 국회의원을 7선 했으며, 해양수산부 초대 장관, 한나라당 부총재, 국회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KBO 총재를 지냈으며, 2012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총재 - 이웅희 (1931년)
    이웅희는 서울대학교 공대 출신 언론인이자 정치인으로서, 기자 및 편집국장, 청와대 공보수석비서관, 문화공보부 장관, 그리고 3선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그의 활동은 언론 통제 및 정권 홍보에 대한 논란과 함께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기여 여부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KBO 총재 - 홍재형
    홍재형은 재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해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이며, 국회의원과 국회부의장, 관세청장, 한국외환은행장, KBO 총재를 지냈다.
  • 대한민국의 해양수산부 장관 - 김영춘 (1962년)
    김영춘은 고려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하여 16, 17, 20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나 부산시장 보궐선거 낙선 후 정계 은퇴를 선언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해양수산부 장관 - 오거돈
    오거돈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부산광역시장과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여성 보좌관 성추행으로 시장직에서 사퇴하고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아 수감되었다가 2024년 만기 출소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이재정 (1944년)
    이재정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성공회대학교 총장, 국회의원, 통일부 장관을 거쳤으며, 국민참여당 대표와 경기도 교육감을 역임했다.
신상우 (정치인)
기본 정보
이름신상우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37년 5월 20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순지리
사망일2012년 1월 26일
본관영산
종교개신교
군복무병역면제(탈영)
학력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외교학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수료
경력
정당무소속
지역구경남 양산군·동래군(8)
경남 양산군·김해군(9·10)
부산 북구(11)
부산 북구 을(13·14)
부산 사상구 을(15)
의원 선수7
의원 대수8·9·10·11·13·14·15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경상남도 양산 출신[1]이다.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동 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부산일보에서 정치부 기자, 베트남 전쟁 종군기자(특파원)를 역임한 후, 당시 국회의원이었던 김영삼의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제8대 총선에서 신민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초선에 성공했고, 제9대 총선에서도 재선되어 국회의원을 총 7선 역임했다[1]. 정계에서는 신민당 정책심의회 상공분과 위원장, 신민당 정책심의회 부의장, 신민당 김영삼 총재 특별보좌관, 민주한국당 결당준비위원회 조직위원장, 민주한국당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대책본부장, 민주한국당 사무총장, 민주한국당 부총재, 국회 보사·국방·정보위원장, 해양수산부 초대 장관, 한나라당 부총재,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1][3].

특히 1980년을 기점으로 김영삼과 결별하고, 신군부가 배후에서 추진한 “위성정당”이라 할 수 있는 민주한국당 설립의 역할을 중앙정보부로부터 부여받았다. 5년 후 민주한국당 의원들이 신한민주당으로 대거 탈당했을 때에도 당시 경남버스 회장이었던 삼촌 신달수에 대한 정권의 압력 등으로 인해 민주한국당에 잔류했다. 다시 김영삼과 합류한 것은 1987년 통일민주당 결성 때였다.

또한 2001년에는 다음 해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고등학교 후배 노무현부산 지역 후원회장이 되어 지원 활동을 펼쳤다. 노무현이 당선된 후 국가정보원 원장으로의 임명이 거론되었으나, 정치적 신념 등의 차이로 결국 지명을 받지 못했다[4].

2006년 1월부터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를 약 3년간 역임했다. 취임 초기부터 “정계의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있었지만, 재임 중 한국 대표팀이 2006 WBC 4강 진출 후 선수들에게 병역 면제 특례 조치를 부여했고, 그 후 한국 대표팀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5][6][7][8]. 그러나 현대 유니콘스 매각과 히어로즈 창단 과정에서 어음의 남발과 매끄럽지 못한 업무 처리 방식이 주목을 받아 결국 2008년 12월에 사퇴하고, “KBO 총재가 정치보다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8].

2010년 간암을 앓다가 약 2년 후 75세에 사망했다.

2. 1. 기자 생활 및 정계 입문

고려대 시절 이기택과 함께 4.18 의거를 주도한 뒤 부산일보 기자로 재직했다.[1] 부산일보에서 정치부 기자, 베트남 전쟁 종군기자(특파원)를 역임했다.[1] 그 후, 당시 국회의원이었던 김영삼의 비서실장을 역임했다.[1] 8대 총선을 앞두고 신민당 김해·양산 지구당위원장으로 정계에 입문했다.[1] 10월 유신과 12.12 쿠데타로 두 차례나 국회가 해산되는 속에서도 11대 국회까지 4선을 쌓았다.

1980년을 기점으로 김영삼과 결별하고, 신군부가 배후에서 추진한 “위성정당”이라 할 수 있는 민주한국당 설립의 역할을 중앙정보부로부터 부여받았다.[4] 민주한국당 부총재로 있던 1985년에는 12대 총선을 앞두고 김영삼으로부터 신한민주당 입당을 제의받았지만, 12대 국회에는 입성하지 못했다(선거구당 2명을 뽑는 체제하에서 신상우는 3위로 낙선).[4] 5년 후 민주한국당 의원들이 신한민주당으로 대거 탈당했을 때에도 당시 경남버스 회장이었던 삼촌 신달수에 대한 정권의 압력 등으로 인해 민주한국당에 잔류했다.[4] 다시 김영삼과 합류한 것은 1987년 통일민주당 결성 때였다.[4]

2. 2. 정치 활동

신상우는 고려대 시절 이기택과 함께 4.18 의거를 주도한 뒤 부산일보 기자로 재직하다가 8대 총선을 앞두고 신민당 김해·양산 지구당위원장으로 정계에 입문했다.[1] 10월 유신과 12.12 쿠데타로 두 차례나 국회가 해산되는 속에서도 11대 국회까지 4선을 쌓았다. 민주한국당 부총재로 있던 1985년에는 12대 총선을 앞두고 김영삼으로부터 신한민주당 입당을 제의받았지만, 12대 국회에는 입성하지 못했다.[1]

이후 김영삼통일민주당에 참여해 13대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1990년 3당 합당에 합류한 뒤 국회 국방위원장(1992년), 해양수산부 장관(1996년), 한나라당 부총재 및 국회부의장(1998년)을 차례로 지냈다.[1] 공천 탈락 후 이기택, 김윤환민주국민당을 창당해 부산 사상구에 출마하나 권철현에게 패배한다.

그 후 한동안 정치를 떠나있는 듯 하다가 2001년 9월, 자신의 고교 후배이자 통일민주당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노무현16대 대선 출마 소식을 듣고 그의 부산지역 후원회장을 맡았고,[4] 노무현이 16대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신상우는 문민정부 때보다 더욱 주목받는 실세가 된다. 이후 2003년부터 1년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맡았으며, 2004년 17대 총선에서 부산에 출마한다는 설이 돌았지만 실제로 출마하지는 않았다.

정계에서는 신민당 정책심의회 상공분과 위원장, 신민당 정책심의회 부의장, 신민당 김영삼 총재 특별보좌관, 민주한국당 결당준비위원회 조직위원장, 민주한국당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대책본부장, 민주한국당 사무총장, 민주한국당 부총재, 국회 보사·국방·정보위원장, 해양수산부 초대 장관, 한나라당 부총재,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1][3] 특히 1980년을 기점으로 김영삼과 결별하고, 신군부가 배후에서 추진한 “위성정당”이라 할 수 있는 민주한국당 설립의 역할을 중앙정보부로부터 부여받았다. 5년 후 민주한국당 의원들이 신한민주당으로 대거 탈당했을 때에도 당시 경남버스 회장이었던 삼촌 신달수에 대한 정권의 압력 등으로 인해 민주한국당에 잔류했다. 다시 김영삼과 합류한 것은 1987년 통일민주당 결성 때였다.[4]

2. 3. KBO 총재 시절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서 물러난 신상우는 2005년 말 KBO 총재에 내정되었으며, 2006년 1월 취임하였다.[5][6][7][8] 참여정부 임기를 불과 2년 남짓 앞둔 시점에서 참여정부의 실세 정치인이 KBO 총재에 취임하는 것은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는 비난이 많았으나,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이러한 논란이 잠재워졌다.[8]

신상우는 KBO 총재 재임중 2006 WBC 4강 진출 후 선수들에게 병역 면제 특례 조치를 부여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5][6][7][8]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500만 관중 돌파 등 프로야구의 중흥기를 가져왔으나, 현대 유니콘스의 해체 이후 제 8구단의 창단을 둘러싼 과정에서 미숙한 대응을 하였다. 넥센 히어로즈의 창단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일 처리, 넥센 히어로즈 장원삼 투수의 현금 트레이드 논란, 일부 프로야구 선수들의 도박 파문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결국 2008년 12월 KBO 총재를 사퇴하게 된다.[8] 후임 새 KBO 총재에는 유영구씨가 추대되었다. 그는 KBO 총재직에서 물러나면서 “KBO 총재가 정치보다 어렵다”는 말을 남겼다.[8]

2. 4. 사망

2012년 1월 26일 향년 76세에 간암으로 사망하였다.[9]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1년총선신민당25,218표 (51.87%)1위당선초선
1973년총선신민당34,555표 (38.23%)1위당선재선
1978년총선신민당38,343표 (29.42%)2위당선3선
1981년총선민주한국당무투표당선4선
1985년총선민주한국당48,893표 (23.86%)3위낙선
1988년총선통일민주당66,709표 (62.48%)1위당선5선
1992년총선민주자유당53,728표 (56.15%)1위당선6선
1996년총선신한국당26,255표 (47.59%)1위당선7선
2000년총선민주국민당200018,823표 (17.85%)2위낙선


5. 약력

부산일보 기자였다. 1973년부터 1981년까지 제8·9·10대 신민당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1985년까지는 제11대 민주한국당 국회의원을, 1985년부터 1987년까지는 민주한국당 부총재를 역임했다. 1988년에는 제13대 통일민주당 국회의원을, 1992년에는 제14대 민주자유당 국회의원을, 1996년에는 제15대 신한국당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다. 1998년에는 한나라당 부총재, 2000년에는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노무현 후보 부산지역 후원회장을 지냈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역임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KBO 총재를 지냈다.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2-03
[2] 웹사이트 독재의 시대, 유신과 군부가 남긴 상흔…이반하는 민심 http://www.yangsanil[...] 2020-03-26
[3] 웹사이트 1985 제12대 국회의원선거 부산 국회의원 신상우 선전벽보 이미지 https://terms.naver.[...] 2023-02-03
[4] 웹사이트 [부산 정치비화 60년] ⑧ 권력 중심부서 정치 역정 신상우 https://www.busan.co[...] 2011-02-21
[5] 웹사이트 신상우씨, KBO 총재직 수락 https://www.joongang[...] 2005-12-28
[6] 웹사이트 신상우 전 부의장, KBO 총재 취임 : 야구·MLB : 스포츠 : 뉴스 : 한겨레 https://www.hani.co.[...] 2006-01-12
[7] 웹사이트 신상우 KBO 총재 공식 사퇴 https://www.hani.co.[...] 2008-12-16
[8] 웹사이트 '퇴임' 신상우 총재 "야구가 정치보다 어렵더라" https://www.nocutnew[...] 2009-01-05
[9] 뉴스 신상우 전 KBO 총재 별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