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입법위원 임기 만료에 따라 치러졌으며, 총 164석의 의석을 두고 지역구, 전국구, 국외 거주 국민, 원주민 할당으로 선출되었다. 선거 결과, 중국 국민당이 과반 의석을 유지했으나 이전 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감소했고, 민주진보당이 제2당의 지위를 확고히 했으며, 신당이 약진했다. 투표율은 67.65%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입법위원 선거 - 2004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2004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범람연맹이 과반수를 유지하고 범록연맹이 그 뒤를 이었으며 헌법 개정, 총통 탄핵 시도, 국영 기업 명칭 변경 등이 쟁점이 되었고 투표율은 59%를 기록한 선거이다. - 중화민국의 입법위원 선거 - 200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200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되어 중국 국민당이 압승을 거두었으며,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로 치러진 첫 선거로 입법원 의원 정수가 113석으로 감소하였다. - 1995년 12월 - 제46회 NHK 홍백가합전
1995년 NHK 홍백가합전은 "새로운 출발"이라는 주제로 미야모토 류지와 쿠사노 미츠요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았으며, 인기 가수들이 출연하여 백조가 우승했다. - 1995년 12월 - 데이턴 협정
데이턴 협정은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1995년 체결된 평화 협정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두 주체로 구성하여 현재까지 정치적 구조와 영토 구성을 규정한다.
1995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995년 타이완 입법원 선거 |
국가 | 타이완 |
선거 유형 | 입법부 |
선거일 | 1995년 12월 2일 |
선출 의석 | 입법원 전체 164석 |
과반 의석 | 83석 |
이전 선거 | 1992년 타이완 입법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2년 |
다음 선거 | 1998년 타이완 입법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98년 |
투표율 | 67.65% 4.37%p |
선거 결과 지도 | |
![]() | |
![]() | |
주요 정당별 결과 | |
![]() | |
정당 대표 | 리덩후이 |
이전 선거 결과 | 53.02%, 102석 |
획득 의석 | 85 |
의석 변동 | 17 |
득표수 | 4,349,089 |
득표율 | 46.1% |
득표율 변동 | 6.92%p |
![]() | |
정당 대표 | 스밍더 |
획득 의석 | 54 |
의석 변동 | 3 |
득표수 | 3,132,156 |
득표율 | 33.2% |
득표율 변동 | 2.17%p |
![]() | |
정당 대표 | 천꿰이먀오 |
이전 선거 결과 | – |
획득 의석 | 21 |
의석 변동 | 신규 |
득표수 | 1,222,931 |
득표율 | 13.0% |
득표율 변동 | 신규 |
선거 후 | |
입법원장 | 류쑹판 (중국국민당) |
이전 입법원장 | 류쑹판 (중국국민당) |
2. 선거 배경
입법위원 임기 3년이 만료됨에 따라 실시된 선거이다.[1]
입법원은 총 164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지역구, 전국구, 국외 거주 국민, 원주민 대표를 각각 선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총통''': 리덩후이 (중국 국민당)
2. 1. 선거 제도
1995년 12월 2일(민국 84년)에 실시된 입법위원 선거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단기 비이양식 투표)로 치러졌다. 총 164석의 의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구분 | 의석 수 |
---|---|
지역구 | 122석 |
전국구 | 30석 |
해외 거주 국민 | 6석 |
원주민 | 6석 |
총계 | ! 164석 |
원주민 6석은 다시 평지 원주민 3석과 산지 원주민 3석으로 나뉘었다.
- 평지 원주민: 3석
- 산지 원주민: 3석
지역구는 대선거구제, 원주민 선거구는 중선거구제 방식으로 선출하였다. 유권자는 20세 이상 중화민국 국적 소지자로, 투표는 1표제로 선거구 후보에 대해 기호식으로 하는 방식이었다.
유권자 수는 다음과 같았다.
구분 | 유권자 수 |
---|---|
취역(区域) | 14,153,420명 |
평지 원주민 | 110,147명 |
산지 원주민 | 120,900명 |
이 선거에는 중국 국민당, 민주진보당, 신당 등의 주요 정당들이 참여했다. 중국 국민당은 리덩후이 총통 시기 집권 여당이었으나, 당내 갈등과 야당의 도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3. 주요 정당
3. 1. 중국 국민당 (KMT)
당시 집권 여당이었던 중국 국민당은 리덩후이 총통의 개혁 정치 아래에서도 여전히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정당이었다. 하지만 당내 개혁파와 보수파 간의 갈등, 그리고 야당의 도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4. 선거 결과
1995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의 투표율은 67.65%를 기록했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중국 국민당 | 4,248,434 | 46.00% |
민주진보당 | 3,128,601 | 34.00% |
신당 | 1,219,426 | 12.00% |
무소속 | 713,182 | 8.00% |
노동당 | 1,207 | 0.00% |
전국민주비정당연맹 | 517 | 0.00% |
4. 1. 정당별 의석 분포
1995년 입법위원 선거에서 국민당은 85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유지했지만, 이전 선거보다 의석수가 줄었다. 민진당은 54석을 얻어 제2당 지위를 굳혔다. 신당은 21석을 얻어 돌풍을 일으켰다. 무소속 후보는 4석을 차지했다.
4. 2. 상세 결과
- 투표율: 67.65%
- * 지역구: 67.81%
- * 평지 원주민: 53.01%
- * 산지 원주민: 62.29%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중국 국민당 | 4,248,434 | 46.00% |
민주진보당 | 3,128,601 | 34.00% |
신당 | 1,219,426 | 12.00% |
무소속 | 713,182 | 8.00% |
노동당 | 1,207 | 0.00% |
전국민주비정당연맹 | 517 | 0.00% |
↓ | ||||||
85 | 54 | 21 | 4 | |||
국민당 | 민진당 | 신당 |
5. 선거 이후
1995년 입법위원 선거 결과는 중화민국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국민당은 과반 의석을 간신히 유지했지만, 야당의 약진으로 인해 국정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민주진보당은 제2당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면서, 이후 정권 교체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신당의 등장은 중화민국 정치가 다원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문서
Nohlen et al.
[3]
웹사이트
選舉資料庫
https://db.cec.gov.t[...]
2024-05-30
[4]
웹사이트
第 03 屆立法委員選舉(區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5]
웹사이트
第二三五次會議
https://web.cec.gov.[...]
中央選舉委員會
1997-12-22
[6]
간행물
03屆全國不分區及僑居國外國民立法委員選舉選舉公報
https://bulletin.cec[...]
中選會
[7]
웹사이트
第四屆立法委員名鑑 - 附錄:第三屆立法委員名單
https://lis.ly.gov.t[...]
202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