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7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하여 총 1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레슬링, 유도, 양궁, 배드민턴 종목에서 금메달을, 레슬링, 유도, 배드민턴, 복싱, 체조, 양궁, 하키, 핸드볼, 마라톤 종목에서 은메달을, 유도, 양궁, 탁구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총 205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대한민국 - 페스카마 15호 사건
페스카마 15호 사건은 1996년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참치잡이 원양어선 선상 살인 사건으로, 조선족 선원들이 선상 생활의 어려움과 귀국 요구 거절에 불만을 품고 한국인 선원 등을 살해한 후 대한민국으로 인도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당시 열악한 원양어선 선원들의 노동 환경과 외국인 선원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1996년 대한민국 - 아가동산 사건
아가동산 사건은 김기순이 교주로 있던 사이비 종교 아가동산에서 발생한 신도 살해, 재산 몰수 등의 사건으로, 1996년 수사 이후 김기순은 조세 포탈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2023년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재조명되었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2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양궁에서 4개의 금메달을 거두는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김수녕, 유남규 등 여러 선수들의 활약으로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를 획득하며 종합 4위를 기록했고, 양궁, 유도, 레슬링, 복싱, 탁구, 핸드볼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총 401명이 참가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부룬디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 부룬디 선수단은 육상 종목에 7명의 선수가 출전했으며, 베뉘스트 니용가보가 남자 5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에스토니아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에스토니아는 6개 종목에 42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금메달 2개를 획득, 종합 순위 39위를 기록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기본 정보 | |
NOC | KOR |
NOC 이름 | 대한민국 올림픽 위원회 |
대회 | 하계 올림픽 |
연도 | 1996 |
개최 도시 | 애틀랜타 |
참가 선수 | 300 (남자 189명, 여자 111명) |
스포츠 종목 | 25 |
기수 | 최천식 |
메달 순위 | 10위 |
금메달 | 7 |
은메달 | 15 |
동메달 | 5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올림픽 위원회(영문) |
참가 정보 |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
메달 정보 | |
총 메달 | 27 |
관련 정보 | |
참고 자료 | sports-reference.com |
2. 메달 집계
종목 | 참가 선수 | 메달 합계 | |||
---|---|---|---|---|---|
배구 | 12 | 0 | |||
복싱 | 11 | 0 | |||
양궁 | 6 | 4 | 1 | 5 | |
육상 | 15 | 0 | |||
사격 | 1 | 1 | 0 | 2 | |
태권도 | 1 | 0 | 2 | 3 | |
펜싱 | 1 | 0 | 1 | 2 | |
유도 | 0 | 2 | 1 | 3 | |
역도 | 0 | 0 | 1 | 1 | |
레슬링 | 0 | 0 | 1 | 1 | |
배드민턴 | 0 | 0 | 1 | 1 | |
합계 | 205 | 7 | 3 | 8 | 18 |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alt=1 금메달 | 심권호 |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 48kg급 | 7월 21일 |
alt=1 금메달 | 전기영 | 유도 | 86kg급 | 7월 22일 |
alt=1 금메달 | 조민선 | 유도 | 70kg급 | 7월 22일 |
alt=1 금메달 | 방수현 | 배드민턴 | 여자단식 | 8월 1일 |
alt=1 금메달 | 길영아, 김동문 | 배드민턴 | 혼합복식 | 8월 1일 |
alt=1 금메달 | 김경욱 | 양궁 | 여자개인전 | 7월 31일 |
alt=1 금메달 | 김조순, 김경욱, 윤혜영 | 양궁 | 여자단체 | 8월 2일 |
link= 은메달 | 장재성 | 레슬링 (자유형) | 63kg급 | 8월 2일 |
link= 은메달 | 박장순 | 유도 | 78kg급 | 8월 2일 |
link= 은메달 | 양현모 | 레슬링 (자유형) | 82kg급 | 7월 30일 |
link= 은메달 | 곽대성 | 유도(남자) | 73kg급 | 7월 24일 |
link= 은메달 | 김민수 | 유도(남자) | 98kg | 7월 21일 |
link= 은메달 | 현숙희 | 유도(여자) | 52kg급 | 7월 25일 |
link= 은메달 | 정선용 | 유도 | 57kg급 | 7월 24일 |
link= 은메달 | 이승배 | 복싱 | 81kg급 | 8월 4일 |
link= 은메달 | 여홍철 | 체조 | 남자 뜀틀 | 7월 29일 |
link= 은메달 | 장용호, 김보람, 오교문 | 양궁 | 남자단체 | 8월 2일 |
link= 은메달 | 길영아, 장혜옥 | 배드민턴 | 여자복식 | 7월 31일 |
link= 은메달 | 라경민, 박주봉 | 배드민턴 | 혼합복식 | 8월 1일 |
link= 은메달 | 권수현, 권창숙, 오승신, 유재숙, 우현정, 이은경, 이은영, 이지영, 임명옥, 임정숙, 전영선, 진덕순, 창은정, 최미순, 최은경 | 하키 | 여자팀 | 8월 1일 |
link= 은메달 | 김청심, 김은미, 김정미, 김미심, 김랑, 광혜정, 문향자, 박정림, 오성옥, 오영란, 이상은, 임오경, 조은희, 한선희, 허순영, 홍정호 | 핸드볼 | 여자팀 | 8월 3일 |
link= 은메달 | 이봉주 | 마라톤 | 남자개인 | 8월 4일 |
조인철 | 유도 | 81kg급 | 7월 23일 | |
동메달 | 정성숙 | 유도 | 61kg급 | 7월 23일 |
동메달 | 오교문 | 양궁 | 남자개인 | 8월 1일 |
동메달 | 이철승, 유남규 | 탁구 | 남자복식 | 7월 30일 |
동메달 | 박해정, 류지혜 | 탁구 | 여자복식 | 7월 29일 |
2. 1.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link= 금메달 | 심권호 |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 48kg급 | 7월 21일 |
전기영 | 유도 | 86kg급 | 7월 22일 | |
조민선 | 유도 | 70kg급 | 7월 22일 | |
방수현 | 배드민턴 | 여자단식 | 8월 1일 | |
길영아, 김동문 | 배드민턴 | 혼합복식 | 8월 1일 | |
김경욱 | 양궁 | 여자개인전 | 7월 31일 | |
김조순, 김경욱, 윤혜영 | 양궁 | 여자단체 | 8월 2일 | |
link= 은메달 | 장재성 | 레슬링 (자유형) | 63kg급 | 8월 2일 |
박장순 | 유도 | 78kg급 | 8월 2일 | |
양현모 | 레슬링 (자유형) | 82kg급 | 7월 30일 | |
곽대성 | 유도(남자) | 73kg급 | 7월 24일 | |
김민수 | 유도(남자) | 98kg | 7월 21일 | |
현숙희 | 유도(여자) | 52kg급 | 7월 25일 | |
정선용 | 유도 | 57kg급 | 7월 24일 | |
이승배 | 복싱 | 81kg급 | 8월 4일 | |
여홍철 | 체조 | 남자 뜀틀 | 7월 29일 | |
장용호, 김보람, 오교문 | 양궁 | 남자단체 | 8월 2일 | |
길영아, 장혜옥 | 배드민턴 | 여자복식 | 7월 31일 | |
라경민, 박주봉 | 배드민턴 | 혼합복식 | 8월 1일 | |
권수현, 권창숙, 오승신, 유재숙, 우현정, 이은경, 이은영, 이지영, 임명옥, 임정숙, 전영선, 진덕순, 창은정, 최미순, 최은경 | 하키 | 여자팀 | 8월 1일 | |
김청심, 김은미, 김정미, 김미심, 김랑, 광혜정, 문향자, 박정림, 오성옥, 오영란, 이상은, 임오경, 조은희, 한선희, 허순영, 홍정호 | 핸드볼 | 여자팀 | 8월 3일 | |
이봉주 | 마라톤 | 남자개인 | 8월 4일 | |
|link=]] 동메달 | 조인철 | 유도 | 81kg급 | 7월 23일 |
정성숙 | 유도 | 61kg급 | 7월 23일 | |
오교문 | 양궁 | 남자개인 | 8월 1일 | |
이철승, 유남규 | 탁구 | 남자복식 | 7월 30일 | |
박해정, 류지혜 | 탁구 | 여자복식 | 7월 29일 |
3. 종목별 성적
3. 1. 레슬링
;자유형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상대 /결과) | 16강전 (상대 /결과) | 8강전 (상대 /결과) | 준결승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1회전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2회전 (상대 /결과) | 결승 (상대 /결과) | 최종 순위 |
3. 2. 유도
3. 3. 양궁
대한민국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양궁에 다섯 번째로 출전하여 여자부에서 금메달 2개, 남자부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8강전 이전에 탈락한 선수는 윤혜영 선수 한 명이었지만, 36발 합계(R32/R16)에서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남자 개인전에서는 오교문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김보람은 8강에서 5위, 장용호는 8강에서 7위를 기록했다. 여자 개인전에서는 김경욱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김소준은 8강에서 6위를 기록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오교문, 김보람, 장용호가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단체전에서는 김경욱, 김소준, 윤혜영이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 세부 종목 | 랭킹 라운드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결정전 | ||
점수 | 시드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최종 순위 | ||
3. 4. 배드민턴
1996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3. 5. 육상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육상 선수단은 남자 5명, 여자 5명으로 구성되었다.
'''트랙 / 도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준결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이봉주 | 마라톤 | | 2:12.39 | 은메달 은메달 | ||||||
김이용 | 마라톤 | | 2:16.17 | 12 | ||||||
김완기 | 마라톤 | | 기권 | 순위 없음 | ||||||
오미자 | 마라톤 | | 2:36.54 | 30 | ||||||
강순덕 | 마라톤 | | 기권 | 순위 없음 | ||||||
이미경 | 마라톤 | | 기권 | 순위 없음 |
'''필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이진택 | 높이뛰기 | 2.28m | 2.29m | 8 | |
성희준 | 멀리뛰기 | 실격 | 예선 탈락 | colspan="2" | | |
이영선 | 창던지기 | 58.66m | 예선 탈락 | colspan="2" | | |
이명선 | 포환던지기 | 16.92m | 예선 탈락 | colspan="2" | |
3. 6. 복싱
대한민국은 1996년 하계 올림픽 복싱에 남자 밴텀급의 배기웅, 페더급의 신수영, 라이트급의 신은철, 라이트웰터급의 한형민, 웰터급의 배호조, 라이트미들급의 이완균, 미들급의 문임철, 라이트헤비급의 이승배, 헤비급의 고영삼이 출전하였다. 페더급의 신수영은 1회전에서 라마즈 팔리아니 (러시아)에게 7-10으로 패배하였고, 미들급의 문임철은 1회전에서 베르트랑 테치아 (카메룬)에게 2-12로 패배하였다.3. 7. 체조
wikitable남자 개인 종합 | 여홍철 | 이주형 | 정진수 |
남자 단체 종합 | 여홍철 | 이주형 | 정진수 |
남자 도마 | 여홍철 | — | — |
남자 마루 | 정진수 | — | — |
남자 평행봉 | 이주형 | 정진수 | — |
남자 철봉 | 이주형 | — | — |
남자 안마 | 정진수 | — | — |
여자 개인 종합 | 김윤지 | 공윤진 | — |
여자 단체 종합 | 김윤지 | 공윤진 | — |
3. 8. 필드하키
대한민국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예선 B조에서 영국과 2-2 무승부, 오스트레일리아에 2-3 패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3-3 무승부, 네덜란드에 1-3 패배, 말레이시아에 4-2 승리를 기록했다. 5/8위 결정전에서 인도와 4-4로 비긴 후 승부치기에서 5-3으로 승리했고, 5/6위 결정전에서 파키스탄을 3-1로 꺾고 최종 5위를 차지했다. 팀 명단에는 구진수, 신석교, 한붕국, 유명근, 조명준, 전종하, 유승진, 박신흠, 강건욱, 김종의, 정용균, 송승태, 김용배, 홍경섭, 김영규, 김윤이 포함되었다.대한민국 여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예선 리그에서 영국에 5-0 승리, 미국에 2-3 패배, 네덜란드에 3-1 승리, 오스트레일리아와 3-3 무승부, 스페인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3. 9. 핸드볼
3. 10. 탁구
스코어스코어
스코어
스코어
스코어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