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단은 10부터 19까지의 숫자에 대한 곱셈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19단 암기가 암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19단 암기 자체보다는 더 많은 계산값을 기억하는 것이 암산 능력 향상에 더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단 교육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있으며, 전문가들은 19단이 학생들의 수학 혐오증을 유발하거나 창의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

2. 19단 구구단표

19단 구구단표
10단11단12단13단14단15단16단17단18단19단
10 × 1 = 1011 × 1 = 1112 × 1 = 1213 × 1 = 1314 × 1 = 1415 × 1 = 1516 × 1 = 1617 × 1 = 1718 × 1 = 1819 × 1 = 19
10 × 2 = 2011 × 2 = 2212 × 2 = 2413 × 2 = 2614 × 2 = 2815 × 2 = 3016 × 2 = 3217 × 2 = 3418 × 2 = 3619 × 2 = 38
10 × 3 = 3011 × 3 = 3312 × 3 = 3613 × 3 = 3914 × 3 = 4215 × 3 = 4516 × 3 = 4817 × 3 = 5118 × 3 = 5419 × 3 = 57
10 × 4 = 4011 × 4 = 4412 × 4 = 4813 × 4 = 5214 × 4 = 5615 × 4 = 6016 × 4 = 6417 × 4 = 6818 × 4 = 7219 × 4 = 76
10 × 5 = 5011 × 5 = 5512 × 5 = 6013 × 5 = 6514 × 5 = 7015 × 5 = 7516 × 5 = 8017 × 5 = 8518 × 5 = 9019 × 5 = 95
10 × 6 = 6011 × 6 = 6612 × 6 = 7213 × 6 = 7814 × 6 = 8415 × 6 = 9016 × 6 = 9617 × 6 = 10218 × 6 = 10819 × 6 = 114
10 × 7 = 7011 × 7 = 7712 × 7 = 8413 × 7 = 9114 × 7 = 9815 × 7 = 10516 × 7 = 11217 × 7 = 11918 × 7 = 12619 × 7 = 133
10 × 8 = 8011 × 8 = 8812 × 8 = 9613 × 8 = 10414 × 8 = 11215 × 8 = 12016 × 8 = 12817 × 8 = 13618 × 8 = 14419 × 8 = 152
10 × 9 = 9011 × 9 = 9912 × 9 = 10813 × 9 = 11714 × 9 = 12615 × 9 = 13516 × 9 = 14417 × 9 = 15318 × 9 = 16219 × 9 = 171
10 × 10 = 10011 × 10 = 11012 × 10 = 12013 × 10 = 13014 × 10 = 14015 × 10 = 15016 × 10 = 16017 × 10 = 17018 × 10 = 18019 × 10 = 190
10 × 11 = 11011 × 11 = 12112 × 11 = 13213 × 11 = 14314 × 11 = 15415 × 11 = 16516 × 11 = 17617 × 11 = 18718 × 11 = 19819 × 11 = 209
10 × 12 = 12011 × 12 = 13212 × 12 = 14413 × 12 = 15614 × 12 = 16815 × 12 = 18016 × 12 = 19217 × 12 = 20418 × 12 = 21619 × 12 = 228
10 × 13 = 13011 × 13 = 14312 × 13 = 15613 × 13 = 16914 × 13 = 18215 × 13 = 19516 × 13 = 20817 × 13 = 22118 × 13 = 23419 × 13 = 247
10 × 14 = 14011 × 14 = 15412 × 14 = 16813 × 14 = 18214 × 14 = 19615 × 14 = 21016 × 14 = 22417 × 14 = 23818 × 14 = 25219 × 14 = 266
10 × 15 = 15011 × 15 = 16512 × 15 = 18013 × 15 = 19514 × 15 = 21015 × 15 = 22516 × 15 = 24017 × 15 = 25518 × 15 = 27019 × 15 = 285
10 × 16 = 16011 × 16 = 17612 × 16 = 19213 × 16 = 20814 × 16 = 22415 × 16 = 24016 × 16 = 25617 × 16 = 27218 × 16 = 28819 × 16 = 304
10 × 17 = 17011 × 17 = 18712 × 17 = 20413 × 17 = 22114 × 17 = 23815 × 17 = 25516 × 17 = 27217 × 17 = 28918 × 17 = 30619 × 17 = 323
10 × 18 = 18011 × 18 = 19812 × 18 = 21613 × 18 = 23414 × 18 = 25215 × 18 = 27016 × 18 = 28817 × 18 = 30618 × 18 = 32419 × 18 = 342
10 × 19 = 19011 × 19 = 20912 × 19 = 22813 × 19 = 24714 × 19 = 26615 × 19 = 28516 × 19 = 30417 × 19 = 32318 × 19 = 34219 × 19 = 361


3. 암산과의 관계

리처드 파인만, 한스 베테, 존 폰 노이만과 같은 물리학자나 수학자들은 뛰어난 암산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파인만은 주판 사용을 비판하며 계산값 기억을 통한 암산을 선호했고,[2] 베테는 로그표와 곱셈표를, 폰 노이만은 뛰어난 기억력을 활용했다.

하지만 이들의 암산법은 19단 암기 수준을 넘어, 승수, 루트, 로그값 등 실제 계산에 필요한 값들을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19단 암기만으로는 암산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더 많은 계산값을 암기해야 한다. 존 레슬리는 25×25단 암기를 통해 암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3]

3. 1. 19단과 암산 능력

리처드 파인만은 많은 계산값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빠른 암산을 할 줄 알았으며, 주산 등을 이용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손을 움직이는 행위일 뿐, 수를 아는 것과는 무관한 좋지 못한 방식이라고 했다.[2] 한스 베테 역시 로그표 및 곱셉 테이블 등을 기억하여 암산을 빠르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존 폰 노이만 역시 암산의 대가였으며 여기에는 많은 계산값을 기억하는 뛰어난 기억력이 한몫을 했다.

하지만 이들이 사용한 암산법은 19단 정도를 기억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 계산에 많이 필요한 승수, 루트, 로그값, 나눗셈값 등을 기억하여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결론적으로 19단의 암기는 그것만으로는 암산에 큰 도움이 안되며, 실제 계산에 도움이 되려면 더 많은 계산값들을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수학자 존 레슬리(John Leslie)는 학생들에게 25×25단을 외울 것을 권했다.[3] 이는 많은 계산값을 알게 되면 그 값을 바탕으로 암산이 빨라지고, 나아가 수를 아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3. 2. 다양한 암산법

리처드 파인만은 많은 계산값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빠른 암산을 하였다. 그는 주산 등을 이용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손을 움직이는 행위일 뿐, 수를 아는 것과는 무관한 좋지 못한 방식이라고 했다.[2] 한스 베테 역시 로그표 및 곱셉 테이블 등을 기억하여 암산을 빠르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존 폰 노이만암산의 대가였으며, 여기에는 많은 계산값을 기억하는 뛰어난 기억력이 한몫을 했다.

이들이 사용한 암산법은 19단 정도를 기억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 계산에 많이 필요한 승수, 루트, 로그값, 나눗셈값 등을 기억하여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결론적으로 19단 암기는 그것만으로는 암산에 큰 도움이 안 되며, 실제 계산에 도움이 되려면 더 많은 계산값들을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수학자 존 레슬리(John Leslie)는 학생들에게 25×25단을 외울 것을 권했다.[3] 이는 많은 계산값을 알게 되면 그 값을 바탕으로 암산이 빨라지고, 나아가 수를 아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4. 대한민국 내에서의 비판

김용운 한양대 명예교수를 비롯한 대한민국 수학교육 전문가들은 19단 교육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이다.[1] 이들은 19단이 구구단 이상의 큰 의미가 없으며, 학생들의 수학 혐오증 유발 및 창의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도 학생들이 19단을 배운다'는 사실과 '인도 학생들이 수학을 잘 한다'는 것 사이의 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지적된다.

4. 1. 교육 효과에 대한 의문

김용운 한양대 명예교수는 19단 교육이 실효성이 없으며 상업적으로 포장된 것이라고 말했다.[1] 다른 수학교육 전문가들도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이다. 10진법 체계에서 19단은 구구단 이상의 큰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학생들에게 수학혐오증을 유발하거나 창의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이 주된 주장이다. 이들은 '인도 학생들이 19단을 배운다'는 것과 '인도 학생들이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이 큰 관계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두 자릿수 곱셈에 관한 적절한 암산법을 익히면 19단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모든 두 자릿수로 확장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암산법에 관한 교육 또한 대한민국 교육의 방침은 아니다.

참조

[1] 웹인용 19단 외우기, 상업주의 문제 심각 http://www.ohmynews.[...]
[2] 서적 Surely You are Joking, Mr. Feynman 1985
[3] 서적 The Philosophy of Arithmetic; Exhibiting a Progressive View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lculation, with Tables for the Multiplication of Numbers as Far as One Thousand Abernethy & Walker 1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