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양대학교는 1939년 김연준이 설립한 동아공과학원을 모체로 하여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부,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다양한 연구 활동과 산학협력 클러스터를 통해 기술 이전 수익을 창출하며, 사회 공헌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또한, MIT 등 해외 유수 대학들과 교류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 한양대학교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2008년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체인지 포유'의 공약 불이행 및 학생회비 횡령 의혹으로 시작된 이 사건은 비상대책위원회 결성, 회계 부정 의혹 제기, 총학생회 탄핵 및 직무 정지, 그리고 총학생회장의 사퇴 및 횡령 금액 반납으로 이어졌으나, 이후에도 후속 조치 미흡 및 자료 공개 거부 등 논란이 지속되었다. - IEEE - 도호쿠 대학
도호쿠 대학은 연구 제일, 문호 개방, 실학 존중의 이념을 가진 일본 명문 국립 대학으로, 일본 최초로 여성과 외국인에게 문호를 개방한 혁신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재료 과학, 물리학, 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수행한다. - IEEE - IEEE 표준 협회
IEEE 표준 협회(IEEE SA)는 다양한 회원 옵션을 제공하고, 6단계 표준 개발 프로세스를 따르며, IEEE 488, IEEE 754, IEEE 802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며, 표준 필수 특허 기술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표준 개발 기여자를 위한 시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서울 성동구의 학교 -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대학교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한양대학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높은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시대적 요구에 맞춰 교육 과정을 개편하며 학생들을 지원하는 공유전공 제도와 부/복수전공 인정 제도를 운영한다. - 서울 성동구의 학교 - 한국예술고등학교
한국예술고등학교는 1999년 개교하여 음악, 미술, 연극영화과를 운영하며, 과거 아세아학교와 아세아고등학교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9년에는 한국예술학교로 승인받았다.
한양대학교 | |
---|---|
기본 정보 | |
교훈 | 사랑의 실천 |
설립일 | 1939년 |
학교 종류 | 사립 |
설립자 | 박사 김연준 |
총장 | 이기정 |
위치 | 서울 |
국가 | 대한민국 |
학부생 | 25,155명 |
대학원생 | 9,506명 |
캠퍼스 | 서울캠퍼스 (성동구, 서울, 대한민국) ERICA 캠퍼스 (상록구, 안산시, 경기도, 대한민국) |
웹사이트 | www.hanyang.ac.kr |
교색 | 파랑 회색 |
별칭 | 사자들 |
한국어 이름 | |
한글 | 한양대학교 |
한자 | 漢陽大學校 |
로마자 표기 | Hanyang Daehakgy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anyang Taehakkyo |
일본어 이름 | |
가나 표기 | かんようだいがっこう |
가타카나 표기 | ハニャンデハッキョ |
추가 정보 | |
구 명칭 | 한양 (서울의 옛 이름) |
개교 기념일 | 5월 15일 |
학부 및 대학원 | |
학부 | 공과대학 건축학부 정보통신학부 의과대학 인문과학부 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법학부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에 따라 폐지 예정) 경제금융학부 경영학부 사범대학 생활과학부 음악대학 체육대학 공학부 국제학부 언론정보학부 과학기술학부 디지털경제경영학부 디자인학부 생활체육과학부 |
연구 대학원 | (정보 없음) |
2. 연혁
1939년 7월 김연준(2008년 1월 7일 93세의 나이로 사망)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세운 '''동아공과학원'''을 모태로 한 사립대학이다. 1942년 '''동아고등공업학원'''으로 인가된 후 해방과 함께, '''건국기술학교'''로 교명을 변경 하였으며, 1948년 재단법인 한양학원 인가와 함께 건국기술학교를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초대학장에 김연준 박사로 했다.[49] 그 후 한국 전쟁 이후 서울 수복 후, 현 교지인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17번지에 교사를 건립한다. 1959년 한양공과대학을 교육법에 의해서 종합대학으로 승격, 현재의 교명으로 승격하였으며, 초대 총장에 김연준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8년 경기도 반월공업도시(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반월캠퍼스를 신설하였다. 1995년에는 경기도 구리시에 의과대학 부속 구리병원을 개원하였다. 2009년 분교인 안산 캠퍼스의 명칭을 클러스터형 산업중심대학을 뜻하는 에리카 캠퍼스(ERICA: '''E'''ducation '''R'''esearch '''I'''ndustry '''C'''luster at '''A'''nsan)로 변경하였다.[49]
2019년 2월 기준으로 제15대 김우승 총장이 역임중이다.[50]
한양대학교는 1939년 7월 1일, 일제강점기에 동아공과학원으로 설립되었다. 동아공과학원은 서울 종로구에서 학생 630명과 교수 35명으로 시작했다. 1941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후, 동아공과학원은 대학으로 승격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41년 5월, 학원은 이전하여 중등교육을 마친 100명의 학생들에게 공학 및 기술 분야를 전문으로 교육하였다. 1943년, 한국이 여전히 일제 강점기 하에 있던 당시, 학원은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마지막 78명의 학생이 졸업한 1944년 3월 15일에 학교는 일시적으로 문을 닫았다.[5][6]
1945년 8월 대한민국이 독립을 회복하자 동아공과학원은 건국공과학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설립자인 김윤준 박사는 한국 재건에 있어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예측하고 한양대학교를 사법 및 학술 기관으로 설립하였다. 당시 이사회에는 이묘옥, 조병옥, 백관수, 이원철, 김월준, 최태용, 김연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1948년 7월, 김연준 초대 학장 체제 하에 4년제 공과대학으로 인가를 받아 한국 최초의 4년제 공과대학이 되었다. 6개의 공학과와 중등학교가 설립되었다.[5][6]
한국 전쟁 중에 학교 시설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교수와 학생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그러나 부산에서 임시 교사들과 함께 수업은 계속되었다. 피난 중에도 이 대학은 기술 분야 중등학교 교사 양성소를 설립하여 많은 유능한 과학교사를 양성하였다. 1953년 한양대학교는 교육부로부터 대학원 설립을 인가받았다.[5][6]
2. 1. 요람기 (1939년 ~ 1948년)
1939년 7월 김연준이 현 서울시 종로구터에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하면서 한양대학교의 요람기가 시작되었다. 동아공과학원은 2년제 3개 과로 개교하였으며, 1942년 동아고등공업학원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52] 일제강점기 교육 정책에 따라 신입생 모집이 금지되면서 1944년 폐교되기도 하였으나,[52] 광복 후 1945년 건국기술학교를 설립하였다.[52]1946년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설립하고 김연준이 이사장에 취임하였으며, 소화공과학교를 인수하여 한양공업학교를 설립하였다.[52] 이후 건국기술학교를 개명, 승격 등의 과정을 거쳐 한양공업대학관으로 승격하였으며, 재단법인 한양공과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4년제 정규 대학으로 승격하였다.[52]
1945년 8월 대한민국이 독립하면서 동아공과학원은 건국공과학원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김연준 박사는 한국 재건에 산업 발전이 중요함을 예측하고 한양대학교를 사법 및 학술 기관으로 설립하였다. 당시 이사회에는 이묘옥, 조병옥, 백관수, 이원철, 김월준, 최태용, 김윤준 등 한국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인물들이 포함되었다.[5][6] 1948년 7월, 김연준 초대 학장 체제 하에 4년제 공과대학으로 인가를 받아 한국 최초의 4년제 공과대학이 되었다. 6개의 공학과와 중등학교가 설립되었다.[5][6]
2. 2. 성장기 (1948년 ~ 1959년)
1948년 초대 법인 이사장에 김연준이 취임하였으며, 이후 몇 가지 학과 개편과 부설 중등교원양성소를 설치하였다.[51] 1950년 발발된 한국 전쟁과 함께 부산시 완월동의 가교사에서 수업을 하였으며, 1952년에는 한양공대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52] 1953년 대학원 설립 인가를 받아 설치하게 되었으며,[52] 서울 수복 후 성동구 신당동 인근의 임시 교사에서 수업을 하고 이후 현 한양대학교가 행당동으로 이전 및 교사를 신축하게 되었다.[52] 1955년 자연과학 관련 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를 하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공계 관련 학과들을 신설 및 확장하였다.[52]2. 3. 발전기 (1959년 ~ 1978년)
1959년 종합대학인 '''한양대학교'''로 승격 인가되었으며 3개 단과대학[53] 19개 학과 및 이부대학, 대학원으로 개편하였다. 1959년 교내 언론기관인 한양대학보를 창간하고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다. 1960년에는 방송기관인 HUBS(現 한양대학교 교육방송국의 모체)을 개시하였으며, 같은 해 예체능 관련학과[54]를 인가 및 신설하였다. 그 해 일어난 4.19에 학생들이 가담해 사상자가 나기도 하였다[55]. 같은 해 학생회 및 단과대학 학생회, 총동문회가 구성 및 창립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학교의 재정확보 정책과 학생들의 등록금 인하요구가 대치하던 과정 중 성동경찰서 난입사건이 일어나기도 하였다.[157] 1961년에는 ROTC교육훈련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5.16등으로 혼란했던 사회상황 때문에 학과 및 정원 재조정이 빈번했다[56]. 1965년 일본 와세다 대학과 상호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68년에는 계절학기를 도입하였다. 1969년에는 現 학칙이 승인되었으며 이후 수회의 학과 및 정원 조정과 건물 준공 및 용도변경,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 협정[57] 이 있었다. 1972년에는 계엄령선포로 인해 45일간 휴교한 적도 있었으며, 같은 해 부속병원을 400병상 규모로 개설하였다. 1973년에는 초대 김연준 총장이 물러나고 2대 총장 이해남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5년에는 중국의 교육기관과 자매결연[58]을 시작했으며, 1976년, 2009년까지 사용[59] 했던 UI(University Identity)를 공표하였다.[52]2. 4. 도약기 (1978년 ~ 1989년)
1978년 현 ERICA캠퍼스의 모체인 반월캠퍼스를 문교부로부터 조건부로 인가를 받아 설립하게 되었으며,[51] 1979년 정식인가를 받아 기계공학과 500명, 전자공학과 200명, 전기공학과 100명을 설치하게 되었다. 같은 해 문리과 대학을 이과대학과 문과대학으로 분리하였으며, 계엄령선포로 23일간 휴교하기도 했다. 1980년 반월캠퍼스 개교식을 거행하였으며, 같은 해 유럽지역의 대학과 자매결연을 시작하게 되었다.[60] 5.17 조치로 인한 계엄령으로 인해 107일간 휴교하였으며,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1981년 한양여자대학 본관을 준공하였으며,[52] 1983년에는 지하철 2호선 및 한양대역이 개통하였다.[52] 1987년 반월 캠퍼스를 안산캠퍼스로 개명하였으며,[52] 1988년 직원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 같은 해 지하철 4호선 및 한대앞역이 개통하여 안산캠퍼스의 접근성을 높였다.[52]2. 5. 비상기 (1989년 ~ 현재)
1989년 개교 50주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비상기'''라 한다.[51]1989년 이후 여러 번의 조직개편과 해외대학과의 교류(자매결연)가 빈번해졌다. 1993년에는 기업과 산학협동 의정서[61]를 조인하게 되었으며 1994년 한양대학교 홈페이지를 개설하게 되었다. 2000년에는 사이버 언론기관인 인터넷 한양을 설립하였다.
2002년에는 HIT 건물 준공 및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 교내 본관 앞 연결통로인 애지문을 준공하고 개통하였다. 특히 2000년대 초·중반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62]을 비롯한 한국 안팎의 여러 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008년에는 법학전문대학원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36대 총학생회 배임 및 횡령사건이 일어나 자진사퇴를 하기도 했다[63].
또한 퓨전테크놀로지 센터를 준공했으며, 이화학연구소 유치 및 일본 아소다로 총리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64].

2009년에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한양공대 70주년 기념 EXPO와[65]70일의 기적 행사를 진행했으며, 한국 기네스북에 최다 헌혈자 기록으로 등재되었다[66].
같은 해 안산캠퍼스의 명칭을 ERICA캠퍼스로 변경하였으며, 대학구조 개편을 통해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49] 같은 해 신본관 개관에 맞춰 초대 김연준 총장 동상이 설립되었으며 새로운 UI(University Identity)가 11월 2일 발표되었다.[67]
2010년에는 약학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ERICA캠퍼스에 약대를 신설 하였다.[68]
2019년 2월 기준으로 제15대 김우승 총장이 역임하고 있다.[50]
3. 위상 및 활동
3. 1. 대외 평가/활동
한양대학교는 정·재계, 법조계 등 대한민국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인사를 포진하고 있다.[71] 2006년 통계 기준으로 전국대학에서 두 번째로 많은 코스닥 CEO를 배출하였으며,[72] 2009년에는 일본의 아소 다로 총리가 한양대학교를 방문해 연구진을 격려하기도 했다.[73] 같은 해 출판된 《코스닥 상장법인 경영 인명록》에 따르면 서울대, 연세대 다음으로 3번째 많은 코스닥 등기임원을 배출해 냈다.[74]2009년 제2차 사법시험에서는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많은 합격자를 배출해 내었으며,[75] 3차 시험에는 전원이 합격하였다.[76] 같은 해, 음악대학에서는 국악과 관련한 대회인 동아 국악 콩쿠르에서 금상 5명을 포함해, 총 8명의 수상자를 동시에 배출해내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77] 2010년 통계에 따르면 매출액 1천만원 이상의 벤처기업 CEO를 두번째로 많이 배출한 대학으로 조사되었고,[78] 검찰 주요보직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 3번째로 많은 공직자가 한양대학교 출신으로 배치되어있다.[79]
2011년 통계 기준, 100대 기업(매출액 기준)의 재직임원 중,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많은 한양대학교 출신 임원들이 배치되어있으며, 주로 기술직 분야의 임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80] 2014년 통계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서울대, 연세대에 이어 3번째로 코스닥 상장사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으로 조사됐으며,[81] 대한민국의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출신대학 조사에서는 4위로 조사됐다.[82] 2014년 기준 전국 현직검사 출신대학 조사에서는 4위로 나타났다.[83]
2014년에 치러진 제56회 사법시험에서는 서울대, 연세대에 이어 3번째로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였으며,[84] 같은 해의 행정고시(5급공채 행정직)와 기술고시(5급공채 기술직)에서는 각각 4번째로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2015년에는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국내대학 중 3위를 차지하였고, 세계적인 통신사 로이터(Reuters)가 선정한 '2015 세계 혁신 대학 톱 100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에서는 세계 62위, 국내 종합대학 중 3위에 랭크됐다.
2016년 한국경제신문 공과대학 평가에서 한양대학교는 산학협력, 기술사업화, 창업 및 취업 지원뿐만 아니라 교육 및 연구 질에 있어서도 전국 50개 공과대학 평가에서 최고 점수를 받으며 1위를 차지했다.[29] 2017년과 2018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3위, 에리카캠퍼스는 9위를 기록했다.[27][28] 2023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157위를 기록했다. 로이터는 2015년 한양대학교를 한국 대학 중 5위, 세계 62위로 평가했다.[30]

3. 2. 연구 활동
한양대학교는 한국 안팎의 여러 유명 인사를 초청하여 학술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각 단과대별 세미나 또는 BK21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있다.[85] 또한 노벨상 수상자들을 지속적으로 초청하거나[85] 교수로 초청하고 있다.[86]여러 국책사업인 SRC[87] / ERC[88] / NRL[89] / WCU[90] 및 BK21[91] 사업에 참여했거나 참여하고 있으며 국방생존성기술 연구소를 유치하기도 했다.[92] 일본의 이화학연구소와 아시아연구네트워크(ARN)를 공동으로 설립[93]하여 융합학문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연구/교육활동을 펼치고 있으며[94], 한국 대학 중 유일하게 SCI 저널인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을 출판하고 있다.[95] 국제학회 행사로 IEEE 학회[96]를 일본 토호쿠 국립대학, 중국 북경우전대학과 함께 공동으로 주관하고 있다.[97]
실용 학문 중시의 학풍으로 대학의 기술이전수입에 있어 2008년 기준 건당 평균 1억 이상의 성과를 올려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은 기술이전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특허 출원대비 등록율이 49.4%로 한국 대학 중 제일 높다.[98] 2008년 기준, 교육과학기술부가 선정한 3대 연구사업성과에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72] 기술자주회사인 HYU홀딩스를 설립하여 여러 가지 기술개발 및 이전을 하고 있으며, 수억 원대의 매출 달성 및 대한민국 대학 최초로 기술해외수출을 달성하기도 했다.[99] 특허를 출원하는데 있어 `발명자 인터뷰`제도를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특허의 품질 관리를 하고 있으며 교수들의 연구결과가 논문 출판에만 그치지 않고 산업계로 전파하여 기술이전료로 연결되어[100] 이를 통해 2010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은 기술이전 순수익을 올리고 있다.[101]
한양대학교는 '뉴 한양 2020' 계획에 따라 핵심 전략 방향 중 하나로 "연구 경쟁력 강화"를 지정하였다.[21] 산학협력단(IUCF)은 연구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자금을 지원하고,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연구 논문 게재를 지원하는 등의 업무를 통해 한양대학교의 개별 및 공동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에는 국제 표준 수준의 부품 및 소재 연구개발 클러스터가 운영 중이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전기연구원(KERI) 등 정부 연구기관과 LG이노텍, LG마이크론 등 민간 기업의 연구센터가 입주해 있다. 2006년에는 28개 연구팀이 BK21 2단계 사업에 선정되어 7년간 연간 154억 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되었다.[26] 2006년부터 2009년까지 100억 원 이상의 기술이전 수입을 올리며 국내 대학 중 기술이전 수입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는 매년 정보통신부로부터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상하이에 현지 거점을 설립하여 중국 시장에도 진출했다. 교육과학기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대학 주도 TLO(기술이전센터) 프로그램에서 5년 연속 최고 등급을 받은 유일한 국내 대학이며, 최근에는 피코 다공성 고분자 막 기술을 글로벌 기업에 이전했다.
한양대학교는 난치성 신경계 질환 세포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루게릭병 치료제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에 가장 근접한 세계 최초의 연구로 알려져 있다. 공학 및 연구의 중심지인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공학 교육 혁신센터에서는 이족보행 로봇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진은 인간과 유사한 로봇을 제작하여 정밀한 프로그래밍 및 제어를 통해 인간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인간이 방향을 바꾸는 것과 유사하게 로봇이 효율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한양대학교 연구팀은 실리콘과 저마늄 연구에서 Si-Ge 및 Ge-Si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모두 연구하여 Si 코어와 Ge 쉘을 가진 나노와이어가 특히 사이클 성능과 속도 특성 측면에서 훨씬 향상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생의학 분야에서는 말라리아 치료법 연구에 진전을 이루고 있다. 연구팀은 Pf 종의 특정 균주인 Pf3D7 균주에 대한 주석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화학 분야 연구원들은 유연 디스플레이용 광반응성 고분자, 투명성 및 고내열성 고분자, 생분해성 고분자 및 새로운 기능성 고분자를 개발하고 있다. 새로 개발된 BCP가 20nm 미만의 지향적 자기 조립 공정 구현을 위한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후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는 Advanced Material 논문 상위 5%에 선정되었다.
3. 3. 산업체·학교·연구소 클러스터
한양대학교는 산업체 - 학교 - 연구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산학연 클러스터 활동을 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이 존재하며[102], 대한민국 대학 중 제일 높은 기술 이전수익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98]안산에 있는 ERICA캠퍼스를 통해 한국형 실리콘벨리를 구성하고 있으며,[103] 대한민국의 삼성전자, 하이닉스, 국방부 국방생존성 기술 연구센터, 일본 이화학연구소 등 한국 안팎의 각종 유명 연구소를 교내에 유치하고 있다.[104] 서울캠퍼스에는 서울특별시의 후원을 받아 퓨전테크놀로지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300mm급 반도체 공정장비를 갖추고 있다.[46]
안산캠퍼스는 학연산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기업/연구소와 연계하는 산학연 과정을 보유하고 있다.[105] 캠퍼스 내에는 LG부품소재연구소[106]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107] 한국산업기술시험원[108] 등의 연구소와 창업보육센터, 경기테크노파크가 입주해있다.[109] 재학생들은 현장실습(인턴십)을 통해 각 기업에 파견되어 실무를 배우며,[110] 학연산 클러스터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에 있는 석, 박사 급 연구원을 겸임교수로 초빙하여, 산업전반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다.[111]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가 선정한 산학협력중심대학 사업에서 수도권내에 단독으로 선정되었고, 2008년 2차 산학협력중심대학 사업에도 선정되어 5년간 200억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고 있다.[112]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산학연 유공자 대학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113]
3. 4. 사회 공헌 활동
한양대학교는 다방면의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114]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문화 행사를 유치하고 있으며,[115] 교수들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118]
개교 70주년에는 대규모 헌혈 행사인 《70일의 기적》을 진행하여 사랑의 리퀘스트 생방송을 끝으로 한국 기네스 최다 헌혈 기록을 수립하였다.[66] 2009년 사회봉사단은 유니세프, 생명인권연맹과 연계하여 해외결식아동 기부금을 유니세프에 전달하기도 했으며,[116] 37대 한양대학교 총학생회는 간부들의 장학금을 환원하여 몽골의 백혈병 어린이를 돕는데 사용하여, 수술비를 지원하기도 하였다.[117]
3. 5. 뉴 한양 2020
한양대학교는 각종 전략 학과의 신설 및 "우수 인재 유치, 교육 환경 개선 등의 총체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뉴 한양 2020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119]4. 국제 교류
한양대학교는 MIT, 버클리, 도쿄대 공과대학 등 2009년 11월 기준 40개국 296개교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20] 일리노이 공과대학과 템플 대학교와는 공동으로 '''복수 학위''' 제도를 운영[121] 하고 있으며, MIT를 포함해 17개국 84개 학교와 '''교환 학생'''을 파견/영입하는 교류[122] 도 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학생은 연간 3,500명 수준이며, 해외 파견 재학생은 연간 2,000명 수준이다.[123]
여러 해외 대학과 자매 결연을 맺고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퍼듀 대학교(PUWL),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위스콘신 대학교, 플로리다 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아헨 공과대학교(RWTH), 오레건 대학교(U.O) 등이 있다.
또한,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SW), 칭화 대학교, 베이징 대학교, 상하이 교통 대학교, 도호쿠 대학교, 쓰쿠바 대학교, 나고야 대학교, 도쿄 대학교 공과대학, 도쿄 공업대학(TIT),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등과도 교류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도호쿠 대학교, 쓰쿠바 대학교, 간다 외국어 대학교, 지바 상과대학교, 메이지 대학교, 와세다 대학교, 도쿄 대학교, 도쿄 공업대학교, 고쿠시칸 대학교, 아오야마가쿠인 대학교, 도카이 대학교, 릿쿄 대학교, 도쿄도립대학 (2020-), 주오 대학교, 호쿠리쿠 선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 나고야 대학교, 나고야 공업대학교, 오사카 경제대학교, 오사카 대학교, 간사이 대학교, 고난 대학교, 고베 대학교, 간사이가쿠인 대학교, 고치 대학교, 규슈 국제대학교, 릿메이칸 아시아태평양 대학교 등과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
4. 1. 주요 자매 결연 대학
한양대학교는 여러 해외 대학과 자매 결연을 맺고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퍼듀 대학교(PUWL),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위스콘신 대학교, 플로리다 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아헨 공과대학교(RWTH), 오레건 대학교(U.O) 등이 있다.또한,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SW), 칭화 대학교, 베이징 대학교, 상하이 교통 대학교, 도호쿠 대학교, 쓰쿠바 대학교, 나고야 대학교, 도쿄 대학교 공과대학, 도쿄 공업대학(TIT),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등과도 교류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도호쿠 대학교, 쓰쿠바 대학교, 간다 외국어 대학교, 지바 상과대학교, 메이지 대학교, 와세다 대학교, 도쿄 대학교, 도쿄 공업대학교, 고쿠시칸 대학교, 아오야마가쿠인 대학교, 도카이 대학교, 릿쿄 대학교, 도쿄도립대학 (2020-), 주오 대학교, 호쿠리쿠 선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 나고야 대학교, 나고야 공업대학교, 오사카 경제대학교, 오사카 대학교, 간사이 대학교, 고난 대학교, 고베 대학교, 간사이가쿠인 대학교, 고치 대학교, 규슈 국제대학교, 릿메이칸 아시아태평양 대학교 등과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
5. 교육 편제
한양대학교는 학부생의 경우 양 캠퍼스에 1만 5천명과 9천명 정도의 인원이 편재되어있다. 휴학생을 포함하면 2만 2천명 / 1만 3천명으로 총 3만 5천여명이 재적되어있다. 대학원의 경우 석사과정 3천명, 박사과정 1천명 수준으로 편재가 되어있다.[124]
; 서울캠퍼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14개의 단과대학/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공과대학 6,000명, 의과대학 800명, 인문과학대학 1,000명, 사회과학대학 1,000명, 자연과학대학 1,000명, 법과대학 1,000명, 정책과학대학 500명, 경제금융대학 600명, 경영대학 1,500명, 사범대학 900명, 생활과학대학 400명, 음악대학 및 예술체육대학 1,300명, 국제학부 150명 수준으로 편제되어 있다.[125]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개원에 따라 법과대학은 정책과학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공과대학은 분야에 따라 4개의 독립조직으로 나뉘어 있었다.[126] 2011년 이후 기존의 단일 공과대학 체제로 복귀하였으나 학과 표기 순서는 과거와 동일하다.
한양대학교는 다이아몬드 프로그램[127]으로 운영되는 7개의 전략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자연계열 4개 학과(융합전자공학부, 에너지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소프트웨어전공)와 인문계열 3개 학과(정책학과, 파이낸스경영학과, 행정학과)가 있다. 융합전자공학부는 대한민국 7개 대기업의 후원을 받으며, 에너지공학과는 2010년 한양대학교가 WCU사업에 선정되면서 신설된 학과로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연계되어 있다. 정책학과는 법과대학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리더 양성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각종 고시에 특화되어 있다.[128] 파이낸스 경영학과는 금융전문가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행정학과는 2014년부터 사회과학대학에서 정책과학대학으로 소속을 옮기면서 다이아몬드 학과가 되었고, 정책학과와 마찬가지로 입학생 전원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원하며 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공과대학 내에 또 다른 전략학과인 컴퓨터공학부 소프트웨어 전공을 개설하여 신입생 30명을 선발하고 있다. 모든 인원은 2학년까지 학교에서 장학금을 지급하며, 이후 2년동안은 삼성전자에서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또한, 채용전형을 통과하는 학생에게는 인턴십 기회와 함께 취업도 보장된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8]
- 공과대학
- * 건축학부
- * 건축공학부
- * 건설환경공학과
- * 도시공학과
- * 자원환경공학과
- * 융합전자공학과
- * 정보시스템학과
- * 신소재공학부
- * 유기나노공학과
- * 기계공학부
- * 원자력공학과
- * 산업공학과
- * 에너지공학과
- * 미래자동차공학과
- * 컴퓨터공학부
- ** 컴퓨터전공
- ** 소프트웨어전공
- * 전기생체공학부
- ** 전기공학전공
- ** 생체공학전공
- * 화학생명공학부
- ** 화학공학전공
- ** 생명공학전공
- 의과대학
- * 의예과
- 간호대학
- * 간호학과
- 인문과학대학
- * 국어국문학과
- * 중어중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독어독문학과
- * 사학과
- * 철학과
- * 융합인문학부
- 사회과학대학
- * 정치외교학과
- * 행정학과
- * 사회학과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관광학부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생명화학과
- 정책과학대학
- * 정책학과
- 경영금융대학
- * 경영금융학부
- 경영대학
- * 경영학부
- * 금융경영학과
- 사범대학
- * 교육학과
- * 교육공학과
- * 국어교육과
- * 영어교육과
- * 수학교육과
- * 응용미술교육과
- 생활과학대학
- * 의류학과
- * 식품영양학과
- *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음악대학
- * 성악과
- * 작곡과
- * 피아노과
- * 관현악과
- * 국악과
- 체육대학
- * 체육학과
- * 스포츠산업학과
- 예술대학
- * 연극영화학과
- * 무용학과
; ERICA캠퍼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구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에는 8개의 단과대학이 있다.[125] 공학 및 과학기술 3,700명, 국제문화 1,400명, 언론정보 700명, 경상 1,300명, 디자인 800명, 생활체육과학 500명 수준으로 편제되어 있다.[125]
광고홍보학과, 문화콘텐츠학과, 로봇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보험계리학과, 국방정보학과와 같은 특성화 학과와 응용수학, 응용물리학과 등 응용기술 및 실용학풍을 중시하는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학·연·산 특화과정들이 운영되고 있다. 2010년에는 약대를 유치하였다.[68]
ERICA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9]
- 공과대학
- * 건축학부
- ** 건축학전공
- ** 건축공학전공
- 약학대학
- * 약학과
- 국제문화대학
- * 한국어문학과
- * 문화인류학과
- * 문화콘텐츠학과
- * 중국어학과
- * 일본어문화학과
- * 영미어문학과
- * 프랑스어문화학과
- 언론정보대학
- * 광고홍보학부
- ** 광고전공
- ** 홍보전공
- 과학기술대학
- * 과학기술학부
- ** 응용수학전공
- ** 응용물리학전공
- ** 응용화학전공
- ** 해양환경과학전공
- 경상대학
- * 경제학과
- * 경영학과
- 디자인대학
- * 금속디자인학과
- * 섬유디자인학과
- * 산업디자인학과
- * 시각패키지디자인학과
- * 영상디자인학과
- 생활체육예술대학
- * 생활스포츠학부
- ** 생활체육전공
- ** 경기지도전공
- * 생활무용예술학과
- * 실용음악학과
; 대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의 세 학원으로 나뉜다.[17] 전문대학원은 직업 기술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특수대학원은 현장 연구와 관련된 연구에 중점을 둔다. 일반대학원은 석사 과정 87개, 박사 과정 85개를 제공한다.[17]
대학원 총 인원은 9,000명 수준이다. 휴학생을 제외하면 일반대학원 3,000명, 특수대학원 2,700명, 전문대학원 700명 정도가 석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박사 인력은 약 1,400명 정도가 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을 밟고 있다.[125]
; 국제 프로그램
2016년에 처음 도입된 G2(영어-중국어) 언어 교육 프로그램은 영어 및 중국어 과정 이수를 의무화하며, 두 언어 모두 공식 학점을 필수 요건으로 한다.[12][20]
5. 1. 서울캠퍼스(본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14개의 단과대학/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공과대학 6,000명, 의과대학 800명, 인문과학대학 1,000명, 사회과학대학 1,000명, 자연과학대학 1,000명, 법과대학 1,000명, 정책과학대학 500명, 경제금융대학 600명, 경영대학 1,500명, 사범대학 900명, 생활과학대학 400명, 음악대학 및 예술체육대학 1,300명, 국제학부 150명 수준으로 편제되어 있다.[125]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개원에 따라 법과대학은 정책과학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공과대학은 분야에 따라 4개의 독립조직으로 나뉘어 있었다.[126] 2011년 이후 기존의 단일 공과대학 체제로 복귀하였으나 학과 표기 순서는 과거와 동일하다.
한양대학교는 다이아몬드 프로그램[127]으로 운영되는 7개의 전략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자연계열 4개 학과(융합전자공학부, 에너지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소프트웨어전공)와 인문계열 3개 학과(정책학과, 파이낸스경영학과, 행정학과)가 있다. 융합전자공학부는 대한민국 7개 대기업의 후원을 받으며, 에너지공학과는 2010년 한양대학교가 WCU사업에 선정되면서 신설된 학과로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연계되어 있다. 정책학과는 법과대학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리더 양성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각종 고시에 특화되어 있다.[128] 파이낸스 경영학과는 금융전문가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행정학과는 2014년부터 사회과학대학에서 정책과학대학으로 소속을 옮기면서 다이아몬드 학과가 되었고, 정책학과와 마찬가지로 입학생 전원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원하며 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공과대학 내에 또 다른 전략학과인 컴퓨터공학부 소프트웨어 전공을 개설하여 신입생 30명을 선발하고 있다. 모든 인원은 2학년까지 학교에서 장학금을 지급하며, 이후 2년동안은 삼성전자에서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또한, 채용전형을 통과하는 학생에게는 인턴십 기회와 함께 취업도 보장된다.
서울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8]
- 공과대학
- * 건축학부
- * 건축공학부
- * 건설환경공학과
- * 도시공학과
- * 자원환경공학과
- * 융합전자공학과
- * 정보시스템학과
- * 신소재공학부
- * 유기나노공학과
- * 기계공학부
- * 원자력공학과
- * 산업공학과
- * 에너지공학과
- * 미래자동차공학과
- * 컴퓨터공학부
- ** 컴퓨터전공
- ** 소프트웨어전공
- * 전기생체공학부
- ** 전기공학전공
- ** 생체공학전공
- * 화학생명공학부
- ** 화학공학전공
- ** 생명공학전공
- 의과대학
- * 의예과
- 간호대학
- * 간호학과
- 인문과학대학
- * 국어국문학과
- * 중어중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독어독문학과
- * 사학과
- * 철학과
- * 융합인문학부
- 사회과학대학
- * 정치외교학과
- * 행정학과
- * 사회학과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관광학부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생명화학과
- 정책과학대학
- * 정책학과
- 경영금융대학
- * 경영금융학부
- 경영대학
- * 경영학부
- * 금융경영학과
- 사범대학
- * 교육학과
- * 교육공학과
- * 국어교육과
- * 영어교육과
- * 수학교육과
- * 응용미술교육과
- 생활과학대학
- * 의류학과
- * 식품영양학과
- *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음악대학
- * 성악과
- * 작곡과
- * 피아노과
- * 관현악과
- * 국악과
- 체육대학
- * 체육학과
- * 스포츠산업학과
- 예술대학
- * 연극영화학과
- * 무용학과
5. 2. ERICA캠퍼스(분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구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에는 8개의 단과대학이 있다.[125] 공학 및 과학기술 3,700명, 국제문화 1,400명, 언론정보 700명, 경상 1,300명, 디자인 800명, 생활체육과학 500명 수준으로 편제되어 있다.[125]광고홍보학과, 문화콘텐츠학과, 로봇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보험계리학과, 국방정보학과와 같은 특성화 학과와 응용수학, 응용물리학과 등 응용기술 및 실용학풍을 중시하는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학·연·산 특화과정들이 운영되고 있다. 2010년에는 약대를 유치하였다.[68]
ERICA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9]
- 공과대학
- * 건축학부
- ** 건축학전공
- ** 건축공학전공
- 약학대학
- * 약학과
- 국제문화대학
- * 한국어문학과
- * 문화인류학과
- * 문화콘텐츠학과
- * 중국어학과
- * 일본어문화학과
- * 영미어문학과
- * 프랑스어문화학과
- 언론정보대학
- * 광고홍보학부
- ** 광고전공
- ** 홍보전공
- 과학기술대학
- * 과학기술학부
- ** 응용수학전공
- ** 응용물리학전공
- ** 응용화학전공
- ** 해양환경과학전공
- 경상대학
- * 경제학과
- * 경영학과
- 디자인대학
- * 금속디자인학과
- * 섬유디자인학과
- * 산업디자인학과
- * 시각패키지디자인학과
- * 영상디자인학과
- 생활체육예술대학
- * 생활스포츠학부
- ** 생활체육전공
- ** 경기지도전공
- * 생활무용예술학과
- * 실용음악학과
5. 3. 대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의 세 학원으로 나뉜다.[17] 전문대학원은 직업 기술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특수대학원은 현장 연구와 관련된 연구에 중점을 둔다. 일반대학원은 석사 과정 87개, 박사 과정 85개를 제공한다.[17]대학원 총 인원은 9,000명 수준이다. 휴학생을 제외하면 일반대학원 3,000명, 특수대학원 2,700명, 전문대학원 700명 정도가 석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박사 인력은 약 1,400명 정도가 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을 밟고 있다.[125]
6. 주요 학생 조직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학생조직을 이끄는 총괄조직이다. 학생회관 5층에 사무실이 있으며, 이전까지는 철문이 있는 폐쇄형 학생회실이었으나, 2002년 '소리 없는 99%의 명예혁명'(약칭 소명) 학생회의 당선에 따라 지금의 유리문 개방형 학생회실로 탈바꿈하게 되었다.[129] 회계와 관련된 크고 작은 일들이 몇 번 있었으며[130] 학교본부 또는 외부전문 회계기관의 감사도 받았다. 2009년부터는 투명한 회계운용시스템 정착을 위해 정식 회계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131]
기간 | 2001년 이전 | 2002년-2006년 | 2007년-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2016년 | 2017년 |
---|---|---|---|---|---|---|---|---|---|---|---|
조직명 | 운동권 계열 |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 | 체인지 포유 | 체인지 포유 정상화운영위원회[132] | SAY(Same As You) | 터미네이터 | 리얼플랜H | Togather | 클래스 업 | Solution | 한마디 |
한양대학교 중앙동아리 관련 조직이다. 매년 새 회장을 선출하며, 중앙동아리 운영 및 승인, 사업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133]
한양대학교의 학생 언론은 총 9기관이 있으며, 서울캠퍼스 학생회관과 제2 공학관, ERICA캠퍼스 학생회관과 컨퍼런스홀에 있다. 이 외에도 동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양동문회보', 홍보목적의 정기간행물 '사랑한대'(구 아크로폴리스), 수험생 대상의 '쥬니어 사랑한대'등이 발간되고 있다.
- 한대신문: 1959년 한양대학보라는 이름으로 창간하였으며, 1966년 한대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었다. 2007년 다시 한양대학보라는 이름으로 나오다 2010년부터 한대신문이란 제호로 발간되고 있다.[134] 학기 중에는 시험기간 전후를 제외한 매주, 방학기간 중에는 2회 발행한다. 학내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학교와 관련된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한다.[135]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에 있다.
- 한양저널: 1970년 타블로이드판, The Hanyang Times영어라는 이름으로 발행을 시작했으며 1980년 現 명칭인 The Hanyang Journal영어로 개명하였다. 4X6배판으로 연간 4회 발행한다.[136]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 ERICA캠퍼스 컨퍼런스홀 M2층에 있다.
- 한대방송국/교육방송국: 한양대학교 영상/음성 방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한대방송국은 매년 한양가요제를 양성평등센터와 함께 주관한다. 1960년 HYBS(現 HUBS)라는 이름으로 개국했으며, 1981년 반월캠퍼스(現 ERICA캠퍼스)에 반월방송국(현 VOH- Voice of Hanyang영어)을 개국하였다. 이후 몇 번의 변천사를 거쳐 지금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52]. HUBS는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6층에 있으며, [https://youtube.com/@ericavoh5308?si=UF1gdLJ796Y5b8UU VOH]는 ERICA캠퍼스 언론정보관 2층에 있다.
- 교지편집위원회: 한양대학교 각 캠퍼스 내 유일한 학생 자치 언론 기구이다. 서울캠퍼스는 '한양'이라는 이름으로 발간되며, 한양대학교 학도호국단에서 발행한 『행당』이 전신이다. 교비 지원을 받지 않고 재학생들이 연 2회 납입하는 교지 구독료(학생회비에 포함)로 교지를 발간한다. 교지는 소책자 형식으로 연 4회(계간) 발행하며, 애지문과 백남학술정보관, 각 단과대 로비에 배포한다. 편집 위원회는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에 있다. ERICA캠퍼스는 1983년부터 소재지인 안산 지역의 유래에서 딴 '밀물'이라는 이름으로 교지가 발간되고 있다. 서울캠퍼스와 마찬가지로 재학생들이 납입하는 학생회비에서 교지대를 따로 책정받아 발간하며, 크기는 손에 잡힐만한 소책자 형식이다. 셔틀콕, ERICA학술정보관을 비롯해 각 단과대 1층 로비에서 배포되고 있다. 편집실은 ERICA캠퍼스 학생회관에 5층에 소재하고 있으며, 학기별로 연 2회 발행한다
- 한양공대신문: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의 유일한 자치언론기관으로, 1994년 창설되었으며, 공과대학이나 학생회등과 전혀 관계가 없는 자치언론이다. 주로 공과대학에 대한 기사를 기재하고 있으며, 신문은 컬러 타블로이드 판으로 제작되어 1,2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신소재공학관, 공업센터, IT/BT관, 정몽구 미래자동차공학관에 배포된다. 편집실은 1공학관 3층에 위치해 있다.
- Hi! HY ERICA (구, Hi! HY Ansan): ERICA캠퍼스 전문 소식지로, 잡지형식의 인쇄 매체로 제공된다.
뉴스H는 한양대학교의 인터넷 언론 기관이다. 2000년 창설 당시 부총장실 직속이었으나, 정보통신처 산하 조직으로 들어갔다가 미디어전략센터(당시 홍보팀)로 흡수되었다. 한양대학교 메인 홈페이지 및 단과대 홈페이지에 기재되는 기사를 작성하고 있으며[137] 주로 홍보성 기사를 제공한다.[138]
채널H는 한양대학교 LCD 방송 매체 담당 기관이다. 2009년 창설되었으며 교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LCD에 방송을 송출한다.[139] 원래 이름은 HYnet이었으나 2013년부터 매체 이름을 채널H로 바꾸었고, 현재는 학생 관리 매체에서 교직원 관리(정보통신처 미디어지원팀) 매체로 이양되었다가 홍보팀으로 흡수되었다. 경제금융관 5층 스튜디오H에 위치해 있다.
한양대학교 홍보대사 사랑한대는 한양대학교 입학처 직속 조직으로, 2006년 창설되었다. 2, 3학년 재학생으로 구성되며 정기 간행물 '사랑한대'[140]를 제작하는 대외협력처와는 다른 조직이다. 축제 기간에는 홍보 관련 부스를 운영하고, 입시 설명회 및 고교 방문과 여름과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Ole 캠프 등 홍보 활동을 펼친다.[141]
한양대학교 응원단 루터스는 한양대학교 대중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조직으로, 매해 응원제나 한양대학교 관련 경기 응원 등을 주도한다.[142] 노천극장에 응원단이 소재해 있다.
한양바라미 / ERICA WORLD는 포탈사이트 다음에 소재한 한양대학교 입시 관련 카페이다. 정식 조직은 아니나, 입시와 관련된 많은 안내 및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143] 공식/비공식 홍보물[144]을 제작한다.[145]
6. 1.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학생조직을 이끄는 총괄조직이다. 학생회관 5층에 사무실이 있으며, 이전까지는 철문이 있는 폐쇄형 학생회실이었으나, 2002년 '소리 없는 99%의 명예혁명'(약칭 소명) 학생회의 당선에 따라 지금의 유리문 개방형 학생회실로 탈바꿈하게 되었다.[129] 회계와 관련된 크고 작은 일들이 몇 번 있었으며[130] 학교본부 또는 외부전문 회계기관의 감사도 받았다. 2009년부터는 투명한 회계운용시스템 정착을 위해 정식 회계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131]기간 | 2001년 이전 | 2002년-2006년 | 2007년-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2016년 | 2017년 |
---|---|---|---|---|---|---|---|---|---|---|---|
조직명 | 운동권 계열 |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 | 체인지 포유 | 체인지 포유 정상화운영위원회[132] | SAY(Same As You) | 터미네이터 | 리얼플랜H | Togather | 클래스 업 | Solution | 한마디 |
6. 2. 한양대학교 동아리연합회
한양대학교 중앙동아리 관련 조직이다. 매년 새 회장을 선출하며, 중앙동아리 운영 및 승인, 사업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133]
6. 3. 한양대학교 학내 언론
한양대학교의 학생 언론은 총 9기관이 있으며, 서울캠퍼스 학생회관과 제2 공학관, ERICA캠퍼스 학생회관과 컨퍼런스홀에 있다. 이 외에도 동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양동문회보', 홍보목적의 정기간행물 '사랑한대'(구 아크로폴리스), 수험생 대상의 '쥬니어 사랑한대'등이 발간되고 있다.- 한대신문: 1959년 한양대학보라는 이름으로 창간하였으며, 1966년 한대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었다. 2007년 다시 한양대학보라는 이름으로 나오다 2010년부터 한대신문이란 제호로 발간되고 있다.[134] 학기 중에는 시험기간 전후를 제외한 매주, 방학기간 중에는 2회 발행한다. 학내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학교와 관련된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한다.[135]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에 있다.
- 한양저널: 1970년 타블로이드판, 'The Hanyang Times'라는 이름으로 발행을 시작했으며 1980년 現 명칭인 'The Hanyang Journal'로 개명하였다. 4X6배판으로 연간 4회 발행한다.[136]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 ERICA캠퍼스 컨퍼런스홀 M2층에 있다.
- 한대방송국/교육방송국: 한양대학교 영상/음성 방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한대방송국은 매년 한양가요제를 양성평등센터와 함께 주관한다. 1960년 HYBS(現 HUBS)라는 이름으로 개국했으며, 1981년 반월캠퍼스(現 ERICA캠퍼스)에 반월방송국(현 VOH- Voice of Hanyang)을 개국하였다. 이후 몇 번의 변천사를 거쳐 지금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52]. HUBS는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6층에 있으며, [https://youtube.com/@ericavoh5308?si=UF1gdLJ796Y5b8UU VOH]는 ERICA캠퍼스 언론정보관 2층에 있다.
- 교지편집위원회: 한양대학교 각 캠퍼스 내 유일한 학생 자치 언론 기구이다. 서울캠퍼스는 '한양'이라는 이름으로 발간되며, 한양대학교 학도호국단에서 발행한 『행당』이 전신이다. 교비 지원을 받지 않고 재학생들이 연 2회 납입하는 교지 구독료(학생회비에 포함)로 교지를 발간한다. 교지는 소책자 형식으로 연 4회(계간) 발행하며, 애지문과 백남학술정보관, 각 단과대 로비에 배포한다. 편집 위원회는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5층에 있다. ERICA캠퍼스는 1983년부터 소재지인 안산 지역의 유래에서 딴 '밀물'이라는 이름으로 교지가 발간되고 있다. 서울캠퍼스와 마찬가지로 재학생들이 납입하는 학생회비에서 교지대를 따로 책정받아 발간하며, 크기는 손에 잡힐만한 소책자 형식이다. 셔틀콕, ERICA학술정보관을 비롯해 각 단과대 1층 로비에서 배포되고 있다. 편집실은 ERICA캠퍼스 학생회관에 5층에 소재하고 있으며, 학기별로 연 2회 발행한다
- 한양공대신문: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의 유일한 자치언론기관으로, 1994년 창설되었으며, 공과대학이나 학생회등과 전혀 관계가 없는 자치언론이다. 주로 공과대학에 대한 기사를 기재하고 있으며, 신문은 컬러 타블로이드 판으로 제작되어 1,2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신소재공학관, 공업센터, IT/BT관, 정몽구 미래자동차공학관에 배포된다. 편집실은 1공학관 3층에 위치해 있다.
- Hi! HY ERICA (구, Hi! HY Ansan): ERICA캠퍼스 전문 소식지로, 잡지형식의 인쇄 매체로 제공된다.
6. 4. 한양대학교 홍보기관
뉴스H는 한양대학교의 인터넷 언론 기관이다. 2000년 창설 당시 부총장실 직속이었으나, 정보통신처 산하 조직으로 들어갔다가 미디어전략센터(당시 홍보팀)로 흡수되었다. 한양대학교 메인 홈페이지 및 단과대 홈페이지에 기재되는 기사를 작성하고 있으며[137] 주로 홍보성 기사를 제공한다.[138]채널H는 한양대학교 LCD 방송 매체 담당 기관이다. 2009년 창설되었으며 교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LCD에 방송을 송출한다.[139] 원래 이름은 HYnet이었으나 2013년부터 매체 이름을 채널H로 바꾸었고, 현재는 학생 관리 매체에서 교직원 관리(정보통신처 미디어지원팀) 매체로 이양되었다가 홍보팀으로 흡수되었다. 경제금융관 5층 스튜디오H에 위치해 있다.
한양대학교 홍보대사 사랑한대는 한양대학교 입학처 직속 조직으로, 2006년 창설되었다. 2, 3학년 재학생으로 구성되며 정기 간행물 '사랑한대'[140]를 제작하는 대외협력처와는 다른 조직이다. 축제 기간에는 홍보 관련 부스를 운영하고, 입시 설명회 및 고교 방문과 여름과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Ole 캠프 등 홍보 활동을 펼친다.[141]
한양대학교 응원단 루터스는 한양대학교 대중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조직으로, 매해 응원제나 한양대학교 관련 경기 응원 등을 주도한다.[142] 노천극장에 응원단이 소재해 있다.
한양바라미 / ERICA WORLD는 포탈사이트 다음에 소재한 한양대학교 입시 관련 카페이다. 정식 조직은 아니나, 입시와 관련된 많은 안내 및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143] 공식/비공식 홍보물[144]을 제작한다.[145]
7. 캠퍼스 풍경
한양대학교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서울캠퍼스와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ERICA캠퍼스가 있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경우는 고저차가 큰 지형에 자리잡고 있어 계단과 언덕 등이 있고,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에는 평평한 지형에 자리를 잡고 있어 호수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147]
== 서울캠퍼스(본교)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행당동 17번지에 있으며 약 40만8786m²의 교지가 있다.[146]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여자대학과 인접해 있으며, 주로 언덕 지형에 있어 험준하기로 유명하고[147] 가파른 언덕이나 계단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있다.[148] 가파른 지형을 이용한 인공폭포와 스포츠 클라이밍 장소도 행원파크와 인문대 부근에 있다. 언덕 지형의 특성상 1층과 현관 층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2~4층이 현관 층의 역할을[149] 한다. 중앙도서관 및 학생복지 관련 건물은 애지문 근처에 집중되어 있으나. 단과대 학습시설 및 기타 학생 복지시설은 캠퍼스에 고루 퍼져있다.
서울캠퍼스는 15개 단과대학과 60개 학과를 두고 있다.[7] 다양한 학문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연구센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캠퍼스는 한양여자대학교와 한양사이버대학교 건물을 포함하여 60개 이상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에는 한양대학교 창립 7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행정본관이 완공되었다.[8] 같은 해에 장애학생지원센터도 건립되었다.[9] 캠퍼스에는 대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제휴 관계에 있는 여러 부속 시설도 있다.[9] 150만 권의 장서, 1만 2,500종의 연속 간행물, 8만 3,000종의 전자 저널, 그리고 50개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https://lib.hanyang.ac.kr/#/ Infonopia Hanyang] (인포노피아 한양/Infonopia Hanyang영어) (백남학술정보관)이 있다.
== ERICA캠퍼스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있으며 1,312,815m² 규모이다.[146] 서울캠퍼스와는 달리 완만한 평지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학생들이 자전거를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9년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용자전거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관련 기반시설과 자전거를 기증받았다.[155][11]
2016년 기준으로 지하철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4호선 한대앞역이 있으며, 2020년 9월 수인선 3단계 구간 개통으로 수원역과 연결되었다. 2023년에는 신안산선 개통으로 캠퍼스 안에 '한양대역(경기테크노파크역)'이 신설될 예정이다.[156] 또한, 3102번 버스가 강남역에서 한양대 게스트하우스, 기숙사, 테크노마트를 경유하여 후문으로 운행된다.
ERICA 캠퍼스는 서울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10] 9개 단과대학과 42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12]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연구·산업 클러스터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으며,[13][14] 캠퍼스 내에는 기숙사 3곳,[15] 학생식당 5곳,[16] 생태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7. 1. 서울캠퍼스(본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행당동 17번지에 있으며 약 40만8786m²의 교지가 있다.[146]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여자대학과 인접해 있으며, 주로 언덕 지형에 있어 험준하기로 유명하고[147] 가파른 언덕이나 계단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있다.[148] 가파른 지형을 이용한 인공폭포와 스포츠 클라이밍 장소도 행원파크와 인문대 부근에 있다. 언덕 지형의 특성상 1층과 현관 층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2~4층이 현관 층의 역할을[149] 한다. 중앙도서관 및 학생복지 관련 건물은 애지문 근처에 집중되어 있으나. 단과대 학습시설 및 기타 학생 복지시설은 캠퍼스에 고루 퍼져있다.서울캠퍼스는 15개 단과대학과 60개 학과를 두고 있다.[7] 다양한 학문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연구센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캠퍼스는 한양여자대학교와 한양사이버대학교 건물을 포함하여 60개 이상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에는 한양대학교 창립 7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행정본관이 완공되었다.[8] 같은 해에 장애학생지원센터도 건립되었다.[9] 캠퍼스에는 대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제휴 관계에 있는 여러 부속 시설도 있다.[9] 150만 권의 장서, 1만 2,500종의 연속 간행물, 8만 3,000종의 전자 저널, 그리고 50개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https://lib.hanyang.ac.kr/#/ Infonopia Hanyang] (백남학술정보관)이 있다.
7. 2. ERICA캠퍼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있으며 1,312,815m² 규모이다.[146] 서울캠퍼스와는 달리 완만한 평지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학생들이 자전거를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9년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용자전거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관련 기반시설과 자전거를 기증받았다.[155][11]2016년 기준으로 지하철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4호선 한대앞역이 있으며, 2020년 9월 수인선 3단계 구간 개통으로 수원역과 연결되었다. 2023년에는 신안산선 개통으로 캠퍼스 안에 '한양대역(경기테크노파크역)'이 신설될 예정이다.[156] 또한, 3102번 버스가 강남역에서 한양대 게스트하우스, 기숙사, 테크노마트를 경유하여 후문으로 운행된다.
ERICA 캠퍼스는 서울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10] 9개 단과대학과 42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12]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연구·산업 클러스터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으며,[13][14] 캠퍼스 내에는 기숙사 3곳,[15] 학생식당 5곳,[16] 생태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8. 사건 사고
홍콩 시위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이어지면서, 한양대학교의 일부 학생들은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40] 2019년 11월 14일, 한양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학생들이 중국 유학생들에게 공격받고 폭행당했다는 보도가 있었다.[40] 한국 학생들이 준비했던 포스터도 파손되었다.[40] 이 분쟁은 온라인 상으로도 확산되었다.[40] 일부 한국 학생들은 중국 유학생들에게 그렇게 애국심이 강하면 중국으로 돌아가라는 요구를 하기도 했다.[40] 이는 당시 민주당계 정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반중 감정이 고조되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8. 1. 성동경찰서 난입사건 (1960년)
1960년 10월 학교 측의 가을 시설비 추가 징수 고지서 발부가 발단이 되어 대치한 사건이다. 당시 학생들은 이에 맞서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였으며, 대치하던 과정 중 경찰의 지원을 요청하였으며 이 과정 중 당시 총장이었던 김연준 총장과 이봉모 학생과장이 학생들에게 끌려갔다. 사건 진행 도중 한양대학교 노천극장에서 대치 중인 학생들이 공부에 사용되는 책상을 이용해 불을 피우던 것이 계기가 되어 해산하였고, 관련 학생들 중 일부는 징계 조치를 받았다.[157]8. 2. 이석 폭행 치사사건 (1997년)
1997년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실에서 이석씨가 사망한 사건.[158] 가해자인 한총련측은 이석씨가 경찰의 프락치라고 주장하고 있다.[159] 이에 대해 경찰 측은 이석씨가 단순 기능수리공이었으며 한총련 측에서 프락치로 오인을 해서 사망에 이르게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160]8. 3. 제36대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2008년)
2007년 비상대책위원회의 문제제기에 따라 36대 Change 4 U 총학생회가 약 1,400만원의 배임 및 횡령(Change 4 U측 자료)으로 인해 총 사퇴 한 사건. 학교당국에서는 자세한 감사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8. 4. 2019년 홍콩 시위 관련 갈등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이어진 홍콩 시위 당시, 한양대학교 일부 학생들이 홍콩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40] 2019년 11월 14일, 한양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한국 학생들이 중국 유학생들에게 공격을 받고 폭행당했다는 보도가 나왔다.[40] 한국 학생들이 준비한 포스터들도 파손되었다.[40] 이 분쟁은 인터넷으로까지 확대되었다.[40] 일부 한국 학생들은 중국 유학생들에게 애국심이 그렇게 강하다면 중국으로 돌아가라고 요구하기도 했다.[40]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y at a Glance
https://www.hanyang.[...]
Hanyang University
2023-02-28
[2]
웹사이트
Hanyang Univ, Erica Campus introduction
https://www.hanyang.[...]
2018-05-20
[3]
웹사이트
Former name of Seoul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09-06
[4]
웹사이트
Hanyang at a Glance 2018
http://book.hanyang.[...]
Hanyang University
2018-03-15
[5]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Chronology
https://web.archive.[...]
Hanyang University
2017-03-15
[6]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History
http://dis.hanyang.a[...]
Hanyang University
2017-03-15
[7]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Seoul Campus
https://web.archive.[...]
Hanyang University
2018-03-15
[8]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ganization
https://www.hanyang.[...]
Hanyang University
2021-01-24
[9]
웹사이트
Affiliated/Auxiliary Facilities
https://www.hanyang.[...]
Hanyang University
2021-01-24
[10]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https://www.hanyang.[...]
Hanyang University
2018-03-15
[11]
웹사이트
http://www.hankooki.[...]
2019-03-18
[12]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Official Brochure
http://book.hanyang.[...]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8-03-15
[13]
웹사이트
안산시, 한양대 혁신파크 착공…카카오 데이터센터 건립
https://www.edaily.c[...]
2021-03-10
[14]
웹사이트
Home – 학연산클러스터 교육
http://erica.hanyang[...]
2018-03-16
[15]
웹사이트
http://hydorm.hanyan[...]
2019-03-15
[16]
웹사이트
교직원식당 – 한양대학교
https://www.hanyang.[...]
2021-03-19
[17]
웹사이트
Hanyang Graduate Program List
http://www.grad.hany[...]
Hanyang University
2017-03-15
[18]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Seoul Campus College and Department
https://web.archive.[...]
2018-05-11
[19]
웹사이트
ERICA Campus College/Department Info
https://web.archive.[...]
Hanyang University
2018-04-12
[20]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8-05-24
[21]
웹사이트
New Hanyang 2020 Plan
http://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11-05-15
[22]
웹사이트
Hanyang Research Capabilities
http://www.hanyang.a[...]
The Korea Economic Daily
2017-03-15
[23]
웹사이트
2015 Hanyang Research Achievements
http://book.hanyang.[...]
Hanyang University
2017-03-24
[24]
웹사이트
Article – 2015 Hanyang Research Achievements
http://www.hanyang.a[...]
Hanyang University
2017-03-24
[25]
웹사이트
2012–2015 Research Achievements
http://www.hanyang.a[...]
Hanyang University
2017-03-24
[26]
뉴스
BK 21 University 2006
http://news.donga.co[...]
Donga News
2006-04-27
[27]
웹사이트
대학평가 종합 TOP 5... 연대·고대 제친 2,3위는
https://news.joins.c[...]
2017-10-23
[28]
웹사이트
JoongAng Daily University Ranking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18-10-29
[29]
웹사이트
Hanyang University Ranked First in 2016 Engineering School Assessment
http://english.hanky[...]
2016-06-08
[30]
뉴스
Reuters,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https://www.reuters.[...]
Hanyang University
2016-03-09
[31]
웹사이트
강동원, 아이큐 137...명문 사립고+한양대 출신 '엄친아'
https://www.donga.co[...]
2015-08-19
[32]
웹사이트
Ha Seok-jin from Hanyang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https://www.hancinem[...]
[33]
웹사이트
[공식입장] 정다빈 측 "한양대 연영과 수시합격"...김향기와 동기
https://entertain.na[...]
2018-11-08
[34]
웹사이트
Actors make their college decision
https://koreajoongan[...]
2018-11-08
[35]
웹사이트
[공식입장] 김소현 측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수시합격..18학번"
https://www.chosun.c[...]
2017-11-10
[36]
웹사이트
https://blog.naver.c[...]
2022-12-24
[37]
웹사이트
YESASIA: YumCha! – Lee Byung Hun – Man of the World – Feature Article – North America Site
https://www.yesasia.[...]
2022-12-24
[38]
웹사이트
https://entertain.na[...]
2022-12-24
[39]
웹사이트
https://www.newshyu.[...]
2011-11-08
[40]
웹사이트
韓國學生挺港海報遭中國留學生撕毀 雙方爆衝突打成一團 – 國際 – 自由時報電子報
https://news.ltn.com[...]
2019-11-14
[41]
뉴스인용
개교 70주년 한양대학교 '100년의 꿈' 비전 선포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09-05-07
[42]
문서
한양대학교 교육편제
[43]
문서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과
[44]
문서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45]
뉴스인용
교육과학기술부, 전국 25개 로스쿨 최종 인가 발표
http://media.daum.ne[...]
MBC
2008-08-30
[46]
뉴스인용
차세대메모리 공동연구센터 출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1-26
[46]
뉴스인용
차세대 메모리 개발 글로벌 전진기지 구축
http://www.itstv.net[...]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09-11-26
[47]
웹인용
Asian Research Network - Contact us
http://www.asianrn.o[...]
2009-12-27
[48]
뉴스인용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1-11
[49]
뉴스인용
산학연 연계 한국판 실리콘벨리 탄생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09-09-07
[50]
웹인용
한양대 신임 총장에 김우승 교수
https://www.yna.co.k[...]
2020-05-31
[51]
웹사이트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
http://archives.hany[...]
2011-11-30
[52]
웹인용
한양대학교 연혁
http://www.hanyang.a[...]
2009-09-12
[53]
문서
한양대학교 종합대학 승격 당시 단과대학
[54]
문서
한양대학교 음악과 및 영화과
[55]
웹사이트
한양대학교 자료
http://www.hanyang.a[...]
2011-11-30
[56]
문서
1960년부터 1964년까지 한양대학교 학과 및 정원 조정
[57]
문서
한양대학교 자매결연 대학 현황 (2009년 기준)
[58]
문서
한양대학교 중국 자매결연 대학 현황 (2009년 기준)
[59]
문서
한양대학교 UI 변경 (2009년 11월 2일)
[60]
문서
한양대학교 유럽 자매결연 대학 현황 (2009년 기준)
[61]
문서
한양대학교와 기아자동차 산학협동
[62]
웹사이트
한양대학교와 MIT 자매결연 및 공동개발
http://www.oranews.c[...]
[63]
뉴스인용
한양대 학생회, 회비 운용 논란에 총사퇴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3-03-08
[64]
뉴스인용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9-09-12
[65]
뉴스인용
한양공대 EXPO 2009 70주년 기념식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9-05-20
[66]
뉴스인용
한양대 '70일간 기적'에 6천211명 헌혈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5-16
[66]
뉴스인용
70일 간의 기적, 헌혈자 5831명 기록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05-31
[67]
웹인용
한양대학교 UI 소개
http://www.hanyang.a[...]
2009-11-02
[68]
뉴스인용
15개 대학 약대 신설 허가 반응… 선정대학 “인원 적다”-탈락대학 “공정성 의문”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0-03-03
[69]
웹인용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 소장자료 공정이용에 관한 안내
http://www.hanyang.a[...]
2009-09-14
[70]
웹사이트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 소장자료의 공정이용 안내
http://www.hanyang.a[...]
2015-09-24
[71]
뉴스
법조인 1000명 배출 기념 한양법조동문회 송년회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8-12-08
[72]
저널
사회진출도
null
[73]
뉴스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1-11
[74]
뉴스
코스닥 CEO 평균은 서울대 출신 52세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9-28
[75]
뉴스
司試 2차 합격자 1009명 발표
http://news.nate.com[...]
연합뉴스
2009-10-20
[76]
뉴스
제51회 사법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11-24
[76]
뉴스
제51회 사법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
http://www.moj.go.kr[...]
법무부 법무뉴스
2009-11-26
[77]
웹사이트
2009 동아 국악 콩쿠르 수상자 명단
http://www.donga.com[...]
2011-08-06
[77]
뉴스
한양의 소리가 국악계를 놀라게 하다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10-02
[78]
뉴스
네이버 평균 연봉 6,450만원…수퍼벤처 기업중 1위
http://www.bloter.ne[...]
블로터닷넷
2010-08-04
[79]
뉴스
검찰 엘리트 146명 ‘출신’ 분석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0-09-08
[80]
뉴스
대한민국 대기업 임원 그들은 누구인가
http://media.daum.ne[...]
시사저널
2011-05-01
[81]
뉴스
'코스닥 CEO 출신大' 서울·연세·한양대 순… 지방대 1위 영남대
https://news.naver.c[...]
한국경제신문
2014-05-13
[82]
뉴스
500대 기업 CEO, 대학별로 봤더니…서울 연대 고대 한양 성대 순
https://news.naver.c[...]
한국경제신문
2014-05-28
[83]
뉴스
[표]현직검사 출신대학 상위 20위 현황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4-08-06
[84]
뉴스
사법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女風' 주춤(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11-13
[85]
뉴스
내년 10월 노벨상 수상자 3명 한양에 온다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null
[85]
뉴스
테크노 특강, 노벨물리학상의 러플린 총장 초빙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null
[86]
뉴스
한양이 키우는 세계의 과학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null
[87]
뉴스
오늘의 일정(8월8일.목요일)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2-08-08
[88]
뉴스
김종경 한양대 교수, 국제방사선방호협회 집행위원 선임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08-11-12
[89]
뉴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박재근 한양대 교수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05-11-02
[90]
뉴스
[우리는 WCU로 간다]<4>한양대
http://news.dongasci[...]
동아 사이언스
2009-05-06
[91]
웹인용
BK21 참여사업단 소개
http://bnc.krf.or.kr[...]
2009-10-01
[92]
뉴스
스텔스기술 특화연구센터 개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9-23
[93]
뉴스
한양대, 아시아 연구 거점 '퓨전테크놀로지센터' 개관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06-30
[94]
문서
아시아연구네트워크
[95]
뉴스
한양공대 학술지 SCI에 등재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3-28
[96]
컨퍼런스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 Infrastructure and Digital Content
[97]
웹사이트
IEEE IC-NIDC Official Homepage
http://conference.bu[...]
2009-09-19
[98]
뉴스
입시 수입보다 적은 기술이전 수입
http://unn.campuslif[...]
한국대학신문
2009-10-19
[99]
뉴스
대학기술 사업화의 모범 "한양"
http://www.hanyang.a[...]
위클리 한양
null
[100]
뉴스
2010 대학평가 -계열별 평가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0-09-27
[101]
뉴스
대학들 아끼던‘장롱 특허’구조조정 왜?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0-10-18
[102]
문서
HIT에 위치
[103]
뉴스
교수=CTO, 학생=산업전사 ‘한국형 실리콘벨리’ 영근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9-12-03
[104]
문서
퓨전테크놀로지센터에 위치
[105]
뉴스
산학연 연계 한국판 실리콘벨리 탄생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09-09-07
[106]
뉴스
LG이노텍, 한양대와 'R&D 마케팅' 과정 운영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09-11
[107]
뉴스
뿔난 안산시, 로봇진흥원유치 강력 주장
http://asiailbo.com/[...]
아시아일보
2010-01-10
[108]
뉴스
경기도 안산시, 로봇산업진흥원 유치 '총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10
[109]
뉴스
한양대 ERICA캠퍼스 2010학년도 정시모집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09-12-15
[110]
뉴스
《이공계 살리기, 대학이 나선다》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
http://media.daum.ne[...]
전자신문
2009-03-12
[111]
뉴스
캠퍼스, 이렇게 달라진다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6-02-15 #추정 날짜
[112]
뉴스
2단계 산학협력 중심대학 선정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06-25 #추정 날짜
[113]
뉴스
한양대 안산 중企산학협력센터 : 국내 최고 산학연 클러스터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3-30
[113]
뉴스
중소기업 기술혁신 선도
http://www.hanyang.a[...]
위클리 한양
2010-09-15 #추정 날짜
[114]
뉴스
아프리카에 핀 사랑의 실천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11-15 #추정 날짜
[115]
뉴스
“다문화 가정과 희망을 나눠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9-11-07
[115]
뉴스
인터뷰 / 한양·안산 다문화축제 성공 개최 김종량 한양대총장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09-11-03
[116]
뉴스
이영애, 한양대 자선 모금 행사 참석 '눈길'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9-11-14
[116]
뉴스
“나눔, 생명을 낳다” - 생명 살리기 프로젝트 진행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11-22
[117]
뉴스
《테마기획》"어린 생명 살리려고"…국경 넘은 사랑
http://news.sbs.co.k[...]
SBS
2009-11-26
[118]
뉴스
한양대 교수들 '지식 나눔' 나선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1-14
[119]
뉴스
뉴 한양 2020 결과 보고회 열려
http://www.hanyang.a[...]
위클리 한양
2009-07-15 #추정 날짜
[120]
웹인용
한양대학교 해외 자매 결연 대학 소개
http://www.hanyang.a[...]
2009-09-11
[121]
웹사이트
일리노이 공과대학 복수학위 안내문
http://www.hanyang.a[...]
[122]
뉴스
'한양의 새로운 동반자 MIT' 학술교류협정 체결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4-03-15 #추정 날짜
[122]
뉴스
한양대, MIT와 학술교류 협정 체결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04-03-23
[123]
웹인용
조선일보 12월 9일자 A13면 한양대학교 광고
http://srchdb1.chosu[...]
2009-12-09
[124]
저널
주요지표 그래프
2009-01-01 #추정 날짜
[125]
저널
주요지표 그래프
2009-01-01 #추정 날짜
[126]
문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문서 참조
[127]
문서
한양대학교 전략학과 관련 정책
[128]
뉴스
교수직 보장 등 파격조건 한양대, 인재잡기 나섰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08-08-11
[128]
웹사이트
한양대학교 정책과학대학 홈페이지 - 학과소개
http://policy.hanyan[...]
[129]
이미지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실
파일:GSA Hanyang Unive[...]
[130]
문서
한양대학교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참조
[131]
뉴스
총학 회계 또 다시 논란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12-30
[132]
문서
한양대학교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참조
[133]
웹인용
한양대학교 동아리연합회 사무실 소개
http://town.cyworld.[...]
2009-12-31
[134]
웹사이트
http://www.hynews.ac[...]
[135]
뉴스
대입전형료 회계 처리 불투명
http://www.hynews.ac[...]
한양대학보
2009-12-05
[136]
웹사이트
History - Hanyangian.com
http://www.hanyangia[...]
[137]
웹인용
위클리한양 홈페이지
http://www.hanyang.a[...]
2009-06-12
[138]
뉴스
세계로 도약하기위한 변화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12-28 #추정 날짜
[139]
웹사이트
채널H 홈페이지
http://iic.hanyang.a[...]
[140]
간행물
사랑한대
http://www.ok.hanyan[...]
[141]
웹사이트
사랑한대 사이월드 클럽
http://club.cyworld.[...]
2016-06-12
[142]
웹인용
PRIDE OF HANYANG 한양대학교 응원단, 루터스
http://www.newshyu.c[...]
2021-04-11
[143]
뉴스
인터넷 ‘점수공개 카페’ 떴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6-02-12
[144]
웹사이트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홍보물
http://cns.hanyang.a[...]
2011-11-30
[145]
웹사이트
ERICA WORLD 카페
http://cafe.daum.net[...]
[146]
저널
시설·설비 / 교지 및 교사
2010-11-23
[147]
뉴스
한양의 캠퍼스를 거닐다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06-12
[148]
뉴스
지금 만나러 갑니다
http://www.hanyang.a[...]
위클리한양
2009-10-18
[149]
문서
IT/BT관, 제3법학관, 산학기술관, 제2공학관등이 이에 속한다.
[150]
웹인용
한양대학교 학생 식당 메뉴
http://student.hanya[...]
2009-10-21
[151]
문서
정확히 말하면 한양대학교 관할내의 신한은행 지점은 동문회관점이며, 한양여대 행원스퀘어에 한양여대점이 있다.
[152]
문서
한양사이버대학교나 한양여자대학교 관할의 시설도 본문에 포함되어있으나, 동일 생활권내에 있으므로 같이 서술하였다.
[153]
문서
영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요새이름
[154]
웹인용
서울캠퍼스 VR투어
http://www.hanyang.a[...]
2010-08-07
[155]
뉴스
'공용자전거 운영' 시범대학 지정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09-12-26
[156]
뉴스
경기도 철도시대를 여는 신안산선
http://www.kyeongin.[...]
2015-08-18
[157]
뉴스
한양대생 경찰과 충돌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0-10-08
[158]
뉴스
한총련, 선반기능공을 경찰 프락치로 오인해 폭행 치사
http://imnews.imbc.c[...]
MBC
1997-06-04
[159]
뉴스
이적규정 철회, 내가 지고 가야할 짊…옥중에서부터 결심했다
http://media.daum.ne[...]
오마이뉴스
2003-01-17
[160]
뉴스
한총련 어떤 단체인가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3-03-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9월6일 궂긴 소식
한양대 하성규 교수 창업기업 ‘쓰리피닷컴’, 세계 최초 재활용 고압 수소탱크 상용화
한양대, 교육부 주관‘AI 첨단산업 인재 양성 부트캠프’운영 대학 선정
한양대 이동윤 교수팀, 염증성 장질환 치료 위한 경구용 나노의약 플랫폼 개발
한양대, 일반대학원 우주공학과 개설 기념 심포지엄 개최
한양대, 故 신현부 (주)하나텍스 회장 발전기금 전달식 및 명예의 전당 헌액식 개최
한양대 노태우 교수, Emerald Author Focus Group 개최
한양대, 아시아 최대 국제 디자인 교육 워크숍 ‘ISDW 2025’ 개최
한양대, 2026년 서울캠퍼스타운 사업 선정... 성동구와 RISE 연계 ‘넥스트 유니콘 캠퍼스’조성
공대 10개 모집단위·한양인터칼리지학부 제시문 면접 도입
한양대-한국에자이, ‘치매 카페 D-Cafe’ 정책화 리빙랩 워크숍 개최
U-21 남자배구, 세계선수권서 푸에르토리코 제압…16강행 청신호
세계최고 권위 ‘기후변화 보고서’ 저자로 한국 전문가 11명 선정
한양대·KAIST 공동연구팀, 수중 장기 안정성 확보한 ‘페로브스카이트 색변환층 패턴’ 개발
한양대·KIST 공동연구팀, 저가 재료 ‘특수 코팅’으로 세계적 수준 양자점 기술 구현
SK하이닉스에 ‘AI 홍반장’ 떴다…반도체 제조·개발현장에 ‘AI 가이아’ 투입
한양대 배구부, 2025 현대캐피탈 전국대학배구 단양대회 우승
한양대 유호천 교수,‘유기 나노와이어 기반 광 시냅스 반도체 소자’개발... 뉴로모픽 바이오센서·헬스케어 모니터링 응용 기대
한양대 사회봉사단, 서울시 자원봉사센터와 대학 내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