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2002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김동성이, 여자부에서는 양양(A)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남자부는 김동성이 500m, 1000m, 1500m, 3000m 슈퍼파이널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여자부에서는 양양(A)이 500m, 1000m,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7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쇼트트랙 - 2002년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는 쇼트트랙 강국들이 참가하여 남자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위,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각 팀은 개인 종목과 계주에 참가하여 경쟁했다. - 2002년 쇼트트랙 -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연맹 주관 쇼트트랙 대회로, 대한민국이 종합 우승,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김민지가 개인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500m, 1000m, 1500m, 2000m 계주 메달 합산으로 국가별 순위를 결정한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쇼트트랙 대회 -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린 국제 쇼트트랙 대회로,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심석희가 종합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이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쇼트트랙 강국의 면모를 보였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쇼트트랙 대회 - 2018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8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국제 쇼트트랙 대회로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캐나다와 중화인민공화국이 그 뒤를 이었다. -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는 쇼트트랙 강국들이 참가하여 남자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위,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각 팀은 개인 종목과 계주에 참가하여 경쟁했다. -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연맹 주관 쇼트트랙 대회로, 대한민국이 종합 우승,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김민지가 개인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500m, 1000m, 1500m, 2000m 계주 메달 합산으로 국가별 순위를 결정한다.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명칭 |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영어 명칭 | 2002 World Short Track Speed Skating Championships |
개최 도시 | 몬트리올 |
개막일 | 2002년 4월 5일 |
폐막일 | 2002년 4월 7일 |
이전 대회 | 2001 전주 |
다음 대회 | 2003 바르샤바 |
2. 대회 결과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부문별 개인 종합 우승은 500m, 1000m, 1500m 개인 종목과 3000m 슈퍼파이널 성적을 합산하여 결정되었다.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개인 종합 | 김동성 (136점) | 안현수 (42점) | 파비오 카르타 (34점) |
여자 개인 종합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105점) | 고기현 (대한민국) (63점)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55점) |
500m | 김동성 (41.930) | 파비오 카르타 (42.044) | 론 비온도 (42.195) |
1000m | 김동성 (1:31.361) | 안현수 (1:31.435) | 에리크 베다르 (1:31.632) |
1500m | 김동성 (2:21.736) | 조나탕 길메트 (2:31.595) | 러스티 스미스 (2:31.706) |
3000m 슈퍼파이널 | 김동성 (5:19.041) | 안현수 (5:19.170) | 파비오 카르타 (5:20.145) |
5000m 계주 | 대한민국 (안현수, 김동성, 이승재, 안중현, 오세종) (7:10.751) | 캐나다 (에리크 베다르, 조나탕 길메트, 마티외 튀르코트,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장 프랑수아 모네트) (7:10.756) | 중화인민공화국 (궈웨이, 리예, 리하오난, 리자쥔, 리우잉바오) (7:11.330) |
5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푸텐위 (중화인민공화국) |
10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고기현 (대한민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15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고기현 (대한민국) | 아밀레 굴렛 나든 (캐나다) |
3000m 슈퍼파이널 | 최은경 (대한민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고기현 (대한민국) |
3000m 계주 | 대한민국 (최은경, 박혜원, 주민진, 최민경, 고기현) | 중화인민공화국 (류샤오잉, 왕춘루, 양양 (A), 푸텐위, 왕웨이) | 캐나다 (마리 이브 드롤렛, 아밀레 굴렛 나든, 타니아 뱅상, 아니 페로, 이자벨 샤레) |
2. 1. 남자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남자부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의 김동성이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김동성은 500m, 1000m, 1500m, 3000m 슈퍼파이널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대한민국의 안현수는 1000m와 3000m 슈퍼파이널에서 2위를 차지하며 종합 2위에 올랐다. 이탈리아의 파비오 카르타는 500m 2위, 3000m 슈퍼파이널 3위를 기록하며 종합 3위에 올랐다.개인 종합 우승은 각 개인 종목(500m, 1000m, 1500m) 결승에서 1위 34점, 2위 21점, 3위 13점, 4위 8점, 5위 5점, 6위 3점, 7위 2점, 8위 1점을 부여하고, 3000m 슈퍼파이널은 중간 레이스 포인트(1000m, 2000m 지점 통과 1위에게 5점 부여)와 결승선 통과 순서대로 점수를 부여하여 합산, 최고 득점자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5000m 계주에서는 안현수, 김동성, 이승재, 안중현, 오세종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캐나다 대표팀이 은메달, 중화인민공화국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개인 종합 | 김동성 (136점) | 안현수 (42점) | 파비오 카르타 (34점) |
500m | 김동성 (41.930) | 파비오 카르타 (42.044) | 론 비온도 (42.195) |
1000m | 김동성 (1:31.361) | 안현수 (1:31.435) | 에리크 베다르 (1:31.632) |
1500m | 김동성 (2:21.736) | 조나탕 길메트 (2:31.595) | 러스티 스미스 (2:31.706) |
3000m 슈퍼파이널 | 김동성 (5:19.041) | 안현수 (5:19.170) | 파비오 카르타 (5:20.145) |
5000m 계주 | 대한민국 (안현수, 김동성, 이승재, 안중현, 오세종) (7:10.751) | 캐나다 (에리크 베다르, 조나탕 길메트, 마티외 튀르코트,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장 프랑수아 모네트) (7:10.756) | 중화인민공화국 (궈웨이, 리예, 리하오난, 리자쥔, 리우잉바오) (7:11.330) |
2. 2. 여자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여자부 경기는 각 개인 종목(500m, 1000m, 1500m) 결승에서 1위 34점, 2위 21점, 3위 13점, 4위 8점, 5위 5점, 6위 3점, 7위 2점, 8위 1점을 부여하고, 3000m 슈퍼파이널은 중간 레이스 포인트(1000m, 2000m 지점 통과 1위에게 5점 부여)와 결승선 통과 순서대로 점수를 부여하여 합산, 최고 득점자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종목 | 1위 | 2위 | 3위 |
---|---|---|---|
개인종합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고기현 (대한민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5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푸텐위 (중화인민공화국) |
10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고기현 (대한민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1500m | 양양 (A) (중화인민공화국) | 고기현 (대한민국) | 아밀레 굴렛 나든 (캐나다) |
3000m 슈퍼파이널 | 최은경 (대한민국) | 에브게니야 라다노바 (불가리아) | 고기현 (대한민국) |
3000m 계주 | 대한민국 (최은경, 박혜원, 주민진, 최민경, 고기현) | 중화인민공화국 (류샤오잉, 왕춘루, 양양 (A), 푸텐위, 왕웨이) | 캐나다 (마리 이브 드롤렛, 아밀레 굴렛 나든, 타니아 뱅상, 아니 페로, 이자벨 샤레) |
3000m 슈퍼파이널은 메달이 수여되지 않는다. 남녀 500m, 1000m, 1500m, 계주, 종합 메달을 합산하여 집계한다.
개인 종목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매겨 종합 랭킹을 산출한다. 각 종목 1위부터 8위까지는 각각 34, 21, 13, 8, 5, 3, 2, 1점이 부여된다. 500m, 1000m, 1500m 세 종목의 포인트 합산 상위 8명이 3000m 슈퍼파이널에 진출한다. 3000m 슈퍼파이널에는 중간 레이스 포인트가 존재하는데, 1000m 지점과 2000m 지점을 가장 먼저 통과한 선수에게는 레이스 포인트 5점이 부여된다. 이후 결승선에 들어온 순서대로 1위부터 8위까지 포인트를 지급하고, 중간 레이스 포인트를 더해서 슈퍼파이널 최종 순위를 매긴다. 모든 종목이 끝나면 네 종목의 포인트를 합산하여 종합 순위를 가리며, 종합 랭킹 1위가 종합 우승을 차지한다. 동점자가 있다면 슈퍼파이널 순위가 높은 선수가 우선시된다.
3. 메달 집계
4. 종합 랭킹
4. 1. 남자 종합 랭킹
순위 | 선수 | 국가 | 총점 |
---|---|---|---|
1 | 김동성 | 136 | |
2 | 안현수 | 42 | |
3 | 파비오 카르타 | 34 | |
4 | 조나탕 길메트 | 26 | |
5 | 러스티 스미스 | 24 | |
6 | 에리크 베다르 | 22 | |
7 | 마티외 튀르코트 | 16 | |
8 | 론 비온도 | 15 | |
9 | 이승재 | 5 | |
10 | 브뤼노 로스코 | 3 | |
11 | 리우 잉바오 | ||
12 | 리예 |
종합 우승은 각 개인 경기 결승에서 1위 34점, 2위 21점, 3위 13점, 4위 8점, 5위 5점, 6위 3점, 7위 2점, 8위 1점을 부여하여 결정한다. 계주는 종합 순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4. 2. 여자 종합 랭킹
순위 | 선수 | 국가 | 총점 |
---|---|---|---|
1 | 양양 (A) | 105 | |
2 | 고기현 | 63 | |
3 | 에브게니아 라다노바 | 55 | |
4 | 최은경 | 47 | |
5 | 아밀레 굴렛 나든 | 21 | |
6 | 왕춘루 | 15 | |
7 | 마리 이브 드롤렛 | 13 | |
8 | 류샤오잉 | ||
9 | 알라나 크라우스 | ||
10 | 스테파니 부비에 | ||
11 | 니나 옙테예바 | ||
12 | 에이미 피터슨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