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경기는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이번 대회가 25번째였다. 저스틴 게이틀린(미국)이 9.85초로 금메달, 프란시스 오비크웰루(포르투갈)가 9.86초로 은메달, 모리스 그린(미국)이 9.87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예선, 8강, 준결승, 결승의 4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 킴 콜린스(세인트키츠 네비스) 등 총 6명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육상 100m - 2008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육상 남자 100m는 4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우사인 볼트가 9.69초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을 경신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 올림픽 육상 100m - 18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1896년 아테네 올림픽 육상 남자 100m는 토머스 버크가 금메달, 프리츠 호프만이 은메달, 프랜시스 레인과 얼로이시 서컬리가 공동 동메달을 획득한 종목이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10m 허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육상 남자 110m 허들에서 류샹이 12.91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 세계 기록 동률, 올림픽 기록 및 아시아 기록을 경신하며 아시아 선수도 단거리 육상에서 경쟁력이 있음을 입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20km 경보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육상 남자 20km 경보에서는 이탈리아의 이바노 브루네티가 금메달, 파킬로 페르난데스가 은메달, 네이선 디크스가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기록 갱신은 없었고 실격 판정 논란이 있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그리스 6개 도시에서 23세 이하 선수들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메달 경쟁을 벌인 결과, 아르헨티나가 금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카를로스 테베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남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핸드볼은 12개국이 참가하여 크로아티아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 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으며 윤경신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육상 남자 100m |
대회 연도 | 2004년 하계 |
개최 기간 | 2004년 8월 21일 ~ 22일 |
개최국 | 그리스 |
개최지 | 아테네 |
경기장 |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
참가국 | 62개국 |
참가 선수 | 82명 |
메달 정보 | |
금메달 | 저스틴 게이틀린 |
금메달 국가 | 미국 |
은메달 | 프란시스 오비퀠루 |
은메달 국가 | 포르투갈 |
동메달 | 모리스 그린 |
동메달 국가 | 미국 |
우승 기록 | 9.85초 |
올림픽 기록 | |
이전 대회 | 2000년 |
다음 대회 | 2008년 |
관련 이미지 | |
![]() |
2. 역사적 배경
1896년 첫 올림픽 이후 남자 100m 달리기는 매번 정식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이번이 25번째였다. 2000년 하계 올림픽 결승 진출자였던 모리스 그린(미국, 금메달), 아토 볼든(트리니다드 토바고, 은메달), 오바델레 톰슨(바베이도스, 동메달)을 비롯해 대런 캠벨(영국), 킴 콜린스(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지즈 자카리(가나) 등 3명의 다른 결승 진출자도 다시 출전했다. 프랭키 프레데릭스(나미비아, 1992년·1996년 은메달)는 부상으로 시드니 올림픽에 불참했다가 다시 출전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100m 달리기는 예선, 8강, 준결승, 결승의 4라운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1] 각 라운드에서 상위 선수들과 기록이 좋은 선수들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킴 콜린스는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이자 코먼웰스 게임 챔피언이었다. 프란시스 오비크웰루(포르투갈)는 2002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자였다. 미국 팀에는 노련한 그린(2000년만큼 압도적이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메달 경쟁자였다)과 젊은 저스틴 게이틀린이 함께 있었다.
아루바, 요르단, 키리바시, 미크로네시아 연방, 슬로베니아는 이 경기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미국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제외하고 24번 출전하여 가장 많은 출전 횟수를 기록했다.
3. 경기 방식
1라운드는 8명 또는 9명의 선수로 구성된 10개의 조로 구성되었다. 각 조에서 상위 3명의 선수가 진출했고, 전체에서 다음으로 빠른 10명의 선수가 추가로 진출해 8강 진출자 40명이 결정되었다. 8강에서는 8명씩 5개 조로 나뉘어 각 조 상위 3명과 기록이 가장 좋은 선수 1명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은 8명씩 2개 조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4명이 결승에 진출했다.
3. 1. 예선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이 승인한 대회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8월 9일까지 예선 기간 동안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10.21초 이내로 달린 선수를 최대 3명까지 출전시킬 수 있었다. 이 기준을 충족하는 선수가 없는 NOC는 10.28초 이내로 달린 선수 1명을 출전시킬 수 있었다.[1]
3. 2. 8강
8강은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을 5개 조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3명과 기록이 좋은 선수 1명이 준결승에 진출했다.[1] 총 40명의 선수가 8명의 선수로 구성된 5개의 조에서 8강 경기를 치렀다.[1]
3. 3. 준결승
8강을 통과한 16명의 선수들은 2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했으며, 각 조 상위 4명이 결승에 진출했다.[1]
3. 4. 결승
The men's 100 metres영어 결승에는 준결승을 통과한 8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4. 경기 기록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전, 세계 기록은 팀 몽고메리(미국)가 파리에서 2002년 9월 14일에 세운 9.78초였다. 올림픽 기록은 도너번 베일리(캐나다)가 애틀랜타에서 1996년 7월 27일에 세운 9.84초였다.[1] 대회 기간 동안 새로운 기록은 수립되지 않았다.[2]
5. 경기 일정
모든 경기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3)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라운드 |
---|---|---|
2004년 8월 21일 토요일 | 10:35 19:40 | 1라운드 2라운드 |
2004년 8월 22일 일요일 | 20:55 23:10 | 준결승 결승 |
6. 경기 결과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경기는 1라운드부터 결승까지 여러 라운드를 거쳐 진행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각 조 상위 3명과 이들을 제외한 선수 중 기록이 좋은 10명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8강)에서는 각 조 상위 3명과 이들을 제외한 선수 중 가장 빠른 기록을 가진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두 조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3명과 기록 상위 2명이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저스틴 게이틀린 (미국)이 9.85초로 금메달, 프란시스 오비퀠루 (포르투갈)가 9.86초로 은메달, 모리스 그린 (미국)이 9.87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라운드 5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2 | 프란시스 오비퀠루 | 0.165 | 10.09 | Q | |
2 | 5 | 로날드 포뇽 | 0.150 | 10.18 | Q | |
3 | 3 | 자이수마 사이디 은두레 | 0.157 | 10.26 | Q, NR | |
4 | 8 | 자르바스 마스카레나스 | 0.147 | 10.34 | q | |
5 | 7 | 츠치에 히로야스 | 0.182 | 10.37 | ||
6 | 9 | 아드리안 두란트 | 0.223 | 10.52 | ||
7 | 6 | 나비에 포파나 | 0.158 | 10.62 | ||
8 | 4 | 하르몬 하르몬 | 0.173 | 11.22 | PB |
6. 1. 1라운드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1라운드 경기는 10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3명과 이들을 제외한 선수 중 기록이 좋은 10명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3](1조, 2조, 10조는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외한다.)
3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8 | 저스틴 개틀린 | 0.204 | 10.07 | Q | |
2 | 6 | 카렘 스트레테 | 0.156 | 10.15 | Q, SB | |
3 | 9 | 레오나르드 밀레스 | 0.133 | 10.21 | Q, SB | |
4 | 4 | 비센테 데 리마 | 0.169 | 10.23 | q | |
5 | 1 | 안드레이 예피신 | 0.146 | 10.29 | q | |
6 | 2 | 게오르기오스 테오도리디스 | 0.141 | 10.32 | q | |
7 | 5 | 하드하리 드자파르 | 0.163 | 10.62 | ||
8 | 7 | 술탄 사에드 | 0.239 | 11.72 | ||
3 | 후안 사인플레우르 | 0.164 |
4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6 | 숀 크라우포드 | 0.184 | 10.02 | Q | |
2 | 1 | 오바델레 톰슨 | 0.141 | 10.08 | Q, SB | |
3 | 4 | 마티츠 오소브니카르 | 0.112 | 10.15 | Q, NR | |
4 | 5 | 이드리사 사노우 | 0.175 | 10.33 | q | |
5 | 3 | 디에고 페레이라 | 0.141 | 10.50 | NR | |
6 | 9 | 피에레 윈트 | 0.234 | 11.02 | ||
7 | 7 | 차믈레우네소우크 오우돔폰 | 0.202 | 11.30 | ||
8 | 8 | 마소우드 아지지 | 0.217 | 11.66 | ||
2 | 흐리스토포로스 호이디스 | | |
5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2 | 프란시스 오비퀠루 | 0.165 | 10.09 | Q | |
2 | 5 | 로날드 포뇽 | 0.150 | 10.18 | Q | |
3 | 3 | 자이수마 사이디 은두레 | 0.157 | 10.26 | Q, NR | |
4 | 8 | 자르바스 마스카레나스 | 0.147 | 10.34 | q | |
5 | 7 | 츠치에 히로야스 | 0.182 | 10.37 | ||
6 | 9 | 아드리안 두란트 | 0.223 | 10.52 | ||
7 | 6 | 나비에 포파나 | 0.158 | 10.62 | ||
8 | 4 | 하르몬 하르몬 | 0.173 | 11.22 | PB |
6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7 | 아사하라 노부하루 | 0.162 | 10.33 | Q | |
2 | 3 | 루카슈 히와 | 0.167 | 10.35 | Q | |
3 | 4 | 에리크 은드리 | 0.147 | 10.39 | Q | |
4 | 9 | 아토 볼돈 | 0.155 | 10.41 | ||
5 | 6 | 아이므 은테프 | 0.159 | 10.67 | ||
6 | 2 | 도보슈 가보르 | 0.131 | 10.68 | ||
7 | 8 | 존 호와르드 | 0.195 | 10.85 | NR | |
8 | 5 | 모함마드 샴수딘 | 0.173 | 11.13 |
7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5 | 마크 레위스 | 0.149 | 10.13 | Q, SB | |
2 | 7 | 아지즈 자카리 | 0.188 | 10.19 | Q | |
3 | 6 | 네메트 롤런드 | 0.137 | 10.28 | Q | |
4 | 3 | 살렘 알야미 | 0.143 | 10.36 | ||
5 | 4 | 다렌 길포르드 | 0.177 | 10.67 | ||
6 | 8 | 할릴 알하나흐네 | 0.172 | 10.76 | ||
7 | 2 | 카키아나코 나리키 | 0.183 | 11.62 | ||
9 | 마르크 부른스 | | | 실격 |
8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5 | 프란키에 프레데리크스 | 0.152 | 10.12 | Q, SB | |
2 | 3 | 우첸나 에메돌루 | 0.222 | 10.22 | Q | |
3 | 4 | 스에츠구 신고 | 0.174 | 10.27 | Q | |
4 | 7 | 대런 캠벨 | 0.159 | 10.35 | ||
5 | 9 | 천하이지안 | 0.181 | 10.45 | ||
6 | 2 | 에리크 은칸사 | 0.160 | 10.54 | ||
7 | 6 | 포셍송 | 0.160 | 10.75 | ||
8 | 8 | 야잘데스 나스키멘토 | 0.185 | 11.00 |
9조
6. 1. 1. 1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9 | 아사파 포웰 | 0.146 | 10.06 | Q | |
2 | 5 | 제이슨 가드너 | 0.155 | 10.15 | Q, SB | |
3 | 4 | 조수아 로스 | 0.153 | 10.24 | Q, =PB | |
4 | 1 | 안드레 다 실바 | 0.145 | 10.28 | q | |
5 | 8 | 피에르 브라운 | 0.169 | 10.32 | q | |
6 | 7 | 라민 투케르 | 0.137 | 10.72 | ||
7 | 6 | 켈세이 나카넬루아 | 0.160 | 11.25 | ||
8 | 2 | 소페아크 포우크 | 0.225 | 11.56 | PB | |
3 | 지콜로움 모벨레 | DNS영어 |
6. 1. 2. 2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5 | 프란키에 프레데리크스 | align="left"| | 0.152 | 10.12 | Q, SB |
2 | 3 | 우첸나 에메돌루 | align="left"| | 0.222 | 10.22 | Q |
3 | 4 | 스에츠구 신고 | align="left"| | 0.174 | 10.27 | Q |
4 | 7 | 대런 캠벨 | align="left"| | 0.159 | 10.35 | |
5 | 9 | 천하이지안 | align="left"| | 0.181 | 10.45 | |
6 | 2 | 에리크 은칸사 | align="left"| | 0.160 | 10.54 | |
7 | 6 | 포셍송 | align="left"| | 0.160 | 10.75 | |
8 | 8 | 야잘데스 나스키멘토 | align="left"| | 0.185 | 11.00 |
6. 1. 3. 10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6 | 숀 크라우포드 | align="left"| | 0.184 | 10.02 | Q |
2 | 1 | 오바델레 톰슨 | align="left"| | 0.141 | 10.08 | Q, SB |
3 | 4 | 마티츠 오소브니카르 | align="left"| | 0.112 | 10.15 | Q, NR |
4 | 5 | 이드리사 사노우 | align="left"| | 0.175 | 10.33 | q |
5 | 3 | 디에고 페레이라 | align="left"| | 0.141 | 10.50 | NR |
6 | 9 | 피에레 윈트 | align="left"| | 0.234 | 11.02 | |
7 | 7 | 차믈레우네소우크 오우돔폰 | align="left"| | 0.202 | 11.30 | |
8 | 8 | 마소우드 아지지 | align="left"| | 0.217 | 11.66 | |
2 | 흐리스토포로스 호이디스 | align="left"| | align="center"| |
6. 2. 2라운드(8강)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2라운드에서는 각 조 상위 3명의 선수와 이들을 제외한 선수 중 가장 빠른 기록을 가진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4]3조에서는 숀 크로포드가 10.02초로 1위를 차지했고, 오바델레 톰슨이 10.08초로 2위, 마틱 오소브니카르가 10.15초로 3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마틱 오소브니카르의 기록은 슬로베니아 신기록이었다. 4위는 이드리사 사누가 10.33초로 통과했다.
4조에서는 킴 콜린스가 10.11초로 1위, 마이클 프라터가 10.20초로 2위, 니콘노르 알렉산데르가 10.22초로 3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4위는 시모네 콜리오와 에디 르핀이 10.27초로 통과했다.
다음은 2라운드 3조와 4조의 경기 결과이다.
조 | 순위 | 레인 | 선수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3 | 1 | 6 | 숀 크로포드 | 0.184 | 10.02 | Q | |
3 | 2 | 1 | 오바델레 톰슨 | 0.141 | 10.08 | Q, SB | |
3 | 3 | 4 | 마틱 오소브니카르 | 0.112 | 10.15 | Q, 슬로베니아 기록 | |
3 | 4 | 5 | 이드리사 사누 | 0.175 | 10.33 | q | |
3 | 5 | 3 | 디에고 페레이라 | 0.141 | 10.50 | 파라과이 기록 | |
3 | 6 | 9 | 피에르 드 빈트 | 0.234 | 11.02 | ||
3 | 7 | 7 | 참레우네소욱 아오 우돔폰 | 0.202 | 11.30 | ||
3 | 8 | 8 | 마수드 아지지 | 0.217 | 11.66 | ||
4 | 1 | 6 | 킴 콜린스 | 0.154 | 10.11 | Q | |
4 | 2 | 3 | 마이클 프라터 | 0.161 | 10.20 | Q | |
4 | 3 | 4 | 니콘노르 알렉산데르 | 0.139 | 10.22 | Q | |
4 | 4 | 7 | 시모네 콜리오 | 0.151 | 10.27 | q | |
4 | 5 | 2 | 에디 르핀 | 0.192 | 10.27 | q | |
4 | 6 | 8 | 하비에르 야메스 | 0.147 | 10.40 | SB | |
4 | 7 | 9 | 세바스티엔 가투소 | 0.152 | 10.58 | NR | |
4 | 8 | 5 | 윌프리에드 빈간고예 | 0.206 | 10.76 | PB |
6. 2. 1. 1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가 | 반응 | 기록 | 비고 |
---|---|---|---|---|---|---|
1 | 2 | 프란시스 오비크웰루 | 0.165 | 10.09 | 8강 진출 | |
2 | 5 | 로날드 포뇽 | 0.150 | 10.18 | 8강 진출 | |
3 | 3 | 자이수마 사이디 은두르 | 0.157 | 10.26 | 8강 진출, NR | |
4 | 8 | 자르바스 마스카레냐스 | 0.147 | 10.34 | 기록으로 8강 진출 | |
5 | 7 | 쓰치에 히로야스 | 0.182 | 10.37 | ||
6 | 9 | 아드리안 듀란트 | 0.223 | 10.52 | ||
7 | 6 | 나비 포다이 포파나 | 0.158 | 10.62 | ||
8 | 4 | 하먼 하먼 | 0.173 | 11.22 | ||
colspan=4| | 풍속: +0.1 m/s |
6. 2. 2. 2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가 | 반응 시간 | 기록 | 비고 |
---|---|---|---|---|---|---|
1 | 7 | 아사하라 노부하루 | 0.162 | 10.33 | 8강 진출 | |
2 | 3 | 우카시 치와 | 0.167 | 10.35 | 8강 진출 | |
3 | 4 | 에릭 파콤 은드리 | 0.147 | 10.39 | 8강 진출 | |
4 | 9 | 아토 볼든 | 0.155 | 10.41 | ||
5 | 6 | 이사 아임 은테페 | 0.159 | 10.67 | ||
6 | 2 | 도보시 가보르 | 0.131 | 10.68 | ||
7 | 8 | 존 하워드 | 0.195 | 10.85 | NR | |
8 | 5 | 모하마드 샴수딘 | 0.173 | 11.13 | ||
colspan=4 | | 풍속: −1.1 m/s |
6. 2. 3. 5조
순위 | 레인 | 선수 | 국가 | 반응 시간 | 기록 | 비고 |
---|---|---|---|---|---|---|
1 | 9 | 아사파 파월 | 0.146 | 10.06 | Q | |
2 | 5 | 제이슨 가드너 | 0.155 | 10.15 | Q, SB | |
3 | 4 | 조슈아 로스 | 0.153 | 10.24 | Q, =PB | |
4 | 1 | 안드레 다 실바 | 0.145 | 10.28 | q | |
5 | 8 | 피에르 브라운 | 0.169 | 10.32 | q | |
6 | 7 | 라민 터커 | 0.137 | 10.72 | ||
7 | 6 | 켈시 나카넬루아 | 0.160 | 11.25 | ||
8 | 2 | 소피악 푸크 | 0.225 | 11.56 | PB | |
— | 3 | 지콜룸 모벨레 | DNS | |||
colspan=4| | 풍속: +0.9 m/s |
예선 통과 기준: 각 조 1~3위(Q)와, 그 외 전체 선수 중 가장 빠른 기록을 낸 선수 1명(q)이 준결선에 진출한다.[4]
6. 3. 준결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100m 준결선 경기는 두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상위 3명과 기록 상위 2명이 결선에 진출했다.첫 번째 준결선에서는 모리스 그린이 10초 18로 1위를 차지했고, 드와이트 토마스와 추란디 마르티나가 각각 2, 3위, 알렉산더 코젠코프가 4위를 기록했다.
순위 | 레인 | 선수 | 국가 | 반응 시간 | 기록 | 비고 |
---|---|---|---|---|---|---|
1 | 1 | 모리스 그린 | 0.142 | 10.18 | 8강 진출 | |
2 | 2 | 드와이트 토마스 | 0.135 | 10.21 | 8강 진출 | |
3 | 8 | 추란디 마르티나 | 0.152 | 10.23 | 8강 진출 | |
4 | 3 | 알렉산더 코젠코프 | 0.135 | 10.28 | 기록으로 8강 진출 | |
5 | 6 | 프로드로모스 카산토니스 | 0.179 | 10.50 | 시즌 최고 기록 | |
6 | 7 | 장웨이훙 | 0.157 | 10.70 | ||
7 | 9 | 프랜시스 매니오루 | 0.143 | 11.05 | ||
8 | 5 | 테이무르 가시모프 | 0.179 | 11.17 | ||
9 | 4 | 필리포 뮬러 | 0.181 | 11.18 | 개인 최고 기록 |
두 번째 준결선에서는 프란시스 오비크웰루가 9초 93의 포르투갈 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고, 마크 루이스-프랜시스와 드와이트 토마스가 각각 2, 3위, 로날드 포그논이 4위를 기록했다.
순위 | 레인 | 선수 | 국가 | 반응 시간 | 기록 | 비고 |
---|---|---|---|---|---|---|
1 | 4 | 프란시스 오비크웰루 | 0.165 | 9.93 | 결선 진출, NR | |
2 | 5 | 마크 루이스-프랜시스 | 0.162 | 10.12 | 결선 진출, =개인 최고 기록 | |
3 | 3 | 드와이트 토마스 | 0.149 | 10.12 | 결선 진출, 시즌 최고 기록 | |
4 | 6 | 로날드 포그논 | 0.166 | 10.15 | 결선 진출 | |
5 | 8 | 스에츠구 신고 | 0.150 | 10.19 | ||
6 | 2 | 피에르 브라운 | 0.150 | 10.21 | ||
7 | 7 | 추란디 마르티나 | 0.152 | 10.24 | ||
8 | 1 | 안드레 다 실바 | 0.136 | 10.34 |
6. 3. 1. 1조
순위 | 레인 | 선수명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3 | 샤운 크라우포드 | align="left"| | 0.173 | 10.07 | Q |
2 | 4 | 저스틴 게이틀린 | align="left"| | 0.191 | 10.09 | Q |
3 | 6 | 아지즈 자카리 | align="left"| | 0.155 | 10.11 | Q |
4 | 8 | 오바델레 톰슨 | align="left"| | 0.160 | 10.22 | Q |
5 | 5 | 마크 레위스 | align="left"| | 0.163 | 10.28 | |
6 | 2 | 미차엘 프라터 | align="left"| | 0.146 | 10.29 | |
7 | 1 | 로날드 포그논 | align="left"| | 0.144 | 10.32 | |
8 | 7 | 우첸나 에메돌루 | align="left"| | 0.188 | 10.35 |
6. 3. 2. 2조
순위 | 레인 | 선수명 | 국적 | 반응시간 | 결과 | 참고 |
---|---|---|---|---|---|---|
1 | 4 | 아사파 파월 | 0.158 | 9.95 | Q | |
2 | 5 | 프란시스 오비퀠루 | 0.181 | 9.97 | Q | |
3 | 6 | 모리스 그린 | 0.125 | 9.97 | Q | |
4 | 3 | 킴 콜린스 | 0.150 | 10.02 | Q, SB영어 | |
5 | 8 | 제이슨 가드너 | 0.147 | 10.12 | SB영어 | |
6 | 1 | 레오나르드 밀레스 | 0.139 | 10.22 | ||
7 | 7 | 드위프트 토마스 | 0.156 | 10.28 | ||
8 | 2 | 비켄테 데 리마 | 0.163 | 10.28 |
SB영어는 시즌 최고 기록(Season Best)을 의미한다.
6. 4. 결선
저스틴 게이틀린 (미국)이 9.85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란시스 오비퀠루 (포르투갈)가 9.86초로 은메달을, 모리스 그린 (미국)이 9.87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7. 논란
저스틴 게이틀린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이후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의 기록과 메달은 유지되었으나, 그의 성과에 대한 의혹은 계속 제기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Athletics at the 2004 Athens Summer Games: Men's 100 metres
https://web.archive.[...]
2017-07-07
[2]
웹사이트
100 metres, Men
https://www.olympedi[...]
2020-07-27
[3]
웹사이트
IAAF Athens 2004: Men's 100m Heats
http://www.iaaf.org/[...]
IAAF
2015-10-10
[4]
웹사이트
IAAF Athens 2004: Men's 100m Quarterfinals
http://www.iaaf.org/[...]
IAAF
2015-10-10
[5]
웹사이트
IAAF Athens 2004: Men's 100m Semifinals
http://www.iaaf.org/[...]
IAAF
2015-10-10
[6]
뉴스
Gatlin guns to 100m glory
http://news.bbc.co.u[...]
BBC Sport
2015-10-10
[7]
뉴스
Gatlin guns to 100m glory
http://www.bbc.co.uk[...]
BBC Sport
2015-10-10
[8]
웹사이트
IAAF Athens 2004: Men's 100m Final
http://www.iaaf.org/[...]
IAAF
2015-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