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금성 일면통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금성 일면통과는 2004년 6월 8일에 일어난 현상으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전체 과정을 관측할 수 있었고, 한국에서도 관측이 가능했다. 북아메리카 동부와 남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종료 시점만 관측 가능했으며, 북아메리카 서부, 남아메리카 남부, 하와이, 뉴질랜드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했다. 일면통과 시각은 UTC 기준으로 05:13:29 (I), 05:32:55 (II), 08:19:44 (중간), 11:06:33 (III), 11:25:59 (IV)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과학 - 2004년 4월 19일 일식
2004년 4월 19일 일식은 달의 반그림자가 지구에 닿아 시작되었으며, 최대 일식 등급은 0.73674였고, 사로스 119 주기의 일부로 18년 11일 주기로 반복된다. - 2004년 과학 - 밀워키 프로토콜
밀워키 프로토콜은 광견병 감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실험적인 치료법으로, 인위적 혼수상태 유도와 항바이러스제 투여를 병행하지만,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결과는 엇갈리고 있다. - 2004년 6월 - 김선일 (통역사)
김선일은 2003년 가나무역에 입사하여 이라크로 파견된 대한민국의 통역가였으나, 2004년 이슬람 무장단체에 납치된 후 한국 정부의 파병 강행으로 참수되어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이라크 파병 논란을 심화시켰다. - 2004년 6월 - 유영철
유영철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부유층 노인과 여성 마사지사들을 주로 살해하며 사회에 큰 충격을 준 20명 살해 연쇄 살인범으로, 사형 선고 후 현재까지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이며 그의 범행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다. - 금성 - 금성 일면통과
금성 일면통과는 금성이 태양 표면을 지나는 현상으로, 약 243년 주기로 발생하며 과거 천문학적 거리 측정에 활용되었고, 21세기에는 외계 행성 탐색 연구에 기여했다. - 금성 - 별이 빛나는 밤
빈센트 반 고흐가 생 폴 드 모솔 정신병원 입원 중 그린 《별이 빛나는 밤》은 밤하늘 아래 마을 풍경을 강렬한 색채와 붓 터치로 표현하여 그의 내면세계와 종교적 갈망을 담아낸 대표작으로, 미술사적, 천문학적 해석과 상징적 요소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2004년 금성 일면통과 | |
|---|---|
| 현상 개요 | |
| 현상 명칭 | 2004년 금성 일면통과 |
| 날짜 | 2004년 6월 8일 |
| 이전 일면통과 | 1882년 12월 6일 |
| 다음 일면통과 | 2012년 6월 6일 |
| 주기 | 121.5년 |
| 관측 정보 | |
| 관측 가능 지역 |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
| 최대 지속 시간 | 약 6시간 |
| 과학적 중요성 | |
| 역사적 중요성 | 태양계 크기 측정, 천문 단위 결정 |
| 현대적 중요성 | 외계 행성 탐색 방법 검증 |
| 추가 정보 | |
| 관련 프로젝트 | VT-2004 (Venus Transit 2004) 프로그램 |
| 천문학적 현상 | 금성 일면통과 |
2. 관측

2004년 금성 일면통과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관측할 수 있었으며, 북아메리카 동부에서는 일면통과가 끝나갈 무렵만 관측이 가능했다. 북아메리카 서부, 하와이, 뉴질랜드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했다.
유럽, 아시아 대부분, 아프리카 거의 전 지역에서 일면통과 전체 과정을 관측할 수 있었다. 아시아 최동단과 호주에서는 해가 지기 전에 일면통과 시작을 관측할 수 있었고, 아프리카 서부, 북아메리카 동부, 남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해가 뜬 후 일면통과 종료를 관측할 수 있었다. 서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남부, 하와이, 뉴질랜드에서는 일면통과를 전혀 관측할 수 없었다.
| I | II | 중간 | III | IV |
|---|---|---|---|---|
| 05:13:29 | 05:32:55 | 08:19:44 | 11:06:33 | 11:25:59 |
시차 때문에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관측 시간은 최대 ±7분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1]
2. 1. 가시성
2004년 금성 일면통과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관측할 수 있었으며, 북아메리카 동부에서는 일면통과가 끝나갈 무렵만 관측이 가능했다. 북아메리카 서부, 하와이, 뉴질랜드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했다.
유럽, 아시아 대부분, 아프리카 거의 전 지역에서 일면통과 전체 과정을 관측할 수 있었다. 아시아 최동단과 호주에서는 해가 지기 전에 일면통과 시작을 관측할 수 있었고, 아프리카 서부, 북아메리카 동부, 남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해가 뜬 후 일면통과 종료를 관측할 수 있었다. 서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남부, 하와이, 뉴질랜드에서는 일면통과를 전혀 관측할 수 없었다.
2. 2. 시각표
| I | II | 중간 | III | IV |
|---|---|---|---|---|
| 05:13:29 | 05:32:55 | 08:19:44 | 11:06:33 | 11:25:59 |
시차 때문에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관측 시간은 최대 ±7분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1]
3. 관련 매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