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최한 대회로, 축구 발전 수준이 낮은 국가의 클럽팀들이 참가했다. 네팔, 부탄, 스리랑카, 중화 타이베이,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으며,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 FC 도르도이 비슈케크가 바흐시 쿠르곤텝파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네팔 - 네팔 내전
네팔 내전은 네팔 공산당(마오쩌둥주의)이 왕정 종식과 인민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일으킨 무장 투쟁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배경이 되었으며 1만 7천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고 2006년 포괄적 평화 협정 체결 후 2008년 왕정 폐지와 함께 네팔이 연방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2006년 네팔 - 2006년 동계 올림픽 네팔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네팔은 다치리 셰르파 선수를 파견하여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에 출전, 남자 15km 클래식 경기에서 88위를 기록했으며 개막식 기수를 맡았다. - 2006년 5월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노무현 정부 출범 후 처음 치러진 전국 단위 선거인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선거 제도 변화 속에 한나라당의 압승과 열린우리당의 참패로 귀결되며 한국 정치 지형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2006년 5월 -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서 독립 찬성안이 채택되어 6월 3일 독립을 선언,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몬테네그로의 최종 독립을 확정지었으며 유럽연합 감독 하에 투표율 50% 초과 및 찬성 55% 이상 득표 조건을 충족하여 국제적 승인을 받았다. - AFC 프레지던트컵 - AFC 챌린지리그
AFC 챌린지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의 '신흥 국가' 클럽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국내 리그 우승팀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지며,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하고 우승팀에게는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투 본선 조별리그 진출 자격이 주어진다. - AFC 프레지던트컵 - 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4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11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의 HTTU 아시가바트가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프레지던트컵 |
연도 | 2006 |
개최국 | 말레이시아 |
개최 기간 | 2006년 5월 10일 – 2006년 5월 21일 |
참가팀 수 | 8 |
협회 수 | 8 |
경기장 수 | 1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팀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바흐시 쿠르곤텝파 |
총 경기 수 | 15 |
총 득점 수 | 49 |
경기당 득점 수 | 3.27 |
최다 득점 선수 | 좡야오쭝 로만 코르닐로프 |
득점 수 | 5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5년 AFC 프레지던트컵 |
다음 대회 | 2007년 AFC 프레지던트컵 |
2. 참가 팀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에는 AFC 소속 국가 중 축구 발전 수준이 낮은 8개 국가의 리그 우승 팀이 참가했다. 참가 팀은 다음과 같다.
국가 | 팀 | 참가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네팔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마티어스 메모리얼 A 디비전 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부탄 |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부탄 A-디비전 2005 우승 | 2회 | 2005 |
스리랑카 | 라트남 SC | 킷 프리미어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중화 타이베이 | 다퉁 | 인터시티 풋볼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캄보디아 | 케마라 | 캄보디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키르기스스탄 | 도르도이 디나모 | 키르기스스탄 리그 2005 우승 | 2회 | 2005 |
타지키스탄 | 바흐시 쿠르곤텝파 | 타지키스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파키스탄 | 파키스탄 아미 | 파키스탄 프리미어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2. 1. 참가팀 선정 기준
AFC 프레지던트컵 참가 자격은 AFC의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주로 축구 인프라와 리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의 클럽들이 참가한다.국가 | 팀 | 참가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마티어스 메모리얼 A 디비전 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부탄 A-디비전 2005 우승 | 2회 | 2005 | |
라트남 SC | 킷 프리미어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다퉁 | 인터시티 풋볼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케마라 | 캄보디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도르도이 디나모 | 키르기스스탄 리그 2005 우승 | 2회 | 2005 | |
바흐시 쿠르곤텝파 | 타지키스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파키스탄 아미 | 파키스탄 프리미어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2. 2. 참가팀 목록 (2006년)
국가 | 팀 | 참가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마티어스 메모리얼 A 디비전 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부탄 A-디비전 2005 우승 | 2회 | 2005 | |
라트남 SC | 킷 프리미어리그 2005-06 우승 | 첫 출전 | ||
다퉁 | 인터시티 풋볼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케마라 | 캄보디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도르도이 디나모 | 키르기스스탄 리그 2005 우승 | 2회 | 2005 | |
바흐시 쿠르곤텝파 | 타지키스탄 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
파키스탄 아미 | 파키스탄 프리미어리그 2005 우승 | 첫 출전 |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사라왁 스타디움은 4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3. 경기장
3. 1. 사라왁 스타디움
사라왁 경기장은 1989년에 개장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4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개최 경기장 중 하나였다.
4. 조별 예선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조별 예선은 2006년 5월 10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펼쳤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케마라 | 3 | 2 | 1 | 0 | 8 | 3 | +5 | 7 |
다퉁 | 3 | 2 | 0 | 1 | 10 | 6 | +4 | 6 |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3 | 1 | 0 | 2 | 2 | 7 | -5 | 3 |
파키스탄 아미 | 3 | 0 | 1 | 2 | 2 | 6 | -4 | 1 |
경기 결과 | |||
---|---|---|---|
2006년 5월 10일 | 파키스탄 아미 1-4 다퉁 | 사라왁 스타디움 | |
2006년 5월 10일 | 케마라 2-1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사라왁 스타디움 | |
2006년 5월 12일 |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1-0 파키스탄 아미 | 사라왁 스타디움 | |
2006년 5월 13일 | 다퉁 1-5 케마라 | 사라왁 스타디움 | |
2006년 5월 14일 | 파키스탄 아미 1-1 케마라 | 사라왁 스타디움 | |
2006년 5월 14일 | 다퉁 5-0 트랜스포트 유나이티드 | 사라왁 스타디움 |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4.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바흐시 쿠르곤텝파 | 3 | 2 | 0 | 1 | 6 | 4 | +2 | 6 |
도르도이 디나모 | 3 | 2 | 0 | 1 | 5 | 3 | +2 | 6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3 | 1 | 0 | 2 | 3 | 5 | -2 | 3 |
라트남 SC | 3 | 1 | 0 | 2 | 3 | 5 | -2 | 3 |
경기일 | 시간 | 팀 1 | 팀 2 | 경기장 | |
---|---|---|---|---|---|
2006년 5월 11일 | 18:30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0-2 | 라트남 SC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2006년 5월 11일 | 21:00 | 도르도이 디나모 | 0-3 | 바흐시 쿠르곤텝파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2006년 5월 13일 | 16:00 | 라트남 SC | 0-3 | 도르도이 디나모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2006년 5월 13일 | 18:30 | 바흐시 쿠르곤텝파 | 1-3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2006년 5월 15일 | 16:00 | 마낭 마르샹디 클럽 | 0-2 | 도르도이 디나모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2006년 5월 15일 | 18:30 | 라트남 SC | 1-2 | 바흐시 쿠르곤텝파 | 말레이시아 쿠칭 사라왁 스타디움 |
5. 결선 토너먼트
AFC President's Cup영어의 조별 예선에서 각 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 팀을 결정했다. 준결승전은 2006년 5월 17일과 18일에, 결승전은 5월 21일에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5. 1. 준결승전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준결승전은 2006년 5월 17일과 5월 18일에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06년 5월 17일 | 20:00 | 케마라 កិមិរាខេឡា|키미라 케일라khm (캄보디아) | 0 – 3 | 도르도이 디나모 Дордой Динамо|도르도이 디나모ky (키르기스스탄) | 사라왁 스타디움 | 200명 |
2006년 5월 18일 | 20:00 | 바흐시 Вахш Қурғонтеппа|바흐시 쿠르곤텝파tg (타지키스탄) | 3 – 1 | 다퉁 大同足球隊|다퉁 쭈추두이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 사라왁 스타디움 | 100명 |
5월 17일에 열린 첫 경기에서는 도르도이 디나모가 케마라를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도르도이 디나모의 코르닐로프는 33분과 76분에 득점하였고, 이센바예프는 41분에 득점하였다.
5월 18일에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바흐시가 다퉁을 3-1로 꺾었다. 바흐시의 함라쿨로프는 43분에, 사반쿨로프는 81분에, 오르티코프는 83분에 득점하였다. 다퉁의 좡은 56분에 득점하였다.
5. 2. 결승전
2006년 5월 21일, 말레이시아 쿠칭의 사라왁 스타디움에서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도르도이 디나모와 바흐시가 맞붙었으며, 5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주심은 중국의 쑨바오제가 맡았다.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도르도이 디나모가 2-1로 승리했다. 아미로프가 전반 36분과 연장 전반 102분에 득점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 바흐시에서는 사반쿨로프가 후반 52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경기 정보
경기 | 도르도이 디나모 2 – 1 바흐시 (연장전) |
---|---|
날짜 | 2006년 5월 21일 |
시간 | 20:00 UTC+08:00 |
경기장 | 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말레이시아) |
관중 | 500명 |
주심 | 쑨바오제 (중국) |
부심 | 벤자민 실바 (인도), 아흐메드 아미즈 (몰디브) |
득점 선수
도르도이 디나모 | 아미로프 (전반 36분, 연장 전반 102분) |
---|---|
바흐시 | 사반쿨로프 (후반 52분) |
선수 명단
포지션 | 번호 | 이름 |
---|---|---|
GK | 1 | 블라디슬라프 볼코프 |
DF | 2 | 누르베크 아하토프 |
DF | 3 | 탈란트 삼살리예프 |
DF | 4 | 루슬란 시디코프 (주장) |
DF | 5 | 세르게이 크니아제프 |
MF | 7 | 아이베크 보코예프 |
MF | 11 | 아자마트 이셴바예프 |
MF | 18 | 바딤 하르첸코 |
FW | 9 | 로만 코르닐로프 |
FW | 12 | 일다르 아미로프 |
FW | 9 | 안드레이 크라스노프 |
교체 선수 | ||
FW | 10 | 자미르베크 주마굴로프 |
DF | 13 | 티무르 키디랄리예프 |
FW | 20 | 블라디미르 베레브킨 |
감독 | ||
보리스 포드코리토프 |
포지션 | 번호 | 이름 |
---|---|---|
GK | 1 | 아슬리딘 하비불로예프 (주장) |
DF | 4 | 수힙 수본쿨로프 |
DF | 5 | 알렉세이 네그마토프 |
DF | 7 | 마흐마드카림 나자로프 |
DF | 11 | 미크롭 자후르베코프 |
MF | 6 | 이스칸다르 누리디노프 |
MF | 9 | 악말 사부로프 |
MF | 10 | 일홈존 오르티코프 |
FW | 8 | 나지르쇼 리조모프 |
FW | 12 | 피르다브스 파이줄라예프 |
FW | 20 | 아흐탐 함라쿨로프 |
교체 선수 | ||
MF | 21 | 나자르알리 사미예프 |
감독 | ||
히크마툴로 샴수디노프 |
6. 우승 팀
도르도이 디나모
첫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