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팔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 내전은 1990년대 초 다당제 민주주의 도입 이후 심화된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 네팔 공산당(마오이스트)의 '인민 전쟁' 선포로 시작되었다. 1996년 무장 투쟁 시작 이후 정부와 반군 간의 무력 충돌이 격화되었으며, 2001년 네팔 왕족 살해 사건으로 내전은 더욱 심화되었다. 2001년과 2003년 두 차례의 휴전 시도와 실패를 거쳐, 2006년 '포괄적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 이 협정으로 마오이스트의 정치 참여와 군대 해체, 새 헌법 제정을 위한 제헌 의회 구성이 이루어졌으며, 2008년 왕정이 폐지되고 연방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내전 이후 네팔은 과거사 청산과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치적 불안정, 사회경제적 불평등, 마오이스트 군대 통합 등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국제 사회는 인도적 지원과 평화 협상 중재를 지원했으며, 유엔 네팔 지원단(UNMIN)을 통해 휴전을 감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네팔 - 2006년 동계 올림픽 네팔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네팔은 다치리 셰르파 선수를 파견하여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에 출전, 남자 15km 클래식 경기에서 88위를 기록했으며 개막식 기수를 맡았다.
  • 2006년 네팔 -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
    2006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말레이시아 쿠칭에서 8개 팀이 참가하여 자국 리그 우승 또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경쟁한 대회로, 타이 빈 FC가 바흐만 FC를 꺾고 우승했다.
  • 21세기 반란 -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
    2021년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지지자들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 미국 국회의사당을 습격하여 5명이 사망하고 의회가 중단되었으며, 트럼프는 탄핵 및 소셜 미디어에서 차단되는 등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평가받았다.
  • 21세기 반란 -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반란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반란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파키스탄 북서부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파슈툰족 소외감, 이슬람화 정책, 탈레반 은신처 제공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파키스탄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현재까지 안보 위협으로 남아있다.
네팔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네팔의 마오주의 반군이 피스카르 주변 지역의 마을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분쟁 명칭네팔 내전
다른 명칭네팔 마오주의 반란
마오주의 인민 전쟁
발생 기간1996년 2월 13일 – 2006년 11월 21일 (10년 9개월 1주 1일)
위치네팔
원인네팔 국가에 대한 마오주의의 반대
결과포괄적 평화 협정 체결
네팔 군주제 폐지
교전 세력
교전국 1네팔 왕국
네팔군
네팔 경찰
무장경찰
교전국 1 지원 세력




교전국 2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네팔 인민해방군
교전국 2 지원 세력인도 공산당 (마오주의)
실론 공산당 (마오주의)
지휘관
교전국 1 지휘관네팔 국왕
비렌드라 (1972–2001)
갸넨드라 (2001–2008)
네팔 총리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1995–1997; 2001–2002; 2004–2005)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 (1997–1997; 2002–2003)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97–1998; 2003–2004)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1998–1999; 2000–2001; 2006–2008)
크리슈나 프라사드 바타라이 (1999–2000)
네팔 육군 참모총장
다르마팔 바르싱 타파 (1995–1999)
프라즈왈라 슘셔 JBR (1999–2003)
피야르 정 타파 (2003–2006)
루크망구드 카트왈 (2006–2009)
네팔 경찰청장
모티 랄 보하라 (1992–1996)
아추트 크리슈나 카렐 (1996–1996; 1996–1999)
드루바 바하두르 프라단 (1996–1996)
프라딥 슘셔 J.B.R. (1999–2002)
샴 바크타 타파 (2002–2006)
옴 비크람 라나 (2006–2008)
교전국 2 지휘관푸슈파 카말 다할 (프라찬다)
바부람 바타라이 (랄드와지)
모한 바이디아 (키란)
난다 키쇼르 푼 (파상)
람 바하두르 타파 (바달)
네트라 비크람 찬드 (비플라브)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95,000명
교전국 2 병력50,000명
피해 규모
교전국 1 사상자4,500명 사망
교전국 2 사상자8,200명 사망 (게릴라)
전체 사망자17,800명 사망
실종자1,300명 실종
관련 사건
2001년네팔 왕실 학살
2002년2002년 아참 사건
2003년발루방 전투
2004년2004년 베니 공격
2005년2005년 네팔 쿠데타
제2차 카라 전투
추가 정보
진실화해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네팔
추가 과제과업 완료에 최소 3년 더 필요 - 네팔의 과도기적 정의에 대한 로샨 S의 논평

2. 역사적 배경

1990년 1월 10일, 연합좌익전선(ULF)이 결성되어,[13] 네팔 의회와 함께 민주적 변화를 위한 운동의 중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연합좌익전선과 의회 간의 동맹에 불만을 품은 공산주의 단체들은 통합국민운동(UNPM)을 결성했다. 통합국민운동은 제헌의회 선거를 요구하며 연합좌익전선과 의회가 왕실과 타협한 것을 비판했다.

1990년 11월, 네팔 공산당(통일중앙)(CPN(UC))이 결성되어 통합국민운동의 핵심 구성원들을 흡수했다. 1991년 1월 21일, 네팔 공산당(통일중앙)은 네팔 통합인민전선(UPFN)을 설립하고, 바부람 밧타라이를 의장으로 선출하여 선거에 참여하는 대중 조직으로 활용했다.[13] 네팔 공산당(통일중앙)은 1991년 11월 25일 첫 번째 전당대회를 개최하고,[13] "새로운 민주 혁명을 향한 장기간의 무장 투쟁" 노선을 채택했으며,[14] 당은 비합법 정당으로 남기로 결정했다. 1991년 선거에서 네팔 통합인민전선은 네팔 의회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다. 그러나 네팔 통합인민전선 내부에서는 당의 전략을 둘러싼 의견 대립이 심화되었다. 푸슈파 카말 다할 (프라찬다)이 이끄는 그룹은 즉각적인 무장 혁명을 주장한 반면, 닐말 라마가 이끄는 다른 그룹은 네팔이 아직 무장 투쟁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13]

이후 네팔 공산당(통일중앙)은 분열되었고, 무장 투쟁파는 네팔 공산당(마오이스트)로 이름을 바꾸어 '인민 전쟁'을 선포했다. (자세한 내용은 "마오이스트의 등장과 '인민 전쟁' 선포" 및 "정부의 대응과 내전의 격화" 섹션 참조)

2. 1. 마오이스트의 등장과 '인민 전쟁' 선포

1994년 5월 22일, 네팔 공산당(통일중앙)(CPN(UC))/UPFN은 둘로 분열되었다. 무장파는 나중에 네팔 공산당(마오이스트)(CPN(M))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파벌은 정부군, 주류 정당, 군주제를 "봉건 세력"으로 규정했다.

1996년 2월 4일, 마오이스트의 바브람 바타라이는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총리에게 40개 조항의 요구를 제시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반정부 활동을 시작하겠다고 경고했으나 거부당했다.[74]

1996년 2월 13일, 네팔 공산당(마오이스트)는 '인민 전쟁'을 시작했다.[13] 이들은 롤파군 호렐리, 르쿰군 아토비스콧, 신둘리군 신둘리가디의 경찰서를 습격하여 폭발물 등을 탈취했다. 또한 고르카군에서 은행을 습격했다. 이때 사용한 라이플은 프라찬다가 직접 구입한 것이었다.

이후 마오이스트는 점차 조직을 확대하여, 1996년 7월에는 경찰과 싸우는 "스쿼드"(분대)를, 1997년 7월에는 "플래툰"(소대)을 편성했다. 1998년 8월에는 특수 활동 부대를 편성하고 동네팔에서도 활동을 전개했다.

2. 2. 정부의 대응과 내전의 격화

1998년,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내각은 경찰을 동원하여 "킬로 세라 2"라는 마오이스트 소탕 작전을 전개했다.[74] 그러나 이 작전은 오히려 내전을 격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2001년 6월 1일, 네팔 왕족 살해 사건으로 비렌드라 국왕을 포함한 왕족 대부분이 사망했다.[24] 이후 그야넨드라가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했다.[25]

2001년 7월 22일, 정부와 마오이스트는 휴전에 합의했으나,[77] 11월 23일, 마오이스트가 휴전을 파기하고 군과 경찰 시설을 공격하면서 평화 협상은 결렬되었다.[75] 11월 26일,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정부는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26] 네팔 육군을 투입했다.[27]

3. 내전의 전개

1990년 연합좌익전선(ULF)이 결성되었으나, 공산주의 단체들은 통합국민운동(UNPM)을 결성하여 제헌의회 선거를 요구했다. 1991년 네팔 통합인민전선(UPFN)이 설립되었고, 1991년 네팔 의회 선거에서 네팔 의회의 세 번째로 큰 당이 되었다. 그러나 UPFN 내에서 노선 갈등이 발생했고, 프라찬다가 이끄는 그룹은 즉각적인 무장 혁명을 주장했다.[13]

1994년 네팔 공산당(통일중앙)(CPN(UC))/UPFN은 둘로 분열되었고, 무장파는 네팔 공산당(마오이스트)(CPN(M))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들은 정부군, 주류 정당, 군주제를 "봉건 세력"으로 규정했다. 1996년 2월 13일, CPN(M)은 6개 지역에서 동시에 7차례 공격을 가하며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13]

카트만두의 공산주의 낙서. "마르크스-레닌주의-마오이즘-프라찬다 경로 만세!"라고 적혀 있다.


초기에 정부는 네팔 경찰을 동원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왕립 네팔 육군은 직접적인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2001년 6월 1일, 왕실 학살로 비렌드라 국왕과 그의 가족 전체가 사망했다. 딥엔드라 왕세자[15]가 범인으로 지목되었으나, 3일간 혼수상태에 빠진 후 사망했고, 그동안 그야넨드라가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했다.

2004년 8월, 마오이스트들은 카트만두 시에 1주일간의 봉쇄를 선포했지만 나중에 해제되었다.[17]

2006년 8월 9일,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은 평화 과정을 감시하고 양측의 무기를 관리하기 위해 유엔을 수용하기로 합의했다.[13] 2006년 11월 21일, 정부, SPA, 마오이스트 반군은 내전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킨 포괄적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13]

내전으로 인해 네팔의 관광 산업은 상당한 타격을 입었으며, 젊은 노동자들은 주로 페르시아만동남아시아로 해외 취업을 나가야 했다. 네팔 경제는 여전히 이주 노동자들의 해외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마오이스트 반군 세 명이 롤파 지구 언덕 위에서 이동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3. 1. 2001년 ~ 2003년: 휴전과 재개

2001년 7월 25일,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은 휴전을 선포하고, 8월부터 11월까지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13] 그러나 이 평화 협상은 결렬되었고, 11월 22일 마오이스트가 네팔 서부 당 데오쿠리 지구의 군 막사를 공격하면서 무력 충돌이 재개되었다.[13]

2002년에는 양측의 공격 횟수가 크게 증가하고, 전쟁 중 어느 해보다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13] 정부는 반군주제 발언을 금지하고,[16] 기자들을 투옥했으며, 반군 편을 든 혐의로 신문을 폐간했다.

정부와 마오이스트 사이에는 임시 휴전을 포함한 여러 차례의 협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부는 마오이스트의 제헌의회 선거 요구를 거부했고, 마오이스트는 입헌 군주제 유지를 인정하지 않았다. 2004년 11월, 정부는 마오이스트가 데우바 총리가 아닌 그야넨드라 국왕과 직접 협상할 것과, 유엔 등 제3자의 중재를 통한 논의를 요구한 것을 모두 거부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날짜사건
2001년 6월 1일네팔 왕실 학살 사건 발생. 비렌드라 국왕과 왕족 대부분 사망. 딥엔드라 왕세자가 범인으로 지목됨.[15]
2001년 6월 4일딥엔드라 국왕 사망. 그야넨드라가 국왕으로 즉위.[25]
2001년 7월 25일정부와 마오이스트, 휴전 선포.[13]
2001년 8월 3일첫 번째 평화 회담 시작.
2001년 11월 23일마오이스트, 평화 회담 결렬 선언 및 공격 재개.
2001년 11월 26일정부, 전국 비상사태 선포[26] 및 네팔 육군 배치.[27]
2002년 5월평화 협상 결렬.[27]
2002년 5월 22일국왕, 의회 해산 및 새로운 선거 명령.
2002년 10월 4일국왕, 데우바 총리 및 내각 해임, 집행권 장악, 선거 취소.[76]
2002년 10월 11일국왕,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를 총리로 임명.[76]
2003년 1월 29일두 번째 휴전 성립 및 평화 협상 시작.[27]
2003년 8월 27일마오이스트, 휴전 파기 선언.[27]


3. 2. 2004년 ~ 2006년: 국왕 친정과 민주화 운동

2005년 2월 1일, 그야넨드라 국왕은 민주적인 정부가 질서를 회복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직접 권력을 장악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8] 그는 "민주주의와 진보는 서로 모순된다"고 주장하며, 자유주의 추구 과정에서 규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18] 이러한 국왕의 권력 장악에 영국인도는 네팔에 대한 물질적 지원을 중단했다.[13]

2005년 5월 5일, 국왕의 권력 장악에 대응하여 7개 정당이 7개 정당 연합(SPA)을 결성하기 위한 회담을 시작했다.[13] 11월 22일, 인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마오이스트 반군과 7개 정당 연합은 독재 군주제를 "민주주의, 평화, 번영, 사회 향상 및 독립적이고 주권적인 네팔"의 주요 장애물로 규정하는 12개 항의 결의안을 공동 발표했다.[20] 이 결의안에는 제헌의회 선거 실시와 마오이스트 반군의 폭력 포기 약속이 포함되었다.[13]

2006년에는 폭력적 갈등이 크게 감소하고, 비폭력적인 친민주주의 시위가 증가했다.[13] 2월에 실시된 지방 선거는 7개 주요 정당이 보이콧했지만, 70개 이상의 소규모 정당이 후보를 내세웠다.[21] 공식적인 유권자 참여율은 20%였다.[22] 4월 내내 네팔 전역에서 친민주주의 시위가 열렸고, 19명의 시위대가 사망하고 400명 이상의 시위대가 체포되었으며,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4월 21일, 그야넨드라 국왕은 7개 정당 연합에 통치권을 반환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마오이스트 반군과 7개 정당 연합 모두 이 제안을 거부했다.[13] 4월 24일, 그야넨드라 국왕은 네팔 대표원을 복원하겠다고 발표했고, 이는 복원된 의회를 구성한 7개 정당 연합을 만족시켰다.[13]

4. 평화 협정과 네팔의 변화

2006년은 네팔 내전에서 폭력적 갈등이 크게 감소하고, 저항이 비폭력적인 친민주주의 시위로 전환된 해였다.[13] 2월에 실시된 지방 선거는 7개 주요 정당이 보이콧했지만, 70개 이상의 소규모 정당이 후보를 내세웠다.[21] 공식적인 유권자 참여율은 20%였다.[22] 4월 내내 네팔 전역에서 친민주주의 시위가 열렸고, 19명의 시위대가 사망하고 400명 이상의 시위대가 체포되었으며,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4월 21일, 그야넨드라 국왕은 7개 정당 연합(SPA)에 통치권을 반환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이 제안은 마오이스트 반군과 SPA 모두 거부했다.[13] 4월 24일, 그야넨드라 국왕은 대표원을 복원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이는 복원된 의회를 구성한 SPA를 만족시켰다.[13]

8월 9일,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은 평화 과정을 감시하고 양측의 무기를 관리하기 위해 유엔을 수용하기로 합의했다.[13] 수 주간의 친 민주주의 시위 후, 마오이스트 반군들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총리의 요청에 따라 일방적인 3개월 휴전을 선포하고, 국가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새로운 헌법 제정 의회의 구성을 촉구했다.[56][57] 2006년 5월 3일, 네팔의 새로운 내각은 휴전을 선포하고 마오이스트 반군을 더 이상 테러 집단으로 간주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평화협상을 촉구했다.[58]

마침내 11월 21일, 정부, SPA, 마오이스트 반군은 포괄적 평화 협정에 서명하며 네팔 내전을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13][59] 이 협정을 통해 마오이스트들은 정부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그들의 무기는 유엔의 감시를 받게 되었다.[59]

4. 1. 제헌 의회와 연방 공화정 수립

2006년 네팔 혁명 이후, 2008년 4월 10일에 제헌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59] 이 선거에서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주의)는 220석을 획득하여 제1당이 되었지만, 과반수는 얻지 못했다.[59] 2008년 5월 28일, 제헌 의회는 투표를 통해 네팔을 연방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왕정을 폐지했다.[59] 이는 네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적 변화였다.

4. 2. 전후 처리와 과제



네팔 내전 종식 이후, 네팔은 과거사 청산과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내전으로 인해 민간인과 군인을 포함하여 1만 7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8] 약 10만 명에서 15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다. 또한, 대부분의 농촌 개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젊은 노동자들은 해외로 취업을 나가야 했고, 관광 산업도 큰 타격을 입었다.[60][61][62] 이러한 상황은 네팔 경제가 해외 송금에 크게 의존하게 만들었다.

2007년 1월 23일, 유엔 안보리는 유엔 네팔 지원단(UNMIN)을 설립하는 결의 1740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국군과 인민해방군의 휴전을 감시하도록 했다. 2008년 4월 10일에는 제헌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마오이스트가 220석을 획득, 제1당이 되었지만 과반수는 얻지 못했다. 5월 28일, 제헌의회는 연방 공화제를 채택하고 왕정을 폐지했다. 2011년 1월 15일, UNMIN의 활동이 종료되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네팔은 여전히 정치적 불안정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그리고 마오이스트 군대의 통합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5. 국제 사회의 역할

내전 기간 동안 국제 사회는 네팔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평화 협상을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유엔은 평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006년 8월 9일, 정부와 마오이스트 반군은 평화 과정을 감시하고 양측의 무기를 관리하기 위해 유엔을 수용하기로 합의했다.[13]

유엔 안보리는 2007년 1월 23일 결의 1740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유엔 네팔 임무단(UNMIN)을 설립했다.[66] UNMIN은 정부군과 마오이스트 군대의 무장 해제 및 감시를 담당하며 평화 정착에 기여했다. UNMIN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


  • 정부군과 인민해방군의 휴전 감시[66]
  • 제헌의회 선거 지원


2008년 네팔 제헌의회 선거에서 마오이스트들은 220석을 획득하여 제1당이 되었지만, 과반수 확보에는 실패했다. 2008년 5월 28일, 제헌의회는 연방 공화제를 채택하고 왕정을 폐지했다. UNMIN은 2011년 1월 15일에 활동을 종료했다.

인도는 2005년 11월 22일 마오이스트 반군과 7개 정당 연합(SPA) 간의 12개 항의 결의안 채택을 지원하여 평화 협상에 기여했다.[13] 이 결의안은 독재 군주제를 민주주의의 주요 장애물로 규정하고, 제헌의회 선거 실시와 마오이스트 반군의 폭력 포기를 약속했다.[20]

영국과 인도는 2005년 2월 그야넨드라 국왕의 직접 권력 장악 이후 네팔에 대한 물질적 지원을 중단하기도 했다.[13]

6. 한국의 관점과 영향

한국은 네팔 내전을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으로 바라본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네팔의 평화 정착과 민주주의 발전을 지지한다.

네팔 내전은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 네팔에 대한 개발 원조와 경제 협력을 강화하며, 네팔의 안정과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7. 결론

네팔 내전은 네팔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향한 열망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2006년 11월 21일, 정부, 7개 정당 연합(SPA), 마오이스트 반군은 내전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킨 포괄적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13] 평화 협정과 이후의 연방 공화정 수립은 네팔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내전으로 인해 젊은 노동자들은 주로 페르시아만동남아시아로 해외 취업을 나가야 했으며, 네팔 경제는 여전히 이들의 해외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또한, 내전으로 인해 네팔의 관광 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참조

[1]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Penguin 2019
[2] 학술지 Nepal's civil war and its economic costs https://www.lindenwo[...] Publisher: Center for International and Global Studies, Lindenwood University Press 2020-09-17
[3] 뉴스 Une polémique éclate en Belgique sur une vente d'armes au Népal https://www.la-croix[...] 2002-08-26
[4] 뉴스 Chinese Deliver Arms to Nepal 2005 http://news.bbc.co.u[...] 2005-11-25
[5] 웹사이트 Nepal's Maoist cauldron draws foreign powers closer https://reliefweb.in[...] Reuters 2003-08-18
[6] 웹사이트 CCP Maoist support https://revcom.us/a/[...]
[7] 웹사이트 Biplav is just following the footsteps of mentors https://www.nepaliti[...] 2019-03-15
[8] 간행물 Inside Nepal's Revolution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5-11-01
[9] 웹사이트 17,800 people died during conflict period, says Ministry of Peace – Nepal https://reliefweb.in[...] 2012-06-18
[10] 웹사이트 ICMP Nepal https://www.icmp.int[...]
[11] 웹사이트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Nepal http://trc.gov.np/ab[...]
[12] 웹사이트 'At least three more years needed to complete task'- Roshan S Nepal's Oped on Transitional Justice https://nepalmonitor[...]
[13] 서적 The Maoist Insurgency in Nepal: Revolu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14] 서적 Internal Displacement in South Asia: The Relevance of the UN's Guiding Principles SAGE Publications
[15] 웹사이트 Why Nepal's Crown Prince Went on a Killing Spree https://theworld.org[...] 2013-08-15
[16] 웹사이트 Anti-king remarks intolerable: Lohani http://www.nepalnews[...] NepalNews: The Kathmandu Post 2003-12-20
[17] 웹사이트 Maoist rebels call off Kathmandu blockade https://www.theguard[...] 2004-08-24
[18] 웹사이트 Royal Proclamation of February 1, 2005 https://web.archive.[...] Nepal Monarchy 2012-05-04
[19] 웹사이트 BBC NEWS – South Asia – Chinese 'deliver arms to Nepal' http://news.bbc.co.u[...] BBC 2005-11-25
[20] 웹사이트 12-point Maoist MoU http://nepalitimes.c[...] 2005-11-25
[21] 웹사이트 Political Parties http://www.nepalnews[...]
[22] 웹사이트 Farcical municipal elections intensify political instability in Nepal https://www.wsws.org[...] 2006-02-16
[23] 웹사이트 However tortuous the road may be, the victory of the world proletarian revolution is certain https://web.archive.[...] Human Rights Server 2001-05-28
[24] 웹사이트 Mysteries behind the Nepalese royal massacre {{!}} Trips@Asia https://www.tripsata[...]
[25] 웹사이트 Murder and intrigue in Katmandu http://www.tibet.ca/[...] World Tibet Network News 2001-06-13
[26]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Address to the Nation after imposition of Emergency, November 28,2001 https://www.satp.org[...]
[27] 웹사이트 Nepali Rebels Walk Away from Peace Talks http://www.worldpres[...] World Press 2003-08-27
[28] 웹사이트 Code of conduct as a point of departure https://web.archive.[...] 2003-03-19
[29] 웹사이트 More die in Nepal Maoist insurgency despite truce call https://web.archive.[...] ABC News Online 2003-09-28
[30] 웹사이트 37 killed as Maoist army attacks camp https://web.archive.[...] 2003-10-14
[31] 뉴스 Maoists 'sorry' UK officer held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0-27
[32] 웹사이트 How anti-monarchy movement took shape http://independent-b[...]
[33] 웹사이트 China arrests four Nepali Maoists for arms smuggling https://web.archive.[...] 2003-11-20
[34] 웹사이트 Nepal: Extra-judicial killings inquiry urgent http://www.scoop.co.[...] Scoop 2004-02-18
[35] 뉴스 India hands over two Maoist leaders to Nepal https://timesofindia[...] 2004-02-10
[36] 뉴스 Nepal anti-rebel leader shot dead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2-15
[37] 웹사이트 48 Maoist rebels killed in Nepal army attacks http://www.kurakani.[...] KuraKani 2004-02-17
[38] 웹사이트 Chronology of decade-long conflict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06-11-22
[39] 웹사이트 Nepal parties plan anti-monarchy rally http://www.int.iol.c[...] Independent Online 2004-04-09
[40] 웹사이트 140 Injured As Clashes Rock Nepal's Capital http://www.indolink.[...] INDOlink 2004-04-05
[41] 웹사이트 Maoist rebels storm police post in Nepal, kill 9 http://www.utusan.co[...] Utusan Online 2004-04-05
[42] 웹사이트 9 policemen dead as Maoists storm post in Nepal http://www.inq7.net/[...] INQ7 2004-04-05
[43] 웹사이트 Rebels storm police post, kill nine officers http://archive.gulfn[...] Gulfnews 2004-04-06
[44] 웹사이트 Maoists kill 9 policemen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04-04-05
[45] 웹사이트 Anti-monarchy protesters pack streets of Kathmandu http://www.inq7.net/[...] INQ7 2004-04-03
[46] 뉴스 Major parties take to the streets in Nepal http://www.hindu.com[...] 2004-03-14
[47] 웹사이트 Police want 'shopping trip' slowdown in Nepal http://www.thestates[...] The Statesman 2004-04-05
[48] 웹사이트 Maoist bicycle bomber attacks luxury hotel in capital of Nepal https://www.irishtim[...]
[49] 웹사이트 2005-01-29 – incident – Lamjung district २०६१-१०-१६ – घटना – लमजुङ जिल्ला http://nepalconflict[...]
[50] 웹사이트 Nepal rebels ready to surrender under UN supervision http://articles.time[...] The Times of India 2005-11-20
[51] 뉴스 Nepal opposition in Maoist talks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1-18
[52] 웹사이트 Nepal Rebels Call Off Four-Month Truce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06-01-02
[53] 뉴스 Nepal rebels call for indefinite strike against king http://www.boston.co[...] The Boston Globe 2006-02-18
[54] 뉴스 Anti-monarchy rallies spread in Nepal http://www.boston.co[...] The Boston Globe 2006-04-08
[55] 뉴스 Violent clashes amid Nepal curfew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4-10
[56] 뉴스 Nepal Maoist rebels declare tru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4-27
[57] 웹사이트 Nepal's Maoists Declare Ceasefire http://voanews.com/e[...] Voice of America 2006-04-27
[58] 뉴스 Nepal calls ceasefire with rebel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5-03
[59] 뉴스 Peace deal ends Nepal's civil w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1-21
[60] 웹사이트 The Rising Nepal: The Maoist Movement on Terminal Decline?: Ritu Raj Subedi http://therisingnepa[...]
[61] 웹사이트 Krambhang, Dhulikhel and Tarang - Thoughts - Kantipur news https://www.kantipur[...]
[62] 웹사이트 Disruption in Nepali culture ehimalayatimes.com 2017-08-12
[63] 웹사이트 Selecting Commissioners for Nepal'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ttp://ictj.org/sele[...]
[64] 웹사이트 Doubts abound over Nepal'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ttps://kbr.id/engli[...] kbr.id 2016-08-29
[65] 웹사이트 My Republica – TRC member Madhabi Bhatta says she feels security threat http://archive.myrep[...] archive.myrepublica.com
[66] 웹사이트 TRC member Bhatta complains of threat to her security https://thehimalayan[...] The Himalayan Times 2016-02-21
[67] 웹사이트 Nepal: Consolidating The Peace – Analysis http://www.eurasiare[...] Eurasia Review 2012-04-24
[68] 뉴스 Nepal PM defends leaked tape, says he has over 100,000 fighters https://www.deccanhe[...] Deccan Herald 2009-05-06
[69] 웹사이트 Arms Transfers Database http://armstrade.sip[...]
[70] 웹사이트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a: Secretive arms exports stoking conflict and repression https://www.amnesty.[...]
[71] 뉴스 Chinese 'deliver arms to Nepal' http://news.bbc.co.u[...] 2005-11-25
[72] 간행물 Inside Nepal's Revolution..... (just to check..!!!)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5-11
[73] 웹사이트 17,800 people died during conflict period, says Ministry of Peace http://www.nepalnews[...]
[74] 서적 ネパール全史 世界歴史叢書
[75] 서적 ネパール全史 世界歴史叢書
[76] 서적 ネパール全史 世界歴史叢書
[77] 서적 ネパール全史 世界歴史叢書
[78] 서적 ネパール全史 世界歴史叢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