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은 벨기에 공영 방송 RTBF 채널 1에서 가상 뉴스 보도가 방영된 사건이다. 보도에서는 플랑드르 지역 독립 선언, 국왕 부부 망명 등 벨기에의 정치적 지형을 뒤흔드는 내용이 허위로 보도되었으며, RTBF는 픽션임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벨기에 전역에서 혼란과 논쟁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언론의 역할과 책임, 허위 정보의 위험성을 일깨웠으며, RTBF의 보도 방식에 대한 비판과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는 목소리가 제기되었다. 사건 이후 RTBF는 시청자들의 비판을 수용하여 보도 방식 개선을 약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날조 - 몽스의 천사
몽스의 천사 이야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몽스 전투에서 영국군을 도왔다는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소문으로, 군 사기 진작에 활용되었으나 허구 논란과 정보 조작 가능성, 그리고 다양한 재해석으로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벨기에의 논란 - 즈바르터 핏
즈바르터 핏은 신터클라스 축제에 등장하는 신터클라스의 조력자로, 검은 얼굴과 화려한 의상이 특징이었으나 인종차별 논란으로 인해 외모 변화 및 캐릭터 폐지 논쟁이 있는 존재이다. - 벨기에의 논란 - 휘호 클라우스
휘호 클라우스는 벨기에 출신의 소설가, 극작가, 시인, 영화 감독, 화가로, 사회 비판적인 작품 활동과 코브라 미술 운동 참여, 영화 감독 활동 등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통해 벨기에 문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논란 속에서도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고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 | |
---|---|
사건 개요 | |
사건명 | 플랑드르 분리 사기극 |
발생일 | 2006년 12월 13일 |
유형 | 허구 다큐멘터리 |
방송 채널 | RTBF (벨기에 프랑스어 방송) |
제목 (프랑스어) | Tout ça (ne nous rendra pas la Belgique) (이 모든 것이 벨기에를 되찾아주지는 않을 것이다) |
사건 내용 | |
내용 요약 | 벨기에의 분열과 플랑드르의 독립을 선언하는 허구의 뉴스 속보 방송 |
반응 | 시청자들의 혼란과 불안 야기 |
관련 인물 | 조프루아 쿠망 드 브라센 (Geoffroy Coomans de Brachène) 파딜라 라아난 (Fadila Laanan) 필리프 뒤틸뢰 (Philippe Dutilleul) |
결과 | |
여파 | 방송사의 사과 및 논란 |
영향 | 벨기에의 정치적 긴장과 언론의 책임에 대한 논쟁 촉발 |
기타 | |
관련 기사 | BBC 뉴스 - 시청자들이 '벨기에 분열'에 속다 국제 헤럴드 트리뷴 - 벨기에 시청자들이 분리 독립 발표 TV 사기극에 속다 |
2. 사건 개요
2006년 12월 13일, 벨기에의 프랑스어 방송 채널인 RTBF 채널 1에서 벨기에의 미래에 대한 논란을 다룬 가상 뉴스 보도가 방영되었다. 이 보도는 플랑드르의 독립 선언과 알베르 2세 국왕 부부의 킨샤사 망명, 국경 봉쇄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헤르만 드 크로 벨기에 의회 의장, 가수 악셀르 레드 등의 인터뷰를 포함했다.
방송 시작 30분 후, RTBF는 "지금 방송되는 내용은 픽션입니다."라는 프랑스어 자막을 통해 보도 내용이 허구임을 알렸다.
2. 1. 보도 내용
문제의 보도는 RTBF 채널 1에서 시청자들로 하여금 벨기에의 미래에 대한 논란을 가중시켰고 1830년 벨기에 독립 이후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나, 벨기에 (Moi, Belgique)》를 계속 이어나가려는 목적이었다.12월 13일 오후 8시 21분 《RTBF 채널 1에 묻는다 (Questions à la Une de la RTBF)》가 방영되던 중에 "플랑드르가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알베르 2세 벨기에 국왕 부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킨샤사로 탈출하였으며 각 지역의 경계선마다 바리케이트가 세워졌다"고 보도했다. 또 벨기에 의회 의장 헤르만 드 크로, 가수 악셀르 레드 및 시민들의 반응을 인터뷰하여 내보내기도 했다. 이 보도는 수정 방송이 나온 다음날 1시 30분경까지 벨기에의 각 지역에서 문제의 프로그램에서 진위 여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보도가 나오기 시작한 지 약 30분 정도 지난 후 RTBF는 "지금 방송되는 내용은 픽션입니다."("Ceci est une fiction")라는 프랑스어 자막을 계속 내보냈다.
2. 2. RTBF의 해명
문제의 보도는 RTBF 채널 1에서 시청자들로 하여금 벨기에의 미래에 대한 논란을 가중시켰고, 1830년 벨기에 독립 이후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나, 벨기에 (Moi, Belgique)》를 계속 이어나가려는 목적이었다.보도가 나오기 시작한 지 약 30분 정도 지난 후 RTBF는 "지금 방송되는 내용은 픽션입니다."("Ceci est une fiction")라는 프랑스어 자막을 계속 내보냈다.
3. 반응
이 보도는 벨기에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일부 시청자들은 방송 마지막까지 이것이 사실이라고 믿었다.[1] RTBF에는 문의 전화가 쇄도했고, 웹사이트 게시판 이용자도 급증했다.[1] 보도가 거짓으로 밝혀진 후, 시청자들의 경악은 분노로 바뀌어 다음날까지 항의가 이어졌고, 조간 신문들은 RTBF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옹호하는 기사를 실었다.[1]
벨기에 왕실은 기자회견을 통해 언론 보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면서도, 이 프로그램이 질 나쁜 거짓 보도의 특징을 보였다는 점을 지적했다.[1]
3. 1. 벨기에 국민의 반응
벨기에 국민 대부분은 이 보도가 거짓이라는 것을 눈치채지 못했으며, "이것은 픽션입니다"라는 자막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약 6% 정도의 시청자들이 방송 마지막까지 이것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었다.[1] RTBF에는 곧 문의 전화가 쇄도했으며, 웹사이트 게시판은 평소보다 훨씬 많은 이용자가 찾았다.[1] 처음 보도를 접했을 당시 시청자들이 느낀 경악은 이 보도가 거짓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분노로 바뀌었으며, 다음날까지 항의가 쇄도했다.[1] 다음날 조간 신문에는 RTBF의 행동에 대한 비난 혹은 옹호 기사들이 실렸다.[1]3. 2. 벨기에 왕실의 반응
벨기에 왕실은 기자회견을 통해 "TV 프로그램이나 언론의 행동에 대해 논하는 것은 왕실의 역할이 아니"라고 언급하면서도, "많은 시청자들이 이 프로그램이 질 나쁜 거짓 보도의 특징을 갖고 있음을 눈치챘다는 걸 언급해 두겠다"라고 밝혔다.[1]4. 기타
RTBF에 따르면 문제의 방송 프로그램은 51만 4800명이 시청했으며 시청률은 28.1%였다. 뒤이은 특별 대담은 약 30만 명이 시청하였다. 프로그램 방영 당시 RTBF에는 31,368회의 문의 전화가 걸려왔으며 문자 메시지는 21,338건이 접수되었다.
참조
[1]
뉴스
Viewers fooled by 'Belgium split'
http://news.bbc.co.u[...]
news.bbc.co.uk
2006-12-14
[2]
웹사이트
Belgian viewers fall for TV hoax announcing breakaway state
http://www.iht.c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