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AFC 챌린지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신생 및 실력 하위 국가들을 위해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당초 네팔과 공동 개최 예정이었으나 네팔의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변경되었다. 타지키스탄이 결승전에서 스리랑카를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브라힘 라비모프가 MVP, 파헤드 아탈이 득점왕, 스리랑카가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4월 - 2006년 이탈리아 총선
2006년 이탈리아 총선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중도우파 '자유의 집'과 로마노 프로디의 중도좌파 '연합' 간 대결로, 경제 정책 등을 쟁점으로 치러져 '연합'의 승리로 로마노 프로디가 총리에 취임하며 이탈리아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선거이다. - 2006년 4월 - 2006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06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쿠알라룸푸르와 프탈링자야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FIFA U-20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여자 선수권 대회
2010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여자 선수권 대회는 8개국이 참가하여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SAFF 주관의 여자 축구 대회로, 인도 우승을 차지했다. -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0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AFC가 주관하여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AFC 회원국 내 상위 리그에 속하지 않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레가르-타다즈가 우승하였다.
2006년 AFC 챌린지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AFC 챌린지컵 |
개최 연도 | 2006년 |
개최 국가 | 방글라데시 |
개최 기간 | 2006년 4월 1일 – 2006년 4월 16일 |
참가 팀 수 | 16팀 |
경기장 수 | 3개 |
개최 도시 수 | 2개 |
대회 결과 | |
우승 팀 | 타지키스탄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팀 | 스리랑카 |
공동 3위 팀 | 키르기스스탄, 네팔 |
총 경기 수 | 31경기 |
총 득점 수 | 82골 |
총 관중 수 | 150,150명 |
최다 득점 선수 | 파헤드 아탈 (8골) |
최우수 선수 | 이브라힘 라비모프 |
대회 관련 | |
![]() | |
다음 대회 | 2008년 |
2. 참가 팀 분류 및 선정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회원국을 실력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누었다.[13] 이 중 '신생 협회'로 분류된 17개 팀이 2006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할 예정이었다. 당초 몽골, 라오스, 동티모르가 참가를 포기하고, 방글라데시와 인도가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인도는 2006년 AFC U-20 챔피언십 준비를 위해 20세 이하(U-20) 대표팀을 파견했고, 키르기스스탄은 2006년 AFC U-20 챔피언십 예선을 통과한 U-20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구성했다.[14]
2. 1. 참가국 목록
AFC는 당시 회원국이 아니었던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45개 회원국을 회원국의 실력에 따라서 3개 조로 나누었다.[13] 이 중 축구 발전이 더딘 17개 팀이 '신생 협회'로 분류되어 2006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하게 되었다.[2]2005년 8월에 17개 팀이 선정되었으나, 라오스, 몽골, 동티모르가 참가를 포기하고, 방글라데시와 인도가 대체로 합류하여 최종 16개 팀이 되었다.
당초 2006년 AFC 챌린지컵은 방글라데시와 네팔의 공동 개최로 계획되었으나, 네팔의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방글라데시 단독 개최로 변경되었다.[5][6][7][8]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연례 회의에서 개막식은 방글라데시가, 결승전은 방글라데시가 결승에 진출하지 않는 한 네팔이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방글라데시가 결승에 진출할 경우 결승전은 수도 다카에서 열릴 예정이었다.[3][4]
3. 개최국 및 경기장
대회는 방글라데시의 독립기념일(3월 26일)과의 일정 충돌을 피하기 위해 원래 예정되었던 2006년 3월 26일부터 4월 9일까지의 일정에서 변경되었다.[9]
경기는 다음 경기장에서 열렸다.
폭우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것을 보완하기 위해 다카의 방글라데시 육군 경기장(Bangladesh Army Stadium)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4. 조별 리그
2006년 AFC 챌린지컵은 각 조 2위까지 8강에 진출했다.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 같은 승점을 얻은 팀이 둘 이상일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 해당 팀들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들 간의 경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들 간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모든 조별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승부차기 (두 팀만 동률이고 모두 경기장에 있는 경우)
## 조별리그 경기에서 받은 경고 및 퇴장 카드 수 (적은 쪽이 우선)
## 조직위원회의 추첨
A조, B조, C조, D조의 상세한 경기 결과는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고.
4. 1. A조
2006년 AFC 챌린지컵 A조에는 인도(U-20), 중화 타이베이, 필리핀, 아프가니스탄이 속해 있었다. 인도는 2006년 AFC U-20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U-20 대표팀으로 참가했다.- 경기 결과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
---|---|---|---|---|---|---|
2006년 4월 1일 | 15:30 | 인도 (U-20) | 2 – 0 | 아프가니스탄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2,500명 |
2006년 4월 1일 | 18:00 | 중화 타이베이 | 1 – 0 | 필리핀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4,000명 |
2006년 4월 3일 | 15:30 | 필리핀 | 1 – 1 | 인도 (U-20)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2,000명 |
2006년 4월 3일 | 18:00 | 아프가니스탄 | 2 – 2 | 중화 타이베이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2,500명 |
2006년 4월 5일 | 15:30 | 인도 (U-20) | 0 – 0 | 중화 타이베이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2,000명 |
2006년 4월 5일 | 18:00 | 필리핀 | 1 – 1 | 아프가니스탄 | MA 아지즈 경기장, 치타공 | 3,000명 |
- 득점 선수
팀 | 선수 | 득점 |
---|---|---|
인도(U-20) | 비말 파리야르(Vimal Pariyar) | 3 |
중화 타이베이 | 좡웨이룬(Chuang Wei-lun) | 2 |
량첸웨이(Liang Chien-wei) | 1 | |
필리핀 | 알빈 발레로소(Alvin Valeroso) | 2 |
아프가니스탄 | 하피줄라 카다미(Hafizullah Qadami) | 2 |
사이드 마크수드 하셰미(Sayed Maqsood Hashemi) | 1 |
4. 2. B조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06년 4월 2일 | 스리랑카 | 1 – 0 | 브루나이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2006년 4월 2일 | 네팔 | 2 – 0 | 부탄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2006년 4월 4일 | 부탄 | 0 – 1 | 스리랑카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2006년 4월 4일 | 브루나이 | 2 – 1 | 네팔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2006년 4월 6일 | 스리랑카 | 1 – 1 | 네팔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2006년 4월 6일 | 부탄 | 0 – 0 | 브루나이 | M.A. 아지즈 스타디움, 치타공 |
4. 3. C조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득점 선수 |
---|---|---|---|---|---|
2006년 4월 1일 | 팔레스타인 | 11 – 0 | 괌 |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아흐메드 케시케시(Keshkesh) أحمد كشكش|아흐메드 카슈카슈ar (전 6분), 파헤드 아탈(Attal) فهد عتال|파하드 아탈ar (전 14분, 전 20분, 전 25분, 전 32분, 전 45+1분, 후 41분), 프란시스코 아투라(Atura) فرانسيسكو أتورا|프란시스코 아투라ar (전 22분), 이스마일 알 아무르(Al Amour) إسماعيل العمور|이스마일 알 아무르ar (전 39분), 지야드 알-코르드(Al-Kord) زياد الكرد|지야드 알 쿠르드ar (후 14분, 후 22분) |
2006년 4월 1일 | 방글라데시 | 2 – 1 | 캄보디아 |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알파즈 아흐메드(Alfaz) (전 31분), 모하메드 자히드 호세인 아멜리(Ameli) (후 19분) / 찬 리티(C. Rithy) (후 23분) |
2006년 4월 3일 | 캄보디아 | 0 – 4 | 팔레스타인 |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아흐메드 케시케시(Keshkesh) أحمد كشكش|아흐메드 카슈카슈ar (전 10분), 이브라힘 알-스웨이르키(Al-Sweirki) إبراهيم السويركي|이브라힘 알 수와이르키ar (전 12분, 후 30분), 파헤드 아탈(Attal) فهد عتال|파하드 아탈ar (전 30분) |
2006년 4월 3일 | 괌 | 0 – 3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모하메드 자히드 호세인 아멜리(Ameli) (후 4분), 모하메드 아불 호세인 아불(Abul) (후 38분, 후 40분) |
2006년 4월 5일 | 팔레스타인 | 1 – 1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파헤드 아탈(Attal) فهد عتال|파하드 아탈ar (전 30분) / 메헤디 하산 타푸(Tapu) (후 10분) |
2006년 4월 6일 | 캄보디아 | 3 – 0 | 괌 | 방글라데시 육군 경기장, 다카 | 석 분티앙(S. Buntheang) (전 37분), 케오 코살(Kosal) (전 40분), 쿠치 소쿰피악(K. Kumpheak) (후 18분) |
4. 4. D조
- 타지키스탄|타지키스탄tg 4 - 0 마카오 (2006년 4월 2일 15:3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키르기스스탄|키르기스스탄ky 0 - 1 파키스탄 (2006년 4월 2일 18:0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파키스탄 0 - 2 타지키스탄|타지키스탄tg (2006년 4월 4일 15:3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타지키스탄|타지키스탄tg 0 - 1 키르기스스탄|키르기스스탄ky (2006년 4월 6일 14:0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파키스탄 2 - 2 마카오 (2006년 4월 6일 16:0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 마카오 0 - 2 키르기스스탄|키르기스스탄ky (2006년 4월 7일 14:00, 방글라데시 국립경기장, 다카)
5. 결선 토너먼트
2006년 AFC 챌린지컵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4강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각 조 1, 2위 팀들이 맞붙어 스리랑카, 네팔, 키르기스스탄(1992년 당시 국기 사용), 타지키스탄이 승리했다.[1][2][3][4] 4강전에서는 스리랑카가 네팔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5] 타지키스탄은 키르기스스탄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6] 결승전에서는 타지키스탄이 스리랑카를 4-0으로 대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11]
5. 1. 8강전
경기일 | 장소 | 팀 1 | 득점 | 팀 2 | 비고 |
---|---|---|---|---|---|
2006년 4월 8일 | 치타공 MA 아지즈 스타디움 | ශ්රී ලංකා|스리랑카si | 3 – 0 |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이자딘 (44분), 산자야 (70분), 라트나야카 (90분) 득점[1] |
2006년 4월 9일 | 치타공 MA 아지즈 스타디움 | भारत|인도hi (U-20) | 0 – 3 | नेपाल|네팔ne | 프라딥 (16분, 26분), 바산타 (28분) 득점[2] |
2006년 4월 9일 | 다카 방가반두 국립 경기장 | فلسطين|팔레스타인ar | 0 – 1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1992) | 잠시도프 (90+1분) 득점[3] |
2006년 4월 10일 | 다카 방가반두 국립 경기장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6 – 1 |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 | 라비모프 (2분), 마흐무도프 (20분), 무키디노프 (31분), 하키모프 (51분), 라비예프 (65분), 네마토프 (81분) 득점 방글라데시는 알파즈 (17분) 득점[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