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구정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구정컵은 2008년 1월 22일부터 25일까지 홍콩 스타디움에서 열린 축구 대회이다. 하이두크 스플리트, 홍콩 리그 선발, 페냐롤, 울산 현대가 참가했으며, 홍콩 리그 선발이 우승했다. 대회는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으며, 준결승에서는 홍콩 리그 선발과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승리했다. 3위 결정전에서는 페냐롤이 승부차기 끝에 울산 현대를 꺾었다. 결승전에서 홍콩 리그 선발은 하이두크 스플리트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홍콩 - 제27회 홍콩 영화 금상장
2008년에 개최된 제27회 홍콩 영화 금상장은 그 해 홍콩 영화계의 뛰어난 작품과 영화인들의 업적을 기린 시상식으로, 진가신 감독의 《무인: 전쟁의 서막》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고 이연걸, 사금고와, 유덕화 등 뛰어난 배우들이 남녀 주연상과 조연상을 수상했다. - 2008년 홍콩 - 진관희 음란 사진 유출 사건
진관희 음란 사진 유출 사건은 2008년 1월 말 홍콩 배우 겸 가수 진관희의 개인 컴퓨터에서 유출된 사적인 사진들이 인터넷에 확산되며 발생, 관련자들의 사생활 침해와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진관희는 연예계 은퇴를, 관련 여성 연예인들은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 2008년 2월 - 숭례문 방화 사건
숭례문 방화 사건은 2008년 채종기가 숭례문에 방화하여 국보 1호인 숭례문 2층 문루의 대부분을 소실시키고 현판을 훼손시킨 사건이며, 이후 채종기는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고 2013년 5월 복원된 숭례문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 2008년 2월 - 2008년 중국 설해
2008년 중국 설해는 1월부터 중국 대부분 지역에 발생한 폭설과 한파로, 특히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인적, 물적 피해와 춘절 기간 교통 마비, 물가 상승 등 사회 경제적 혼란을 야기한 자연재해이다. - 구정컵 - 2017년 구정컵
2017년 구정컵은 FC 서울, 무앙통 유나이티드, 킷치 SC, 오클랜드 시티 FC 총 4개 팀이 참가하여 홍콩 스타디움에서 열린 축구 대회로, 결승전에서 오클랜드 시티 FC가 킷치 SC를 꺾고 우승했으며, 3-4위전에서는 무앙통 유나이티드가 FC 서울을 꺾고 3위를 기록했다. - 구정컵 - 2001년 구정컵
2001년 구정컵은 칼스버그가 후원하고 홍콩 리그 선발팀, 대한민국, 노르웨이, 파라과이 4개 팀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노르웨이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젊은 선수들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팀 조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8년 구정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구정컵 |
연도 | 2008 |
개최국 | 홍콩 |
개최 기간 | 2008년 1월 22일 ~ 2008년 1월 25일 |
참가 팀 수 | 4 |
경기장 수 | 1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 홍콩 리그 올스타 |
준우승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3위 | 페냐롤 |
4위 | 울산 현대 |
총 경기 수 | 4 |
총 득점 | 11 |
경기당 득점 | 2.75 |
총 관중 수 | 43308 |
경기당 관중 수 | 10,827 |
최다 득점 선수 | 믈라덴 바르톨로비치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고란 스탄코프스키 (홍콩 리그 올스타) |
골 수 | 2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7년 구정컵 |
다음 대회 | 2009년 구정컵 |
2. 대회 방식
4개 팀이 참가하는 준결승전은 쥐띠의 중국 설날(2008년 2월 7일)에 열린다. 승리한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패배한 팀은 3위 결정전을 치른다(두 경기는 모두 음력 설날 4일째인 2008년 2월 10일에 열린다). 준결승전과 3위 결정전에서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바로 승자를 가리며, 연장전은 없다. 결승전의 경우, 동점일 경우 30분간의 연장전이 진행된다.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
3. 참가 팀
4. 선수 명단
2008년 구정컵에 참가한 팀들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하이두크 스플리트'''[1]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1 | GK | Miro Varvodić|미로 바르보디치hr | 1989년 5월 15일 (18세) |
3 | DF | Goran Jozinović|고란 요지노비치hr | 1990년 8월 27일 (17세) |
4 | MF | Dario Damjanović|다리오 담야노비치bs | 1981년 7월 23일 (26세) |
5 | DF | Jurica Buljat|유리차 불잣hr | 1986년 9월 12일 (21세) |
6 | DF | Boris Živković|보리스 지브코비치hr | 1975년 11월 15일 (32세) |
7 | MF | Mladen Pelaić|믈라덴 펠라이치hr | 1983년 8월 20일 (24세) |
10 | MF | Florin Cernat|플로린 체르나트ro | 1980년 3월 10일 (27세) |
11 | MF | Srđan Andrić|스르잔 안드리치hr | 1980년 1월 5일 (28세) |
12 | GK | Vladimir Balić|블라디미르 발리치hr | 1970년 9월 29일 (37세) |
13 | FW | Ante Rukavina|안테 루카비나hr | 1986년 6월 18일 (21세) |
14 | MF | Marin Ljubičić|마린 류비치치hr | 1988년 6월 15일 (19세) |
15 | MF | Drago Gabrić|드라고 가브리치hr | 1986년 9월 7일 (21세) |
16 | FW | Mladen Bartolović|믈라덴 바르톨로비치bs | 1977년 4월 10일 (30세) |
17 | MF | Mate Maleš|마테 말레시hr | 1989년 3월 11일 (18세) |
18 | MF | Mirko Hrgović|미르코 흐르고비치bs | 1979년 2월 5일 (28세) |
20 | DF | Goran Sablić|고란 사블리치hr | 1979년 8월 4일 (28세) |
22 | DF | Mario Maloča|마리오 말로차hr | 1989년 5월 4일 (18세) |
23 | DF | Igor Tudor|이고르 투도르hr (주장) | 1978년 4월 16일 (29세) |
24 | MF | Mario Tičinović|마리오 티치노비치hr | 1991년 8월 20일 (16세) |
25 | GK | Božidar Radošević|보지다르 라도셰비치hr | 1989년 4월 4일 (18세) |
26 | MF | Goran Rubil|고란 루빌hr | 1981년 3월 9일 (26세) |
29 | FW | Māris Verpakovskis|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lv | 1979년 10월 15일 (28세) |
30 | FW | Tomislav Bušić|토미슬라브 부시치hr | 1986년 2월 2일 (22세) |
MF | Siniša Linić|시니샤 리니치hr | 1982년 8월 23일 (25세)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생년월일(나이) | 소속 클럽 |
---|---|---|---|---|---|
1 | GK | 루시아누 | 1974년 4월 10일 (33세) | 이스턴 | |
2 | DF | 리 치 호 | 1982년 11월 1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3 | MF | 제라드 암바사 가이 | 1978년 9월 21일 (29세) | 해피 밸리 | |
4 | MF | 위스덤 포포 아그보 | 1979년 6월 25일 (28세) | 불로바 레인저스 | |
5 | MF | 에드가 알드리히 주니어 | 1974년 3월 30일 (33세) | 워푸 타이포 | |
6 | DF | 페스투스 바이스 | 1980년 4월 11일 (27세) | 시티즌 | |
7 | FW | 고란 스탄코브스키 | 1976년 11월 20일 (31세) | 키체 | |
9 | FW | 왕 쉬안홍 | 1989년 7월 24일 (18세) | 시티즌 | |
11 | MF | 리 하이치앙 (주장) | 1977년 5월 3일 (30세) | 사우스 차이나 | |
12 | MF | 베토 | 1983년 5월 28일 (24세) | 컨보이 선 헤이 | |
15 | DF | 찬 와이 호 | 1982년 4월 24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17 | GK | 파비오 올리베이라 | 1975년 10월 12일 (32세) | 해피 밸리 | |
18 | FW | 찬 시우 키 | 1985년 7월 14일 (22세) | 키체 | |
20 | DF | 푼 유 척 | 1977년 9월 19일 (30세) | 해피 밸리 | |
21 | MF | 만 페이 탁 | 1982년 2월 1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22 | FW | 지오바네 | 1982년 11월 25일 (25세) | 컨보이 선 헤이 | |
25 | DF | 크리스 | 1980년 10월 9일 (27세) | 사우스 차이나 | |
26 | MF | 이타파리카 | 1980년 7월 8일 (27세) | 사우스 차이나 | |
27 | FW | 맥스웰 | 1979년 4월 23일 (28세) | 사우스 차이나 | |
28 | DF | 시드랄손 | 1982년 2월 2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29 | FW | 탈레스 슈츠 | 1981년 8월 22일 (26세) | 사우스 차이나 | |
30 | FW | 데티뉴 | 1973년 9월 11일 (34세) | 사우스 차이나 |
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
1 | GK | 다미안 프라스카렐리|다미안 프라스카렐리es | 1985년 6월 2일 |
2 | DF | 마티아스 만리케|마티아스 만리케es | 1980년 11월 1일 |
5 | MF | 마리오 알바레스|마리오 알바레스es | 1981년 10월 9일 |
6 | DF | 다리오 로드리게스|다리오 로드리게스es | 1974년 9월 7일 |
7 | FW | 호세 마리아 프랑코|호세 마리아 프랑코es | 1978년 9월 28일 |
8 | FW | 안토니오 파체코|안토니오 파체코es | 1976년 4월 11일 |
9 | FW | 페르난도 코레아|페르난도 코레아es | 1974년 1월 6일 |
10 | FW | 루벤 올리베라|루벤 올리베라es | 1983년 5월 4일 |
11 | FW | 파비안 에스토야노프|파비안 에스토야노프es | 1982년 9월 27일 |
12 | GK | 기예르모 레예스|기예르모 레예스es | 1986년 7월 10일 |
14 | DF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알레한드로 곤살레스es | 1988년 3월 23일 |
15 | MF | 마르셀 로만|마르셀 로만es | 1988년 2월 7일 |
16 | MF | 디에고 로드리게스|디에고 로드리게스es | 1986년 8월 8일 |
17 | MF | 카를로스 디아스|카를로스 디아스es | 1979년 2월 4일 |
18 | MF | 오마르 페레스|오마르 페레스es | 1976년 9월 20일 |
19 | FW | 세르히오 페레스|세르히오 페레스es | 1988년 5월 26일 |
20 | FW | 카를로스 부에노|카를로스 부에노es | 1980년 5월 10일 |
23 | MF | 훌리오 모초|훌리오 모초es | 1981년 4월 20일 |
24 | MF | 막시밀리아노 바흐테르|막시밀리아노 바흐테르es | 1986년 3월 1일 |
31 | DF | 알바로 아리아스|알바로 아리아스es | 1988년 10월 3일 |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1 | GK | 김영광 | 1983년 6월 28일 |
4 | DF | 이윤섭 | 1979년 7월 30일 |
5 | DF | 유경렬 | 1978년 8월 15일 |
6 | DF | 박동혁 | 1979년 4월 18일 |
7 | MF | 브라질리아|크리스치아누 페레이라 데 수자pt | 1977년 7월 28일 |
8 | MF | 이상호 | 1987년 5월 9일 |
10 | FW | 루이징요|루이스 카를루스 페르난데스pt | 1985년 6월 25일 |
13 | MF | 현영민 | 1979년 12월 25일 |
14 | MF | 유호준 | 1985년 1월 14일 |
15 | MF | 김영삼 | 1982년 4월 4일 |
16 | MF | 오장은 | 1985년 7월 24일 |
19 | FW | 이진호 | 1984년 9월 3일 |
20 | DF | 이상돈 | 1985년 8월 12일 |
22 | FW | 우성용 | 1973년 8월 18일 |
24 | DF | 서덕규 | 1978년 10월 22일 |
25 | MF | 김지민 | 1984년 11월 27일 |
31 | GK | 최무림 | 1979년 4월 15일 |
33 | DF | 이세환 | 1986년 4월 21일 |
36 | FW | 이진우 | 1982년 9월 3일 |
DF | 박병규 | 1982년 3월 1일 |
4. 1. 하이두크 스플리트
직책 | 이름 |
---|---|
단장 | 이비차 슈르약 |
스포츠 디렉터 | 토미슬라브 에르체그 |
감독 | 로베르트 야르니 |
코치 | 사샤 글라바슈 |
경제 | 미로 콜라크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1 | GK | Miro Varvodić|미로 바르보디치hr | 1989년 5월 15일 (18세) |
3 | DF | Goran Jozinović|고란 요지노비치hr | 1990년 8월 27일 (17세) |
4 | MF | Dario Damjanović|다리오 담야노비치bs | 1981년 7월 23일 (26세) |
5 | DF | Jurica Buljat|유리차 불잣hr | 1986년 9월 12일 (21세) |
6 | DF | Boris Živković|보리스 지브코비치hr | 1975년 11월 15일 (32세) |
7 | MF | Mladen Pelaić|믈라덴 펠라이치hr | 1983년 8월 20일 (24세) |
10 | MF | Florin Cernat|플로린 체르나트ro | 1980년 3월 10일 (27세) |
11 | MF | Srđan Andrić|스르잔 안드리치hr | 1980년 1월 5일 (28세) |
12 | GK | Vladimir Balić|블라디미르 발리치hr | 1970년 9월 29일 (37세) |
13 | FW | Ante Rukavina|안테 루카비나hr | 1986년 6월 18일 (21세) |
14 | MF | Marin Ljubičić|마린 류비치치hr | 1988년 6월 15일 (19세) |
15 | MF | Drago Gabrić|드라고 가브리치hr | 1986년 9월 7일 (21세) |
16 | FW | Mladen Bartolović|믈라덴 바르톨로비치bs | 1977년 4월 10일 (30세) |
17 | MF | Mate Maleš|마테 말레시hr | 1989년 3월 11일 (18세) |
18 | MF | Mirko Hrgović|미르코 흐르고비치bs | 1979년 2월 5일 (28세) |
20 | DF | Goran Sablić|고란 사블리치hr | 1979년 8월 4일 (28세) |
22 | DF | Mario Maloča|마리오 말로차hr | 1989년 5월 4일 (18세) |
23 | DF | Igor Tudor|이고르 투도르hr (주장) | 1978년 4월 16일 (29세) |
24 | MF | Mario Tičinović|마리오 티치노비치hr | 1991년 8월 20일 (16세) |
25 | GK | Božidar Radošević|보지다르 라도셰비치hr | 1989년 4월 4일 (18세) |
26 | MF | Goran Rubil|고란 루빌hr | 1981년 3월 9일 (26세) |
29 | FW | Māris Verpakovskis|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lv | 1979년 10월 15일 (28세) |
30 | FW | Tomislav Bušić|토미슬라브 부시치hr | 1986년 2월 2일 (22세) |
MF | Siniša Linić|시니샤 리니치hr | 1982년 8월 23일 (25세) |
4. 2. 홍콩 리그 선발
직책 | 이름 | 비고 |
---|---|---|
팀 매니저 | 량 리팅, 로 키트 싱, 차우 만 렁 | |
행정 매니저 | 창 와이 충, 리 윤 와 | |
코치 | 조제 루이스 | |
코치 보조 | 람보 조세 리카르도 | |
어시스턴트 코치 | 로 카이 와, 리 킨 워 | |
피트니스 코치 | 찬 히우 밍 | |
골키퍼 코치 | 리우 춘 파이 | |
물리 치료사 | 루이 얏 홍 | |
팀 어시스턴트 | 콴 곤 상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생년월일(나이) | 소속 클럽 |
---|---|---|---|---|---|
1 | GK | 루시아노 | 1974년 4월 10일 (33세) | 이스턴 | |
2 | DF | 리 치 호 | 1982년 11월 1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3 | MF | 제라드 암바사 가이 | 1978년 9월 21일 (29세) | 해피 밸리 | |
4 | MF | 위스덤 포포 아그보 | 1979년 6월 25일 (28세) | 불로바 레인저스 | |
5 | MF | 에드가 알드리히 주니어 | 1974년 3월 30일 (33세) | 워푸 타이포 | |
6 | DF | 페스투스 바이스 | 1980년 4월 11일 (27세) | 시티즌 | |
7 | FW | 고란 스탄코브스키 | 1976년 11월 20일 (31세) | 키체 | |
9 | FW | 왕 쉬안홍 | 1989년 7월 24일 (18세) | 시티즌 | |
11 | MF | 리 하이치앙 (주장) | 1977년 5월 3일 (30세) | 사우스 차이나 | |
12 | MF | 베토 | 1983년 5월 28일 (24세) | 컨보이 선 헤이 | |
15 | DF | 찬 와이 호 | 1982년 4월 24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17 | GK | 파비오 올리베이라 | 1975년 10월 12일 (32세) | 해피 밸리 | |
18 | FW | 찬 시우 키 | 1985년 7월 14일 (22세) | 키체 | |
20 | DF | 푼 유 척 | 1977년 9월 19일 (30세) | 해피 밸리 | |
21 | MF | 만 페이 탁 | 1982년 2월 1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22 | FW | 지오바네 | 1982년 11월 25일 (25세) | 컨보이 선 헤이 | |
25 | DF | 크리스 | 1980년 10월 9일 (27세) | 사우스 차이나 | |
26 | MF | 이타파리카 | 1980년 7월 8일 (27세) | 사우스 차이나 | |
27 | FW | 맥스웰 | 1979년 4월 23일 (28세) | 사우스 차이나 | |
28 | DF | 시드랄손 | 1982년 2월 26일 (25세) | 사우스 차이나 | |
29 | FW | 탈레스 슈츠 | 1981년 8월 22일 (26세) | 사우스 차이나 | |
30 | FW | 데티뉴 | 1973년 9월 11일 (34세) | 사우스 차이나 |
4. 3. 페냐롤
2008년 구정컵 페냐롤 선수 명단[1][5] | |||||
---|---|---|---|---|---|
코디네이터 | 후안 페드로 다미아니 | ||||
코치 | 구스타보 마토사스 | ||||
감독 | 호르헤 로페스 | ||||
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
1 | GK | 다미안 프라스카렐리|다미안 프라스카렐리es | 1985년 6월 2일 | ||
2 | DF | 마티아스 만리케|마티아스 만리케es | 1980년 11월 1일 | ||
5 | MF | 마리오 알바레스|마리오 알바레스es | 1981년 10월 9일 | ||
6 | DF | 다리오 로드리게스|다리오 로드리게스es | 1974년 9월 7일 | ||
7 | FW | 호세 마리아 프랑코|호세 마리아 프랑코es | 1978년 9월 28일 | ||
8 | FW | 안토니오 파체코|안토니오 파체코es | 1976년 4월 11일 | ||
9 | FW | 페르난도 코레아|페르난도 코레아es | 1974년 1월 6일 | ||
10 | FW | 루벤 올리베라|루벤 올리베라es | 1983년 5월 4일 | ||
11 | FW | 파비안 에스토야노프|파비안 에스토야노프es | 1982년 9월 27일 | ||
12 | GK | 기예르모 레예스|기예르모 레예스es | 1986년 7월 10일 | ||
14 | DF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알레한드로 곤살레스es | 1988년 3월 23일 | ||
15 | MF | 마르셀 로만|마르셀 로만es | 1988년 2월 7일 | ||
16 | MF | 디에고 로드리게스|디에고 로드리게스es | 1986년 8월 8일 | ||
17 | MF | 카를로스 디아스|카를로스 디아스es | 1979년 2월 4일 | ||
18 | MF | 오마르 페레스|오마르 페레스es | 1976년 9월 20일 | ||
19 | FW | 세르히오 페레스|세르히오 페레스es | 1988년 5월 26일 | ||
20 | FW | 카를로스 부에노|카를로스 부에노es | 1980년 5월 10일 | ||
23 | MF | 훌리오 모초|훌리오 모초es | 1981년 4월 20일 | ||
24 | MF | 막시밀리아노 바흐테르|막시밀리아노 바흐테르es | 1986년 3월 1일 | ||
31 | DF | 알바로 아리아스|알바로 아리아스es | 1988년 10월 3일 |
4. 4. 울산 현대
직책 | 이름 | 비고 |
---|---|---|
부회장 | 김형용 | |
감독 | 김정남 | |
팀 매니저 | 이영우 |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1 | GK | 김영광 | 1983년 6월 28일 |
4 | DF | 이윤섭 | 1979년 7월 30일 |
5 | DF | 유경렬 | 1978년 8월 15일 |
6 | DF | 박동혁 | 1979년 4월 18일 |
7 | MF | 브라질리아|크리스치아누 페레이라 데 수자pt | 1977년 7월 28일 |
8 | MF | 이상호 | 1987년 5월 9일 |
10 | FW | 루이징요|루이스 카를루스 페르난데스pt | 1985년 6월 25일 |
13 | MF | 현영민 | 1979년 12월 25일 |
14 | MF | 유호준 | 1985년 1월 14일 |
15 | MF | 김영삼 | 1982년 4월 4일 |
16 | MF | 오장은 | 1985년 7월 24일 |
19 | FW | 이진호 | 1984년 9월 3일 |
20 | DF | 이상돈 | 1985년 8월 12일 |
22 | FW | 우성용 | 1973년 8월 18일 |
24 | DF | 서덕규 | 1978년 10월 22일 |
25 | MF | 김지민 | 1984년 11월 27일 |
31 | GK | 최무림 | 1979년 4월 15일 |
33 | DF | 이세환 | 1986년 4월 21일 |
36 | FW | 이진우 | 1982년 9월 3일 |
DF | 박병규 | 1982년 3월 1일 |
5. 경기 결과
준결승전은 쥐띠 해의 중국 설날 (2008년 2월 7일)에 열렸다. 승리한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패배한 팀은 3위 결정전을 치렀다(두 경기는 모두 음력 설날 4일째인 2008년 2월 10일에 열렸다). 준결승전과 3위 결정전에서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바로 승자를 가렸으며, 연장전은 없었다. 결승전의 경우, 동점일 경우 30분간의 연장전이 진행되었다.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모든 시간은 홍콩 시간(UTC+8) 기준이다.
5. 1. 준결승전
2008년 1월 22일, 홍콩 스타디움에서 2008년 구정컵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15시에는 과 페냐롤의 경기가 열려, 홍콩 리그 선발팀이 2-1로 승리했다. Schutz (전반 36분)와 Chan (후반 14분)이 득점했고, 페냐롤에서는 Rodríguez (전반 10분)가 득점했다. 페냐롤의 Rodríguez와 Bueno는 퇴장당했다.
- 17시 30분에는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울산 현대의 경기가 열려,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2-1로 승리했다. Bartolović (전반 38분, 후반 18분)가 두 골을 넣었고, 울산 현대에서는 이진호 (전반 20분)가 득점했다.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Andrić는 퇴장당했다.
두 경기 모두 9,279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2]
5. 2. 3위 결정전
2008년 1월 22일, 홍콩 스타디움에서 2008년 구정컵 3위 결정전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에서는 홍콩 리그 선발팀이 페냐롤을 2-1로 꺾었다. 페냐롤의 Estoyanoff는 전반 9분에 경고를 받았고, Rodríguez는 전반 10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전반 30분과 56분에 두 번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다. 홍콩 리그 선발팀의 Schutz는 전반 36분에 동점골을, Chan은 후반 59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울산 현대를 2-1로 이겼다. 울산 현대의 현영민은 전반 9분에 경고를 받았고, 이진호는 전반 20분에 선제골을 넣었다.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Bartolović는 전반 38분과 후반 63분에 두 골을 넣어 경기를 뒤집었다.
경기 | 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관중 | 주심 |
---|---|---|---|---|---|---|---|
1경기 | 2008년 1월 22일 15:00 | 홍콩 리그 선발팀 | 2–1 | 페냐롤 | 홍콩 스타디움, 홍콩 | 9,279 | Wong Po On |
2경기 | 2008년 1월 22일 17:30 | 하이두크 스플리트 | 2–1 | 울산 현대 | 홍콩 스타디움, 홍콩 | 9,279 | Liu Kwok Man |
5. 3. 결승전
決賽|결승전중국어은 2008년 1월 22일에 열렸다. 홍콩 리그 선발팀은 페냐롤을 2-1로 이겼고,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울산 현대를 2-1로 이겼다.날짜 | 시간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관중 | 주심 |
---|---|---|---|---|---|---|---|
2008년 1월 22일 | 15:00 | 홍콩 리그 선발팀 | 2–1 | 페냐롤 | 홍콩 스타디움 | 9,279 | Wong Po On |
Goalscorers영어: 홍콩 리그 선발: 舒爾斯|Schutz중국어 36, 陳肇麒|Chan Siu Ki중국어 59 페냐롤: 다리오 로드리게스|Darío Rodríguezes 10' | |||||||
2008년 1월 22일 | 17:30 | 하이두크 스플리트 | 2–1 | 울산 현대 | 홍콩 스타디움 | 9,279 | Liu Kwok Man |
Goalscorers영어: 하이두크 스플리트: 믈라덴 바르톨로비치|Mladen Bartolovićhr 38, 63 울산 현대: 이진호 20' |
6. 최종 순위
홍콩 리그 선발팀
4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