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은 2009년에 발생한 열대 저기압 현상들을 기록하며,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예년보다 낮은 활동 수준을 예상했다. 실제로는 17개의 명명된 폭풍, 8개의 허리케인, 5개의 주요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6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진 시즌 동안, 허리케인 안드레스, 히메나, 릭 등이 발생했으며, 히메나는 멕시코 서부에 큰 피해를 입혔다. 중태평양에서는 열대폭풍 라나, 마카, 네키 등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자연재해 - 2009~2010년 동절기 한파와 폭설
    2009~2010년 동절기에 북반구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이상 기상 현상인 한파와 폭설은 기록적인 폭설과 한파로 인해 교통 마비, 인명 피해, 경제적 손실 등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엘니뇨 모도키 현상, 북극 진동 지수 변화, 시베리아 기단 강화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 2009년 자연재해 - 200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200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은 2009년에 북인도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 및 사이클론 활동을 총칭하며, 사이클론 아일라로 인해 339명이 사망하고 10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개요
기상 정보동태평양 허리케인
연도2009년
경로2009년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요약 지도.png
첫 번째 폭풍 발생일2009년 6월 18일
마지막 폭풍 소멸일2009년 10월 27일
가장 강력한 폭풍 이름릭 (분지에서 세 번째로 강력한 허리케인)
가장 강력한 폭풍 기압906
가장 강력한 폭풍 풍속155
평균 풍속1
총 열대저기압 수23
총 폭풍 수20
총 허리케인 수8
총 강한 허리케인 수5
사망자 수총 16명
피해액2억 2583만 달러
이전 시즌2007, 2008
현재 시즌2009
다음 시즌2010, 2011
시즌 타임라인2009년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타임라인
관련 시즌2009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관련 시즌2009년 태평양 태풍 시즌
관련 시즌200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2. 시즌 예보

NOAA은 2009년 5월 21일에 2009년 동태평양 및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예보를 발표했다.[2][3] 동태평양에서는 예년보다 활동이 적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실제로는 17개의 폭풍이 발생하여 예년과 비슷했다. 중앙 태평양 지역 또한 예년보다 활동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7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여 예상보다 활발했다.[3]

2. 1. NOAA의 예보

NOAA는 2009년 5월 21일에 2009년 동태평양 및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예보를 발표했다.[2][3] NOAA는 동태평양에서 13~18개의 명명된 폭풍이 예상되었고, 이 중 6~10개가 허리케인으로, 2~5개가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여 예년보다 활동이 적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예측은 2009년 4월 라니냐 현상이 약해진 것을 바탕으로 했다.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는 정상 수준에 가까워 ENSO 중립 상태를 보였고, 시즌 후반에는 엘니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엘니뇨의 강도에 따라, 예보관들은 엘니뇨가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활동에 영향을 줄지 확신하지 못했다. 그러나 1995년에 시작된 낮은 활동 주기로 인해, 엘니뇨는 활동을 약간 예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이끌었다.[2]

중앙 태평양 지역 또한 3~5개의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거나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어 예년보다 활동이 적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예상보다 활발하여 7개의 열대 저기압이 중앙 태평양으로 이동하거나 형성되었다.[3]

자료날짜명명된 폭풍허리케인강력한 허리케인
NOAA평균[2][6]15.3
(3 – 5)
8.8
( – )
4.2
( – )
NOAA1995–2008 평균[2]1473
NOAA2009년 5월 21일[2][3]13 – 18
(3 – 5)
6 – 10
( – )
2 – 5
( – )
역대 최고 활동2716 (동률: 1, 2, 3)11
역대 최저 활동8 (동률)30 (동률)
실제 활동17
(6)
8
(2)
5


3. 시즌 개요

8월 12일에 발생한 일련의 열대 저기압.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열대 저기압 마카, 허리케인 펠리시아의 잔해, 열대 저기압 9-E, 그리고 나중에 허리케인 기예르모가 될 저기압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계절의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 (ACE) 지수는 126.4 단위였다.[4] ACE는 일반적으로 열대 또는 아열대 폭풍의 세기에 존속 기간을 곱한 값을 측정한 것이다.

2009년 시즌은 17개의 명명된 폭풍, 8개의 허리케인, 5개의 주요 허리케인을 포함하며 "정상에 가까운" 활동을 보였다.[5] 중부 태평양은 평균 이상의 활동을 보였는데, 서경 140° 서쪽에서 3개의 폭풍이 추가로 발생했고, 동태평양에서 3개가 더 이동해 왔다.[6][7] 전체적인 폭풍 수는 지난 10년간의 비교적 잠잠했던 활동과 대조적이었다. 연중 엘니뇨와 두 번의 매든-줄리안 진동과 같은 대규모 요인이 이러한 변화된 패턴에 크게 기여했다.[8] 서경 140° 동쪽의 계절 활동은 거의 평균적인 누적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 (ACE) 등급 100으로 반영되었으며, 이는 30년 중앙값의 약 94%에 해당한다.[9][10]

2009년 시즌은 평균 이하의 속도로 시작하여 6월 말까지 단 하나의 명명된 폭풍만 발생했다. 이는 1999년 이후 5월에 열대 폭풍이 발생하지 않은 첫 사례였다. 올해의 첫 번째 허리케인인 허리케인 안드레스는 2000년 허리케인 칼로타 이후 6월의 첫 번째 허리케인이었다.[12][13] 평균 이하의 활동은 4개의 명명된 폭풍이 발생한 7월까지 이어졌다.

8월에는 7개의 명명된 폭풍이 발생하면서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했는데, 그중 3개는 주요 허리케인이었다. 이는 1985년 이후 한 달 동안 가장 많은 폭풍이 발생한 것이며, 1968년 이후 8월에 가장 많은 폭풍이 발생한 것이다.[14] 이 폭풍들 중 허리케인 히메나는 시즌 최초로 상륙한 사이클론이었으며, 2008년의 허리케인 노버트와 함께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 서부 해안을 강타한 가장 강력한 폭풍이었다.[15] 8월의 활동은 평균을 훨씬 웃돌았지만, 9월에는 평균 이하의 활동을 보이며 ACE가 장기 평균의 70%에 도달했다.[16] 10월에는 동태평양에서 세 번째로 강력한 폭풍인 허리케인 릭이 발생했다. 5등급 폭풍인 릭은 10월 18일 멕시코 해안에서 180mph의 풍속에 도달한 후 증가된 윈드 시어와 건조한 공기의 영향으로 약화되었다.[17]

4. 허리케인 타임라인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은 6월부터 11월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여러 열대 저기압과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등급에 따르면, 열대 저기압은 최대 풍속 62km/h 이하, 열대 폭풍은 63km/h에서 117km/h 사이, 1등급 허리케인은 118km/h에서 153km/h 사이, 2등급 허리케인은 154km/h에서 177km/h 사이, 3등급 허리케인은 178km/h에서 208km/h 사이, 4등급 허리케인은 209km/h에서 251km/h 사이, 5등급 허리케인은 252km/h 이상이다.

이 시즌의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ACE) 지수는 126.4 단위였다.[4] ACE는 일반적으로 허리케인의 세기에 존속 기간을 곱한 값을 측정한 것이다.[10] (하위 섹션과 내용 중복으로 삭제)

4. 1. 2009년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타임라인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은 6월부터 10월까지 여러 열대 저기압과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발생 기간이름 및 등급비고
6월 18일 ~ 6월 19일열대 저기압 1-E
6월 21일 ~ 6월 24일허리케인 안드레스 (1등급)
7월 6일 ~ 7월 9일열대폭풍 블랑카
7월 10일 ~ 7월 16일허리케인 카를로스 (2등급)7월 15일, 북위 10.1º에서 2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여 동태평양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2등급 허리케인이 되었다.[38]
7월 15일 ~ 7월 16일열대폭풍 돌로레스
7월 30일 ~ 8월 2일열대폭풍 라나
8월 3일 ~ 8월 7일열대폭풍 엔리케
8월 3일 ~ 8월 11일허리케인 펠리시아 (4등급)
8월 9일 ~ 8월 11일열대 저기압 9-E
8월 11일 ~ 8월 13일열대폭풍 마카
8월 12일 ~ 8월 19일허리케인 기예르모 (3등급)
8월 22일 ~ 8월 28일열대폭풍 힐다
8월 24일 ~ 8월 27일열대폭풍 이그나시오
8월 28일 ~ 9월 4일허리케인 히메나 (4등급)2008년의 허리케인 노버트와 함께 서부 해안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를 강타한 가장 강력한 폭풍이 되었다.[15]
8월 28일 ~ 8월 30일열대 저기압 2-C
8월 29일 ~ 9월 1일열대폭풍 케빈
9월 7일 ~ 9월 11일허리케인 린다 (1등급)
9월 16일 ~ 9월 19일열대폭풍 마티
9월 23일 ~ 9월 25일열대폭풍 노라
10월 1일 ~ 10월 3일열대폭풍 올라프
10월 11일 ~ 10월 14일열대폭풍 파트리샤
10월 15일 ~ 10월 21일허리케인 릭 (5등급)10월 18일 멕시코 해안에서 180mph의 풍속에 도달했다.[17]
10월 18일 ~ 10월 27일허리케인 네키 (3등급)



이 시즌의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ACE) 지수는 126.4 단위였다.[4] ACE는 일반적으로 허리케인의 세기에 존속 기간을 곱한 값을 측정한 것이다.[10]

5. 활동한 허리케인

2009년 동태평양에서는 여러 허리케인이 활동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동태평양 (NHC)


  • 제1호 열대저기압: 6월 18일 발생, 6월 19일 소멸. 발생 초기 열대폭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강한 풍속 변화로 인해 기압골로 약화되어 시날로아 해안에서 소멸되었다. 이 저기압의 잔해는 시날로아, 나야리트, 할리스코 지역에 적당한 강우량을 가져왔고, 강풍으로 약 5만 가구가 정전되었으며, 나무가 쓰러지고 일부 구조물이 피해를 입었다.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산사태가 발생하고 마사틀란 주변에서 상당한 구조적 피해가 보고되었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18][20][21]
  • 제2호 허리케인 안드레스: 6월 21일 발생, 6월 24일 소멸. 최저 기압 984 hPa, 1분 최대 풍속 70노트.
  • 제3호 열대폭풍 블랜카: 7월 6일 발생, 7월 9일 소멸. 최저 기압 998 hPa, 1분 최대 풍속 45노트.
  • 제4호 허리케인 카를로스: 7월 10일 발생, 7월 16일 소멸. 최저 기압 971 hPa, 1분 최대 풍속 90노트.
  • 제5호 열대폭풍 돌로레스: 7월 15일 발생, 7월 16일 소멸. 최저 기압 997 hPa, 1분 최대 풍속 50노트.
  • 제7호 열대폭풍 엔리케: 8월 3일 발생, 8월 7일 소멸. 발생 초기에는 추가적인 발달이 예상되었으나, 허리케인 펠리시아와의 상호 작용으로 약화되었다.[43][44]
  • 제8호 메이저 허리케인 펠리시아: 8월 3일 발생, 8월 11일 소멸. 최저 기압 945 hPa, 1분 최대 풍속 125 mph.
  • 제9호 열대저기압: 8월 9일 발생, 8월 11일 소멸. 최저 기압 1006 hPa, 1분 최대 풍속 30노트.
  • 제10호 메이저 허리케인 기예르모: 8월 12일 발생, 8월 19일 소멸. 최저 기압 954 hPa, 1분 최대 풍속 110노트.
  • 제11호 열대폭풍 힐다: 8월 22일 발생, 8월 28일 소멸. 최저 기압 995 hPa, 1분 최대 풍속 55노트.
  • 제12호 열대폭풍 이그나시오: 8월 24일 발생, 8월 27일 소멸. 최저 기압 999 hPa, 1분 최대 풍속 45노트.
  • 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지메나: 8월 28일 발생, 9월 4일 소멸. 최저 기압 931 hPa, 1분 최대 풍속 135노트.
  • --
  • --
  • 제14호 열대폭풍 케빈: 8월 29일 발생, 9월 1일 소멸. 최저 기압 1000 hPa, 1분 최대 풍속 45노트.
  • 제15호 허리케인 린다: 9월 7일 발생, 9월 11일 소멸. 최저 기압 985 hPa, 1분 최대 풍속 70노트.
  • 제16호 열대폭풍 마티: 9월 16일 발생, 9월 19일 소멸. 최저 기압 1002 hPa, 1분 최대 풍속 40노트.
  • 제17호 열대폭풍 노라
  • 제18호 열대폭풍 올라프: 10월 1일 발생, 10월 3일 소멸. 최저 기압 996 hPa, 1분 최대 풍속 40노트.
  • 제19호 열대폭풍 퍼트리샤: 10월 11일 발생, 10월 14일 소멸. 최저 기압 996 hPa, 1분 최대 풍속 50노트.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분 최대 풍속
10월 11일10월 14일996 hPa50 노트 (약 25 m/s)


  • 제20호 메이저 허리케인 릭: 10월 15일 발생, 10월 21일 소멸. 최저 기압 906 hPa, 1분 최대 풍속 155노트.
  • --

중태평양 (CPHC)

  • 열대폭풍 라나: 7월 30일 동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중앙 태평양으로 이동, 8월 3일 소멸. 1994년 허리케인 리 이후 동태평양에서 저기압으로 형성되어 중앙 태평양에서 명명된 최초의 열대 폭풍이었다.[42] 8월 1일 초 65mph의 최대 강도에 도달했으나, 이후 약화되어 호놀룰루 남서쪽 약 약 933.42km, 존스턴 섬 동쪽 약 약 659.83km 지점에서 소멸했다.[42]
  • --
  • 제2호 열대저기압: 8월 28일 발생, 8월 30일 소멸. 최저 기압 1007 hPa, 1분 최대 풍속 30노트.
  • --
  • --
  • 제3호 메이저 허리케인 네키: 2009년 10월 18일 발생, 2009년 10월 27일 소멸. 최저 기압 950 hPa, 1분 최대 풍속 110노트.

5. 1. 동태평양 (NHC)

7월 30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센터 관할 구역 부근에서 열대 저기압 6-E에 대한 권고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날 늦게, 이 저기압은 중앙 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열대 폭풍 라나로 빠르게 세력을 키웠다. 이는 1994년 허리케인 리 이후 동태평양에서 저기압으로 형성되어 중앙 태평양에서 명명된 최초의 열대 폭풍이었다.[42] 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눈의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거대한 상층 기압골에 의해 발생한 남풍 계열의 윈드시어로 인해 7월 31일에 약간 흩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나는 8월 1일 초에 65mph의 최대 강도에 도달했고, 이후 며칠 동안 50mph의 최대 풍속을 유지하면서, 매우 흩어진 상태이면서도 상당히 강한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다. 8월 2일 늦게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계속해서 빠르게 흩어졌다. 라나는 8월 3일 00:00 (UTC)에 호놀룰루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933.42km, 존스턴 섬에서 동쪽으로 약 659.83km 떨어진 곳에서 잔해 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센터는 동시에 마지막 권고를 발표했다. 라나의 잔해는 6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06:00 (UTC)에 소멸되었다.[42]

5. 1. 1. 제1호 열대저기압

2009년 시즌 첫 번째 시스템인 제1호 열대저기압은 6월 18일 열대 파동에서 발생하여 마사틀란 남남서쪽 약 약 651.78km 지점에서 북쪽으로 천천히 이동했다. 하루 종일 대기 대류가 순환 중심 주변에서 발달했으며, 이 시스템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8] 6월 18일 늦게,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이 시스템이 열대 폭풍으로 발전하기 직전이라고 언급했다.[19] 그러나 다음 날, 강한 풍속 변화로 인해 저기압은 기압골로 빠르게 약화되어 시날로아 해안에서 소멸되었다.[18]

이 저기압의 잔해는 시날로아, 나야리트, 할리스코 지역에 적당한 강우량을 가져왔다. 강한 바람이 강우를 동반하여 약 5만 가구가 정전되었다. 여러 나무가 쓰러지고 일부 구조물이 담수 범람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마사틀란 주변에서 상당한 구조적 피해가 보고되었다.[20][21] 하지만, 인명 피해나 부상자는 없었다.[18]

5. 1. 2. 제2호 허리케인 안드레스

2009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제2호 허리케인 Andres영어는 6월 21일에 발생하여 6월 24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4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70 노트였다.

5. 1. 3. 제3호 열대폭풍 블랜카

Blanca영어는 2009년 7월 6일에 발생하여 7월 9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8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45노트(약 23m/s)였다.

5. 1. 4. 제4호 허리케인 카를로스

Carlos영어는 7월 10일에 발생하여 7월 1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기압은 971hPa이었고, 1분최대풍속은 90노트였다.

5. 1. 5. 제5호 열대폭풍 돌로레스

Dolores영어는 7월 15일에 발생하여 7월 1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7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50 kt였다.

5. 1. 6. 제7호 열대폭풍 엔리케

열대폭풍 엔리케는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주 남-남서쪽 수백 마일 떨어진 광범위한 저기압 지역에서 발달했다. 순환 중심은 중앙 밀집된 구름 속에 자리 잡고 있었고 추가적인 발달을 촉진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저기압은 시스템 북쪽에 위치한 중층 대류권 능선에 반응하여 정서쪽으로 진행했다. 열대 저기압이 되자, 나중에 허리케인 펠리시아가 될 서쪽으로 경도 9도에 위치한 두 번째 저기압 지역이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43] 8월 3일 늦게, 저기압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여 '엔리케'라는 이름을 받았다. 엔리케는 8월 4일 65mph의 최대 강도에 도달하도록 강화되었다. 그러나 그날 저녁 늦게 허리케인 펠리시아와의 상호 작용으로 시스템이 약화되어 최대 풍속이 50mph로 감소했다. 엔리케는 다음날까지 50mph의 풍속을 유지하다가 8월 6일 초에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가 엔리케의 지위를 저기압으로 강등시켰다. 8월 7일, NHC는 잔류 저기압으로 약화된 엔리케에 대한 최종 자문을 발표했다.[44]

5. 1. 7. 제8호 메이저 허리케인 펠리시아

2009년 허리케인 펠리시아는 8월 3일에 발생하여 8월 1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45 hPa, 1분 최대 풍속은 125 mph였다. 8월 3일 늦게, 저기압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여 ''엔리케''라는 이름을 받았으나, 같은 날 발생한 허리케인 펠리시아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엔리케는 약화되었다.

5. 1. 8. 제9호 열대저기압

제9호 열대저기압은 8월 9일에 발생하여 8월 1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1006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30 노트(약 15 m/s)였다.

5. 1. 9. 제10호 메이저 허리케인 기예르모

Guillermo영어는 8월 12일에 발생하여 8월 19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54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110kn였다.

5. 1. 10. 제11호 열대폭풍 힐다

Hilda영어는 2009년 동태평양의 제11호 열대폭풍으로, 8월 22일 발생하여 8월 28일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5 hPa, 1분 최대 풍속은 55노트(약 28 m/s)였다.

5. 1. 11. 제12호 열대폭풍 이그나시오

열대폭풍 Ignacio영어는 8월 24일에 발생하여 8월 27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9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45 kt였다.

5. 1. 12. 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지메나

2009년 8월 말, 허리케인 지메나가 발생하여 9월 초까지 활동했다. 8월 28일에 발생하여 9월 4일에 소멸했다. 최저 기압은 931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135 kt였다.

5. 1. 13. 제14호 열대폭풍 케빈

열대폭풍 케빈은 8월 29일에 발생하여 9월 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1000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45 kt였다.

5. 1. 14. 제15호 허리케인 린다

Linda영어는 9월 7일에 발생하여 9월 1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5 hPa였고, 1분 최대 풍속은 70노트(약 36 m/s)였다.

5. 1. 15. 제16호 열대폭풍 마티

Marty영어는 9월 16일에 발생하여 9월 19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1002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40노트였다.

5. 1. 16. 제17호 열대폭풍 노라

5. 1. 17. 제18호 열대폭풍 올라프

Olaf영어는 10월 1일에 발생하여 10월 3일에 소멸하였다. 최저기압은 996 hPa, 1분최대풍속은 40노트(75 km/h)였다.

5. 1. 18. 제19호 열대폭풍 퍼트리샤

2009년 10월 11일에 발생하여 10월 14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6 hPa이었고, 1분 최대 풍속은 50 노트(약 25 m/s)였다.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분 최대 풍속
10월 11일10월 14일996 hPa50 노트 (약 25 m/s)


5. 1. 19. 제20호 메이저 허리케인 릭



2009년 10월 15일에 발생하여 10월 21일에 소멸한 메이저 허리케인 릭은 최저 기압 906 hPa, 1분 최대 풍속 155 kt를 기록했다.

5. 2. 중태평양 (CPHC)

7월 30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센터의 관할 구역 부근에서 열대 저기압 6-E에 대한 권고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날 늦게, 이 저기압은 중앙 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열대 폭풍 라나로 빠르게 세력을 키웠는데, 이는 1994년 허리케인 리 이후 동태평양에서 저기압으로 형성되어 중앙 태평양에서 명명된 최초의 열대 폭풍이었다.[42] 라나는 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눈의 특징을 보이기 시작했으나, 거대한 상층 기압골에 의해 발생한 남풍 계열의 윈드시어로 인해 7월 31일에 약간 흩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월 1일 초에 65mph의 최대 강도에 도달했고, 이후 며칠 동안 50mph의 최대 풍속을 유지하면서, 매우 흩어진 상태이면서도 상당히 강한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다. 8월 2일 늦게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된 라나는 계속해서 빠르게 흩어졌고, 8월 3일 00:00 (UTC)에 호놀룰루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933.42km, 존스턴 섬에서 동쪽으로 약 659.83km 떨어진 곳에서 잔해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중앙 태평양 허리케인 센터는 동시에 마지막 권고를 발표했으며, 라나의 잔해는 6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06:00 (UTC)에 소멸되었다.[42]

5. 2. 1. 제1호 열대폭풍 마카

2009년 시즌 첫 번째 시스템인 1-E는 6월 18일 열대 파동에서 발생하여 마사틀란 남-남서쪽 약 약 651.78km 지점에서 북쪽으로 천천히 이동했다. 하루 종일 대기 대류가 순환 중심 주변에서 발달했으며, 이 시스템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8] 6월 18일 늦게,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이 시스템이 열대 폭풍으로 발전하기 직전이라고 언급했다.[19] 그러나 다음 날, 강한 풍속 변화로 인해 저기압은 기압골로 빠르게 약화되어 시날로아 해안에서 소멸되었다.[18]

이 저기압의 잔해는 시날로아, 나야리트, 할리스코 지역에 적당한 강우량을 가져왔고, 강한 바람이 강우를 동반하여 약 5만 가구가 정전되었다. 여러 나무가 쓰러지고 일부 구조물이 담수 범람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마사틀란 주변에서 상당한 구조적 피해가 보고되었으나,[20][21] 인명 피해나 부상자는 없었다.[18]

5. 2. 2. 제2호 열대저기압

2009년 8월 28일에 발생하여 8월 30일에 소멸한 열대저기압이다. 최저 기압은 1007 hPa, 1분 최대 풍속은 30 노트였다.

5. 2. 3. 제3호 메이저 허리케인 네키

2009년 10월 18일에 발생하여 2009년 10월 27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50 hPa, 1분 최대 풍속은 110노트(약 56 m/s)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Summary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0-05-12
[2] 웹사이트 NOAA: 2008 Tropical Eastern North Pacific Hurricane Outlook http://www.cpc.nc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9-06-11
[3] 웹사이트 NOAA Predicts Near to Below Normal Central Pacific Hurricane Season http://www.prh.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9-06-11
[4] 웹사이트 Basin Archives: Northeast Pacific Ocean Historical Tropical Cyclone Statistics http://tropical.atmo[...] Colorado State University 2022-07-08
[5] 간행물 Eastern North Pacific Hurricane Season of 2009 https://zenodo.org/r[...]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1-06-01
[6] 웹사이트 Climatology of Tropical Cyclones in the Central Pacific Basin http://www.prh.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7] 웹사이트 The Northeast and North Central Pacific hurricane database 1949–2023 https://www.nhc.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Weather Service 2024-04-26
[8] 간행물 The 2009 Hurricane Season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Basin: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1-06-01
[9] 웹사이트 The Northeast and North Central Pacific hurricane database 1949–2023 https://www.nhc.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Weather Service 2024-04-26
[10]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East Pacific Hurricane Season http://www.cpc.nc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1] 웹사이트 Eastern Pacific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May 2009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2] 웹사이트 The Northeast and North Central Pacific hurricane database 1949–2023 https://www.nhc.noaa[...]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Weather Service 2024-04-26
[13] 웹사이트 Eastern Pacific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June 2009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4] 웹사이트 Eastern Pacific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August 2009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Jimena "{{NHC TCR url|id=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6] 웹사이트 Eastern Pacific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September 2009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7] 웹사이트 Eastern Pacific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October 2009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8]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Report: Tropical Depression One-E "{{NHC TCR url|id=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19]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One-E Discussion Three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1-08-21
[20] 웹사이트 Vigilan autoridades de Sinaloa comportamiento de depresión tropical http://sdpnoticias.c[...] SDP Noticias 2009-06-19
[21] 웹사이트 Causa estragos la depresión tropical en Mazatlán http://www.noroeste.[...] Noroeste 2009-06-19
[22] 웹사이트 Hurricane Andres Tropical Cyclone Report "{{NHC TCR url|id=EP[...]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7-31
[23] 뉴스 "Andrés" no afectará a Nicaragua http://www.laprensa.[...] 2009-07-30
[24] 뉴스 Roza primer huracán del año y mueren tres Excelsior 2009-06-24
[25] 웹사이트 Hurricane Andres weakens, pulls away from Mexican coast http://www.monstersa[...] Deutsche Presse-Agentur 2009-07-30
[26] 웹사이트 Deja la tormenta tropical Andrés unos 350 damnificados en Atoyac http://www.lajornada[...] 2009-07-31
[2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Tropical Cyclone Report "{{NHC TCR url|id=EP[...]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11-26
[2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Special Discussion One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1
[29]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Discussion Two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1
[3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Discussion Four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1
[31]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Discussion Seven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1
[3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lanca Discussion Eight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1
[33] 웹사이트 Avanza tormenta tropical 'Blanca', alerta en 5 estados http://www2.esmas.co[...] Noticieros Televisa 2009-08-30
[34] 웹사이트 Se aleja tormenta tropical 'Blanca' en el Pacífico http://www2.esmas.co[...] Noticieros Televisa 2009-08-30
[35] 뉴스 Lluvia hace de las suyas http://www.elsiglode[...] 2009-08-30
[36] 뉴스 Rain in July? In the Bay Area? http://www.mercuryne[...] 2009-07-11
[37] 뉴스 John Lindsey: Size of drops distinguishes drizzle from rain http://www.sanluisob[...] 2009-07-11
[38] 웹사이트 Hurricane Carlos Tropical Cyclone Report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22
[39]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Outlook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7-10
[4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Dolores Discussion Four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9-07-15
[4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Report: Tropical Storm Dolores "{{NHC TCR url|id=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0-01-15
[4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ana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2010-02-17
[43]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Seven-E Discussion One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03
[44] 웹사이트 Tropical Storm Enrique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21
[45]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Felicia Public Advisory 33 http://www.prh.noaa.[...] 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2009-08-11
[46] 간행물 Tropical Storm Maka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2009-11-15
[47]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http://weather.noa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9-08-11
[48]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01C (Maka) JTWC Warning 1 http://metocph.nmci.[...]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9-08-14
[49] 웹사이트 NHC TCR url "{{NHC TCR url|id=EP[...]
[50] 웹사이트 Hawaii Event Report: High Surf http://www4.ncdc.no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9
[51] 웹사이트 August 25 Tropical weather Outlook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25
[52]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hirteen-E Discussion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28
[53] 웹사이트 Hurricane Jimena Tropical Cyclone Report "{{NHC TCR url|id=EP[...]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0-01-29
[54] 웹사이트 Hurricane Jimena Discussion 7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0
[55] 웹사이트 Hurricane Jimena Discussion 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8-30
[56] 웹사이트 Hurricane Jimena Discussion 19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01
[57] 웹사이트 Características e Impacto Socioeconòmico de los Principales Desastres Ocurridos en la República Mexicana en el Año 2009 http://www.ordenjuri[...] Centro Nacional de Prevención de Desastres 2010-10
[58] 웹사이트 Disaster Relief Begins in US after Hurricane Jimena beats Baja California Sur http://mexidata.info[...] MexiData 2009-09-07
[59] 웹사이트 Mexico: Hurricane Jimena http://www.ifrc.or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2010-03-19
[60] 웹사이트 'Jimena' cobra dos vidas http://www.elimparci[...] El Imparcial 2009-09-05
[61] 웹사이트 Características e Impacto Socioeconòmico de los Principales Desastres Ocurridos en la República Mexicana en el Año 2009 http://www.ordenjuri[...] Centro Nacional de Prevención de Desastres 2010-10
[62]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wo-C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10-05-13
[63] 웹사이트 Tropical Storm Kevin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24
[64] 웹사이트 Hurricane Linda Tropical Cyclone Report "{{NHC TCR url|id=EP[...]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10-26
[65]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Fifteen-E Discussion One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07
[66]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inda Discussion Nine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09
[67] 웹사이트 Hurricane Linda Discussion Fourteen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0
[68] 웹사이트 Hurricane Linda Discussion Fifteen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0
[69]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inda Discussion Seventeen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1
[7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inda Discussion Eighteen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1
[71]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Linda Public Advisory Twenty (Final)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1
[72]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8:05 AM PDT, September 1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1
[73]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8:05 AM PDT, September 1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2
[74]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Outlook 11:00 AM PDT, September 1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3
[75]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2:05 AM PDT, September 14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4
[76]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8:05 PM PDT, September 14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4
[77]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Sixteen-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78]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8:05 AM PDT, September 16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79]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arty public advisory number 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8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arty forecast discussing number 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81] 웹사이트 Tropical Weather Discussion 02:05 AM PDT, September 17 ftp://ftp.met.fsu.ed[...]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7
[8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arty forecast discussing number 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83]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arty public advisory number 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09-16
[84] NHC TCR url
[85] NHC TCR url
[86] 뉴스 La depresión tropical 'Olaf' deja fuertes lluvias a su paso por el noroeste México CM& Televisión 2009-10-04
[87] 웹사이트 Primeros efectos de 'Olaf' afectan a Sonora http://www.informado[...] Informador 2009-10-03
[88]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Report: Tropical Storm Patricia "{{NHC TCR url|id=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9-11-10
[89] 웹사이트 Sintesis Agropecuaria De Sonora http://www.sicde.gob[...] Sonora de la Secretaría de Agricultura
[90] 웹사이트 Destruye 'Patricia' 815 has. en agro http://kiosko.net/mx[...] Noroeste 2009-10-15
[91] 웹사이트 Patricia deja sin vivienda a 600 familias http://www.jornada.u[...] La Jordana 2009-10-15
[92] 웹사이트 Hurricane Rick Tropical Cyclone Report "{{NHC TCR url|id=EP[...]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12-03
[93] 뉴스 Weakening Rick threatens Baja California resorts http://www.denverpos[...] 2009-10-19
[94] 웹사이트 Alerta en Los Cabos por la tormenta Rick http://www.jornada.u[...] La Jordana 2009-10-21
[95] 뉴스 Hurricane Rick kills man, nears Mexico coast https://www.reuters.[...] 2009-10-19
[96] 뉴스 Cabo San Lucas bids farewell to Tropical Storm Rick, which caused minimal damage http://latimesblogs.[...] 2009-10-21
[97] 웹사이트 Características e Impacto Socioeconòmico de los Principales Desastres Ocurridos en la República Mexicana en el Año 2009 http://www.ordenjuri[...] Centro Nacional de Prevención de Desastres 2010-10-01
[98] 웹사이트 Hurricane Neki Tropical Cyclone Report https://www.nhc.noaa[...] 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2010-02-05
[99] 뉴스 Overflight indicates Neki did minimal damage in Papahanaumokuakea http://www.honolulua[...] 2009-10-17
[100] 뉴스 Overflight indicates Neki did minimal damage in Papahanaumokuakea http://www.honolulua[...] 2009-10-27
[101] 뉴스 Hawaii rides out storm, but remote islands at risk http://www.trivalley[...] 2014-10-21
[102] 웹사이트 October 2009 Precipitation Summary http://www.prh.noaa.[...] Honolulu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2009-11-04
[103] 웹사이트 Worldwide Tropical Cyclone Names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04] 보고서 National Hurricane Operations Plan https://www.aoml.noa[...] "[[NOAA]] Office of the Federal Coordinator for Meteorological Services and Supporting Research" 2003-05-01
[105] 웹사이트 Monthly Global Tropical Cyclone Newsletter https://australiasev[...] 2009-02-01
[106] 문서 북중태평양은 날짜변경선에서 서경 140도까지를 의미한다.
[107] 문서 동태평양의 제6호 열대저기압이 중태평양 구역으로 넘어와 열대폭풍이 발생하였다.
[108] 문서 8월 13일에 2009년 태풍|북서태평양 해역으로 넘어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