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0m는 2010년 2월 23일에 열린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이다. 이승훈(대한민국)이 12:58.55의 기록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유력한 우승 후보였던 스벤 크라머(네덜란드)는 코치의 레인 지시 오류로 실격되었고, 엔리코 파브리스(이탈리아)는 기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000m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000m는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에서 열려 크리스틴 네스빗이 금메달, 아네트 헤릿선이 은메달, 로린 판 리선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기록은 신디 클래슨, 올림픽 기록은 크리스티 위티가 보유하고 있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0년 동계 패럴림픽
2010년 동계 패럴림픽은 캐나다 밴쿠버와 휘슬러에서 개최되어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레지 하키, 휠체어 컬링의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마스코트 '수미'를 활용한 마케팅과 장애인 스포츠 참여 증가 및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 |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
![]() | |
개최국 | 캐나다 |
개최지 | 밴쿠버 |
경기장 |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 |
날짜 | 2010년 2월 23일 |
참가 선수 | 15명 |
참가 국가 | 9개국 |
결과 | |
금메달 | 이승훈 |
금메달 국가 | 대한민국 |
은메달 | 이반 스코브레프 |
은메달 국가 | 러시아 |
동메달 | 보프 더 용 |
동메달 국가 | 네덜란드 |
우승 기록 | 12분 58.55초 |
올림픽 기록 |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14 |
2. 기록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유형 | 선수명 | 기록 | 위치 | 날짜 | 참조 |
---|---|---|---|---|---|---|
세계 기록 | 시간 | 12:41.69 | , 솔트레이크 시티 | 2007년 3월 10일 | ||
올림픽 기록 | 시간 | 12:58.92 | , 솔트레이크 시티 | 2002년 2월 22일 |
2월 23일 5조에서 이승훈()이 12:58.55를 기록하여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날짜 | 라운드 | 선수 | 국가 | 시간 | 기록 |
---|---|---|---|---|---|
2월 23일 | 5조 | 이승훈 | 12:58.55 | OR |
OR = 올림픽 기록
리치몬드 올림픽 오벌 트랙 기록은 2009년 3월 14일 스벤 크라머가 세운 12:55.32이다.
2. 1. 기존 기록
2. 2. 올림픽 신기록
2002년 2월 22일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요켐 위테하헤(NED)가 12:58.92의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6]2010년 2월 23일, 이승훈()이 12:58.55를 기록하며 올림픽 신기록을 경신했다.
날짜 | 라운드 | 선수 | 국가 | 시간 | 기록 |
---|---|---|---|---|---|
2월 23일 | 5조 | 이승훈 | 12:58.55 | OR |
3. 경기 결과
순위 조 레인 이름 국가 시간 시간 차이 비고 5 I 이승훈 12:58.55 OR 8 O 이반 스코브레프 13:02.07 +3.52 7 O 밥 데 용 13:06.73 +8.18 4 6 I 알렉시스 콩탱 13:12.11 +13.56 5 7 I 호바르 보크 13:14.92 +16.37 6 2 O 스베레 호울리 13:18.74 +20.19 7 3 I 헨리크 크리스티안센 13:25.65 +27.10 8 2 I 조나단 쿡 13:31.78 +33.23 9 5 O 아르옌 판 데르 키프트 13:33.37 +34.82 10 6 O 마르코 베버 13:35.73 +37.18 11 4 I 히라코 히로키 13:37.56 +39.01 12 1 I 라이언 베드포드 13:40.20 +41.65 13 4 O 알렉산드르 루먄체프 13:45.77 +47.22 14 3 O 세바스티안 드루시키에비치 13:49.31 +49.40 8 I 스벤 크라머 실격 - - 엔리코 파브리스 기권
이 경기에서는 여러가지 사건이 있었다. 우선 유력한 우승 후보였던 네덜란드의 스벤 크라머는 8바퀴째까지 1위의 기록으로 순항하고 있었으나, 코치의 잘못된 레인 지시로 인해 실격 처리되었다.[7] 스벤 크라머는 초반에 이승훈보다 0.7초 늦은 기록으로 출발했으나, 이후 계속해서 이승훈의 기록을 앞지르며 금메달을 획득하는 듯 했다.[7] 그러나 스벤 크라머는 8바퀴를 남기고 아웃코스로 들어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코치의 지시에 따라 인코스로 진입하여 실격당했다.[7]
한편, 이탈리아의 엔리코 파브리스는 경기를 기권했다.[8]
3. 1. 최종 순위
순위 | 조 | 레인 | 이름 | 국가 | 시간 | 시간 차이 | 비고 |
---|---|---|---|---|---|---|---|
5 | I | 이승훈 | 12:58.55 | OR | |||
8 | O | 이반 스코브레프 | 13:02.07 | +3.52 | |||
7 | O | 보프 더 용 | 13:06.73 | +8.18 | |||
6 | I | 알렉시스 콩탱 | 13:12.11 | +13.56 | |||
7 | I | 호바르 뵈코 | 13:14.92 | +16.37 | |||
2 | O | 스베레 하우글리 | 13:18.74 | +20.19 | |||
3 | I | 헨리크 크리스티안센 | 13:25.65 | +27.10 | |||
2 | I | 조나단 커크 | 13:31.78 | +33.23 | |||
5 | O | 아르옌 판 더 키에프트 | 13:33.37 | +34.82 | |||
10 | 6 | O | 마르코 베버 | 13:35.73 | +37.18 | ||
11 | 4 | I | 히라코 히로키 | 13:37.56 | +39.01 | ||
12 | 1 | I | 라이언 베드포드 | 13:40.20 | +41.65 | ||
13 | 4 | O | 알렉산더 루미안체프 | 13:45.77 | +47.22 | ||
14 | 3 | O | 세바스티안 드루츠키에비츠 | 13:49.31 | +49.40 | ||
|| || || '''실격''' |- | || - || - || align="left"| 엔리코 파브리스 || align="left"| || || || '''기권''' |} 3. 2. 주요 사건이 경기에서는 여러가지 사건이 있었다. 우선 유력한 우승 후보였던 네덜란드의 스벤 크라머는 8바퀴째까지 1위의 기록으로 순항하고 있었으나, 코치의 잘못된 레인 지시로 인해 실격 처리되었다.[7] 스벤 크라머는 초반에 이승훈보다 0.7초 늦은 기록으로 출발했으나, 이후 계속해서 이승훈의 기록을 앞지르며 금메달을 획득하는 듯 했다.[7] 그러나 스벤 크라머는 8바퀴를 남기고 아웃코스로 들어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코치의 지시에 따라 인코스로 진입하여 실격당했다.[7]한편, 이탈리아의 엔리코 파브리스는 경기를 기권했다.[8] 4. 같이 보기
4. 1. 다른 종목4. 2. 올림픽 기록참조
[1]
웹사이트
Speed Skating at the 2010 Vancouver Winter Games: Men's 10,000 metres
https://web.archive.[...]
201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