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3년 2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다. 미국, 코스타리카, 온두라스가 본선에 진출했고, 멕시코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총 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미국이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3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3차 예선은 FIFA 랭킹 상위 6개 팀과 2차 예선 각 조 1위 팀들이 참가하여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대회이다. -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은 FIFA 랭킹 하위 10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5개 조를 이루어 각 조 승자가 2라운드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벨리즈,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세인트루시아, 바하마가 2차 예선에 진출했고 바하마는 기권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 |
---|---|
대회 정보 | |
주최국 | 브라질 |
기간 | 2012년 6월 8일 ~ 2013년 11월 19일 |
참가 팀 수 | 12 |
경기 수 | 30 |
골 수 | 84 |
득점왕 | 요한 루이스 (4골) 마르코 파파 (4골) 움베르토 수아소 (4골) |
결과 | |
본선 진출 팀 | 코스타리카 미국 온두라스 |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팀 | 멕시코 |
통계 | |
최다 득점 팀 | 미국 (15골) |
최소 실점 팀 | 코스타리카 (7실점) |
이전 대회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다음 대회 |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
2. 참가국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진출팀은 2012년 10월 16일에 결정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은 3차 예선 각 조 1위 3팀과 2위 3팀, 총 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2] 이 단계를 흔히 "헥사고날" 또는 "헥스"라고 부르며,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부터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해 왔다.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은 2013년 2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에는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를 차지한 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3. 경기 방식
최종 예선 경기는 2013년 2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최종 예선 규칙 1, 2, 3위 팀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4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오세아니아 지역 우승팀인 뉴질랜드와 경기를 치른다. 5위 이하 팀은 탈락한다.
최종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미국 10 7 1 2 15 8 +7 22 코스타리카 10 5 3 2 13 7 +6 18 온두라스 10 4 3 3 13 12 +1 15 멕시코 10 2 5 3 7 9 -2 11 파나마 10 1 5 4 10 14 -4 8 자메이카 10 0 5 5 5 13 -8 5
4. 경기 결과
최종 예선 결과, 미국, 코스타리카, 온두라스가 각각 1, 2, 3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4위를 차지한 멕시코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5위 파나마와 6위 자메이카는 탈락했다.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미국 10 7 1 2 15 8 +7 22 코스타리카 10 5 3 2 13 7 +6 18 온두라스 10 4 3 3 13 12 +1 15 멕시코 10 2 5 3 7 9 -2 11 파나마 10 1 5 4 10 14 -4 8 자메이카 10 0 5 5 5 13 -8 5
4. 1. 경기 일정 및 결과
2012년 10월 19일, 6개 국가 협회 대표가 모였지만 4라운드 일정에 합의하지 못했다.[4] 2012년 11월 7일, CONCACAF와 FIFA가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비치에서 경기 대진 추첨을 진행했다.[5][6]
팀 | AWAY | ||||||
---|---|---|---|---|---|---|---|
미국 | 코스타리카 | 온두라스 | 멕시코 | 파나마 | 자메이카 | ||
H O M E | 미국 | X | 1-0 | 1-0 | 2-0 | 2-0 | 2-0 |
코스타리카 | 3-1 | X | 1-0 | 2-1 | 2-0 | 2-0 | |
온두라스 | 2-1 | 1-0 | X | 2-2 | 2-2 | 2-0 | |
멕시코 | 0-0 | 0-0 | 1-2 | X | 2-1 | 0-0 | |
파나마 | 2-3 | 2-2 | 2-0 | 0-0 | X | 0-0 | |
자메이카 | 1-2 | 1-1 | 2-2 | 0-1 | 1-1 | X |
왼쪽 숫자가 HOME 팀의 득점
경기일 | 경기 결과 |
---|---|
2013년 2월 6일 | 2 – 1 [12] |
2013년 2월 6일 | 2 – 2 [12] |
2013년 2월 6일 | 0 – 0 [12] |
2013년 3월 22일 | 2 – 2 [12] |
2013년 3월 22일 | 1 – 1 [12] |
2013년 3월 22일 | 1 – 0 [12] |
2013년 3월 26일 | 2 – 0 [12] |
2013년 3월 26일 | 2 – 0 [12] |
2013년 3월 26일 | 0 – 0 [12] |
2013년 6월 4일 | 0 – 1 [12] |
2013년 6월 7일 | 1 – 2 [12] |
2013년 6월 7일 | 1 – 0 [12] |
2013년 6월 7일 | 0 – 0 [12] |
2013년 6월 11일 | 0 – 0 [12] |
2013년 6월 11일 | 2 – 0 [12] |
2013년 6월 11일 | 2 – 0 [12] |
2013년 6월 18일 | 1 – 0 [12] |
2013년 6월 18일 | 2 – 0 [12] |
2013년 9월 6일 | 1 – 2 [12] |
2013년 9월 6일 | 3 – 1 [12] |
2013년 9월 6일 | 0 – 0 [12] |
2013년 9월 10일 | 1 – 1 [12] |
2013년 9월 10일 | 2 – 0 [12] |
2013년 9월 10일 | 2 – 2 [12] |
2013년 10월 11일 | 1 – 0 [12] |
2013년 10월 11일 | 2 – 0 [12] |
2013년 10월 11일 | 2 – 1 [12] |
2013년 10월 15일 | 2 – 1 [12] |
2013년 10월 15일 | 2 – 2 [12] |
2013년 10월 15일 | 2 – 3 [12] |
5. 본선 진출팀 및 대륙간 플레이오프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은 2013년 2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3차 예선 각 조 1, 2위를 차지한 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2]
최종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미국 | 10 | 7 | 1 | 2 | 15 | 8 | +7 | 22 |
코스타리카 | 10 | 5 | 3 | 2 | 13 | 7 | +6 | 18 |
온두라스 | 10 | 4 | 3 | 3 | 13 | 12 | +1 | 15 |
멕시코 | 10 | 2 | 5 | 3 | 7 | 9 | -2 | 11 |
파나마 | 10 | 1 | 5 | 4 | 10 | 14 | -4 | 8 |
자메이카 | 10 | 0 | 5 | 5 | 5 | 13 | -8 | 5 |
최종 예선 결과, 상위 3팀인 미국, 코스타리카, 온두라스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4위를 차지한 멕시코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인 뉴질랜드와 경기를 치렀다.
6. 득점 순위
순위 | 선수명 | 득점 |
---|---|---|
1 | 제리 벵트손, 카를로 코스틀리, 조지 알티도어 | 4 |
2 | 클린트 뎀프시, 오리베 페랄타, 브라이언 루이스, 루이스 테하다 | 3 |
3 | 셀소 보르헤스, 알바로 사보리오, 하비에르 에르난데스, 루이스 엔리케스, 가브리엘 토레스, 에디 존슨, 그레이엄 주시 | 2 |
4 | 조니 아코스타, 랜들 브레네스, 디에고 칼보, 조엘 캠벨, 로이 밀러, 마이클 우마냐, 마이노르 피게로아, 후안 카를로스 가르시아, 오스카르 가르시아, 윌슨 팔라시오스, 로저 로하스, 제르메인 앤더슨, 로돌프 오스틴, 제르메인 베크포드, 마빈 엘리엇, 라울 히메네스, 알도 데 니그리스, 로베르토 첸, 블라스 페레스, 로만 토레스, 랜던 도노반, 브래드 에반스, 아론 요한손, 마이클 오로스코 | 1 |
5 | 호르헤 클라로스 (자메이카전 자책골) | 1 |
참조
[1]
웹사이트
Wild finish to CONCACAF World Cup qualifying: U.S. late goals at Panama rescue Mexico
https://www.washingt[...]
2013-10-16
[2]
웹사이트
2014 FIFA World Cup Brazil –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and Draw Procedure – North, Central and Caribbean Zone
https://web.archive.[...]
FIFA.com
[3]
웹사이트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CONCACAF) 2014, football - table and standings
https://soccer365.me[...]
2024-04-04
[4]
웹사이트
Draw to decide CONCACAF hexagonal schedule
https://web.archive.[...]
CONCACAF.com
2012-10-19
[5]
웹사이트
CONCACAF to Hold Draw for the Hexagonal Round of the FIFA World Cup Qualifiers
https://web.archive.[...]
CONCACAF.com
2012-11-05
[6]
웹사이트
Hexagonal fixtures confirmed in CONCACAF
https://web.archive.[...]
FIFA.com
2012-11-08
[7]
문서
2014 FIFA World Cup Brazil –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and Draw Procedure – North, Central and Caribbean Zone
http://www.fifa.com/[...]
[8]
웹사이트
Draw to decide CONCACAF hexagonal schedule
http://www.concacaf.[...]
CONCACAF.com
2012-10-19
[9]
웹사이트
CONCACAF to Hold Draw for the Hexagonal Round of the FIFA World Cup Qualifiers
http://www.concacaf.[...]
CONCACAF.com
2012-11-05
[10]
웹사이트
Hexagonal fixtures confirmed in CONCACAF
http://www.fifa.com/[...]
FIFA.com
2012-11-08
[11]
웹사이트
Venues Set for U.S. Men’s National Team’s Last Four Home World Cup Qualifiers and Centennial Celebration Match
http://www.ussoccer.[...]
ussoccer.com
2013-03-21
[12]
문서
자메이카와 멕시코의 경기는 2013년 6월 18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멕시코가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관계로 일정이 변경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