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영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리지 야놀드는 스켈레톤 여자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데이비드 머독, 그레그 드럼몬드, 스콧 앤드루스, 마이클 굿펠로우, 톰 브루스터로 구성된 컬링 남자팀은 은메달을, 제니 존스는 스노보드 여자 슬로프스타일에서 동메달을, 이브 뮤어헤드, 안나 슬론, 비키 아담스, 클레어 해밀턴, 로렌 그레이로 구성된 컬링 여자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영국은 봅슬레이, 컬링, 스켈레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피겨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했으며, 봅슬레이와 컬링 종목에서 메달 획득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영국 - 201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201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크로케 클럽에서 개최된 128번째 대회로, 노바크 조코비치와 페트라 크비토바가 각각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으며 총 상금은 2,500만 파운드였다. - 2014년 영국 - 위키마니아
위키마니아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연례 국제 컨퍼런스로,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 개발자, 연구자, 지지자들이 모여 위키 관련 주제를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위키미디어 운동의 발전과 커뮤니티 성장에 기여하고 한국 커뮤니티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은 금메달 1개와 동메달 4개를 획득,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리지 야놀드는 스켈레톤 여자 종목에서 금메달, 이자벨 앳킨은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슬로프스타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각각 영국 동계 올림픽 역사에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1932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 4명의 선수를 파견했으며, 메건 테일러는 7위, 세실리아 콜레지는 8위, 몰리 필립스는 9위, 조안 딕스는 10위를 기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4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4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하여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4년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10개 종목에 114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영국 올림픽 협회 |
NOC 영문명 | British Olympic Association |
참가 대회 | 동계 올림픽 |
연도 | 2014년 |
개최지 | 소치 |
참가 선수 | 56명 |
참가 종목 | 10개 |
개막식 기수 | 존 엘리 (개막식) |
폐막식 기수 | 리지 야놀드 (폐막식) |
순위 | 19위 |
금메달 | 1개 |
은메달 | 1개 |
동메달 | 3개 |
공식 웹사이트 | 영국 올림픽 협회 웹사이트 |
메달 현황 | |
금메달 | 1개 |
은메달 | 1개 |
동메달 | 3개 |
총 메달 수 | 5개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
기타 | |
2. 메달 집계
영국 선수단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당초 목표였던 메달 3개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날짜별 메달 | |||||
---|---|---|---|---|---|
날짜 | -- | -- | -- | 합계 | |
2월 8일 | 0 | 0 | 0 | 0 | |
2월 9일 | 0 | 0 | 1 | 1 | |
2월 10일 | 0 | 0 | 0 | 0 | |
2월 11일 | 0 | 0 | 0 | 0 | |
2월 12일 | 0 | 0 | 0 | 0 | |
2월 13일 | 0 | 0 | 0 | 0 | |
2월 14일 | 1 | 0 | 0 | 1 | |
2월 15일 | 0 | 0 | 0 | 0 | |
2월 16일 | 0 | 0 | 0 | 0 | |
2월 17일 | 0 | 0 | 0 | 0 | |
2월 18일 | 0 | 0 | 0 | 0 | |
2월 19일 | 0 | 0 | 0 | 0 | |
2월 20일 | 0 | 0 | 1 | 1 | |
2월 21일 | 0 | 1 | 0 | 1 | |
2월 22일 | 0 | 0 | 0 | 0 | |
2월 23일 | 0 | 0 | 1 | 1 | |
합계 | 1 | 1 | 3 | 5 |
영국은 스켈레톤에서 금메달, 컬링에서 은메달과 동메달, 스노보드와 봅슬레이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1월 16일, 영국 스포츠(UK Sport)는 소치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서 팀 GB의 메달 목표를 발표했다. 여성 스켈레톤 종목에서 3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최대 7개의 메달을 획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봅슬레이와 컬링 종목도 메달 획득 가능성이 높은 종목으로 예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영국 선수단은 초기에 설정한 메달 목표를 초과 달성하며 성공적인 대회를 치렀다.
영국 선수단이 동계 올림픽 한 대회에서 여러 개의 메달을 획득한 것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이후 20년 만이며, 금, 은, 동메달을 모두 획득한 것은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 이후 78년 만이었다.
2. 1. 메달리스트
그레그 드럼몬드스코트 앤드루스
마이클 굿펠로우
톰 브루스터
애나 슬론
비키 아담스
클레어 해밀턴
로렌 그레이
브루스 태스커
스튜어트 벤슨
조엘 피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