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은 남녀 각각 10개 팀이 참가하여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4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승리한 팀은 결승에 진출하여 금메달과 은메달을 놓고 겨뤘고, 준결승 패배 팀 간의 경기에서 동메달을 결정했다. 참가국은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 성적과 예선 대회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개최국 러시아는 자동 출전했다.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남자부에서는 캐나다가 금메달, 영국이 은메달, 스웨덴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여자부에서는 캐나다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영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부 경기는 10개국이 참가했으며, 캐나다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영국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예선에서 3승 6패를 기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남자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남자 컬링은 10개 팀이 참가하여 캐나다의 금메달, 영국의 동메달 획득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캐나다가 결승에서 영국을 꺾고 우승했다. - 2014년 컬링 - 2014 컬러스 코너 오텀 골드 컬링 클래식
2014 컬러스 코너 오텀 골드 컬링 클래식은 2014년 10월 캐나다에서 열린 컬링 대회로, 제니퍼 존스 팀이 우승했으며, 다양한 국가 팀들이 참가했고 한국에서는 김은정 팀과 김지선 팀이 참가했다. - 2014년 컬링 - 2014 스톡홀름 레이디스 컬링 컵
2014 스톡홀름 레이디스 컬링 컵은 여러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스웨덴의 안나 하셀보리 팀이 우승하고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한 컬링 대회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컬링 |
대회 | 2014년 동계 올림픽 |
![]() | |
경기장 | 아이스 큐브 컬링 센터, 소치, 러시아 |
날짜 | 2014년 2월 10일 – 21일 |
참가 선수 | 100명 |
참가 국가 | 12개국 |
이전 대회 | 2010 |
다음 대회 | 2018 |
남자 컬링 | |
여자 컬링 | |
관련 문서 | |
예선 | 예선 |
통계 | 통계 |
남자 토너먼트 | 남자 |
여자 토너먼트 | 여자 |
외부 링크 |
2. 경기 방식
경기는 남녀 모두 10개국이 참가하여 진행한다.[6]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참가국은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를 통한 점수와 예선 대회, 두 가지 방법으로 선정되었다. 2012년과 2013년에 치러진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점수를 기준으로 7개국이 진출권을 획득하였고, 2013년 가을에 열린 올림픽 예선 대회를 통해 두 나라가 추가로 결정되었다. 개최국인 러시아는 자동 진출하여 남녀 각각 10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8]
총 12개국이 참가했으며, 대한민국은 여자 컬링 대표팀이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6] 경기는 남녀 모두 10개국이 참가하여 진행한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컬링 경기는 예선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4개국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3. 참가국 선정
영국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로 나뉘어 출전하므로, 스코틀랜드의 포인트를 영국 대표팀의 포인트로 합산했다. 포인트로 출전권을 얻지 못한 국가 중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적이 있는 국가는 남은 2장의 출전권을 결정하는 최종 예선 (독일 퓌센)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대한민국 남자팀과 노르웨이 여자팀은 2012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지 않아 포인트가 없지만,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기 때문에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3년 12월 독일에서 열린 최종 예선에서 남자부는 독일, 미국이 출전권을 획득했다. 여자부는 중국이 예선 및 플레이오프를 통해 전승으로 출전권을 획득했다. 일본과 노르웨이는 마지막 1장의 출전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진행했고, 일본이 승리하여 소치 올림픽 출전국이 모두 확정되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 순위별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순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포인트 14 12 10 9 8 7 6 5 4 3 2 1 Key style="background:#ffffcc; width: 1.5em;"| 세계 선수권 결과로 출전이 확정된 국가 style="background:#ccffcc; width: 1.5em;"| 최종 예선에 출전하는 국가
4. 본선 진출국
남자부 여자부 |
2012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 순위를 포인트로 환산하여 개최국인 러시아를 제외한 상위 7개국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영국은 세계 선수권에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로 나뉘어 출전하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포인트를 영국 대표로 합산했다. 포인트로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한 국가 중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 선수권에 출전한 적이 있는 국가가 남은 2장의 출전권을 결정하는 최종 예선 (독일 퓌센)의 출전 자격을 갖는다. 남자부의 대한민국과 여자부의 노르웨이는 2012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에 출전하지 않아 포인트가 없지만, 2011년 세계 선수권에 출전했기 때문에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3년 12월 독일에서 열린 최종 예선에서 남자부는 독일, 미국이 출전권을 획득했다. 여자부는 중국이 예선 및 플레이오프를 통해 전승으로 출전권을 획득했다. 일본과 노르웨이의 마지막 1장의 출전권을 놓고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었고 일본이 승리하여 소치 올림픽에 출전하는 모든 국가의 출전권이 확정되었다.순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포인트 14 12 10 9 8 7 6 5 4 3 2 1 Key style="background:#ffffcc; width: 1.5em;"| 세계 선수권 결과로 출전이 확정된 국가 style="background:#ccffcc; width: 1.5em;"| 최종 예선에 출전하는 국가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100%;"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국가 2012 2013 합계 캐나다 14 12 26 스웨덴 10 14 24 영국* 12 10 22 노르웨이 9 8 17 덴마크 6 9 15 중국 7 7 14 스위스 4 6 10 미국 5 4 9 뉴질랜드 8 0 8 체코 1 5 6 러시아 (개최국) 0 3 3 프랑스 3 0 3 일본 0 2 2 독일 2 0 2 핀란드 0 1 1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100%;"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국가 2012 2013 합계 스웨덴 12 12 24 스위스 14 8 22 영국 7 14 21 캐나다 10 10 20 미국 8 9 17 러시아 (개최국) 4 7 11 덴마크 5 5 10 대한민국 9 0 9 독일 6 2 8 일본 0 6 6 중국 2 4 6 이탈리아 3 3 6 라트비아 0 1 1 체코 1 0 1
|}
5. 경기 결과
라운드 로빈 순위순위 국가 승패 1 9승 0패 2 4승 5패 3 4승 5패 4 5승 4패 5 4승 5패 6 3승 6패 7 3승 6패 8 7승 2패 9 5승 4패 10 1승 8패
메달리스트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남자 여자
5. 1. 남자부
2014년 동계 올림픽 남자 컬링 경기는 모든 팀이 서로 경기를 치르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로 시작되었다. 라운드 로빈 결과 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노르웨이와 영국 간의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영국이 6-5로 승리하여 4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캐나다가 중국을 10-6으로, 영국이 스웨덴을 6-5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캐나다가 영국을 9-3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스웨덴이 중국을 6-4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1]
경기 결과
경기 | 팀 (스킵)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종 |
---|---|---|---|---|---|---|---|---|---|---|---|---|
준결승 | (에딘) | 0 | 1 | 0 | 1 | 0 | 1 | 0 | 2 | 0 | X | 5 |
(머독) | 1 | 0 | 2 | 0 | 0 | 0 | 1 | 0 | 2 | X | 6 | |
준결승 | (제이콥스) | 1 | 0 | 2 | 0 | 1 | 0 | 3 | 0 | 3 | X | 10 |
(류루이) | 0 | 1 | 0 | 2 | 0 | 2 | 0 | 1 | 0 | X | 6 | |
금메달 결정전 | (머독) | 0 | 1 | 0 | 0 | 1 | 0 | 1 | 0 | X | X | 3 |
(제이콥스) | 2 | 0 | 3 | 1 | 0 | 2 | 0 | 1 | X | X | 9 | |
동메달 결정전 | (에딘) | 0 | 1 | 1 | 0 | 2 | 0 | 0 | 0 | 1 | 1 | 6 |
(류루이) | 2 | 0 | 0 | 1 | 0 | 0 | 0 | 1 | 0 | 0 | 4 |
선수별 득점율;동메달 결정전
스웨덴 | 중국 |
---|---|
빅토르 셸 (94%) | 장지아량 (86%) |
프레드리크 린드베리 (88%) | 바더신 (91%) |
세바스티안 크라우프 (76%) | 쉬샤오밍 (81%) |
니클라스 에딘 (94%) | 류루이 (86%) |
종합: 88% | 종합: 86% |
;금메달 결정전
영국 | 캐나다 |
---|---|
마이클 구드펠로 (92%) | 라이언 한든 (94%) |
스콧 앤드루스 (67%) | 에릭 한든 (92%) |
그레그 드러먼드 (88%) | 라이언 프라이 (81%) |
데이비드 머독 (69%) | 브래드 제이커브스 (95%) |
종합: 79% | 종합: 91% |
5. 1. 1. 메달리스트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 캐나다 브래드 제이커브스 라이언 프라이 에릭 한든 라이언 한든 케일레브 플랙시 | 영국 데이비드 머독 그레그 드러먼드 스콧 앤드루스 마이클 구드펠로 톰 브루스터 | 스웨덴 니클라스 에딘 세바스티안 크라우프 프레드리크 린드베리 빅토르 셸 오스카르 에릭손 |
여자 | 캐나다 제니퍼 존스 케이틀린 로스 질 오피서 돈 매큔 키어스틴 월 | 스웨덴 마르가레타 식프리손 마리아 프륏스 크리스티나 베르트루프 마리아 벤네르스트룀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 영국 이브 뮤어헤드 애나 슬론 비키 애덤스 클레어 해밀턴 로렌 그레이 |
5. 2. 여자부
201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컬링 경기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다른 모든 팀과 경기를 치렀다. 라운드 로빈 결과 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라운드로빈 결과 캐나다 (제니퍼 존스), 스웨덴 (마르가레타 식프리손), 스위스 (미르얌 오트), 영국 (이브 뮤어헤드)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 캐나다가 영국을 6-4로, 스웨덴이 스위스를 7-5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캐나다가 스웨덴을 6-3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영국이 스위스를 6-5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5. 2. 1. 메달리스트
브래드 제이커브스라이언 프라이
에릭 한든
라이언 한든
케일레브 플랙시
데이비드 머독
그레그 드러먼드
스콧 앤드루스
마이클 구드펠로
톰 브루스터
니클라스 에딘
세바스티안 크라우프
프레드리크 린드베리
빅토르 셸
오스카르 에릭손
제니퍼 존스
케이틀린 로스
질 오피서
돈 매큔
키어스틴 월
마르가레타 식프리손
마리아 프륏스
크리스티나 베르트루프
마리아 벤네르스트룀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이브 뮤어헤드
애나 슬론
비키 애덤스
클레어 해밀턴
로렌 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