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예선을 겸하여, 8개 팀이 참가하여 두 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상위 팀들이 슈퍼 라운드에 진출하여, 일본, 중화 타이베이, 중국, 대한민국이 경쟁했다. 결승전에서 중화 타이베이가 일본을 꺾고 우승했으며, 중국이 대한민국을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일본을 제외한 상위 두 팀인 중화 타이베이와 중국이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예선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2019년 WBSC 프리미어 12는 WBSC 주최로 중화민국, 대한민국, 멕시코,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로, 상위 12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었다.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필리핀의 개최권 반납으로 인해 중화 타이베이에서 개최되었으며, 6개 팀이 참가한 풀 리그전에서 일본이 우승, 중화 타이베이와 대한민국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고, 각국은 프로, 사회인, 대학생 선수 등으로 대표팀을 구성하여 참가했으며, 파키스탄과 필리핀은 아시아컵 야구대회를 통해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2007년 11월 타이중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이 우승하고 결승 리그 1위 팀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진출하는 대회이다. - 2019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19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9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45개국 클럽들이 참가하여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클럽들이 경쟁하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힐랄이 우승하였다. - 2019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의 남녀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는 대한민국에서 결승 라운드가 개최되어 대한민국이 우승했고, 여자부는 북한 기권 속에 대한민국, 일본, 중국, 중화 타이베이가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
| 대회 개요 | |
| 국가 | 대만 |
| 개최 기간 | 2019년 10월 14일 - 2019년 10월 20일 |
| 참가 팀 수 | 8 |
| 이전 대회 우승팀 | 일본 |
| 이전 대회 | 2017년 |
| 다음 대회 | 2023년 |
| 결과 | |
| 우승 | 중화 타이베이 |
| 우승 횟수 | 5 |
| 준우승 | 일본 |
| 3위 | 중국 |
| 4위 | 대한민국 |
| 개인 기록 | |
| 최고 타율 타자 | 랴오쥔카이 |
| 최다 홈런 타자 | 양진 |
| 최다 도루 주자 | Erwin Bosito |
| 최고 평균 자책점 투수 | 고지마 야스아키 |
| 최우수 선수 | 류즈룽 |
| 기타 | |
| 사용 언어 | 영어 |
2. 대회 개요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야구 연맹 (BFA)이 주관하는 국제 야구 대회이다. 1954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아시아 지역 야구 발전과 국가 간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2. 1. 대회 방식
8개국이 참가하여 두 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진행했다. 조별 예선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며, 각 팀은 같은 조에 속한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상위 2팀은 슈퍼 라운드에 진출하고, 하위 2팀은 콘솔레이션 라운드로 진출하여 순위 결정전을 치렀다.3. 참가국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는 총 8개국이 참가하였다. 참가국은 201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성적, 2018년 동아시아컵 야구 대회 및 2019년 서아시아컵 야구 대회 결과, 그리고 2018년 종료 기준 WBSC 랭킹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다.[5][6][7]
최종 참가국은 개최국 대만을 비롯하여 일본, 대한민국, 중국, 홍콩, 필리핀, 파키스탄, 스리랑카이다. 자세한 참가 자격 기준과 최종 확정된 참가국 목록은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참가 자격
대만대한민국
필리핀
홍콩
파키스탄
스리랑카
대만
대한민국
태국
홍콩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홍콩
파키스탄
인도
이란
방글라데시
네팔
파키스탄
(이미 진출 자격을 얻은 팀 제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