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0년 유튜버 뒷광고 내부고발 논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유튜버 뒷광고 내부고발 논란은 유튜버 참PD가 음주 방송 중 도티의 뒷광고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사건은 MCN 기업과 여러 유튜버들의 뒷광고 의혹 제기로 이어졌고, 일부 유튜버들이 광고 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아 시청자들을 기만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따라 많은 유튜버들이 사과하거나 해명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 강화와 정치권의 문제 제기로 이어졌다. 이 논란은 유튜버들의 은퇴와 복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공정한 광고 문화 정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 사건의 발단

2020년 8월, 유튜버 참PD는 자신의 인터넷 방송에서 도티, 공혁준을 비롯한 여러 유튜버들의 뒷광고 의혹을 제기하며 논란의 불씨를 당겼다.

2. 1. 참PD의 폭로

참PD생방송에서 음주 후 "도티가 뒷광고로 돈을 벌어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팔아먹으려고 한다"라는 발언을 했다.[1][2] 이에 도티가 생방송에 참여하며 슈퍼챗으로 반론을 하자 참PD는 "전화로 직접 대화를 하자"라며 자신의 전화번호를 공개했다. 그러나 수많은 시청자들이 참PD에게 전화를 지속적으로 걸면서 대화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았다. 또한 "도티를 왜 공격했느냐"에 대한 시청자들의 질문에 참PD는 "10만원으로 4번이나 후원하는 게 나를 기만하는 거 같다"라고 말했다. 이후 샌드박스 네트워크가 사과문을 올리며 일부 크리에이터들의 행위는 사실로 드러났다. 도티 본인 채널 역시 논란이 있었으나 뒷광고는 아닌 것으로 추정되고 표기 누락에 그친 듯하다. 뒷광고 의심 증거 역시 거짓으로 드러났다.

참PD는 도티 관련 발언에 이어 "공혁준은 가짜사나이거짓말로 출연한 돼지새끼"라는 발언을 했다.[3] 시청자들은 반발했지만, 참PD는 "나는 공혁준이 누군지도 모르며, 가짜사나이에 대해 언급한 적도 없다"라며 사실을 부인했다. 하지만 증거영상이 있다는 사실을 알자 잘못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30분 뒤 다시 "출연자를 비난한 적이 없다", "기억나지 않는다"라며 말을 돌렸다.

2. 2. MCN 기업 및 기타 유튜버 저격

참PD샌드박스 네트워크, DIA TV,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 회사들은 모두 뒤에서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며 내가 말 한번 하면 다 무너진다"라고 페이퍼 컴퍼니를 언급했다.[1] 또한 "한국 유튜브 판은 매우 더럽고,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은 대부분 이 혐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그들이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얼마나 기만했는지 다 알고 있고, 이 모든 사실들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 사실이다"라고 하기도 했다.[1] 그 외에도 상윤쓰, 김나름,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는 발언을 했다.[1]

3. 참PD 저격 채널

참PD는 자신의 생방송에서 상윤쓰, 김나름,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 유튜버들의 뒷광고 의혹을 제기하며, 이들이 시청자를 기만했다고 주장했다.[1][2]

3. 1. 광고 미표기

참PD생방송에서 음주 후 "도티가 뒷광고로 돈을 벌어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팔아먹으려고 한다"라는 발언을 했다.[1][2] 참PD는 상윤쓰, 김나름,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고 발언했고,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 회사들은 모두 뒤에서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며 내가 말 한번 하면 다 무너진다"라고 페이퍼 컴퍼니를 언급했다. 또한 "한국 유튜브 판은 매우 더럽고,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은 대부분 이 혐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그들이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얼마나 기만했는지 다 알고 있고, 이 모든 사실들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문복희는 광고 표시를 하지 않고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거짓말을 하여 시청자들을 의도적으로 기만한 사실이 밝혀졌다.

3. 2. 댓글 및 영상 정보에만 광고 고지

김나름은 '내 돈 주고 내가 샀다'와 같은 영상을 올리는 등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한 것으로 드러나, 이 사건 이후 구독자 수가 10만 명 이상 감소했다. 햄지 역시 댓글 및 영상 정보에만 광고를 고지하는 방식으로 시청자를 혼란스럽게 했다. 쯔양은 방송 초기에 광고 표기 실수가 있었다고 해명했으나, 불과 3주 전 영상에서도 유료 광고 표시가 없어 논란이 되자 2020년 8월 6일 유튜브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2020년 10월 23일부터 욕지도 영상을 올리며 복귀, 2020년 11월 20일에 완전히 복귀하여 여론이 엇갈렸으나 현재는 이미지메이킹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4. 추가 폭로 채널

참PD는 상윤쓰, 나름TV,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고 발언했고,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 회사들은 모두 뒤에서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며 내가 말 한번 하면 다 무너진다"라고 말했다. 페이퍼 컴퍼니도 언급했다. 또한 "한국 유튜브 판은 매우 더럽고,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은 대부분 이 혐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그들이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얼마나 기만했는지 다 알고 있고, 이 모든 사실들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 사실이다"라고 했다. 참PD는 "영상을 절대로 지우지 않겠다"라고 했으나 방송이 끝나자마자 영상을 삭제했다. 현재는 [https://www.youtube.com/post/UgzKHHnZ4C5Umq9JJ4p4AaABCQ 사과문]과 [https://www.youtube.com/watch?v=FjLbVHqNxpI 사과 영상]을 업로드한 상태이다.

4. 1. 광고 미표기 (뒷광고)

참PD는 상윤쓰, 나름TV,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고 발언했고,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 회사들은 모두 뒤에서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며 내가 말 한번 하면 다 무너진다"라고 말했다. 페이퍼 컴퍼니도 언급했다. 또한 "한국 유튜브 판은 매우 더럽고,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은 대부분 이 혐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그들이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얼마나 기만했는지 다 알고 있고, 이 모든 사실들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 사실이다"라고 했다.[1]

결국 많은 유튜버들이 참PD의 말이 사실임을 인정하고 사과 영상을 올렸다.[1]

뒷광고를 한 유튜버는 다음과 같다.

유튜버사과 영상 또는 입장
개복어해당 사항 없음
갱이해당 사항 없음
공부하는봄이해당 사항 없음
권회훈해당 사항 없음
김새해해당 사항 없음
도로시해당 사항 없음
도남이먹방해당 사항 없음
떵개떵[https://www.youtube.com/watch?v=G8rJhoESQu 떵개떵 사과영상]
루시아해당 사항 없음
리비해당 사항 없음
만만[https://www.youtube.com/watch?v=kD16sKAlBnU 만만의 사과영상]
박뚜기해당 사항 없음
보겸[https://www.youtube.com/watch?v=vFbMEJgwS5s 보겸의 사과영상]
손새벽해당 사항 없음
시오해당 사항 없음
심으뜸해당 사항 없음
아미아미해당 사항 없음
야식이해당 사항 없음
양팡[https://www.youtube.com/watch?v=9d7jNUjBoss 양팡의 사과영상], ''광고 표시를 하지 않고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거짓말을 하여 시청자들을 의도적으로 기만한 사실이 밝혀졌다. 약 6일 만에 49만 명의 구독자가 떨어졌다.
엠브로[https://www.youtube.com/watch?v=NkV6ZcWUko 엠브로의 사과영상]
의대생 야츄해당 사항 없음
의대생 진콜리해당 사항 없음
임다[https://www.youtube.com/watch?v=REUA4roJndU 임다의 사과영상] 사건 이후 구독자 수를 비공개로 하였다. 또한 의료법을 위반한 경우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애초에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의 의료 뒷광고는 현행법으로도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푸메사과문 또는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았다.
하얀트리해당 사항 없음
핫도그TV[https://www.youtube.com/watch?v=4Kr9ZAMGr4A 핫도그TV의 사과영상]
효은이사과문 또는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았다. 이 사건 이후 100만원을 기부했다고 커뮤니티 공지에 올렸다.
히밥해당 사항 없음

[1]

4. 2. 라이브 스트리밍 중 광고 고지

따효니, 레바, 침착맨, 풍월량 등은 라이브 스트리밍 중 광고 사실을 고지하여 뒷광고 논란에서 벗어났다.

4. 3. 유료 광고 표시 기능만 사용

연고티비는 유튜브의 유료 광고 표시 기능만을 사용하여 논란의 소지를 최소화했다.

4. 4. 댓글 및 영상 정보에만 광고 고지

광마니, 딕헌터, 홍사운드 등은 댓글이나 더보기란에만 광고 사실을 고지하여 시청자들의 비판을 받았다.[1][2]

5. 사망여우 저격 채널

참PD는 상윤쓰, 김나름,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고 발언했고,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 회사들은 모두 뒤에서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며 내가 말 한번 하면 다 무너진다"라고 페이퍼 컴퍼니를 언급했다.[1] 또한 "한국 유튜브 판은 매우 더럽고,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은 대부분 이 혐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그들이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얼마나 기만했는지 다 알고 있고, 이 모든 사실들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 사실이다"라고 하기도 했다.[1] 참PD는 "영상을 절대로 지우지 않겠다"라고 했으나 방송이 끝나자마자 영상을 삭제했다.[1] 현재는 [https://www.youtube.com/post/UgzKHHnZ4C5Umq9JJ4p4AaABCQ 사과문]과 [https://www.youtube.com/watch?v=FjLbVHqNxpI 사과 영상]을 업로드한 상태이다.[1] 결국 많은 유튜버들이 참PD의 말이 사실임을 인정하고 사과 영상을 올렸다.[1]

6. 사건의 영향 및 반응

참PD는 상윤쓰, 김나름, 쯔양, 양팡, 햄지, 문복희 등을 언급하며 "내가 입을 열면 바로 끝나버린다"라고 발언했고,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을 언급하며 이들이 모두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100만에서 4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들 대부분이 뒷광고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말했다. 참PD는 이러한 주장을 담은 영상을 삭제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방송 직후 영상을 삭제하고 [https://www.youtube.com/post/UgzKHHnZ4C5Umq9JJ4p4AaABCQ 사과문]과 [https://www.youtube.com/watch?v=FjLbVHqNxpI 사과 영상]을 업로드했다.

'정배우: 사건사고이슈'라는 유튜버는 유명 유튜버들의 뒷광고 폭로 영상들을 계속 업로드하여 화제가 되었다. 보겸의 경우 처음에는 다소 엇나간 증거로 비판받았으나, [https://www.youtube.com/watch?v=MKVtK_MpwLk 이후 영상]에서는 정확한 증거를 제시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흔한남매, 침착맨 등은 실수로 영상에 광고 배너(유료 광고 포함)를 표기하지 못했음을 인정하고 사과문 및 공지 영상을 올렸다. 박막례 할머니의 경우에는 LED 마스크 과장광고 논란이 있었다.

해외에서 인기가 높은 뒷광고 유튜버들에게는 해당 의혹을 제기하는 댓글이 계속해서 달리고 있다.

6. 1. 유튜버들의 사과 및 해명

도티참PD의 발언에 대해 슈퍼챗으로 반론을 제기했고, 샌드박스 네트워크는 사과문을 통해 일부 크리에이터들의 뒷광고 행위가 사실임을 인정했다. 도티 본인 채널 역시 논란이 있었으나 뒷광고는 아닌 것으로 추정되며, 표기 누락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1][2] 이후 도티는 입장문을 통해 해명했다.[4] 또한 9월 24일에는 뒷광고 근절을 위한 예방 캠페인에 참석하기도 했다.[6]

보겸은 뒷광고 논란에 대해 1차 사과문을 올렸다.[5] 한혜연 역시 사과문을 게시했다.

침착맨은 실수로 영상에 유료 광고 포함 배너를 표기하지 못했음을 인정하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쯔양참PD내부고발 이전에 이미 사과문과 입장을 알린 상황이었지만, 참PD로 인해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고 악플 등으로 인해 방송을 잠시 중단했다가 복귀했다.

흔한남매도 유료 광고 미표기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 및 공지 영상을 올렸다.

6. 2. 언론 보도 및 사회적 파장

참PD의 폭로 이후, 유튜버 뒷광고 논란은 주요 언론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정배우: 사건사고이슈'라는 유튜버는 유명 유튜버들의 뒷광고 의혹을 폭로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업로드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특히 보겸의 경우, 초기에는 증거 부족으로 비판받았으나, 이후 정확한 증거를 제시하며 여론의 지지를 얻기도 했다.[5]

흔한남매, 침착맨 등 일부 유튜버들은 실수로 유료 광고 표시를 누락했음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박막례 할머니의 경우, 특정 업체의 LED 마스크 과장 광고 논란에 휩싸였다.

도티[4], 보겸[5], 한혜연, 침착맨 등 다수의 유튜버들이 뒷광고 논란에 대해 사과문 및 입장문을 발표했다. 해외에서 인기 있는 한국 유튜버들의 영상에는 뒷광고를 비판하는 댓글이 지속적으로 달리기도 했다.

이후 도티는 뒷광고 근절을 위한 예방 캠페인에 참여하기도 했다.[6] 쯔양참PD의 폭로 이전에 이미 사과와 해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고 악플로 인해 방송을 중단했다가 복귀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소비자들의 불신과 분노를 야기하며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6. 3.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

공정거래위원회는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 개정안을 통해 뒷광고 규제를 강화했으며, 이는 2020년 9월부터 시행되었다.[6]

6. 4. 정치권의 반응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은 뒷광고 유튜버 명단을 공개하며, 이 문제가 단순한 개인의 일탈이 아닌 플랫폼과 기업의 책임 문제임을 강조했다.

6. 5. 유튜버들의 복귀 논란

쯔양참PD의 뒷광고 내부고발 이전에 이미 사과문과 입장을 밝혔으나, 참PD의 폭로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고 악플 등으로 인해 방송을 잠시 중단했다가 복귀했다.[6]

6. 6. 플랫폼의 책임론

플랫폼 사업자들이 뒷광고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4]

7. 사회적 의의 및 평가

이 사건은 유명 유튜버들이 뒷광고를 통해 구독자들을 기만했다는 사실을 폭로하며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참PD는 DIA TV, 샌드박스 네트워크, 트레져헌터 등 MCN 회사들이 유료광고를 몰래 진행했다고 주장했으며, 많은 유튜버들이 이를 인정하고 사과 영상을 올렸다.[4][5] 쯔양내부고발 이전에 이미 사과를 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흔한남매, 침착맨 등 일부 유튜버들은 실수로 유료 광고 표시를 누락했음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박막례 할머니의 경우 과장 광고 논란이 있었다.

7. 1. 공정한 광고 문화 정착의 필요성

이 논란은 소비자들에게 유튜브 광고에 대한 불신을 갖게 했으며, 이는 공정한 광고 시장 질서를 확립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로 이어졌다. 참PD내부고발 이후, 도티는 뒷광고 근절을 위한 예방 캠페인에 참석하기도 했다.[6] 이는 유튜버와 광고 업계 전반의 인식 개선 및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7.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이 사건을 계기로 시청자들이 비판적인 시각으로 정보를 수용하고, 허위·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20년 9월 24일에는 도티가 뒷광고 근절을 위한 예방 캠페인에 참석하기도 하였다.[6]

참조

[1] Youtube https://www.youtube.[...]
[2] Youtube https://www.youtube.[...]
[3] 문서 음주 후 한 발언이라 정말 기억나지 않았는지의 여부는 불명이다.
[4] 문서 현재 도티의 실질적 뒷광고 여부는 불명이다. 본인은 모든 영상들을 재검토하였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사실은 알 수 없다. 디시인사이드 스트리머 갤러리에 올라온 폭로글은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5] 문서 허나, 화내는 듯한 태도와 여성 커뮤니티를 언급하며 책임을 피해가려는 듯한 태도를 보여 현재 가장 큰 관심과 비난을 받고 있다.
[6] 웹인용 ‘유튜브 초통령’ 도티가 공정위원장을 만난 이유는? http://news.kmib.co.[...] 2020-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