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메달 집계
- 3. 종목별 성적
- 3.1. [[파일:Alpine skiing pictogram.svg|30px]] 알파인 스키
- 3.2. [[파일:Biathlon pictogram.svg|25px]] 바이애슬론
- 3.3. [[파일:Bobsleigh pictogram.svg|25px]] 봅슬레이
- 3.4. [[파일:Cross country skiing pictogram.svg|25px]] 크로스컨트리 스키
- 3.5. [[파일:Curling pictogram.svg|25px]] 컬링
- 3.6. [[파일:Figure skating pictogram.svg|25px]] 피겨 스케이팅
- 3.7. [[파일:Freestyle skiing pictogram.svg|25px]] 프리스타일 스키
- 3.8. [[파일:Luge pictogram.svg|25px]] 루지
- 3.9. [[파일:Nordic combined pictogram.svg|25px]] 노르딕 복합
- 3.10. [[파일:Short track 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쇼트트랙
- 3.11. [[파일:Skeleton pictogram.svg|25px]] 스켈레톤
- 3.12. [[파일:Snowboarding pictogram.svg|25px]] 스노보드
- 3.13. [[파일:Speed skating pictogram.svg|30px]] 스피드 스케이팅
- 4. 선수단
- 참조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에 대한 내용이다.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도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단은 총 64명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22년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금메달 9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로 총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2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노르웨이 선수단은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16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요하네스 팅네스 뵈는 바이애슬론에서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에서 '코리아'라는 명칭의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하였으며, 이는 평화 올림픽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출전 기회 박탈 및 졸속 결정 논란도 있었다.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했으며, 윤성빈은 스켈레톤에서 아시아 최초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감염병 유행으로, 신천지 대구교회 집단 감염,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의 과정을 거쳐 2023년 6월 위기경보 단계가 하향 조정되었으며,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역 정책을 추진하여 K-방역으로 주목받았으나 논란도 있었다. - 2022년 대한민국 - 이태원 참사
2022년 10월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핼러윈 축제 중 좁은 골목길에 인파가 몰려 발생한 압사 사고인 이태원 참사는 159명의 사망자와 196명의 부상자를 냈으며, 미흡한 현장 대응과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개선 요구를 불러일으켰다.
2022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KOR |
NOC 명칭 | 대한체육회 |
종목 | 동계 올림픽 |
연도 | 2022 |
개최 기간 | 2022년 2월 4일 – 2022년 2월 20일 |
개최지 | 베이징, 중국 |
참가 선수 | 64명 |
남자 선수 | 34명 |
여자 선수 | 30명 |
참가 종목 | 13개 |
개막식 기수 | 김아랑 곽윤기 |
폐막식 기수 | 차민규 |
웹사이트 | 대한체육회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정보 | 코리아 |
성적 | |
순위 | 14위 |
금메달 | 2개 |
은메달 | 5개 |
동메달 | 2개 |
2. 메달 집계
대한민국 선수단은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황대헌과 최민정이 쇼트트랙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최민정은 은메달도 추가하였다. 차민규, 정재원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김민석, 이승훈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금 | 황대헌 | 쇼트트랙 | 남자 1500m | 2월 9일 |
-- 금 |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1500m | 2월 16일 |
-- 은 |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1000m | 2월 11일 |
-- 은 | 차민규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2월 12일 |
-- 은 | 김아랑, 서휘민, 이유빈,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3000m 계주 | 2월 13일 |
-- 은 | 이준서, 곽윤기, 박장혁, 황대헌, 김동욱 | 쇼트트랙 | 남자 5000m 계주 | 2월 15일 |
-- 은 | 정재원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매스 스타트 | 2월 19일 |
-- 동 | 김민석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2월 8일 |
-- 동 | 이승훈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매스 스타트 | 2월 19일 |
2. 1.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 황대헌 | 쇼트트랙 | 남자 1500m | 2월 9일 |
-- |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1500m | 2월 16일 |
-- |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1000m | 2월 11일 |
-- | 차민규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500m | 2월 12일 |
-- | 김아랑, 서휘민, 이유빈, 최민정 | 쇼트트랙 | 여자 3000m 계주 | 2월 13일 |
-- | 곽윤기, 김동욱, 박장혁, 이준서, 황대헌 | 쇼트트랙 | 남자 5000m 계주 | 2월 15일 |
-- | 정재원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매스스타트 | 2월 19일 |
-- | 김민석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1500m | 2월 8일 |
-- | 이승훈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매스스타트 | 2월 19일 |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아래와 같은 종목에 참가했다.
3. 종목별 성적
종목 남자 여자 총계 알파인 스키 1 2 3 바이애슬론 1 2 3 봅슬레이 8 1 9 크로스컨트리 스키 2 3 5 컬링 0 5 5 피겨 스케이팅 2 2 4 프리스타일 스키 1 2 3 루지 3 1 4 노르딕 복합 1 0 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5 5 10 스켈레톤 2 1 3 스노보드 2 2 4 스피드 스케이팅 6 4 10 총계 34 30 64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메달 이름 종목 세부 종목 날짜 황대헌 쇼트트랙 남자 1500m 2월 9일 최민정 쇼트트랙 여자 1500m 2월 16일 최민정 쇼트트랙 여자 1000m 2월 11일 차민규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2월 12일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서휘민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2월 13일 이준서, 김동욱, 황대헌, 곽윤기, 박장혁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월 15일 정재원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매스 스타트 2월 19일 김민석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500m 2월 8일 이승훈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매스 스타트 2월 19일
3. 1. [[파일:Alpine skiing pictogram.svg|30px]] 알파인 스키
대한민국은 알파인스키 종목에서 기본 출전자격을 만족하여 남자 선수 1명과 여자 선수 1명을 출전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43] 실제로는 남자 1명, 여자 2명이 대회에 출전하였다.
선수 | 종목 | 1차 시도 | 2차 시도 | 종합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정동현 | 남자 대회전 | colspan=2| | 진출 실패 | ||||
남자 회전 | 56.85 | 29 | 50.84 | 16 | 1:47.69 | 21 | |
김소희 | 여자 대회전 | 1:04.12 | 38 | 1:03.10 | 32 | 2:07.22 | 33 |
여자 회전 | 57.31 | 42 | 56.80 | 39 | 1:54.11 | 39 | |
강영서 | 여자 대회전 | colspan=2| | 진출 실패 | ||||
여자 회전 | colspan=2| | 진출 실패 |
3. 2. [[파일:Biathlon pictogram.svg|25px]]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종목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2명, 여자 1명의 출전권을 확보하였다.[35][36]선수 | 종목 | 시간 | 실점 | 순위 |
---|---|---|---|---|
티모페이 랍신 | 남자 개인 | 57:13.0 | 5 (1+1+2+1) | 76 |
남자 스프린트 | 27:30.8 | 2 (1+1) | 82 | |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 | 여자 개인 | 52:31.4 | 6 (3+0+2+1) | 73 |
여자 스프린트 | 23:19.4 | 2 (2+0) | 49 | |
여자 추적 | 진출 실패 | |||
김선수 | 여자 개인 | 56:37.5 | 6 (3+0+3+0) | 84 |
여자 스프린트 | 25:18.2 | 1 (1+0) | 83 |
3. 3. [[파일:Bobsleigh pictogram.svg|25px]] 봅슬레이
대한민국은 2022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종목에서 2인승과 4인승에 각각 두 팀씩 출전권을 확보했고, 여자 모노봅 종목에도 1명의 출전권을 획득하여 총 9명(남자 8명, 여자 1명)의 선수가 대회에 참가했다.[37]'''남자'''
선수 | 종목 | 1차 | 2차 | 3차 | 4차 | 종합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석영진 김형근 | 남자 2인승 | 1:00.28 | 23 | 1:00.46 | 22 | 1:00.52 | 24 | 진출 실패 | 3:01.26 | 24 | |
원윤종 김진수 | 59.89 | 14 | 1:00.28 | 17 | 1:00.10 | 14 | 1:00.97 | 20 | 4:01.24 | 19 | |
김진수 김태양 석영진 원윤종 | 남자 4인승 | 59.45 | 19 | 59.60 | 16 | 59.38 | 16 | 59.59 | 15 | 3:58.02 | 18 |
장기건 정현우 김동현 김형근 | 59.74 | 25 | 1:00.31 | 26 | 59.91 | 25 | 진출 실패 | 2:59.96 | 25 |
'''여자'''
선수 | 종목 | 1차 | 2차 | 3차 | 4차 | 종합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김유란 | 모노봅 | 1:06.68 | 20 | 1:07.02 | 18 | 1:06.41 | 14 | 1:06.41 | 13 | 4:26.52 | 18 |
3. 4. [[파일:Cross country skiing pictogram.svg|25px]]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서 남자 2명, 여자 3명, 총 5명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를 출전시켰다.[49]; 거리 종목
선수 | 종목 | 클래식 | 프리 | 종합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감점 | 순위 | ||
정종원 | 남자 15km 클래식 | 46:34.6 | +8:39.8 | 82 | ||||
김민우 | 45:21.6 | +7:26.8 | 79 | |||||
정종원 | 남자 30km 스키애슬론 | | 66 | ||||||
김민우 | 46:24.3 | 61 | | 62 | |||||
이채원 | 여자 10km 클래식 | 34:45.5 | +6:39.2 | 75 | ||||
이의진 | 34:07.9 | +6:01.6 | 72 | |||||
한다솜 | 여자 15km 스키애슬론 | 29:52.3 | 63 | | - | ||||
이채원 | 28:01.6 | 61 | 27:01.7 | 61 | 55:52.6 | +11:38.9 | 61 |
; 스프린트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정종원 | 남자 개인 | 3:16.15 | 81 | 진출 실패 | |||||
김민우 | 3:19.76 | 82 | 진출 실패 | ||||||
정종원 김민우 | 남자 단체 | 22:56.16 | 13 | 진출 실패 | |||||
이채원 | 여자 개인 | | colspan=6 | 진출 실패 | |||||||
이의진 | 3:52.05 | 77 | 진출 실패 | ||||||
한다솜 이의진 | 여자 단체 | 26:55.52 | 11 | 진출 실패 |
3. 5. [[파일:Curling pictogram.svg|25px]] 컬링
대한민국은 2021년 올림픽 예선 컬링 경기에서 3위로 마감하면서 여자 토너먼트전 출전권을 확보하였다. 총 5명의 선수가 한 팀으로 출전하게 된다.[44]2021년 대한민국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 11승 1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토너먼트전을 마감한 김은정 대표팀이 올림픽에 나선다.[45]
팀 | 종목 | 조별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3위전 | ||||||||||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순위 | 상대팀 스코어 | 상대팀 스코어 | 순위 | ||
김은정 김경애 김초희 김선영 김영미 | 여자 토너먼트 | 캐나다 패 7–12 | 영국 승 9–7 | ROC 승 9–5 | 중국 패 5–6 | 미국 패 6–8 | 일본 승 10–5 | 스위스 패 4–8 | 덴마크 승 8–7 | 스웨덴 패 4–8 | 8 | 진출 실패 |
;라운드로빈 최종 순위 결과
범례 | |
---|---|
style="background:#ffffcc; width:20px;"| | 플레이오프 |
국가 | 스킵 | 승 | 패 | 승-패 | 득 | 실 | 엔드 득 | 엔드 실 | 엔드 무 | 스틸 | 샷 %[46] | DSC[47] |
---|---|---|---|---|---|---|---|---|---|---|---|---|
스위스 | 실바나 트린초니 | 8 | 1 | – | 67 | 46 | 44 | 36 | 4 | 12 | 81.6% | 19.14 |
스웨덴 | 안나 하셀보리 | 7 | 2 | – | 64 | 49 | 39 | 35 | 6 | 12 | 82.0% | 25.02 |
영국 | 이브 뮈어헤드 | 5 | 4 | 1–1 | 63 | 47 | 39 | 33 | 4 | 9 | 80.6% | 35.27 |
일본 | 후지사와 사쓰키 | 5 | 4 | 1–1 | 64 | 62 | 40 | 36 | 2 | 13 | 82.3% | 36.00 |
캐나다 | 제니퍼 존스 | 5 | 4 | 1–1 | 71 | 59 | 42 | 41 | 1 | 14 | 80.4% | 45.44 |
미국 | 타비타 피터슨 | 4 | 5 | 2–0 | 60 | 64 | 40 | 39 | 2 | 12 | 79.5% | 33.87 |
중국 | 한위 | 4 | 5 | 1–1 | 56 | 67 | 38 | 41 | 3 | 10 | 79.6% | 30.06 |
대한민국 | 김은정 | 4 | 5 | 0–2 | 62 | 66 | 40 | 42 | 3 | 10 | 80.8% | 27.79 |
덴마크 | 마델레이네 두폰트 | 2 | 7 | – | 50 | 68 | 33 | 41 | 7 | 0 | 77.2% | 23.36 |
ROC | 알리나 코발레바 | 1 | 8 | – | 50 | 79 | 34 | 45 | 2 | 7 | 78.9% | 29.34 |
;라운드로빈
대한민국은 1차, 5차, 9차전이 부전승 처리되어 경기를 치르지 않는다.[48]
;2차전
:2월 10일 (목) 오후 8시 5분
;3차전
:2월 11일 (금) 오후 2시 5분
;4차전
:2월 12일 (토) 오전 9시 5분
;6차전
:2월 13일 (일) 오후 2시 5분
;7차전
:2월 14일 (월) 오전 9시 5분
;8차전
:2월 14일 (월) 오후 8시 5분
;10차전
:2월 16일 (수) 오전 9시 5분
;11차전
:2월 16일 (수) 오후 8시 5분
;12차전
:2월 17일 (목) 오후 2시 5분
3. 6. [[파일:Figure skating pictogram.svg|25px]] 피겨 스케이팅
대한민국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202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싱글 쿼터 1개와 여자 싱글 쿼터 2개를 확보했다.[17] 두 번째 남자 싱글 쿼터는 2021년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확보되었다.선수 | 종목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차준환 | 남자 싱글 | 99.51 | 4 | 182.87 | 7 | 282.38 | 5 |
이시형 | 65.69 | 27 | 진출 실패 | ||||
김예림 | 여자 싱글 | 67.78 | 9 | 134.85 | 11 | 202.63 | 9 |
유영 | 70.34 | 6 | 142.75 | 4 | 213.09 | 6 |
3. 7. [[파일:Freestyle skiing pictogram.svg|25px]] 프리스타일 스키
2022년 동계 올림픽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에는 총 3명의 선수가 출전했다.선수 | 종목 | 준결승 | 결승 | ||||
---|---|---|---|---|---|---|---|
1차 | 2차 | 최고기록 | 1차 | 2차 | 최고기록 | ||
이승훈 | 남자 하프파이프 | 49.75 | 56.75 | 56.75 | 진출 실패 | ||
장유진 | 여자 하프파이프 | 3.75 | 4.25 | 4.25 | 진출 실패 | ||
김다은 | 44.50 | 45.50 | 45.50 | 진출 실패 |
3. 8. [[파일:Luge pictogram.svg|25px]] 루지
대한민국은 루지 종목에서 전 세부종목에 한 명씩 출전권을 부여받았으며, 혼성 계주에도 출전 자격을 얻었다. 이에 따라 남자 선수 3명, 여자 선수 1명, 총 4명의 선수가 올림픽에 출전하였다.[31][32][33][34]선수 | 종목 | 1차 | 2차 | 3차 | 4차 | 종합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임남규 | 남자 1인승 | 1:02.438 | 34 | 59.794 | 30 | 59.538 | 28 | 진출 실패 | 3:01.770 | 33 | |
조정명 박진용 | 혼합 2인승 | 59.361 | 10 | 59.366 | 12 | colspan=4| | 1:58.727 | 12 | |||
아일린 프리슈 | 여자 1인승 | 59.776 | 23 | 59.642 | 20 | 59.055 | 18 | 1:01.811 | 19 | 4:00.284 | 19 |
;혼성
3. 9. [[파일:Nordic combined pictogram.svg|25px]] 노르딕 복합
선수 | 종목 | 스키점프 | 크로스컨트리 | 종합 | ||||
---|---|---|---|---|---|---|---|---|
거리 | 포인트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박제언 | 라지힐 10km | 107.0 | 67.9 | 39 | 30:08.5 | 47 | 34:56.5 | 44 |
노멀힐 10km | 90.0 | 82.3 | 36 | 29:11.3 | 43 | 32:34.3 | 42 |
3. 10. [[파일:Short track 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쇼트트랙
이번 대회에서 최민정 선수는 여자 1500m 금메달, 1000m와 3000m 계주 은메달을 차지하여 최다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특히 1500m 준결승전에서는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 황대헌 선수는 남자 1500m 금메달, 5000m 계주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1000m 종목에서는 황대헌 선수가 예선부터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으나, 준준결승에서 박장혁 선수가 손 부상으로 준결승을 기권하고, 준결승에서 황대헌 선수와 이준서 선수가 모두 실격 처리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로 인해 중국 측의 홈 어드밴티지에 기반한 편파 판정 논란이 크게 일었으며, 선수단 측은 국제빙상연맹에 공식 이의를 제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황대헌 | 500m | 40.971 | 2 Q | 40.636 | 2 Q | PEN | 진출 실패 | ||
이준서 | PEN | 진출 실패 | |||||||
황대헌 | 1000m | 1:23.042 OR | 1 Q | 1:24.693 | 1 Q | PEN | 진출 실패 | ||
이준서 | 1:24.698 | 1 Q | 1:23.682 | 1 Q | PEN | 진출 실패 | |||
박장혁 | 1:24.081 | 1 Q | 3 ADV | colspan=2| | 진출 실패 | ||||
황대헌 | 1500m | colspan=2| | 2:14.910 | 1 Q | 2:13.188 | 1 QA | 2:09.219 | ||
이준서 | colspan=2| | 2:18.630 | 1 Q | 2:16.586 | 1 QA | 2:09.622 | 5 | ||
박장혁 | colspan=2| | 2:12.116 | 3 Q | 2:12.751 | 2 QA | 2:10.176 | 7 | ||
황대헌 김동욱 곽윤기 이준서 박장혁 | 5000m 계주 | colspan=4| | 6:37.879 | 1 QA | 6:41.679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최민정 | 500m | 42.853 | 1 Q | 1:04.939 | 4 | 진출 실패 | |||
이유빈 | 43.141 | 4 | 진출 실패 | ||||||
최민정 | 1000m | 1:28.053 | 1 Q | 1:28.722 | 2 Q | 1:26.850 | 3 QA | 1:28.443 | |
김아랑 | 1:28.680 | 3 | 진출 실패 | ||||||
이유빈 | 1:27.862 | 2 Q | 1:29.120 | 1 Q | 1:28.170 | 3 QB | 1:29.739 | 6 | |
최민정 | 1500m | colspan=2| | 2:20.846 | 1 Q | 2:16.831 OR | 1 QA | 2:17.789 | ||
김아랑 | colspan=2| | 2:32.879 | 1 Q | 2:22.420 | 4 QB | 2:45.707 | 13 | ||
이유빈 | colspan=2| | 2:17.851 | 2 Q | 2:22.157 | 1 QA | 2:18.825 | 6 | ||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서휘민 | 3000m 계주 | colspan=4| | 4:05.904 | 2 QA | 4:03.627 |
;혼성
범례
'''ADV''': 다른 선수의 반칙으로 피해를 본 선수의 진출 처리, '''OR''': 올림픽 신기록, '''PEN''': 실격, '''Q''': 상위 라운드 진출, '''QA''': 메달결정전 진출, '''QB''': 순위결정전 진출
3. 11. [[파일:Skeleton pictogram.svg|25px]] 스켈레톤
대한민국은 스켈레톤에서 남자 2명, 여자 1명, 총 3명의 선수가 출전권을 획득했다.[22][23][24]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4차 시기 | 합계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정승기 | 남자 | 1:01.18 | 11 | 1:01.04 | 10 | 1:00.69 | 9 | 1:00.83 | 9 | 4:03.74 | 10 |
윤성빈 | 1:01.26 | 13 | 1:01.17 | 13 | 1:01.03 | 12 | 1:00.63 | 7 | 4:04.09 | 12 | |
김은지 | 여자 | 1:03.28 | 22 | 1:03.68 | 23 | 1:02.83 | 22 | 진출 실패 | 3:09.79 | 23 |
3. 12. [[파일:Snowboarding pictogram.svg|25px]] 스노보드
시간시간
시간
시간
승
패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