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폭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6폭동은 1966년 홍콩에서 발생한 시민 소요 사태이다. 스타 페리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열악한 사회 환경과 관료 부패, 불공정한 경찰 행정 등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 27세 번역가 소사우충의 단식 투쟁을 시작으로 시위가 격화되었고, 경찰의 강경 진압에 시민들의 반발이 커지면서 폭동으로 번졌다. 66폭동은 홍콩 시민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후 1967년 홍콩 좌익 폭동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불안을 반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령 홍콩 - 홍콩 반환 협정
홍콩 반환 협정은 1984년 중국과 영국이 체결한 국제 협정으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하며,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특별행정구는 50년간 고도의 자치권을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영국령 홍콩 - 67폭동
67 폭동은 1967년 홍콩에서 노동 분쟁으로 촉발되어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친중 세력이 주도한 대규모 시위 및 폭력 사태로, 홍콩 식민 정부의 강경 진압과정에서 폭탄 테러와 국경 충돌 등으로 격화되어 사회 혼란과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홍콩의 항의행동 - 2019-2020년 홍콩 시위
2019-2020년 홍콩 시위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까지 홍콩에서 발생한 시위 운동으로,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반대로 시작되어 민주주의 요구, 경찰 강경 진압 항의, 중국 정부의 영향력 확대 우려 표출로 확대되었으며 홍콩 사회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 홍콩의 항의행동 - 우산 운동
우산 운동은 2014년 홍콩에서 중국 정부의 선거 개혁안에 반대하며 완전한 보통선거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로, 시위대가 우산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고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국내외 연대를 이끌어내며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66폭동 | |
---|---|
개요 | |
![]() | |
원인 | 페리 요금 인상 |
목표 | 불명 |
방법 | 불명 |
결과 | 불명 |
전개 | |
날짜 | 1966년 4월 4일 - 8일 |
장소 | 구룡, 홍콩 |
피해 | |
사망자 | 1명 |
부상자 | 수십 명 |
체포 | 1,800명 이상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엘시 엘리엇 |
2. 배경
1960년대는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일반 대중의 생활 및 노동 환경은 열악했고, 관료 부패가 만연했다. 시민들은 부패와 불공정한 경찰 행정에 대해 불신했다.
2. 1. 직접적 원인
1965년 10월, 홍콩 정부는 스타 페리가 요금을 50%에서 100%까지 인상해 달라는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당시 스타 페리는 구룡 반도와 홍콩 섬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었으며, 1972년 홍콩 횡단 터널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유일한 연결 수단이었다.[1] 스타 페리는 이 신청을 비밀로 여겼기에 내용이 공개된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시했다. 또한 스타 페리가 인상과 관련하여 홍콩 야우마테 페리의 의견을 구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는데, 이는 요금 인상이 승인될 경우 다른 대중교통 수단도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는 대중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1]1966년 3월, 교통 자문 위원회(TAC)가 스타 페리의 요금 인상을 승인하자, TAC의 반대 위원이었던 엘시 엘리엇 도시 의회 의원은 요금 인상 반대 청원을 작성하여 2만 명의 시민 서명을 받았다.
2. 2. 근본적 원인
1960년대는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일반 대중의 생활 및 노동 환경은 열악했고, 관료 부패가 만연했다. 시민들은 만연한 부패와 불공정한 경찰 행정에 대해 불신했다.3. 전개 과정
1966년 4월 4일, 통역사로 일하던 27세의 소사우충(蘇守忠)은 센트럴 스타 페리 터미널에서 단식 투쟁을 시작했다. 소사우충은 "엘시 만세", "요금 인상 반대를 위한 단식 투쟁 동참"이라는 손글씨가 적힌 검은 재킷을 입고 있었다.[3]
4월 5일, 로케이(盧麒)가 소사우충과 함께 단식 투쟁에 동참했다.[3] 홍콩 경찰은 소사우충을 통행 방해 혐의로 체포했고, 분노한 청년들이 홍콩 총독 데이비드 트렌치에게 청원하기 위해 홍콩총독부(현 홍콩 예빈부)로 향했다.[3] 저녁에는 1,000명 이상의 시민들이 침사추이에 모여 소사우충 체포와 스타페리 요금 인상에 대한 영국령 홍콩 정부의 지지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3]
4월 6일, 소사우충은 징역 2개월을 선고받았다.[3] 저녁 8시경부터 군중이 모이기 시작했고, 2시간 후 구룡에서 시위대 간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3] 네이선 로드에서 폭도들은 버스에 돌을 던지고 차량에 불을 질렀으며, 야우마테이 경찰서 또한 공격받았다. 경찰기동대는 최루탄을 발사했지만, 사람들은 계속 모여들었고, 자정 무렵 폭도의 수는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폭도들은 상점을 약탈하고 공공 시설을 공격하고 불을 질렀다. 경찰은 최루탄 외에 카빈총을 발사하기도 했다. 영국군이 출동하여 총검을 장착한 군인들이 거리를 순찰하며 야간 통행 금지를 시행했다.[3]
4월 7일, 영국령 홍콩 정부는 통금을 오후 7시로 앞당기고 폭도들은 사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 네이선 로드에서 차량 방화와 상점 약탈이 다시 발생했다.[1] 야우마테이와 몽콕 경찰서에 수백 명의 사람들이 방화를 시도했다.[1]
4월 8일, 영국령 홍콩 정부는 통금 시간을 오후 7시로 앞당기고 폭도들은 사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노동자들이 일찍 귀가하면서 대중교통에 긴 줄이 늘어섰고, 홍콩은 통금 시간 전에 유령 도시처럼 변했다. 경찰 3,500명이 거리를 순찰했고, 삼수이포 청킹맨션과 남청 스트리트에서 돌을 던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3. 1. 1966년 4월 4일
1966년 4월 4일 아침, 통역사로 일하던 27세의 소사우충(蘇守忠)은 센트럴 스타 페리 터미널에서 단식 투쟁을 시작했다. 소사우충은 "엘시 만세", "요금 인상 반대를 위한 단식 투쟁 동참"이라는 손글씨가 적힌 검은 재킷을 입고 있었다. 그는 대중의 정서를 파악하여 빠르게 지지자들을 모았다.[3]3. 2. 1966년 4월 5일
로케이(盧麒)가 소사우충과 함께 단식 투쟁에 동참했다.[3] 홍콩 경찰은 소사우충을 통행 방해 혐의로 체포했고, 이에 분노한 청년들이 홍콩 총독 데이비드 트렌치에게 청원하기 위해 홍콩총독부(현 홍콩 예빈부)로 향했다.[3] 저녁에는 1,000명 이상의 시민들이 침사추이에 모여 소사우충의 체포와 스타페리 요금 인상에 대한 영국령 홍콩 정부의 지지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3] 시위대는 몽콕을 거쳐 다시 침사추이로 돌아왔다.[3]3. 3. 1966년 4월 6일
소사우충은 법정에서 징역 2개월을 선고받았다.[3]저녁 8시경부터 군중이 모이기 시작했고, 2시간 후 구룡에서 시위대 간에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3] 번화가인 네이선 로드에서 폭도들은 버스에 돌을 던지고 차량에 불을 질렀다. 야우마테이 경찰서 또한 300명 이상의 군중에 의해 공격받았다. 경찰기동대는 이에 대응하여 최루탄을 발사했지만, 사람들은 네이선 로드에 계속 모여들었고, 홍콩의 영화관이 자정 무렵에 문을 닫으면서 폭도의 수는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폭도들은 상점을 약탈하고 소방서와 발전소를 포함한 공공 시설을 공격하고 불을 질렀다. 경찰기동대는 계속해서 군중에게 최루탄을 발사했고, 어떤 경우에는 약탈자들에게 카빈총을 발사했다. 그날 밤 동안 772개의 최루탄, 62개의 나무 탄환, 62발의 카빈총이 발사되었다.
영국군 또한 출동했다. 총검을 장착한 군인들이 구룡의 거리를 순찰하며 오전 1시 30분경에 시행된 야간 통행 금지를 시행했다.[3]
3. 4. 1966년 4월 7일
영국령 홍콩 정부는 통금을 오후 7시로 앞당기고, 폭도들은 사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 몽콕 근처 네이선 로드에서 다시 차량 방화와 상점 약탈이 발생했다.[1] 야우마테이와 몽콕 경찰서에 수백 명의 사람들이 방화를 시도했다.[1] 시위자 1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했으며, 215명이 체포되었다.[1]3. 5. 1966년 4월 8일
영국령 홍콩 정부는 통금 시간을 오후 7시로 앞당기고, 폭도들은 사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노동자들이 일찍 귀가하면서 대중교통에 긴 줄이 늘어섰고, 홍콩은 통금 시간 전에 유령 도시처럼 변했다. 경찰 3,500명이 거리를 순찰했고, 삼수이포의 청킹맨션과 남청 스트리트에서 돌을 던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복 경찰이 '선동가' 669명을 체포하면서 상황이 종료되었다.4. 결과 및 영향
66폭동 결과, 약 300명이 법정에 출두했으며 258명이 최대 2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폭동은 점차 잦아들었고, 4월 10일 통행금지가 해제되었다.[3] 요금 인상은 4월 26일에 승인되었다. 피해는 최소 2000만홍콩 달러로 추산되었다.
사건 이후 로 키는 절도 혐의로 체포되었다. 1967년 1월, 어우터우콕의 한 아파트에서 목을 매단 채 발견되었다. 공식적으로는 자살로 기록되었지만, 엘시 엘리엇과 소사우충(소)은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3] 소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4월까지 몽콕에서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14일 동안 청산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66폭동은 홍콩 시민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자, 많은 젊은이들이 참여한 최초의 대규모 사회 운동이었다.[1] 또한 광범위한 사회적 불만을 반영했으며, 1967년 홍콩 전역의 좌익 폭동으로 이어졌다.[1]
2007년, 폭동이 시작된 에든버러 플레이스 스타 페리 부두는 논란이 된 센트럴 워터프론트 재개발 프로젝트에 포함되었다. 많은 시위대는 부두 철거 반대 시위를 소의 행동과 연관시켰다.[2]
66폭동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열망이 표출된 사건으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유사하다. 특히, 1960년대 4.19 혁명,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등은 권위주의적 통치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저항으로 발생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1]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66폭동은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1]
4. 1. 사법 처리
약 300명이 법정에 출두했으며, 258명이 최대 2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폭동은 점차 잦아들었고, 4월 10일에는 통행금지가 해제되었다.[3] 요금 인상은 4월 26일에 승인되었다. 발생한 피해는 최소 2000만홍콩 달러로 추산되었다.4. 2. 로키의 죽음
로 키는 사건 이후 절도 혐의로 체포되었다. 1967년 1월, 그는 어우터우콕의 한 아파트에서 목을 매단 채 발견되었다. 공식적으로 그의 죽음은 자살로 기록되었지만, 엘시 엘리엇과 소사우충(소)은 이 판결에 이의를 제기했다.[3] 소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4월까지 몽콕에서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14일 동안 청산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4. 3. 사회적 영향
66폭동은 홍콩 시민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사건은 홍콩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참여한 최초의 대규모 사회 운동이었다.[1] 또한 광범위한 사회적 불만을 반영했으며, 결국 1967년 홍콩 전역의 좌익 폭동으로 이어졌다.[1]폭동이 시작된 에든버러 플레이스 스타 페리 부두는 2007년 논란이 된 센트럴 워터프론트 재개발 프로젝트에 포함되었다. 많은 시위대는 부두 철거에 반대하는 시위를 소의 행동과 연관시켰다.[2]
4. 4. 한국과의 비교
66폭동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열망이 표출된 사건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특히, 1960년대 4.19 혁명,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등은 66폭동과 마찬가지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저항으로 발생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1]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66폭동은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1]1960년대는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던 시기였다.[1] 일반 대중의 생활 및 노동 환경은 열악했고, 관료 부패가 만연했다.[1] 시민들은 만연한 부패와 불공정한 경찰 행정에 대해 불신했다.[1]
1966년 폭동은 홍콩 시민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1] 이는 홍콩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참여한 최초의 대규모 사회 운동이었다.[1] 또한 이 사건은 광범위한 사회적 불만을 반영했으며, 결국 1967년 홍콩 전역의 좌익 폭동으로 이어졌다.[1]
참조
[1]
뉴스
Exposé: Star Ferry applies for fare increase
Wen Wei Po
1965-10-29
[2]
간행물
Official record of proceedings
http://www.legco.gov[...]
1996-10-17
[3]
뉴스
"Star Ferry fare increases provoke riots"
Hong Kong Commercial Daily
2005-04-04
[4]
웹사이트
Open an independent inquiry into Mong Kok clashes immediately
http://www.ejinsight[...]
2016-02-18
[5]
뉴스
Is there justice for all?
http://sunzi1.lib.hk[...]
South China Morning Post
1974-12-15
[6]
논문
Remaking Places and Fashioning an Opposition Discourse: Struggle over the Star Ferry Pier and the Queen's Pier in Hong Kong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