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7폭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7폭동은 1967년 홍콩에서 발생한 사회 혼란으로, 노동 분쟁과 좌파 세력의 영향력 확대, 마카오 12·3 사건의 영향으로 촉발되었다. 5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진 폭동은 노동 분규와 시위, 폭력의 격화, 폭탄 테러, 람분 살해 사건 등으로 전개되었으며, 51명의 사망자와 수백 명의 부상자를 냈다. 홍콩 정부는 긴급 조치를 발동하고, 중국 은행 건물에 철조망을 설치하는 등 대응했다. 67폭동은 홍콩의 사회 개혁, 홍콩인의 정체성 강화, 영국-중국 관계의 변화, 그리고 미디어 묘사 등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항의행동 - 2022년 중국 시위
    2022년 중국 시위는 중국 공산당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불만과 2022년 우루무치 화재를 계기로 시작되어 백지 시위와 시진핑 주석 퇴진 요구 등으로 이어진 전국적인 시위 운동이다.
67폭동
개요
1967년 8월 30일 파업하는 홍콩 전차 노동자들과 홍콩 경찰 간의 충돌
1967년 8월 30일 파업하는 홍콩 전차 노동자들과 홍콩 경찰 간의 충돌
장소영국령 홍콩
날짜1967년 5월 – 1967년 12월
결과폭동 진압
친 중국 공산당 단체에 대한 정부 단속
친 중국 공산당 출판물 금지
영국 식민 정부, 홍콩에 대한 통제 유지
방법시위, 파업, 암살, 폭탄 설치
교전 세력
측1영국령 홍콩
홍콩 경찰
지원 세력영국군 해외 홍콩
친 국민당 진영
측2친 중국 공산당 시위대
반영 투쟁 위원회
홍콩 구룡 공회 연합회
지원 세력중국 공산당
인민 민병대
지휘관 및 지도자
측1데이비드 트렌치
측2양광
피해 규모
사망자51명
부상자832명
체포4,979명
유죄 판결1,936명

2. 배경

1967년 5월, 초기의 시위는 선박, 택시, 직물, 시멘트 공장들에서 시작한 노동 분쟁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강한 유대관계를 갖는 홍콩 공회련합회가 관련되어 있었다.

2. 1. 긴장된 정치적 분위기

1967년 봄, 홍콩의 정치적 분위기는 긴장 상태였다. 홍콩 북쪽의 중화인민공화국은 숙청을 자행하는 홍위병문화대혁명의 광풍으로 소란스러운 상태였다. 홍콩 서쪽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는 식민 경찰과 친중공 시위대 사이에 두 달에 걸친 폭력적 충돌(12·3 사건)이 막 끝났다. 포르투갈군의 개입에도 마카오의 질서는 복구되지 못했고, 1967년 1월의 총파업포르투갈 정부로 하여금 시위대의 수많은 요구에 동의하게 만들어, 포르투갈령 마카오는 사실상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홍콩에서도 시위가 최대 31회 일어났다.

2. 2. 노동 운동의 성장과 좌파 세력의 영향력 확대

초기 시위는 1967년 5월 초부터 해운, 택시, 섬유, 시멘트 회사에서 시작된 노동 분쟁이었다. 홍콩 및 구룡 노동 조합 연합회는 이들의 대의를 받아들였으며, 베이징과 강력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1]

1967년 봄, 홍콩의 정치적 분위기는 긴장 상태였다. 식민지 북쪽 국경 너머에는 홍위병이 숙청을 자행하고 문화 대혁명의 혼란 속에서 내부 투쟁을 벌이는 격동적인 중화인민공화국이 있었다. 홍콩 서쪽의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는 식민지 경찰과 친 공산당 시위대 간의 두 달간의 폭력적인 충돌이 막 끝났다. 포르투갈군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마카오에는 질서가 회복되지 않았고, 1967년 1월의 총파업은 포르투갈 정부가 시위대의 요구 사항 중 다수를 수용하도록 압박하여 이 식민지를 중화인민공화국의 ''사실상'' 통제하에 두었다.[2] 홍콩에서는 최대 31건의 시위가 열렸다.[3]

2. 3. 마카오 12·3 사건의 영향

1967년 봄, 홍콩의 정치적 분위기는 긴장 상태였다. 홍콩 서쪽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는 식민 경찰과 친공산당 시위대 간의 두 달간의 폭력적인 충돌이 막 끝났다. 포르투갈군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마카오에는 질서가 회복되지 않았고, 1967년 1월의 총파업은 포르투갈 정부가 시위대의 요구 사항 중 다수를 수용하도록 압박하여 이 식민지를 중화인민공화국의 ''사실상'' 통제하에 두었다.[3]

3. 전개 과정

1967년 5월, 가우룽반도 웡다이신구 산포콩의 인조꽃 공장에서 발생한 노동 분규는 67폭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노동자들의 파업과 피케팅 과정에서 경찰과의 충돌이 발생했고, 다수의 노동자가 체포되었다.[1]

이를 계기로 홍콩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친중국 시위대는 마오 주석 어록을 들고 공산주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고, 홍콩 경찰은 통행금지령을 내리고 시위대를 강경 진압했다.[1]

중화인민공화국과 홍콩 내 친중국 언론은 시위대를 옹호하며 홍콩 식민 정부를 비난했다. 중국은행 건물 옥상에는 선전용 확성기가 설치되었고, 반대로 식민 당국은 월극을 크게 틀어 대응했다. '피에는 피로', '영제 타도' 등 과격한 구호가 담긴 벽보와 신문이 나돌았다.[1]

5월 16일, 홍콩 공회련합회 출신 양광을 회장으로 하는 반영국 투쟁 위원회가 조직되어 대규모 시위를 주도했다. 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홍콩 교통망이 마비되기도 했다.[1]

5월 22일, 경찰과 시위대의 격렬한 충돌로 167명이 체포되고, 최소 8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는 등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1]

사타우콕(Sha Tau Kok) 사건 당시 경찰관이 경계선을 지키고 있다. 군용 헬기가 저공 정찰을 위해 현장에 도착했다.


영국군 폭탄 해체 전문가가 급조폭발물을 제거하고 있다.


7월 8일, 사타우콕 국경에서 중공측 시위대가 홍콩 경찰을 공격하여 경찰관 5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5]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의 홍콩 점령설이 나돌았다. 친중국 시위대는 총파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

이후 시위대는 도시 전역에 폭탄과 가짜 폭탄을 설치하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다.[6] 이로 인해 민간인 사상자가 증가했으며, 군경 폭탄 해체 전문가들은 8천 개의 수제 폭탄(1100개는 진짜)을 제거했다.[8][9] 현지인들은 이 폭탄들을 파인애플이라 불렀다.[10]

홍콩 정부는 긴급조치를 발령하고, 극좌 신문 발행을 금지하고, 중화중학 등 극좌 학교를 폐쇄했으며, 친중국세력 지도자들을 체포했다.[8]

7월 19일, 시위대는 중국은행 건물에 철조망을 설치했다.[15] 경찰은 키콴 맨션 등 극좌세력 근거지를 습격했고,[10] 영국군 항모 HMS 허미즈에서 이륙한 헬기가 건물 옥상에 경찰을 투입했다.[16] 경찰은 건물 내부에서 폭탄, 무기, 조제실, 수술실 등을 갖춘 극좌세력의 '병원'을 발견했다.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시위대는 전술을 바꾸었다. 8월 24일, 반공 라디오 방송인 람분이 출근길에 피살되었고,[17] 명보 회장 김용 등도 위협을 받았다.

1967년 10월까지 폭탄 테러가 이어졌으나, 12월 저우언라이의 지시로 폭탄 설치가 중단되면서 폭동은 막을 내렸다.[18]

3. 1. 초기: 노동 분규와 시위 (5월 - 6월)

1967년 5월, 가우룽반도 웡다이신구 산포콩의 인조꽃 공장에서 노동 분규가 시작되었다. 노동자 679명 중 174명이 노조에 가입하여 파업에 참여했다. 피케팅을 하던 노동자들은 관리자와 충돌했고, 5월 6일 경찰기동대가 소집되었다. 경찰과 피케팅을 하던 노동자들 간의 폭력적인 충돌 속에서 21명의 노동자가 체포되었고, 노조 대표도 체포되었다.[1]

다음 날, 홍콩 거리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수많은 친중국 시위대는 마오 주석 어록을 왼손에 들고 공산주의 표어를 외쳤다. 홍콩 경찰은 시위대와 대치하고 127명을 더 체포했다. 통행금지령이 실시되었고 모든 경찰 인원들이 비상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1]

중화인민공화국의 신문들은 시위대의 행동을 찬양하고 식민 정부의 행동을 '파쇼 잔혹행위'로 규탄했다. 홍콩의 친중국 성향 신문 대공보와 문회보는 이와 비슷하게 시위대를 지지했고 식민정부에 반대했다.[1]

홍콩 중구에서는 친중공 구호와 선전을 방송하는 큰 확성기들이 중국은행 건물 옥상에 설치되었다. 식민당국은 근처에 월극을 요란하게 울려퍼지게 하는 더 큰 스피커들을 설치함으로써 대응했다. '피에는 피로', '흰 돼지놈들을 끓이자', '영제 타도', '데이비드 트렌치 목을 매달자' 같은 표어들을 포함한 벽보들이 걸렸다. 학생들은 시민들에게 시위에 대한 정보와 친중공 구호를 담은 신문을 배포했다.[1]

반영투쟁위원회 회의


5월 16일, 시위대는 반영국 투쟁 위원회를 조직했다. 홍콩 공회련합회 출신 양광이 회장이 되었다. 이 위원회는 일련의 대규모 시위들을 조직하고 조정했다. 서로 다른 극좌 조직 17곳에서 나온 지지자 수 백 명이 홍콩 예빈부 밖에서 친중공 표어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시위를 했다. 동시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고, 이 여파로 홍콩의 교통망이 마비되었다.[1]

5월 22일, 더 큰 폭력이 발생했고 167명이 추가로 체포되었다. 폭도들은 경찰관이나 경찰차에 돌을 던지는 등 더 정교한 전술들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경찰이 이에 대응하자 신문사, 은행, 백화점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로 후퇴했다. 사상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7월 1일 이전에 최소 8명의 시위대가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었는데, 대부분은 경찰이 쏜 총에 맞거나 경찰에 구타당해 희생됐다.[1]

3. 2. 중기: 폭력의 격화와 반영투쟁위원회 결성 (7월 - 8월)

1967년 5월, 가우룽반도 웡다이신구 산포콩의 인조꽃 공장에서 노동 분규가 시작되었다. 노동자 679명 중 174명이 파업에 참여했고, 이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하여 21명이 체포되었다. 다음 날, 마오 주석 어록을 든 친중국 시위대가 홍콩 거리 곳곳에서 시위를 벌였고, 경찰은 127명을 추가로 체포했다. 통행금지령이 실시되고 모든 경찰 인원이 비상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5]

중화인민공화국 신문들은 시위대를 칭찬하고 홍콩 식민 정부를 비난했으며, 홍콩의 친중국 성향 신문인 대공보와 문회보도 시위대를 지지했다. 중국은행 건물 옥상에는 친중공 구호와 선전을 방송하는 확성기가 설치되었고, 식민당국은 근처에 더 큰 스피커를 설치하여 월극을 요란하게 울려퍼지게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피에는 피로', '영제 타도' 등의 구호가 담긴 벽보가 걸렸고, 학생들은 친중공 구호가 담긴 신문을 배포했다.[5]

5월 16일, 시위대는 홍콩 공회련합회 출신 양광을 회장으로 하는 반영투쟁위원회를 조직했다. 이 위원회는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고 조정했으며, 17곳의 극좌 조직 지지자 수백 명이 홍콩 예빈부 밖에서 시위를 벌였다. 동시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하여 홍콩의 교통망이 마비되었다.[5]

5월 22일, 더 큰 폭력이 발생하여 167명이 추가로 체포되었다. 폭도들은 경찰관이나 경찰차에 돌을 던지는 등 더 정교한 전술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경찰이 대응하자 신문사, 은행, 백화점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로 후퇴했다. 7월 1일 이전에 시위대 최소 8명이 경찰에 의해 사망했다.[5]

7월 8일, 예비역 부대를 포함한 중공측 시위대 수백 명이 사타우콕 국경을 넘어 홍콩 경찰관들을 공격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목재총알로 시위대를 해산하려 했고, 무장한 시위대가 경찰에 발포하여 경찰관 5명이 죽고 11명이 다쳤다.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영국령 홍콩 통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홍콩의 친중공 시위대는 총파업을 꾀했으나 실패했고, 중국인 홍콩 경찰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실패했다.[5]

평화적 수단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시위대는 폭탄과 모형 폭탄을 도시 전역에 설치하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8살 여자 아이와 그의 두 살배기 남동생이 폭탄에 목숨을 잃는 등 사상자가 늘었다. 군경 측 폭탄 해체 전문가들은 수제 폭탄 8천 개를 없앴는데, 그 중 1100개는 진짜 폭탄이었다. 현지인들은 이러한 폭탄들을 파인애플이라고 불렀다. 홍콩의 경찰서 대부분은 사대로 방어되었다.[6][7][8][9][10][11][12][13][14]

홍콩 정부는 긴급조치를 발령하여 경찰에 특별 권한을 부여했다. 극좌 신문 발행이 금지되었고, 중화중학처럼 폭탄을 만드는 곳으로 알려진 극좌 학교가 문을 닫았으며, 수많은 친중공세력 지도자들이 체포 및 구금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중국 본토로 송환되었다.[8]

7월 19일, 시위대는 중국은행 건물에 철조망을 세웠다.[15]

이에 대응하여 경찰은 키콴 맨션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를 습격했고, 영국군 항모 R12 HMS 허미즈에서 이륙한 헬기가 해당 건물 옥상에 경찰관들을 침투시켰다. 경찰은 건물에 진입하자마자 폭탄, 무기 뿐 아니라 조제실과 수술실도 갖춘 극좌세력의 '병원'도 발견했다.[10][16]

폭력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격렬한 반응이 매체에 널리 보도되자, 시위대는 전술을 바꿨다. 8월 24일, 유명한 반공 라디오 방송인 람분이 사촌과 같이 출근하던 도중 도로 보수공사를 하는 노동자들로 위장한 사람들에게 살해당했다. 람분을 공격한 사람들은 그가 차에서 내리지 못하게 했고, 그는 산채로 불에 탔다. 폭도들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다른 인물들도 위협을 받았는데, 명보의 회장 김용이 그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후 1년 간 홍콩을 떠났다.[17]

3. 3. 후기: 폭력의 쇠퇴와 폭동의 종식 (9월 - 12월)



1967년 7월 8일, 예비역 부대를 포함한 중공측 시위대 수백 명이 사타우콕 국경을 넘어 홍콩 경찰관들을 공격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목재총알로 시위대를 해산하려 했으나, 무장한 시위대가 경찰에 발포하여 경찰관 5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당했다.[5]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영국령 홍콩 통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홍콩의 친중공 시위대는 총파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중국인 홍콩 경찰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실패했다.

평화적 수단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시위대는 도시 전역에 폭탄과 모형 폭탄을 설치하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다.[6] 이로 인해 일상 생활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사상자가 늘기 시작했다. 8살 여자 아이 웡이만과 그의 두 살배기 남동생 웡슈판이 집 근처에서 선물처럼 포장된 폭탄에 목숨을 잃었다.[7] 군경 측 폭탄 해체 전문가들은 8천 개의 수제 폭탄을 없앴는데, 그 중 1100개는 진짜 폭탄이었다.[8][9] 현지인들은 이러한 폭탄들을 파인애플이라고 불렀다.[10] 경찰 시설들이 폭탄, 파편성 폭발물, 발사체들의 목표가 되면서 홍콩의 경찰서 대부분은 사대로 방어됐다.[11][12][13][14]

홍콩 정부는 긴급조치를 발령하여 경찰에 특별 권한을 부여했다. 극좌 신문은 발간이 금지됐고, 중화중학처럼 폭탄을 만드는 곳으로 알려진 극좌 학교는 문을 닫았으며, 수많은 친중공세력 지도자들이 체포 및 구금됐다. 이들 중 일부는 중국 본토로 송환됐다.[8]

7월 19일, 시위대는 중국은행 건물에 철조망을 설치했다.[15]

이에 대응하여 경찰은 키콴 맨션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를 습격했고,[10] 영국군 항모 HMS 허미즈에서 이륙한 헬기가 해당 건물 옥상에 경찰관들을 침투시켰다.[16] 경찰은 건물에 진입하여 폭탄, 무기 뿐 아니라 조제실과 수술실도 갖춘 극좌세력의 '병원'을 발견했다.

폭력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격렬한 반응이 매체에 널리 보도되면서 시위대는 전술을 바꿨다. 8월 24일, 유명한 반공 라디오 방송인 람분이 사촌과 출근하던 중 도로 보수공사를 하는 노동자들로 위장한 사람들에게 살해당했다. 람분을 공격한 사람들은 그가 차에서 내리지 못하게 했고, 그는 산채로 불에 탔다.[17] 폭도들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명보의 회장 김용 등 다른 인물들도 위협을 받아, 김용은 1년 간 홍콩을 떠나기도 했다.

1967년 10월까지 폭탄 테러는 진정되지 않았다. 12월 저우언라이는 홍콩의 극좌집단들에게 폭탄 설치를 멈추라고 지시했고 폭동은 결국 끝났다.[18] 훗날 밝혀진 바에 따르면, 폭동 기간 중 임표의 고위급 우군이자 광저우 군구 사령관이었던 황영성이 비밀리에 홍콩을 침략하여 점령할 것을 제안했지만 저우언라이가 반대했다.[19]

4. 주요 사건

5월에 가우룽반도 웡다이신구 산포콩에 있는 인조꽃 공장들에서 노동 분규가 시작되었다. 노동자 679명 중 174명이 노조에 가입하여 파업에 참여했고,[1] 피케팅을 하는 노동자들은 관리자와 충돌했다. 5월 6일 경찰기동대가 소집되었고,[1] 경찰과 노동자들 간의 폭력적인 충돌 속에 노동자 21명이 체포되었으며,[1] 노조 대표도 체포되었다.[1]

다음날, 홍콩 거리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수많은 친중국 시위대는 마오 주석 어록을 왼손에 들고 공산주의 표어를 외쳤고,[2] 홍콩 경찰은 시위대와 대치하여 127명을 체포했다.[2] 통행금지령이 실시되었고 모든 경찰 인력들이 비상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2]

중화인민공화국 신문들은 시위대의 행동을 찬양하고 식민 정부의 행동을 '파쇼 잔혹행위'로 규탄했다.[3] 홍콩의 친중국 성향 신문인 대공보와 문회보도 시위대를 지지했고 식민정부에 반대했다.[3]

홍콩 중구에서 친중공 구호와 선전을 방송하는 큰 확성기들이 중국은행 건물 옥상에 설치되었고,[4] 식민당국은 근처에 월극을 요란하게 울려 퍼지게 하는 더 큰 스피커들을 설치함으로써 대응했다. '피에는 피로', '흰 돼지놈들을 끓이자', '영제 타도', '데이비드 트렌치 목을 매달자'와 같은 표어들을 포함한 벽보들이 걸렸다.[4] 학생들은 시민들에게 시위에 대한 정보와 친중공 구호를 담은 신문을 배포했다.[4]

5월 16일, 시위대는 반영투쟁위원회를 조직했다.[5] 홍콩 공회련합회 출신 영퀑이 회장이 되었다.[5] 이 위원회는 일련의 대규모 시위들을 조직하고 조정했다. 서로 다른 극좌 조직 17곳에서 나온 지지자 수백 명이 홍콩 예빈부 밖에서 친중공 표어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시위를 했다.[5] 동시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고, 이 여파로 홍콩의 교통망이 마비되었다.[5]

5월 22일, 더 큰 폭력이 발생했고 167명이 추가로 체포되었다.[6] 폭도들은 경찰관이나 경찰차에 돌을 던지는 등 더 정교한 전술들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경찰이 이에 대응하자 신문사, 은행, 백화점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로 후퇴했다.[6] 사상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시위대 최소 8명이 7월 1일 이전에 숨진 것으로 기록되었는데, 대부분은 경찰이 쏜 총에 맞거나 경찰에 구타당해 희생되었다.[6]

7월 8일, 예비역 부대를 포함한 수백 명의 중공측 시위대가 사타우콕 국경을 넘어 근처에 있던 홍콩 경찰관들을 공격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목재총알로 시위대를 해산하려 했고, 무장한 시위대가 경찰에 발포했다. 잠깐의 교전으로 경찰관 5명이 죽었고 11명이 다쳤다.[5]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영국령 홍콩 통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홍콩의 친중공 시위대는 총파업을 조직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중국인 홍콩 경찰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실패했다.

평화적 수단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시위대는 도시 전역에 폭탄과 모형 폭탄을 설치하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다.[6] 이로 인해 일상 생활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사상자가 늘기 시작했다. 8살 여자아이 웡이만과 그의 두 살배기 남동생 웡슈판이 집 근처에서 선물처럼 포장된 폭탄에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7] 군경 폭탄 해체 전문가들은 8천 개의 수제 폭탄을 제거했으며, 그 중 1,100개는 모형이 아닌 진짜 폭탄이었다.[8][9] 현지인들은 이러한 폭탄들을 파인애플이라고 불렀다.[10] 경찰 시설들이 폭탄, 파편성 폭발물, 발사체들의 목표가 되면서, 홍콩의 경찰서 대부분은 사대로 방어되었다.[11][12][13][14]

4. 1. 산포콩 인조꽃 공장 노동 분규

5월에 가우룽반도 웡다이신구 산포콩에 있는 인조꽃 공장들에서 노동 분규가 시작되었다. 노동자 679명 중 174명이 노조에 가입하여 파업에 참여했다.[1] 피케팅을 하는 노동자들은 관리자와 충돌했고, 5월 6일 경찰기동대가 소집되었다.[1] 경찰과 피케팅을 하는 노동자들 간의 폭력적인 충돌 속에 노동자 21명이 체포되었고,[1] 노조 대표도 체포되었다.[1]

다음날, 홍콩 거리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수많은 친중국 시위대는 마오 주석 어록을 왼손에 들고 공산주의 표어를 외쳤다.[2] 홍콩 경찰은 시위대와 대치하여 127명을 더 체포했다.[2] 통행금지령이 실시되었고 모든 경찰 인력들이 비상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2]

중화인민공화국 신문들은 시위대의 행동을 찬양하고 식민 정부의 행동을 '파쇼 잔혹행위'로 규탄했다.[3] 홍콩의 친중국 성향 신문인 대공보와 문회보는 이와 비슷하게 시위대를 지지했고 식민정부에 반대했다.[3]

홍콩 중구에서 친중공 구호와 선전을 방송하는 큰 확성기들이 중국은행 건물 옥상에 설치되었다.[4] 식민당국은 근처에 월극을 요란하게 울려 퍼지게 하는 더 큰 스피커들을 설치함으로써 대응했다. '피에는 피로', '흰 돼지놈들을 끓이자', '영제 타도', '데이비드 트렌치 목을 매달자'와 같은 표어들을 포함한 벽보들이 걸렸다.[4] 학생들은 시민들에게 시위에 대한 정보와 친중공 구호를 담은 신문을 배포했다.[4]

5월 16일, 시위대는 반영투쟁위원회를 조직했다.[5] 홍콩 공회련합회 출신 영퀑이 회장이 되었다.[5] 이 위원회는 일련의 대규모 시위들을 조직하고 조정했다. 서로 다른 극좌 조직 17곳에서 나온 지지자 수백 명이 홍콩 예빈부 밖에서 친중공 표어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시위를 했다.[5] 동시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고, 이 여파로 홍콩의 교통망이 마비되었다.[5]

5월 22일, 더 큰 폭력이 발생했고 167명이 추가로 체포되었다.[6] 폭도들은 경찰관이나 경찰차에 돌을 던지는 등 더 정교한 전술들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경찰이 이에 대응하자 신문사, 은행, 백화점 같은 극좌세력 '근거지'로 후퇴했다.[6] 사상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시위대 최소 8명이 7월 1일 이전에 숨진 것으로 기록되었는데, 대부분은 경찰이 쏜 총에 맞거나 경찰에 구타당해 희생되었다.[6]

4. 2. 사타우콕 사건

7월 8일, 예비역 부대를 포함한 수백 명의 중공측 시위대가 사타우콕 국경을 넘어 근처에 있던 홍콩 경찰관들을 공격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목재총알로 시위대를 해산하려 했고, 무장한 시위대가 경찰에 발포했다. 잠깐의 교전으로 경찰관 5명이 죽었고 11명이 다쳤다.[5]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영국령 홍콩 통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홍콩의 친중공 시위대는 총파업을 조직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중국인 홍콩 경찰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실패했다.

4. 3. 폭탄 테러

1967년 7월 8일, 예비역 부대를 포함한 중공측 시위대 수백 명이 사타우콕 국경을 넘어 근처에 있던 홍콩 경찰관들을 공격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목재총알로 시위대를 해산하려 했고, 무장한 시위대가 경찰에 발포했다. 이 교전으로 경찰관 5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었다.[5]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영국령 홍콩 통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홍콩의 친중공 시위대는 총파업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중국인 홍콩 경찰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실패했다.

평화적 수단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시위대는 도시 전역에 폭탄과 모형 폭탄을 설치하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했다.[6] 이로 인해 일상 생활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사상자가 늘기 시작했다. 8살 여자아이 웡이만과 그의 두 살배기 남동생 웡슈판이 집 근처에서 선물처럼 포장된 폭탄에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7] 군경 폭탄 해체 전문가들은 8천 개의 수제 폭탄을 제거했으며, 그 중 1,100개는 모형이 아닌 진짜 폭탄이었다.[8][9] 현지인들은 이러한 폭탄들을 파인애플이라고 불렀다.[10] 경찰 시설들이 폭탄, 파편성 폭발물, 발사체들의 목표가 되면서, 홍콩의 경찰서 대부분은 사대로 방어되었다.[11][12][13][14]

5. 영향

1967년 12월 13일에 열린 경찰관 리쿤상의 장례식


1967년 폭동의 영향으로, 베이징에서는 8월 22일에 수천 명이 주중 영국 대표부 밖에서 시위를 벌였고, 홍위병이 대표부 건물을 공격하고 불태우는 사건이 발생했다.[1]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많은 극좌 집단들은 67폭동을 거치며 와해되었다. 특히 람분 암살 사건은 홍콩 시민들을 격분하게 만들었고, 홍콩 내 극좌 운동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이로 인해 홍콩 시민들 사이에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졌으며, 지역 내 중공 동조자들은 오랫동안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1]

5. 1. 사회 개혁의 촉발

66폭동과 67폭동은 홍콩의 사회적 개혁을 촉발시켰다. 1971년에 '적극적 불개입'(소극적 개입주의)이 도입되었는데, 데이비드 트렌치는 마지못해 몇몇 사회 개혁안을 도입했다. 1970년대 머레이 맥리호스 재임기에 개혁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홍콩에서의 삶을 바꿨고, 홍콩이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홍콩인의 핵심 가치'로 일컬어지는 사자산 정신(라이온 록 정신)의 대두로 이어졌다.[1]

5. 2. 홍콩인의 정체성 강화

1967년 폭동과 그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많은 좌익 단체들이 해산되었다. 특히 라디오 진행자 린번의 살해 사건은 많은 홍콩 주민들을 분노하게 했으며, 홍콩의 좌익 운동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25] 홍콩 주민들 사이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그 지역 지지자들에 대한 신뢰는 한 세대 이상 심각하게 훼손되었다.[25]

1966년과 1967년 홍콩 폭동은 홍콩 사회 개혁의 촉매 역할을 했으며, 1971년 소극적 개입주의가 시행되었다. 데이비드 트렌치는 마지못해 몇몇 사회 개혁을 도입했다. 1970년대 머레이 맥리호스 총독 재임 기간에 개혁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홍콩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켰고, 홍콩이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라이온 록 정신"이 등장했는데, 이는 "홍콩 사람들의 핵심 가치"라고 한다.

5. 3. 영국-중국 관계의 변화

8월 22일, 베이징에서 수천 명이 주중 영국 대표부 밖에서 시위를 한 후 홍위병이 대표부 건물을 공격하고 불태웠다.[1]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졌던 수많은 극좌 집단들이 67폭동 도중 그리고 이후에 와해됐다.[1] 특히 람분 암살은 수많은 홍콩 시민들을 격분케 했고 홍콩에서의 극좌적인 움직임들은 불신을 얻었다.[1] 홍콩 시민들 사이에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신뢰가 손상됐고, 지역 내 중공 동조자들은 한 세대 넘게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

6. 논쟁

67폭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쟁이 있다.


  • 폭력의 정당성 문제: 1967년 폭동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많은 좌익 단체들이 해산되었다. 특히 라디오 진행자 린번의 살해 사건은 홍콩 주민들을 분노하게 했으며, 홍콩 좌익 운동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25] 이는 홍콩 주민들 사이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그 지역 지지자들에 대한 신뢰를 한 세대 이상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5]

  • 좌파 세력의 역할: 1967년 8월 22일, 베이징에서 수천 명이 주중 영국 대표부 밖에서 시위를 한 후 홍위병이 대표부 건물을 공격하고 불태웠다.[24]

  • 홍콩 경무처 웹사이트 수정 논쟁: 2015년 9월 중순, 홍콩 경무처 웹사이트의 67폭동 관련 설명에서 공산주의자 관련 부분, 특히 67폭동 책임 집단의 정체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어 논란이 일었다.[30] 예를 들어, '폭탄이 극좌주의자들의 학교 교실에서 만들어져서 거리에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는 문장은 '폭탄이 거리에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로 바뀌었다. 또한 '마오 주석 어록을 하늘 높이 흔들며 표어를 외쳤다'는 표현과 소위 "붉은 고양이"라 불리는 친중공 사업가의 위선을 비판하는 문장 전체가 삭제되었다.[30] 이러한 편집은 폭력 사태의 책임을 시위대가 아닌 영국 식민 정부에 돌리는 것처럼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신임 경찰청장 로우 시우청은 공식 웹사이트 내용 변경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단순화 작업이며, 정치적 동기는 없다고 부인했지만, 비판가들은 이를 납득하지 못했다.[31] 이후 변경 사항은 되돌려졌다.

6. 1. 폭력의 정당성 문제

1967년 폭동과 그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많은 좌익 단체들이 해산되었다. 특히 라디오 진행자 린번의 살해 사건은 홍콩 주민들을 분노하게 했으며, 홍콩 좌익 운동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25] 이는 홍콩 주민들 사이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그 지역 지지자들에 대한 신뢰를 한 세대 이상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5]

6. 2. 좌파 세력의 역할



8월 22일, 베이징에서 수천 명이 주중 영국 대표부 밖에서 시위를 한 후 홍위병이 대표부 건물을 공격하고 불태웠다.[24]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졌던 수많은 극좌 집단들이 67폭동 도중 그리고 이후에 와해됐다. 특히 람분 암살은 수많은 홍콩 시민들을 격분케 했고 홍콩에서의 극좌적인 움직임들은 불신을 얻었다. 홍콩 시민들 사이에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신뢰가 손상됐고, 지역 내 중공 동조자들은 한 세대 넘게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25]

6. 3. 홍콩 경무처 웹사이트 수정 논쟁

2015년 9월 중순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홍콩 경무처 웹사이트의 67폭동 관련 설명에서 공산주의자 관련 부분, 특히 67폭동 책임 집단의 정체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었다.[30]

예를 들어, '폭탄이 극좌주의자들의 학교 교실에서 만들어져서 거리에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는 문장은 '폭탄이 거리에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로 바뀌었다. 또한 '마오 주석 어록을 하늘 높이 흔들며 표어를 외쳤다'는 표현과 소위 "붉은 고양이"라 불리는 친중공 사업가의 위선을 비판하는 문장 전체가 삭제되었다.[30]

이러한 편집은 폭력 사태의 책임을 시위대가 아닌 영국 식민 정부에 돌리는 것처럼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신임 경찰청장 로우 시우청은 공식 웹사이트 내용 변경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단순화 작업이며, 정치적 동기는 없다고 부인했지만, 비판가들은 이를 납득하지 못했다.[31] 이후 변경 사항은 되돌려졌다.

7. 유산

67폭동은 홍콩 역사에 여러 영향을 주었다. 영국 정부는 폭동에 대한 대처로 홍콩 경찰을 높게 평가했고, 1969년 엘리자베스 2세는 홍콩 경찰에 '왕립'이라는 수식어를 추가하는 특권을 부여하여 1997년 홍콩 반환 시까지 이어졌다.[26]

많은 시위자들이 홍콩 정계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공동 창당한 창탁싱(Tsang Tak-sing)과 그의 형제 창욕싱(Tsang Yok-sing)은 마르크스주의를 계속 고취했다.[27] 2001년 퉁치화 행정장관이 영쾅에게 대자형훈장을 수여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가 67폭동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28]

2017년 67폭동 50주년 기념식에는 전직 변호사 응렁싱(Ng Leung-sing), 홍콩 공회련합회 인사 룩충훙(Luk Chung-hung), '67시너지그룹' 지도자 찬시윈(Chan Shi-yuen) 등 수백 명이 참석하여 '영국 식민 폭정에 대항한 애국적 행동'이라며 중화인민공화국 측에 지지를 촉구했다.[29]

7. 1. 민주화 운동의 기원

영국 정부는 폭동에 대한 대처로 홍콩 경찰을 높게 평가하여 1969년에 엘리자베스 2세는 홍콩 경찰에 '왕립'이라는 수식어를 추가하는 특권을 부여했고, 이는 1997년 홍콩 반환 시까지 이어졌다.[26]

1967년 폭동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은 이후 홍콩 정치에서 입지를 다졌다. 예를 들어, 쩡더싱은 폭동 가담자였지만, 나중에 홍콩에서 가장 큰 친중국 정치 정당인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공동 설립했다. 그는 형 쩡예싱과 함께 홍콩에서 마르크스주의를 계속 장려했다.[27] 2001년, 둥젠화 당시 행정 장관은 양광에게 금자형장을 수여했는데, 이는 1997년 이후의 홍콩 정부가 당시 폭동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상징적인 제스처였다.[28]

2017년, 1967년 폭동에 참여했던 수백 명의 시위대는 봉기의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우호 시크 공설 묘지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주요 참석자로는 전 금융계 입법 의원 우량싱, 홍콩 공회련합회의 루충훙, 67 시너지 그룹의 대표 찬시위엔 등이 있었다. 그들은 폭동을 "영국 식민 통치에 맞선 애국적인 행위"라고 계속 지칭하며, 베이징에 이 시위를 옹호할 것을 촉구했다.[29]

7. 2. 사회 운동의 활성화

영국 정부는 폭동에 대처한 홍콩 경찰의 노고를 높이 평가하여, 1969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홍콩 경찰에 '왕립(로열)' 칭호를 부여했다. 이 칭호는 1997년 홍콩 반환 때까지 사용되었다.[26]

67폭동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은 이후 홍콩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폭동 가담자였던 쩡더싱은 훗날 홍콩 최대 친중국 정당인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공동 창당했다. 그는 형 쩡예싱과 함께 홍콩에서 마르크스주의를 계속 옹호했다.[27] 2001년, 양광은 당시 행정 장관 둥젠화로부터 금자형장을 수여받았는데, 이는 1997년 이후 홍콩 정부가 당시 폭동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28]

2017년, 67폭동 50주년을 기념하여 우호 시크 공설 묘지에서 추모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전 금융계 입법 의원 응렁싱, 홍콩 공회련합회 인사 룩충훙, '67 시너지 그룹' 대표 찬시위엔 등 수백 명의 폭동 참가자들이 참석했다. 그들은 폭동을 "영국 식민 통치에 맞선 애국적인 행위"라고 칭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67폭동 지지를 촉구했다.[29]

7. 3. 문화적 영향

영국 정부는 폭동에 대처한 홍콩 경찰을 높게 평가하여 1969년에 엘리자베스 2세는 홍콩 경찰에 '왕립'이라는 수식어를 추가하는 특권을 부여했고, 이는 1997년 홍콩 반환 시까지 이어졌다.[1]

수많은 시위 참여자들은 홍콩 정계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예를 들어 창탁싱(Tsnag Tak-sing)은 훗날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공동 창당했다. 그는 형제 창욕싱(Tsang Yok-sing)과 함께 홍콩에서 마르크스주의를 계속 고취했다.[1] 2001년에는 행정장관 퉁치화가 영쾅에게 대자형훈장(그랜드 바우히니아 훈장)을 수여했는데,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가 67폭동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상징적 제스처가 되었다.[1]

2017년 67폭동에 참가한 시위대 수백 명이 우홉섹(Wo Hop Shek) 공동묘지에 모여 67폭동 5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주요 참가자들에는 전직 변호사 응렁싱(Ng Leung-sing), 홍콩 공회련합회 인사 룩충훙(Luk Chung-hung), '67시너지그룹' 지도자 찬시윈(Chan Shi-yuen)이 있었다. 그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측에 67폭동 지지를 촉구하면서 '영국 식민 폭정에 대항한 애국적 행동'이라고 칭했다.[1]

8. 미디어 묘사


  • 존 우 감독의 액션 영화 《첩혈가두》에서 1967년 폭동이 잠시 등장한다.
  • 서극 감독의 영화 《첫 번째 종류의 위험한 만남》에서는 1967년 폭동의 모습이 묘사된다.
  • 연극 및 영화 《유금세월》에서 폭동은 (단지 짧게 언급되지만) 주요 줄거리의 핵심 요소이다.
  • 왕가위 감독의 영화 《2046》은 배경에 폭동을 묘사하고, 폭동 관련 몇몇 옛 뉴스 영화를 사용한다.
  • 현대 홍콩 역사를 다룬 영화 《미스터 시네마》는 폭동을 묘사한다.

9. 관련 서적 (중국어)


  • 《홍콩 67 폭동 내정》(장자웨이 저)
  • 《홍콩 67 폭동 시말 - 오디우 해독》(청샹 저)
  • 《67 폭동 비사》
  • 《홍콩 좌파 투쟁사》(저우이 저)
  • 《67 폭동: 홍콩 전후 역사의 분수령》(장자웨이 저)
  • 불꽃》(취잉옌 저)
  • 《상성기》(장자웨이 저)
  • 《홍콩의 분수령 1967년 폭동》(장자웨이 저)

10. 사망자 명단 (일부)

사망자 명단 (미완성)
이름나이사망일비고
찬 콩상[37]141967-05-12웡 타이 신 재정착 지역에서 폭동 중 사망한 견습 미용사
추이 틴포[38] ()421967-06-08공공사업부 기계과 노동자로 체포 후 웡 타이 신 경찰서에서 구금 중 사망
라이 충 ()521967-06-08경찰의 급습으로 총에 맞아 익사한 타운 가스 노동자
쩡 밍 ()291967-06-08경찰의 급습으로 구타당해 사망한 타운 가스 노동자
탕 치켕 ()301967-06-23노조에 대한 경찰의 급습으로 총에 맞은 플라스틱 공장 노동자
차우 충싱 ()341967-06-24체포 후 경찰에 의해 구타당해 사망한 플라스틱 공장 노동자
로 춘가우 ()301967-06-24체포 후 경찰에 의해 구타당해 사망한 플라스틱 공장 노동자
리 온 ()451967-06-26쇼 브라더스 스튜디오의 노동자로 법원에서 병원으로 이송 중 사망
펑 옌핑 ()[39]40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중국 본토 민병대에 의해 살해된 경찰 상사
콩 싱케이 ()[39]19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중국 본토 민병대에 의해 살해된 경찰 순경
모하메드 나와즈 말리크[39]28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중국 본토 민병대에 의해 살해된 경찰 순경
쿠르시드 아흐메드[39]27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중국 본토 민병대에 의해 살해된 경찰 순경
웡 로이힝 ()[39]27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중국 본토 민병대에 의해 살해된 경찰 순경
장 톈성 ()411967-07-08사타우콕 국경 마을에서 홍콩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중국 본토 민병대원
청 치콩 ()321967-07-09웨스턴 디스트릭트에서 일하는 하역업자로 폭동 중 총에 맞아 사망
마 릿 ()431967-07-09웨스턴 디스트릭트에서 일하는 하역업자로 폭동 중 총에 맞아 사망
람 포와 ()[39]211967-07-09폭동 중 빗나간 총알에 맞아 사망한 경찰 순경
초이 와이 남 ()271967-07-10완차이 존스턴 로드에서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리 춘힝351967-07-10완차이 존스턴 로드에서 시위대에 의해 구타당해 사망한 가구 노동자
리 쓰 ()481967-07-11완차이 존스턴 로드에서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막 치와 ()1967-07-12샴수이포의 언 차우 스트리트에서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불명1967-07-12몽콕의 소이 스트리트에서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호 펑 ()341967-07-14구룡 조선소 노동자로 구룡 조선 노동자 연합에 대한 경찰 작전 중 사망
불명1967-07-14야우마테이의 리클라메이션 스트리트에서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유 사우만 ()1967-07-15윌록 스피너스의 폭동 직원이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
소 춘 ()281967-07-26몽콕에서 운행 중인 버스를 공격하다 경찰에 의해 총에 맞아 사망한 섬유 공장 노동자
호 춘팀 ()1967-08-096월 24일에 사망한 시위대를 위한 추모식에 대한 경찰 급습 중 체포된 사타우콕의 어부. 8월 9일에 사망.
웡 이만 ()81967-08-20노스포인트의 칭와 스트리트에서 선물처럼 포장된 수제 폭탄에 동생과 함께 사망한 8세 소녀
웡 시우판 ()21967-08-20웡 이만의 남동생
람 번 ()371967-08-25상업 라디오 홍콩의 라디오 해설가. 8월 24일 출근길에 도로 유지 보수 노동자인 척한 무리의 방화 공격으로 사망. 8월 25일에 사망.
찰스 워크먼261967-08-28왕립 육군 병기창의 상사. 라이언 록에서 자신이 해체하던 수제 폭탄이 폭발하여 사망
호 쉐이케이 ()211967-08-29웡 타이 신, 퉁 타우 빌리지에서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한 폭도 기계 노동자
람 궝호이 ()1967-08-29상업 라디오 홍콩의 기술자. 8월 24일 출근길에 형의 사촌 람 번과 함께 방화 공격으로 사망. 8월 29일에 사망.
아슬람 칸221967-09-03해체에 실패한 수제 폭탄에 의해 사망한 소방관
청 착 ()381967-09-038월 30일 경찰의 총격으로 부상을 입은 폭도 버스 운전사. 9월 3일 폐렴으로 사망.
야우 춘야우 ()1967-09-20로얄 홍콩 조키 클럽 노동자. 솅수이, 캄 틴의 병영 근처에서 자신의 폭탄 폭발로 사망
로 혼분 ()1967-10-01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폭도
토 훙궝 ()191967-10-13완차이에서 폭탄에 의해 살해된 경찰 순경[40]
텅 턱밍 피터 ()181967-10-14완차이에서 폭탄에 의해 살해된 중학교 학생
로널드 J. 맥이웬371967-11-05시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지역을 정리하던 중 코즈웨이 베이에서 폭탄에 의해 살해된 선임 경찰 감찰관. 다른 많은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40]
싯 춘훙1967-11-28스크 키프 메이에서 칼에 찔려 사망한 경찰 순경[40]
리 쿤상1967-12-9캄 틴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 경찰 순경[40]



구금 중 사망한 유죄 판결을 받은 시위자 목록
이름죄수 번호사망일비고
쩡 틴성273811968-01-271967년 7월 15일 몽콕 폭동에 참여한 32세 노동자, 14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음. 1968년 1월 27일 아침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됨.
탕 추엔280171969-12-291967년 6월 6일 타이쿠 조선소에서 폭동을 일으킨 친공산당 노동자 노조 위원장, 6년 징역형을 선고받음. 1969년 12월 29일 퀸 메리 병원에서 간 질환으로 사망.


참조

[1] 서적 Survey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Press https://books.google[...] US Consulate General 1967
[2] 서적 May Days in Hong Kong: Riot and Emergency in 1967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3] 서적 May Upheaval in Hong Kong https://books.google[...] Committee of Hong Kong and Kowloon Compatriots from All Circles for Struggle Against British Hong Kong Persecution 1967
[4] 간행물 Asian Recorder https://books.google[...] 1967
[5] 웹사이트 Hong Kong (Border Incidents) https://api.parliame[...] 1967-07-10
[6] 웹사이트 The Modern Era 1945–1967 https://www.police.g[...] Hong Kong Police Force 2023-07-18
[7] 뉴스 Then & now: these were our children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2-08-19
[8] 서적 Underground Fron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Hong Kong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Police rewrite history of 1967 Red Guard riots https://www.hongkong[...] 2015-09-24
[10] 뉴스 North Point tour takes participants back to the 1967 Hong Kong riot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3-10-06
[11] 뉴스 Leftists Adopt New Tactics: Hit-and-run Attacks On Police Stations 1967-07-14
[12] 뉴스 Bomb Thrown Into Police Station 1967-08-12
[13] 뉴스 Bombs Thrown At Police Station 1967-11-03
[14] 뉴스 BOMB BLAST IN SHAMSHUIPO: Explosion Damages Door Of Police Station 1967-11-08
[15] 뉴스 No Need for More Hong Kong Troops 1967-07-19
[16] 서적 Justice in Hong Kong https://books.google[...] Routledge-Cavendish
[17] 서적 Orientations: Mapping Studies in the Asian Diaspor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8] 서적 Hong Kong Cinema: Coloniser, Motherland and Self Routledge Publishing
[19] 뉴스 Revealed: the Hong Kong invasion plan http://www.timesonli[...] The Sunday Times 2007-06-24
[20] 문서 HKRS152-1-389 CHAN KONG SANG https://search.grs.g[...]
[21] 문서 HKRS152-1-372 TSUI TIN PO https://search.grs.g[...]
[22] 웹사이트 In Memory of Those Members of the Royal Hong Kong Police Force and the Hong Kong Police Forc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Course of Duty http://www.police.go[...] Hong Kong Police Force
[23] 문서 Asia's Finest Marches On
[24] 서적 The New Cambridge Handbook of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Hong Kong Rowman & Littlefield 2007
[26] 뉴스 A Battle Royal Rocks Imperial Yacht Club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1996-06-10
[27] 서적 Hong Kong and the Reconstruction of China's Political Order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2
[28] 서적 Introduction: The Hong Kong SAR in Flux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2
[29] 웹사이트 Why leftists should stop seeking vindication on 1967 riots http://www.ejinsight[...] 2018-01-21
[30] 웹사이트 Why are the police tampering with 1967 riots history? http://www.ejinsight[...] 2016-02-01
[31] 웹사이트 Police chief defends editing of '1967 riots' history on website http://www.ejinsight[...] 2016-02-01
[32] 웹사이트 圖說往昔 六七暴動:時局混亂 http://news.hkheadli[...] 2010-09-16
[33] 문서 黃綺文、黃兆勳、鄭漢佳、唐德明、張雲、周雲英、文圖業が爆弾死
[34] Youtube 由1967開始 第1集 第二部分 - 六七暴動 http://www.youtube.c[...] 電視廣播有限公司
[35] 뉴스 香港六七暴動勾起痛苦回憶和新爭議 http://www.voachines[...] 美國之音 2010-05-14
[36] 뉴스 李鵬飛揭中國封殺香港新聞自由內幕 http://www.newtaiwan[...] 2004-06-02
[37] 웹사이트 HKRS152-1-389 CHAN KONG SANG https://search.grs.g[...]
[38] 웹사이트 HKRS152-1-372 TSUI TIN PO https://search.grs.g[...]
[39] 웹사이트 In Memory of Those Members of the Royal Hong Kong Police Force and the Hong Kong Police Forc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Course of Duty http://www.police.go[...] 2017-10-10
[40] 서적 Asia's Finest Marches 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