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Q0B44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Q0B44E는 2006년 발견된 지구 근처 천체이다. 6Q0B44E는 발견 당시 19등급의 겉보기 등급을 보였으며, 약 6개월 주기로 밝기가 어두워져 연구에 어려움을 겪었다. 크기는 수 미터에 불과하며,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2~3배를 공전하고 공전 주기는 80일이다. 밀도는 낮아 빈 연료탱크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6Q0B44E는 인공물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과거 아폴로 12호의 로켓과 유사한 사례가 있어, 일부 천문학자들은 우주 탐사체의 일부가 지구-달 궤도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지만, 현재까지 6Q0B44E의 출처는 확인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쓰레기 - 행성 보호
    행성 보호는 우주 탐사 시 지구 미생물에 의한 외계 행성 오염 방지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보호를 위한 노력으로, 국제적인 논의와 우주조약을 통해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었으며, 국제우주연구위원회가 관련 권고안을 제시한다.
  • 우주 쓰레기 - 우주선 묘지
    우주선 묘지는 수명이 다한 우주선을 폐기하는 남태평양의 접근 불능 극 주변에 위치하며, 우주 잔해로 인한 해양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지구의 위성 - J002E3
    J002E3은 한때 지구 궤도를 공전했던 정체불명의 물체로, 아폴로 12호의 S-IVB 3단계 로켓일 가능성이 높으며, 2003년 궤도를 이탈하여 2040년대 중반에 다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 지구의 위성 - 코르딜레프스키 구름
    코르딜레프스키 구름은 지구-달 라그랑주점 L4, L5 주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희미한 먼지 구름으로, 관측이 어렵고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지만, 히텐 탐사선과 헝가리 연구팀의 관측으로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6Q0B44E
궤도 정보
모체지구
궤도 기준 시점2007년 1월 1.0일 (JD 2454101.5)
근지점"" (1.451 LD, 87.45 ER)
원지점"" (2.244 LD, 135.24 ER)
궤도 긴반지름"" (1.847 LD, 111.35 ER)
궤도 이심률0.214612
공전 주기68.93일
평균 근점 이각308.134°
궤도 경사43.273°
승교점 경도130.039°
근지점 통과 시간2007년 1월 10일 22:21:48
근지점 편각140.596°
물리적 정보
절대 등급30.2
직경수 미터
발견 정보
발견자카탈리나 천체 탐사 (703)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 (E12)
레몬산 천문대 (G96)
발견일2006년 8월 28일
기타 정보
명칭6Q0B44E
다른 이름XL8D89E?
분류우주 쓰레기?

2. 발견

2006년 8월 28일 애리조나 대학교 달·행성 연구소의 카탈리나 천체 연구 프로젝트 연구진이 처음으로 관측했다. 8월 29일 사이딩 스프링 서베이와 테이블 산 천문대에서도 관측되어 존재가 확인되었다.[10]

3. 관측

6Q0B44E는 발견 후 7개월 동안 56번 관측되었지만, 2007년 3월에 미확인 상태가 되었다. 궤도상에서 가장 밝았을 때 겉보기등급은 약 19등급이었다. 이 천체가 지구에서 멀어지면서 밝기는 약 6개월 주기로 28등급까지 떨어져 연구에 심각한 제약을 받았다.[3][13]

2016년 6월에는 6Q0B44E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궤도에서 또 다른 미확인 지구 위성 XL8D89E가 발견되었다.[4] 6Q0B44E와 XL8D89E는 비중력 가속(가스 서서히 방출 등)에 의해 지난 10년 동안 궤도가 변동되었을 뿐 동일한 천체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4][5] XL8D89E는 2017년 5월까지 정기적으로 관측되었고, 2018년 11월에 다시 관측된 후 미확인 상태가 되었다.[4]

4. 성질

이 물체의 크기는 불과 수 미터이며,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인공물로 분류되어 있다. 6Q0B44E의 궤도는 달과 지구 사이 거리의 2~3배인 585000km에서 983000km 사이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80일이다.[11] 이 물체의 밀도는 15 kg/m3로 일반 자연암석에 비해서는 너무 작으며 빈 연료탱크와 비슷한 밀도이다.[12]

천체력 계산을 통한 추정에서는 6Q0B44E가 2001년에서 2003년 사이 지구-달 계 안으로 들어왔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보다 10년도 전부터 궤도를 돌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J002E3아폴로 12호의 3단 로켓이었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일부 천문학자들은 이 물체가 인간 우주 탐사체 중 일부가 나뒹굴다 지구-달 궤도로 들어온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4] 그러나 6Q0B44E의 출처로 확인된 우주 임무는 없다.[8]

5. 정체에 대한 추측

J002E3아폴로 12호의 3단 로켓이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일부 천문학자들은 6Q0B44E가 인간의 우주 탐사로 인해 생긴 유물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14] 6Q0B44E와 XL8D89E는 비중력 가속(가스 서서히 방출 등)에 의해 지난 10년 동안 궤도가 변동되었을 뿐 동일한 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6Q0B44E의 출처로 확인된 우주 임무는 없다.[8]

참조

[1] 웹사이트 Pseudo-MPC for 6Q0B44E https://www.projectp[...] 2019-09-13
[2] 웹사이트 DASO Circular No. 63 http://www.cfa.harva[...] Harvard University 2006-08-29
[3] 웹사이트 Pseudo-MPEC for 6Q0B44E http://home.gwi.net/[...] 2006-09-03
[4] 웹사이트 Pseudo-MPEC for XL8D89E https://www.projectp[...] 2018-11-06
[5] 간행물 Identification of SST community support to reduce false positives in the identification of NEO imminent impactors https://conference.s[...] ESA Space Safety Programme Office 2019
[6] 뉴스 Spacewatch 2006-09-06
[7] 논문 Detection of radiation pressure acting on 2009 BD
[8] 간행물 Rocket or Rock? NEO confusion abounds http://www.spacesafe[...] 2013-12-08
[9] 웹인용 Pseudo-MPC for 6Q0B44E https://www.projectp[...] 2019-09-13
[10] 문서 Distant Artificial-Satellites Observers Circulars, DASO Circular No. 63 http://www.cfa.harva[...] 2006-08-29
[11] 뉴스 Spacewatch 2006-09-06
[12] 저널 Detection of radiation pressure acting on 2009 BD http://www.sciencedi[...]
[13] 문서 Bill Gray, Pseudo-MPEC for 6Q0B44E http://home.gwi.net/[...] 2006-09-03
[14] 웹인용 Rocket or Rock? NEO Confusion Abounds http://www.spacesafe[...] Space Safety Magazine 2013-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