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002E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002E3는 2002년 발견된 지구 궤도 근처에 있던 물체로, 아폴로 12호의 S-IVB 로켓으로 추정된다. 이 물체는 1969년 지구 궤도를 탈출하지 못하고 달을 지나 지구 주변의 반안정 궤도에 진입했으며, 2003년 지구 궤도를 벗어나 태양 궤도로 진입했다. 2040년대 중반에 다시 지구 궤도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며, 지구 대기권 진입이나 달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쓰레기 - 행성 보호
행성 보호는 우주 탐사 시 지구 미생물에 의한 외계 행성 오염 방지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보호를 위한 노력으로, 국제적인 논의와 우주조약을 통해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었으며, 국제우주연구위원회가 관련 권고안을 제시한다. - 우주 쓰레기 - 우주선 묘지
우주선 묘지는 수명이 다한 우주선을 폐기하는 남태평양의 접근 불능 극 주변에 위치하며, 우주 잔해로 인한 해양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지구의 위성 - 6Q0B44E
2006년 8월에 발견된 6Q0B44E는 작은 크기와 낮은 밀도로 인해 인공물로 추정되는 천체로, 약 80일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며 아폴로 계획 로켓 일부 등 우주 탐사 유물일 가능성이 있다. - 지구의 위성 - 코르딜레프스키 구름
코르딜레프스키 구름은 지구-달 라그랑주점 L4, L5 주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희미한 먼지 구름으로, 관측이 어렵고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지만, 히텐 탐사선과 헝가리 연구팀의 관측으로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J002E3 | |
---|---|
개요 | |
![]() | |
![]() | |
명칭 | |
명칭 | J002E3 |
임시 명칭 | 2002 AA42 2002 AH29 |
발견 | |
발견일 | 2002년 9월 3일 |
발견자 | 윌리엄 켕유 영 |
발견 장소 | 미국 애리조나 주 |
식별 | |
신원 | 아폴로 12호의 S-IVB 3단 로켓 |
확인 | NASA |
특징 | |
크기 | 약 10m |
구성 물질 | 흰색 페인트 검은색 페인트 알루미늄 이산화 티타늄 반도체 포함 페인트 |
궤도 | |
궤도 특성 | 지구 궤도와 태양 궤도 사이를 전환 6번의 지구 궤도 후 태양 궤도로 복귀 (컴퓨터 시뮬레이션) |
추정 | |
기원 | 아폴로 12호 새턴 V 로켓의 S-IVB 상단 |
원인 | 아폴로 12호 임무 후 태양 궤도로 향하지 못하고 지구-달 시스템에 갇힘 |
2. 발견
J002E3는 2002년 9월 3일 천문학자 빌 영에 의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소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와 특이한 스펙트럼 특성으로 인해 인공물체라는 것이 밝혀졌다. 애리조나 대학교의 천문학자들은 J002E3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흰색, 검은색 페인트와 알루미늄이 포함된 인공물질의 흡수 스펙트럼 특징을 발견했으며, 이는 새턴 V 로켓과 일치하는 것이었다.[16][2]
이 물체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에 있다는 사실이 빠르게 밝혀졌다.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공전하는 유일한 거대 천체는 달밖에 없으며 지구, 달, 태양의 섭동으로 자연 물체였다면 이미 오래전에 궤도에서 튕겨나갔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즉 이 물체는 얼마 되지 않아 지구 궤도에 진입한 물체일 것이라 가정했으나 J002E3의 궤도와 일치하는 최근에 발사된 우주선은 없었다. 다른 설명으로는 이 물체가 직경 30m의 암석이라는 추측도 있었으나 애리조나 대학의 천문학자들은 J002E3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흰색, 검은색 페인트와 알루미늄이 포함된 인공물질의 흡수 스펙트럼 특징이 보이며 새턴 V 로켓일 것이라 추정했다.[16]
J002E3은 2003년 6월 지구 공전 궤도를 탈출하여 태양 궤도로 진입했다.[15] 2040년대 중반에 다시 지구 궤도로 돌아올 것으로 예측된다.[1] J002E3의 지구 궤도는 때때로 달 궤도 반경 내로 들어가, 지구 대기권 진입이나 달과의 충돌을 초래할 수 있다.
아폴로 12호의 S-IVB는 약 9559kg으로[17] 지구 궤도를 불안정하게 돌기 때문에 2032년에는 지구에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비슷한 10ton 급의 물체는 1년에 약 10회 정도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며,[18] 이 중 약 10년에 한 번꼴로 지구 표면에 도달한다.[19]
[1]
뉴스
J002E3: An Update
https://spaceref.com[...]
NASA
2023-08-25
이 물체가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에 있다는 사실은 빠르게 밝혀졌다.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공전하는 유일한 거대 천체는 달뿐이며 지구, 달, 태양의 섭동으로 자연 물체였다면 이미 오래전에 궤도에서 튕겨나갔을 것이라고 생각했다.[5] 즉 이 물체는 얼마 되지 않아 지구 궤도에 진입한 물체일 것이라 가정했으나 J002E3의 궤도와 일치하는 최근에 발사된 우주선은 없었다. 다른 설명으로는 이 물체가 직경 30m의 암석이라는 추측도 있었다.
궤도 역추적 결과 이 물체는 지구 궤도를 31년간 돌았으며 1971년 즈음 마지막으로 지구 근방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폴로 14호 탐사 과정 중 생겨난 우주 쓰레기일 것이라 추정했으나, 당시 NASA는 아폴로 14호에 사용한 모든 물체의 소재를 알고 있었다. 예를 들어 3단 로켓의 경우에는 월진 실험을 위해 의도적으로 달 표면에 추락시킨 상태였다.
가장 유력한 설명은 아폴로 12호의 S-IVB 로켓이라는 것이다.[15][16][1][2] NASA는 원래 S-IVB 로켓을 태양 공전 궤도로 유도시킬 계획이었으나, S-IVB 로켓의 남아있는 추진체를 배출하기 위해 얼리지 모터를 더 오래 연소시킬 경우 로켓이 달-지구 궤도를 탈출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주지 못해 1969년 11월 18일 달을 지나 지구 주변 반안정 궤도로 진입했을 즈음 방출하였다.
공군 마우이 광학 및 슈퍼컴퓨팅 사이트(AMOS)에서 2003년 2월에 이루어진 J002E3의 측광 관측은 63.46초의 주기로 회전하고 79 ± 10°의 세차 운동을 하는 확산 실린더로 구성된 S-IVB 광도 곡선 모델과 일치했다.[6]
J002E3은 2003년 6월 지구 공전 궤도를 탈출하였고, 2040년 중반 다시 지구 궤도로 돌아올 것으로 추정된다.[15][1]
3. 정체
궤도 역추적 결과 이 물체는 31년 동안 태양을 공전했으며 1971년 즈음 마지막으로 지구 근방에 있었음이 나왔다. 이는 아폴로 14호 탐사 과정 중 생겨난 우주 쓰레기일 것이라 추정했으나 당시 NASA는 아폴로 14호에 사용한 모든 물체의 소재를 알고 있었다. 예를 들어 3단 로켓의 경우에는 월진 실험을 위해 의도적으로 달 표면에 추락시킨 상태였다.
가장 유력한 설명은 아폴로 12호의 S-IVB 로켓이란 설명이다.[15][16] 공군 마우이 광학 및 슈퍼컴퓨팅 사이트(AMOS)에서 2003년 2월에 이루어진 J002E3의 측광 관측은 63.46초의 주기로 회전하고 79 ± 10°의 세차 운동을 하는 확산 실린더로 구성된 S-IVB 광도 곡선 모델과 일치했다.[6] NASA는 원래 S-IVB 로켓을 태양 공전 궤도로 유도시킬 계획이었으나 S-IVB 로켓의 남아있는 추진체를 배출하기 위해 얼리지 모터를 더 오래 연소시킬 경우 로켓이 달-지구 궤도를 탈출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주지 못함이 드러나자 1969년 11월 18일 달을 지나 지구 주변 반안정 궤도로 진입했을 즈음 방출하였다.
4. 궤도 및 예측
5. 충돌 위험
1966년부터 1975년까지 아폴로 계획, 스카이랩 계획,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 임무에서 사용된 유사한 S-IVB 단계들은 지구로 접근하여 추락했지만, 스카이랩 우주정거장을 포함하여 모두 대기 중에서 타서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 지표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0] 이들은 낮은 지구 궤도 또는 탄도 궤도로 진입하여 J002E3가 태양 궤도에서 진입할 때보다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었다.[11]
참조
[2]
간행물
Observations of J002E3: Possible Discovery of an Apollo Rocket Body
2003-05
[3]
뉴스
First Confirmed Capture into Earth Orbit Is Likely Apollo Rocket
https://www.jpl.nasa[...]
NASA
2023-08-25
[4]
뉴스
Newly Discovered Object Could be a Leftover Apollo Rocket Stage
https://cneos.jpl.na[...]
NASA
2023-08-25
[5]
문서
Also orbiting the Earth are the [[Kordylewski cloud]]s: large transient concentrations of dust at the [[Trojan points]] of the Earth–Moon system, discovered in 1956 by the [[Poland|Polish]] astronomer [[Kazimierz Kordylewski]].
[6]
간행물
Photometric and spectral analysis of MPC object J002E3
https://ieeexplore.i[...]
IEEE
2023-08-25
[7]
서적
Apollo by the Numbers: A Statistical Reference
https://history.nasa[...]
2004-09
[8]
웹사이트
Skylab Space Station
http://www.aerospace[...]
2016-06-06
[9]
간행물
The impact rate on Earth
2005-12
[10]
간행물
The rate of small impacts on Earth
2006-04
[11]
문서
The Apollo missions were: [[AS-201]], [[AS-202]], [[Apollo 4]], [[Apollo 5]], [[Apollo 6]], and [[Apollo 7]]. The Skylab missions were [[Skylab 2]], [[Skylab 3]], and [[Skylab 4]].
[12]
뉴스
Paint Confirms Earth's New Satellite Not an Asteroid
http://www.space.com[...]
Space.com
2009-07-16
[13]
간행물
Observations of J002E3: Possible Discovery of an Apollo Rocket Body
https://ui.adsabs.ha[...]
2003-05
[14]
문서
例えば、ロケット3段目は[[月震]]研究のため意図的に月面衝突させた
[15]
뉴스
J002E3: An Update
http://neo.jpl.nasa.[...]
nasa.gov
2013-09-18
[16]
저널
Observations of J002E3: Possible Discovery of an Apollo Rocket Body
http://adsabs.harvar[...]
2003-05
[17]
서적
Stages to Saturn: A Technological History of the Apollo/Saturn Launch Vehicle
http://history.nasa.[...]
DIANE Publishing
2013-10-05
[18]
저널
The impact rate on Earth
2005-12
[19]
저널
The rate of small impacts on Earth
2006-04
[20]
웹인용
Skylab Space Station
http://www.aerospa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