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 인테람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04 인테람니아는 '빅 4' 다음으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이다. 2017년 초거대 망원경(VLT) 관측을 통해 지름이 332km로 측정되었으며, 타원 모양으로 밝혀졌다. 밀도 측정치는 구성 성분을 추정하기에는 정밀도가 낮지만,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하고 세레스와 스펙트럼 특징이 유사하여 얼음으로 구성된 천체로 추정된다. 소행성족이 없는 것으로 보아 최근 30억 년 동안 큰 충돌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질량은 연구마다 다르게 추정되었으며, 2019년에는 3.8 ± 1.3 x 10¹⁹ kg으로 추산되었다. 표면에는 깊은 분지가 발견되지 않았고,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 지구, 화성, 목성과 함께 궤도를 그리며 움직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0년 발견한 천체 - 1910년 1월의 대혜성
1910년 1월에 나타난 대혜성은 1909년 12월에 발견되어 1910년 1월 17일 근일점을 통과하며 매우 밝아져 낮에도 관측이 가능했고, 핼리 혜성 귀환과 맞물려 종말에 대한 공포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B형 소행성 - 2 팔라스
2 팔라스는 소행성대에서 세레스 다음으로 큰 천체로, 궤도 경사각과 이심률이 큰 편이며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C형 소행성과 유사하고, 세레스와 1:1 궤도 공명을 하며 팔라듐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 - F형 소행성 - 1815 베토벤
1815 베토벤은 카를 빌헬름 라인무트가 발견하여 독일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이름을 딴, 약 5년 7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외태양계 주 소행대 소행성이다. - F형 소행성 - 45 외제니아
45 외제니아는 1857년 헤르만 골드슈미트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외제니 드 몽티조 황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지름 약 214 km의 F형 소행성이고 두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704 인테람니아 | |
---|---|
기본 정보 | |
![]() | |
명명 | 테라모 |
다른 이름 | 1910 KU, 1952 MW |
소행성 분류 | 소행성대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점 | 2021년 7월 1일 (JD 2459396.5, 태양 중심) |
원일점 거리 | 3.53 AU (5억 2800만 km) |
근일점 거리 | 2.58 AU (3억 8600만 km) |
궤도 장반축 | 3.056 AU (4억 5700만 km) |
궤도 이심률 | 0.155 |
공전 주기 | 5.34년 (1951일) |
궤도 경사 | 17.31° |
승교점 경도 | 280.3° |
근일점 편각 | 94.8° |
평균 이각 | 248° |
평균 공전 속도 | 16.92 km/s |
물리적 특성 | |
장단축 | 362 × 348 × 310 ± 8 km |
납작률 | 0.14 |
평균 지름 | 332 ± 5 km |
부피 등가 지름 | 332 ± 6 km |
질량 | 3.5 ± 0.5 × 10^19 kg |
밀도 | 1.84 ± 0.28 g/cm³ |
자전 주기 | 8.71 시간 |
극의 황도 좌표 위도 | 62 ± 5° |
극의 황도 좌표 경도 | 87 ± 5° |
분광형 | F/B |
절대 등급 | 6.35 |
겉보기 등급 | 9.9 ~ 13.0 |
기하학적 반사율 | 0.067 |
B-V 색지수 | 0.645 ± 0.014 |
U-B 색지수 | 0.259 ± 0.021 |
기타 정보 | |
발견자 | 빈첸초 체룰리 |
발견일 | 1910년 10월 2일 |
소행성 번호 | 704 |
평균 궤도 운동 | 0.1845°/일 |
관측 호 | 110.8년 |
불확실성 | 0 |
2. 특징
인테람니아는 "빅 4" 다음으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이지만, 2017년 이전까지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5]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거대 망원경(VLT)이 인테람니아를 관측하여 지름을 332 km로 특정하였고, 베스타와 유사하게 타원 모양임을 밝혀냈다.[5] 밀도 측정치(1.98 ± 0.68 g·cm−3)는 구성 성분을 추정하기에는 정밀도가 낮긴 하나,[5]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하는 점과, 세레스와 스펙트럼 특징이 비슷한 점을 통해, 주로 얼음으로 구성된 천체로 보인다.[5] 소행성족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인테람니아에서는 베스타나 히기에이아와 달리[6][7] 최근 30억 년 동안에 큰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다.[5]
인테람니아는 표면이 어둡고 태양과 멀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다. 근일점 충에서의 겉보기등급도 9.9밖에 되지 않아 베스타보다 4등급 이상 어둡다.
2. 1. 형태 및 구성
2. 2. 관측
3. 질량
인테람니아의 질량은 여러 차례 추정되었으며, 연구마다 결과가 조금씩 다르다.[17] 2001년에는 19 포르투나, 29 암피트리테, 16 프시케의 결과를 기반으로 7 ± 2 x 10¹⁹ kg으로 추정되었다. 2011년에는 3.9 ± 0.2 x 10¹⁹ kg, 2014년에는 2.7 ± 0.1 x 10¹⁹ kg으로 추정되었다.[17] 2019년에는 기존의 추정치 21개를 통합하여 3.8 ± 1.3 x 10¹⁹ kg (1 시그마 불확실도 내에서 2.5 ~ 5.1 x 10¹⁹ kg)으로 추산되었다.
4. 표면
초거대 망원경(VLT) 관측 결과, 704 인테람니아 표면에서 깊은 분지는 발견되지 않았다.[18][8] 얼음질 F형 소행성의 특성상, 충돌구가 있다면 바닥이 평평할 것으로 예상된다.[18][8]
5. 궤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 지구, 화성, 목성과 함께 궤도를 그리며 움직인다.
참조
[1]
OED
interamnian
[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704 Interamnia (1910 KU)
https://ssd.jpl.nasa[...]
2024-12-19
[3]
논문
VLT/SPHERE imaging survey of the largest main-belt asteroids: Final results and synthesis.
2021
[4]
학술지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iau-comm4.jpl[...]
2005
[5]
학술지
"(704) Interamnia: A transitional object between a dwarf planet and a typical irregular-shaped minor body"
[6]
학술지
The Geologically Recent Giant Impact Basins at Vesta's South Pole
[7]
학술지
A basin-free spherical shape as an outcome of a giant impact on asteroid Hygiea
https://www.eso.org/[...]
2020-02
[8]
문서
Hanuš et al. 2020
[9]
학술지
Astrometric asteroid masses: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2014
[10]
웹사이트
全世界の観測成果 ver.2
http://sendaiuchukan[...]
薩摩川内市せんだい宇宙館
2018-03-03
[11]
웹사이트
Bright Minor Planets 2007
http://www.cfa.harva[...]
Minor Planet Center
2008-05-21
[12]
웹인용
Bright Minor Planets 2007
http://www.cfa.harva[...]
Minor Planet Center
2008-05-21
[13]
학술지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iau-comm4.jpl[...]
2005
[14]
학술지
The Geologically Recent Giant Impact Basins at Vesta's South Pole
https://www.semantic[...]
[15]
URL
https://www.eso.org/[...]
[16]
학술지
"(704) Interamnia: A transitional object between a dwarf planet and a typical irregular-shaped minor body"
[17]
학술지
Astrometric asteroid masses: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2014
[18]
문서
Hanuš et al.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