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1월의 대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0년 1월의 대혜성은 1910년 1월에 나타난 밝은 혜성으로, 핼리 혜성의 귀환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1909년 12월 태양 합에 도달한 후 밝아지기 시작하여, 1910년 1월 12일 새벽 트란스발의 다이아몬드 광부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로버트 T. A. 인네스가 본격적으로 연구했다. 혜성은 근일점에 도달했을 때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았으며, 혜성의 출현에 대한 사회적 반응은 공포와 혼란을 야기했다. 특히 한국에서는 혜성이 종말을 예고한다는 믿음이 널리 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0년 발견한 천체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1910년 과학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1910년 과학 - 아문센의 남극점 원정
로알 아문센이 이끈 남극점 원정은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며 극지 탐험 역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비주기 혜성 - 1729년의 혜성
1729년에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가 발견한 혜성은 지구에서 3.1 AU 거리에 있었고,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았으며, 근일점은 목성 궤도 안쪽, 핵 크기는 약 100km로 추정된다. - 비주기 혜성 - C/1999 F1
1910년 1월의 대혜성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C/1910 A1 (1910년 1월의 대혜성, 데이라이트 혜성) |
발견자 | 다수의 관측자 |
발견 날짜 | 1910년 1월 12일 |
다른 명칭 | 1910 I 1910a |
궤도 정보 | |
시대 | 1910년 1월 9일 (JD 2418680.5) |
관측 호 | 82일 |
관측 횟수 | 25회 (JPL #3 기준) |
긴반지름 | 약 440 AU (2000년 시대 기준) |
근일점 거리 | 0.12896 AU (1928만 8900 km) |
원일점 거리 | 약 1150 AU (접근 중) 약 900 AU (2000년 시대 기준) |
공전 주기 | 약 9,200 년 (2000년 시대 기준) |
궤도 이심률 | 0.99978 |
궤도 경사 | 138.78° |
최근 근일점 통과 | 1910년 1월 17일 |
2. 발견
1910년 1월 12일 새벽, 트란스발의 다이아몬드 광부들이 혜성을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혜성은 이미 겉보기 등급 -1로 매우 밝았으며, 적위는 -29로 남반구에서 관측하기 좋았다. 1월 17일에는 스코틀랜드 출신 천문학자 로버트 T. A. 인네스가 요하네스버그 신문 편집자로부터 소식을 듣고 트란스발 천문대에서 혜성을 관측했다. 혜성은 같은 날 근일점에 도달했으며, 광전방산란으로 인해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았다(-5등급). 다음 날인 1월 18일에는 두 번째 태양 합에 도달했다. 근일점을 지난 후 밝기는 감소했지만, 2월 초까지 꼬리가 50도까지 뻗어 나가면서 북반구에서 저녁 황혼 무렵 장관을 이루었다.
2. 1. 초기 관측
1909년 12월 17일,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1도 떨어진 위치에서 태양 합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태양으로부터 약 1 AU 떨어져 있었다. 1월에 혜성은 갑자기 밝아졌고, 처음에는 남반구에서만 관측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발견"을 주장했지만, 1910년 1월 12일 새벽, 트란스발의 다이아몬드 광부들이 처음 발견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때 이미 겉보기 등급 −1의 두드러진 육안 관측 대상이었고 적위는 −29였다(즉, 남반구에서 가장 잘 보였다).혜성을 제대로 연구한 최초의 인물은 1월 17일, 요하네스버그 신문 편집자로부터 이틀 전에 알림을 받은 스코틀랜드 천문학자 로버트 T. A. 인네스였다. 그는 트란스발 천문대에서 관측을 수행했다.
3. 1910년 핼리 혜성과의 관계
1910년 4월 20일은 핼리 혜성이 근일점에 도달하여 지구로 귀환하는 해로, 이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상당했다. 따라서 그 몇 달 전에 나타난 낮 혜성은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고, 혜성의 등장을 기대하던 대중들에게 매우 강한 인상을 남겼다. 1986년에 핼리 혜성이 다시 나타났을 때, 많은 노인들이 1910년에 혜성을 봤다고 말한 것은 분명히 이 낮 혜성을 가리키는 것이었다.[2]
"전화 오류"로 인해 이 혜성은 처음에는 드레이크 혜성으로 보고되었지만, 오류가 인지된 후 언론에서는 발견자가 특정되지 않아 낮 혜성 또는 일몰 혜성이라고 불렀다.[3]
4. 사회적 반응과 혼란
여러 도시의 신문들은 혜성의 출현에 사람들이 공포를 느꼈다고 보도했다.[4] 뉴저지주 캠든의 "The Morning Post"는 혜성이 관측되었을 때 과거에도 비슷한 공포가 있었다고 보도했다.[5]
4. 1. 언론 보도
여러 도시의 신문들은 혜성의 출현에 사람들이 공포를 느꼈다고 보도했다.[4] 뉴저지주 캠든의 "The Morning Post"는 혜성이 관측되었을 때 과거에도 비슷한 공포가 있었다고 보도했다.[5] 한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혜성이 그들을 모두 죽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몇몇 사람들은 일을 멈추고, 먹고 마시며 세상의 종말을 기다렸다.[6]4. 2.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한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혜성이 그들을 모두 죽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몇몇 사람들은 일을 멈추고, 먹고 마시며 세상의 종말을 기다렸다.[6]참조
[1]
서적
Space: The First 50 Years
Sterling
[2]
서적
Great Come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뉴스
Not Much is Known of Daylight Comet. Greenwich Astronomer Thinks It Has Never Been Seen Before and May Never Be Again
https://www.nytimes.[...]
1910-01-30
[4]
뉴스
The Baltimore Sun (Baltimore, Maryland) 23 Apr 1910, Sat Page 1
The Baltimore Sun
1910-04-23
[5]
뉴스
The Morning Post (Camden, New Jersey) 11 May 1910, Wed Page 6
The Morning Post
1910-05-11
[6]
웹사이트
Daylight comet of 1910 portends end of Korean dynasty
https://www.koreatim[...]
2019-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