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5 아스볼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405 아스볼루스는 센타우루스족 천체로, 목성형 행성들의 섭동으로 인해 궤도가 불안정하며, 궤도 반감기는 약 86만 년으로 추정된다. 현재 토성과 해왕성의 영향을 받으며, 근일점은 목성의 영향도 받는다. 궤도 섭동과 가스 및 먼지 분출로 인해 궤도와 위치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표면에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충돌구가 발견되었으며,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켄타우로스 아스볼로스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타우루스군 - 2060 키론
2060 키론은 1977년에 발견된 센타우루스군 천체로, 소행성과 혜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혜성 활동을 보이고 고리가 존재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 센타우루스군 - 10199 커리클로
10199 커리클로는 1997년에 발견된 켄타우루스 천체로, 현재까지 알려진 켄타우루스 중 가장 크며 두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 - 1995년 발견한 천체 - 테이데 1
테이데 1은 1994년 라파엘 레볼로 로페스, 마리아 R. 사파테로-오소리오, 에두아르도 L. 마르틴에 의해 테이데 천문대에서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 이듬해 윌리엄 허셜 망원경으로 차가운 특성이 확인되었다. - 1995년 발견한 천체 - 12796 가면라이더
- 그리스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그리스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 8405 아스볼루스 | |
|---|---|
| 기본 정보 | |
![]() | |
| 영어 이름 | Asbolus |
| 가칭/다른 이름 | 1995 GO |
| 발음 | /ˈæzbələs/ |
| 명명 유래 | Άσβολος Asbolos (그리스 신화) |
| 소행성 분류 | 원거리·켄타우로스족 |
| 궤도 정보 | |
| 궤도 기준 시점 | 2017년 9월 4일 (JD 2458000.5) |
| 불확실성 | 1 |
| 관측 호 | 16.60년 (6,063일) |
| 원일점 거리 | 29.118 AU |
| 근일점 거리 | 6.8145 AU |
| 근일점 통과 시각 | 2078년 12월 17일 2002년 7월 28일 (이전) |
| 궤도 장반경 | 17.966 AU |
| 궤도 이심률 | 0.6207 |
| 공전 주기 | 76.15년 (27,815일) |
| 평균 궤도 이각 | 71.410° |
| 평균 궤도 운동 | 0.0129°/일 |
| 궤도 경사 | 17.638° |
| 승교점 경도 | 6.1324° |
| 근일점 인수 | 290.06° |
| 물리적 특성 | |
| 평균 지름 | 66 ± 8 km 76 km 77.5 ± 7.5 km 80.83 km (추정) 84 ± 8 km 85 ± 9 km |
| 자전 주기 | 4.4682 ± 0.0003 시간 8 시간 8.870 시간 8.932 ± 0.002 시간 8.9351 시간 |
| 반사율 | 0.04 0.05 0.056 ± 0.019 0.057 (가정) 0.095 ± 0.015 0.12 ± 0.03 0.13 ± 0.03 |
| 분광형 | BR |
| 절대 등급 | 8.74 9.1 9.11 ± 0.02 9.13 ± 0.25 9.18 9.19 9.257 ± 0.120 (R) 9.26 |
| 발견 정보 | |
| 발견자 | 제임스 스코티 외 (스페이스워치) |
| 발견 장소 | 킷 피크 천문대 |
| 발견일 | 1995년 4월 5일 |
| 소행성 센터 명칭 | (8405) Asbolus |
2. 궤도
8405 아스볼루스는 거대 행성들의 섭동으로 인해 역학적 수명이 짧은 센타우루스족 천체 중 하나이다.
2. 1. 궤도의 특징
8405 아스볼루스는 목성형 행성들의 섭동을 받아 동역학적 수명이 짧은 센타우루스족 천체 중 하나이며, 궤도 반감기는 약 86만 년이다.[3] 현재 근일점은 토성이, 원일점은 해왕성이 지배하는 것으로 여겨져 SN(토성-해왕성) 센타우루스로 분류된다.[3]
현재 아스볼루스의 원일점은 6.8 AU로,[4] 목성의 영향도 받고 있다. 목성의 영향을 토성보다 더 크게 받으려면 근일점이 6.6 AU보다 작아야 하는데,[3] 만여 년 전에는 목성의 영향을 받다가 현재 위치로 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
목성형 행성들의 궤도 섭동과, 혜성처럼 가스와 먼지가 분출되어 궤도 교란이 계속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아스볼루스의 궤도와 위치를 몇천 년 후까지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비슷한 센타우루스 소행성인 7066 네수스와 비교하면, 아스볼루스의 궤도는 매우 혼잡한 상태이다.
2. 2. 궤도의 불안정성
목성형 행성들의 섭동으로 인해 센타우루스족 천체들은 동역학적 수명이 짧은 편이다. 아스볼루스의 궤도 반감기는 약 86만 년이다.[3] 현재 아스볼루스의 근일점은 토성에, 원일점은 해왕성에 지배받는 것으로 여겨져 SN(토성-해왕성) 센타우루스로 분류된다.[3]아스볼루스의 현재 원일점은 6.8 AU로서[4] 목성의 영향도 받고 있다. 목성의 영향을 토성보다 더 크게 받으려면 근일점이 6.6 AU보다 작아야 하는데,[3] 만여 년 전에는 목성의 영향을 받다가 지금의 위치까지 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
목성형 행성들의 궤도 섭동과 (혜성처럼) 가스와 먼지가 분출되어 궤도 교란이 계속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아스볼루스의 궤도와 위치를 몇천 년 후까지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비슷한 센타우루스 소행성인 7066 네수스와 비교했을 때, 아스볼루스의 궤도는 매우 혼잡하다.
3. 물리적 성질
1998년 허블 우주 망원경의 분광 관측 결과, 8405 아스볼루스 표면에 천만 년 이내에 생성된 비교적 새로운 충돌구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6] 센타우루스군 천체는 태양풍과 태양 방사선의 영향으로 표면이 검게 변색되지만, 운석 충돌로 인해 내부의 얼음이 노출될 경우 분광에 변화가 생긴다.
3. 1. 표면의 특징
1998년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분광 관측에서 표면에 천만 년이 채 되지 않은 새로운 충돌구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6] 센타우루스군의 표면은 대부분 어두운데, 이는 표면이 태양 방사선과 태양풍을 계속해서 쬐어 표면이 검은색으로 변색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운석 충돌로 인하여 내부의 신선한 얼음이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되면 분광에 변화가 생기는데, 바로 이것이 허블 망원경이 발견한 것이다.4. 명칭
아스볼루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켄타우로스인 아스볼루스(Asbolus, Ἄσβολος|검댕, 검은 자grc)에서 유래했다.[7]
4. 1. 명칭의 유래
아스볼루스는 그리스 신화의 아스볼로스(그리스어로 "거무스름한", "검은 것"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아스볼로스는 켄타우로스로서, 키론과 폴루스를 헤라클레스의 손에 죽게 만들었다.[7]이 소행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새의 비행을 통해 징조를 읽을 수 있었던 켄타우로스인 아스볼루스(Asbolus, Ἄσβολος|검댕이grc)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헤라클레스의 손에 켄타우로스인 케이론과 폴루스가 죽는 피의 학살을 일으켰다. 소행성 5143 헤라클레스는 이 신화 속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공식 명명 발표는 1999년 9월 28일에 이루어졌다.
참조
[1]
웹인용
8405 Asbolus (1995 GO)
http://www.minorplan[...]
2016-09-22
[2]
웹인용
Three clones of Centaur 8405 Asbolus making passes within 450Gm
http://home.surewest[...]
2009-05-02
[3]
저널
Simulations of the Population of Centaurs I: The Bulk Statistics
2004-11
[4]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8405 Asbolus (1995 GO)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6-12-04
[5]
웹인용
The perihelion (q) of twenty-two clones of Centaur Asbolus
http://home.surewest[...]
2009-04-26
[6]
웹인용
Centaur's Bright Surface Spot Could be Crater of Fresh Ice
http://hubblesite.or[...]
Hubblesite (STScI-2000-31)
2004-04-12
[7]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 (8405) Asbolus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6-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