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27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D278은 CD28 및 CTLA-4 세포 표면 수용체 군에 속하는 단백질로, 세포 간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및 세포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성화된 T 세포에서 발현되며, ICOS-L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여포 보조 T 세포의 발달에 기여한다. ICOS 결핍은 T 세포 증식 및 IL-2 분비를 감소시키고, Th2 사이토카인 분비를 약화시켜 배 중심 형성 및 항체 생성을 감소시킨다. 이필리무맙과 같은 항-CTLA-4 치료와 병용 시 ICOS+ T 세포 증가가 나타나며, ICOS 경로에 대한 작용제 자극은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당시 ICOS에 대한 항체는 임상 검사에 사용될 수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2번 염색체상 유전자 -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H)는 지질 생합성 및 산화환원 전위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을 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키거나 산화하는 반응을 촉매하며,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 인간 2번 염색체상 유전자 - 말산 탈수소효소
말산 탈수소효소는 말산을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세포 내 위치와 기능에 따라 여러 동위효소가 존재하며, 시트르산 회로,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포도당 신생합성과 같은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기능
이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CD28 및 CTLA-4 세포 표면 수용체 군에 속하며, 동종이량체를 형성하고 세포-세포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및 세포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ICOS는 활성화된 T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단백질이며, 리간드인 ICOS-L (이전 명칭: B7RP-1)은 B 세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된다.
2. 1. ICOS-ICOSLG 상호작용
이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CD28 및 CTLA-4 세포 표면 수용체 군에 속한다. 이것은 동종 이량체를 형성하고 세포-세포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및 세포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5]ICOS는 활성화된 T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이의 리간드인 ICOS-L (이전 명칭: B7RP-1)은 B 세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된다. B 세포의 ICOS-L에 의한 T 세포의 ICOS 수용체 자극은 여포 보조 T (Tfh) 세포의 발달에 필요하다.
2. 2. T 세포 활성화 및 증식 조절
이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CD28 및 CTLA-4 세포 표면 수용체 군에 속한다. 이것은 동종이량체를 형성하고 세포-세포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및 세포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5]ICOS는 활성화된 T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이의 리간드인 ICOS-L(이전 명칭: B7RP-1)은 B 세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된다. B 세포의 ICOS-L에 의한 T 세포의 ICOS 수용체 자극은 여포 보조 T (Tfh) 세포의 발달에 필요하다.
2. 3. 사이토카인 분비 조절
이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은 CD28 및 CTLA-4 세포 표면 수용체 군에 속한다. 이 단백질은 동종이량체를 형성하고 세포-세포 신호 전달, 면역 반응, 세포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ICOS는 활성화된 T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단백질이며, 리간드인 ICOS-L(이전 명칭: B7RP-1)은 B 세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된다. B 세포의 ICOS-L에 의한 T 세포의 ICOS 수용체 자극은 여포 보조 T (Tfh) 세포 발달에 필요하다.3. 결핍 표현형
ICOS 결핍 T 세포는 정상 T 세포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기능 변화를 보인다. 우선, 항-CD3 항체로 활성화되었을 때 증식이 감소하고 IL-2 분비가 줄어든다.[7] 이는 배양액에 IL-2를 첨가하면 회복될 수 있다.
Th1 세포 및 Th2 사이토카인 분비 측면에서, ICOS-/- CD4+ T 세포는 ''생체 외''에서 활성화되었을 때 IL-4 분비가 감소했지만, IFN-g 분비는 유사하게 유지했다. 마찬가지로, ICOS-/- 마우스에서 정제된 CD4+ T 세포는 알루미늄 또는 완전 프로인트 보조제에서 단백질 KLH로 면역화되었을 때 IL-4 분비가 감소했지만, KLH로 재자극시 유사한 IFN-g 및 IL-5 분비를 보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IL-5 분비는 유사하지만, Ova 단백질 감작에 대한 반응으로 IL-4 분비가 감소하는 기도 과민 반응 모델과 유사하며, 이는 Th2 사이토카인 분비 결함은 있지만, IL-4와 IL-5가 모두 Th2 관련 사이토카인이므로 Th1 분화에는 결함이 없음을 나타낸다. 감소된 Th2 반응과 일치하게, ICOS-/- 마우스는 면역화에 대한 반응으로 배 중심 형성 및 IgG1 및 IgE 항체 역가가 감소했다.[16]
3. 1. 증식 및 인터루킨 2 분비 감소
야생형 T 세포와 비교하여, 결합된 항 CD3으로 활성화된 ICOS T세포는 증식 및 인터루킨 2 (IL-2) 분비가 감소했다.[16] 배양액에 인터루킨 2를 첨가하면 증식 결함이 회복될 수 있는데, 이는 증식 결함이 ICOS 매개 인터루킨 2 분비 또는 ICOS와 인터루킨 2 사이의 유사한 신호 경로 활성화 때문임을 시사한다. 보조 T세포 1 (Th1) 및 보조 T세포 2 (Th2)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하여, ICOS/CD4 T 세포는 시험관 내에서 인터루킨 4 (IL-4) 분비는 감소했지만, IFN-g 분비는 유사하게 유지했다. 명반에서 단백질 열쇠구멍삿갓조개헤모시아닌(KLH)으로 면역화된 ICOS/쥐로부터 정제된 CD4 T 세포는 KLH로 재자극했을 때 인터루킨 4 분비는 약화되었지만, IFN-g 및 인터루킨 5 (IL-5) 분비는 유사하게 유지되었다.이러한 데이터는 Ova 단백질에 의한 감작에 반응하여 인터루킨 4 분비가 감소하지만, 인터루킨 5 분비는 유사하게 나타나는 기도 과민증 모델과 유사하다. 이는 보조 T 세포 2 사이토카인 분비의 결함을 나타내지만, 보조 T 세포 1 분화의 결함은 아니다. 인터루킨 5는 보조 T 세포 2 관련 사이토카인이다. 감소된 보조 T 세포 2 반응과 일치하여, ICOS/쥐는 면역화에 반응하여 배 중심 형성이 감소하고 면역글로불린 G1 (IgG1) 및 면역글로불린 E (IgE) 항체 역가가 감소했다.
3. 2. Th2 사이토카인 분비 감소
야생형 T 세포와 비교하여, 항 CD3으로 활성화된 ICOS 결핍 T 세포는 증식 및 인터루킨2 분비가 감소했다.[16] 배양액에 인터루킨 2를 첨가하면 증식 결함이 회복될 수 있는데, 이는 ICOS 매개 인터루킨 2 분비 또는 ICOS와 인터루킨 2 사이의 유사한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가 원인임을 시사한다. 보조 T세포 1(Th1) 및 보조 T세포 2(Th2)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하여, ICOS/CD4 T 세포는 시험 관내에서 인터루킨 4 분비가 감소했지만, IFN-g 분비는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명반에서 단백질 키홀 오분자기 혈구(KLH)로 면역화된 ICOS/쥐로부터 정제된 CD4 T 세포는 KLH로 재자극시 인터루킨 4 분비가 감소했지만, IFN-g 및 인터루킨 5 분비는 유사하게 유지되었다.이러한 데이터는 인터루킨 5 분비는 유사하지만, Ova 단백질 감작에 반응하여 인터루킨 4 분비가 감소하는 기도 과민증 모델과 유사하다. 이는 Th2 사이토카인 분비에는 결함이 있지만, Th1 분화에는 결함이 없음을 나타낸다. 인터루킨 5는 Th2 관련 사이토카인이다. 감소된 Th2 반응과 일치하게, ICOS/쥐는 면역화에 반응하여 배 중심 형성과 면역글로불린 G1(IgG1) 및 면역글로불린 E(IgE) 항체 역가가 감소했다.
3. 3. 배 중심 형성 및 항체 생성 감소
야생형 T 세포와 비교하여, 결합된 항 CD3으로 활성화된 ICOS T세포는 증식 및 인터루킨2 분비를 감소시켰다.[16] 증식 결함은 배양물에 인터루킨 2를 첨가함으로써 회복될 수 있는데, 이는 증식 결함이 ICOS 매개 인터루킨 2 분비 또는 ICOS와 인터루킨 2 사이의 유사한 신호 경로의 활성화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보조 T세포 1 및 보조 T세포 2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하여, ICOS/CD4 T 세포는 시험관 내에서 인터루킨 4 분비를 감소시키면서 유사한 IFN-g 분비를 유지시켰다. 유사하게, 명반에서 단백질 열쇠구멍삿갓조개헤모시아닌(KLH)으로 면역화된 ICOS/쥐로부터 정제된 CD4 T 세포는 인터루킨 4 분비를 약화시켰지만, KLH로 재자극 시 유사한 IFN-g 및 인터루킨 5 분비를 보였다.이러한 데이터는 유사한 인터루킨 5 분비를 나타내는 기도 과민증 모델과 유사하지만, Ova 단백질에 의한 감작에 반응하여 인터루킨 4 분비를 감소시켜, 보조 T 세포 2 사이토카인 분비의 결함을 나타내지만, 보조 T 세포 1 분화의 결함은 아니다. 인터루킨 5는 보조 T 세포 2 관련 사이토카인이다. 감소된 보조 T 세포 2 반응과 일치하여, ICOS/쥐는 면역화에 반응하여 감소된 배 중심 형성 및 면역글로불린 G1 및 면역글로불린 E 항체 역가를 발현하였다.
4. 병행 요법
ICOS와 항 CTLA-4 치료를 병행하는 요법은 암 치료에 있어 주목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필리무맙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종양 조직과 혈액에서 ICOS+ T 세포가 증가했으며, 이는 항 CTLA-4 치료의 약력학적 바이오마커로 작용했다. 야생형 C57BL/6 쥐 실험에서 항 CTLA-4 치료는 높은 종양 거부율을 보였으나, ICOS 또는 그의 리간드(ICOSLG) 결핍 쥐에서는 효능이 감소했다. 그러나 항 CTLA-4 치료 중 ICOS 경로를 자극하면 효능이 크게 증가했다. 2015년에는 ICOS용 항체가 임상 테스트에 사용 가능하지 않았다.[17]
4. 1. 항 CTLA-4 치료와의 병용
이필리무맙 환자는 종양 조직과 혈액에서 ICOS+ T 세포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항-CTLA-4 치료의 약력학적 바이오마커 역할을 했다.[17] 야생형 C57BL/6 마우스에서 항-CTLA-4 치료는 대상의 80~90%에서 종양 거부를 유발했지만, ICOS 또는 그 리간드(ICOSLG)가 결핍된 유전자 표적 마우스에서는 효능이 50% 미만이었다. 항-CTLA-4 치료 중 ICOS 경로에 대한 작용제 자극은 대조군 치료보다 약 4~5배 더 큰 효능 증가를 보였다. ICOS 공동 자극 및 CTLA-4 차단을 통합한 이 조합 치료법은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를 항종양 표현형으로 효과적으로 재형성하여 암 치료에서 유망한 치료 가능성을 보여준다.[8] 2015년 현재 ICOS에 대한 항체는 임상 검사에 사용할 수 없었다.[9]4. 2. ICOS 작용제와의 병용
이필리무맙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종양 조직과 혈액에서 ICOS+ T 세포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항-CTLA-4 치료의 약력학적 바이오마커로 작용했다.[17] 야생형 C57BL/6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항-CTLA-4 치료는 실험 대상의 80~90%에서 종양 거부 반응을 유발했다. 그러나 ICOS 또는 ICOS의 리간드(ICOSLG)가 결핍된 유전자 조작 쥐에서는 그 효능이 50% 미만으로 감소했다. 항-CTLA-4 치료와 함께 ICOS 경로를 자극하는 작용제를 병용하면 대조군 치료에 비해 효능이 약 4~5배 증가했다. 이처럼 ICOS 공동 자극과 CTLA-4 차단을 함께 사용하는 치료법은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를 항종양 표현형으로 재구성하여, 암 치료에 있어 유망한 가능성을 보여준다.[8] 2015년 당시 ICOS에 대한 항체는 임상 시험에 사용 가능한 상태가 아니었다.[9]4. 3. 임상 시험 현황
이필리무맙 환자는 종양 조직과 혈액에서 ICOS+ T 세포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항-CTLA-4 치료의 약력학적 바이오마커 역할을 했다.[17] 야생형 C57BL/6 마우스에서 항-CTLA-4 치료는 대상의 80~90%에서 종양 거부를 유발했지만, ICOS 또는 그 리간드(ICOSLG)가 결핍된 유전자 표적 마우스에서는 효능이 50% 미만이었다.[8] 항-CTLA-4 치료 중 ICOS 경로에 대한 작용제 자극은 대조군 치료보다 약 4~5배 더 큰 효능 증가를 보였다.[17] ICOS 공동 자극 및 CTLA-4 차단을 통합한 이 조합 치료법은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를 항종양 표현형으로 효과적으로 재형성하여 암 치료에서 유망한 치료 가능성을 보여준다.[8] 2015년 현재 ICOS에 대한 항체는 임상 검사에 사용할 수 없었다.[9]참조
[1]
논문
ICOS is an inducible T-cell co-stimulator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related to CD28
1999-01
[2]
논문
T-cell co-stimulation through B7RP-1 and ICOS
1999-12
[3]
웹사이트
Entrez Gene: ICOS inducible T-cell co-stimulator
https://www.ncbi.nlm[...]
[4]
논문
Unifying concepts in CD28, ICOS and CTLA4 co-receptor signalling
2003-07
[5]
논문
ICOS co-stimulatory receptor is essential for T-cell activation and function
2001-01
[6]
논문
The role of ICOS in the CXCR5+ follicular B helper T cell maintenance in vivo
https://doi.org/10.4[...]
[7]
서적
Handbook of Therapeutic Antibodies
Wiley-VCH
2014
[8]
논문
ICOS costimulation in combination with CTLA-4 blockade remodels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oward an antitumor phenotype
https://doi.org/10.1[...]
2024-04
[9]
논문
The future of immune checkpoint therapy
2015-04
[10]
논문
[11]
논문
[12]
웹인용
Entrez Gene: ICOS inducible T-cell co-stimulator
https://www.ncbi.nlm[...]
[13]
논문
[14]
논문
[15]
웹인용
Entrez Gene: ICOS inducible T-cell co-stimulator
https://www.ncbi.nlm[...]
[16]
서적
[17]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