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GB금융그룹은 2011년 5월 설립된 금융 지주회사로, iM뱅크(구 대구은행)를 비롯한 자회사들을 거느리고 있다. 2011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DGB캐피탈, DGB생명보험, 하이투자증권 등을 자회사로 편입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2006년 유엔 글로벌 콤팩트에 가입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4년 6월 iM뱅크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 후 DGB에서 iM으로 계열사명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DGB금융그룹 - 원패스
원패스는 iM유페이에서 발행하는 선불형 교통카드로, 2014년 전국 호환을 목표로 출시되었으며 대구, 경북 일부, 광주, 제주 등에서 대중교통과 유료도로, 택시, 일부 상점에서 사용 가능하고 2024년 K-패스와 연동되어 iM뱅크 지점에서 발급 및 충전이 가능하다. - DGB금융그룹 - IM증권
iM증권은 1989년 제일투자신탁으로 설립되어 여러 번 사명을 변경한 후 2024년 8월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된 대한민국의 증권 회사이며, 1999년 증권회사로 전환, 2018년 DGB금융지주의 계열사가 되었다. - 비씨카드 - BNK금융그룹
BNK금융그룹은 2011년 BS금융지주로 설립되어 부산은행, BS증권 등을 통합하여 출범한 대한민국의 금융지주회사로, 경남은행 인수 후 사세를 확장하고 201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으며, 부산은행, 경남은행을 중심으로 다양한 금융 자회사를 통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시아 금융 트라이앵글 구축을 목표로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비씨카드 - 중소기업은행
중소기업은행은 1961년 농업은행 도시 지점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중소기업 지원을 목표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온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 대한민국의 금융지주사 - 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되어 하나은행 등을 자회사로 둔 대한민국의 금융 지주회사이며, 국내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24개국에서 해외 사업을 전개하며 함영주가 회장직을 맡고 있다. - 대한민국의 금융지주사 - 신한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는 200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 지주회사로, 신한은행 등을 자회사로 편입하고 사업을 확장하여 현재 17개의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DGB금융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DGB금융지주 주식회사 |
영문 명칭 | DGB Financial Group Co., Ltd. |
한글 명칭 | 주식회사 DGB금융지주 |
로마자 표기 | Jusikhoesa DGB Geumyungjiju |
유형 | 공개 회사 |
산업 | 금융 서비스 |
설립일 | 2011년 5월 17일 |
본사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111 (칠성동2가) |
웹사이트 | DGB금융그룹 홈페이지 |
경영진 | |
대표이사 회장 | 황병우 |
주요 주주 | |
OK저축은행 | 9.55% |
국민연금공단 | 7.78% |
우리사주조합 | 3.66% |
삼성생명보험 | 3.35% |
자회사 | |
주요 자회사 | iM뱅크 iM라이프 iM캐피탈 iM유페이 iM신용정보 iM데이터시스템 iM증권(87.9%) iM에셋자산운용 iM투자파트너스 뉴지스탁(74.0%) |
2. 연혁
2011년 5월 1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대구은행과 그 자회사들을 기반으로 한 금융지주회사 설립 최종 승인을 받아 공식 출범하였다.[1] 같은 해 6월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에 상장되어 있던 대구은행은 상장 폐지되었다.
설립 이후 DGB금융그룹은 DGB캐피탈, DGB생명보험(구 우리아비바생명보험), DGB자산운용 (구 LS자산운용), 하이투자증권 등을 차례로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며 사업 영역을 꾸준히 확장해왔다.[2][3] 2018년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에 위치한 옛 대우조선해양 본사 건물을 인수하여 그룹의 수도권 거점을 마련하였다.[5]
2024년 6월, 핵심 자회사인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 인가를 받으면서, 그룹 및 주요 계열사의 명칭을 기존 DGB에서 iM으로 변경하였다.
2. 1. 설립 초기 (2011년 ~ 2015년)
2011년 5월 1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대구은행과 그 자회사인 대구신용정보, 카드넷(현 DGB유페이)을 포함하는 금융지주회사 설립 최종 승인을 받아 DGB금융그룹이 공식 출범했다.[1] 같은 해 6월 한국거래소에 DGB금융지주를 상장했으며, 동시에 대구은행은 상장 폐지되었다.설립 이후 DGB금융그룹은 사업 영역 확장에 나섰다. 2012년 1월에는 메트로아시아캐피탈을 인수하여 DGB캐피탈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같은 해 4월에는 IT 전문 자회사인 DGB데이터시스템을 설립했다. 2013년 3월에는 자회사인 유페이먼트가 카드넷을 흡수합병했다.
2015년 1월에는 농협금융지주로부터 우리아비바생명보험을 인수하여 DGB생명보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회사로 편입했다.[2] 같은 해 9월에는 계열사 사명 변경을 단행하여 유페이먼트는 DGB유페이로, 대구신용정보는 DGB신용정보로 각각 사명을 변경했다.
2. 2. 사업 확장 (2016년 ~ 현재)
2016년 10월, LS자산운용을 인수하여 DGB자산운용으로 자회사에 편입하였다. 2018년 4월 30일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에 위치한 옛 대우조선해양 본사 건물을 인수하였다.[5] 같은 해 10월에는 현대중공업그룹으로부터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3] 2021년에는 4월에 하이투자파트너스(구 수림창업투자)를, 8월에 뉴지스탁을 각각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2021년 8월, DGB자산운용은 하이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24년 6월,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 인가를 받은 후, 그룹 및 계열사 명칭을 DGB에서 iM으로 변경하였다.3. 국제 협력
(내용 없음)
3. 1. 유엔 글로벌 콤팩트 (UNGC) 가입
DGB금융그룹은 2006년 7월 18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UNGC)에 가입하여 노동, 인권, 환경 보호 및 반부패 분야에서 10가지 보편적 가치를 지지하였다. 같은 해 9월 27일에는 유엔 환경 계획 (UNEP) 금융 이니셔티브 성명서에 서명하였다.[4]3. 2. 유엔 환경 계획 (UNEP) 참여
DGB금융그룹은 2006년 7월 18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에 처음 가입하여 노동, 인권, 환경 보호 및 반부패 분야에서 10가지 보편적 가치를 지지하였다. 또한 같은 해 9월 27일에는 유엔 환경 계획(UNEP) 성명에 서명하였다.[4]참조
[1]
뉴스
Why does Suhyup look to DGB as role model?
https://koreatimes.c[...]
2022-12-24
[2]
뉴스
NongHyup to sell Woori Aviva to DGB Financial Group
https://en.yna.co.kr[...]
2014-09-04
[3]
뉴스
DGB Financial Group to take over HI Investment & Securities for $400 mn
https://pulsenews.co[...]
2017-11-03
[4]
웹사이트
DGB Financial Group – United Nations Environment – Finance Initiative
https://www.unepfi.o[...]
2021-05-20
[5]
뉴스
DGB, 대우조선해양 빌딩 인수…수도권 공략 본격화
https://n.news.naver[...]
매일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