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는 1395년 한양 천도와 함께 수도의 중심지로 기능했으며, 현재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 중 하나이다. 일제강점기인 1943년 구제도 실시로 설치되었으며, 1946년 서울시로 승격되었다. 서울의 핵심 상업 지역으로, 남대문시장, 명동, 롯데, 신세계 백화점 등 상업 시설과 한국은행, KB국민은행 등 금융기관, 주요 언론사 본사가 위치해 있다. 또한, 덕수궁, N서울타워, 명동성당 등 문화 관광 명소가 있으며, 동국대학교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서울역, 다양한 지하철 노선이 지나 교통의 요충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강남 (서울)
강남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아울러 지칭하는 용어이며,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과 함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부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소재지 - 홍성군
홍성군은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하여 서산시, 태안군, 예산군, 청양군, 보령시와 접하고, 평야 지형에 삽교천 등 하천이 흐르며, 백제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으로 조선 시대 홍주목이 설치되었고, 1914년 홍주군과 결성군이 통합되었으며, 2012년 충남도청 이전 후 행정 및 경제 중심지로 농업, 축산업, 수산업, 문화유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소재지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중구 (서울특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중구 (中區) |
로마자 표기 | Jung-gu |
유형 |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
관할 행정동 | 15개 |
면적 | 9.96 km² |
인구 | 121,324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우편 번호 | 04500 – 04699 |
지역 번호 | +82-2-2200, 700 |
새 | 까치 |
꽃 | 장미 |
나무 | 소나무 |
공식 웹사이트 | 중구 공식 웹사이트 |
위치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수도권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정치 및 행정 | |
구청장 | 김길성 (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 중구의회 |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선거구 | 중구·성동구 을 |
기타 정보 | |
행정 구역 코드 | 11020 |
구 색 | 빨강 |
지도 | |
![]() |
2. 역사
조선 시대 한양(현재의 서울특별시)가 수도가 되면서 인접한 종로구 부근에 도성이 건설되었고, 도성의 확장과 함께 중구 지역의 중요성도 커졌다. 일제강점기였던 1943년 6월 10일, 경성부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중구가 처음 설치되었다.[29][30]
광복 이후 1946년 9월 28일 서울시는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고, 중구 역시 서울특별시 중구가 되었다. 같은 해 10월 1일에는 일본식 행정구역 명칭인 '정(町)'을 한국식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31] 1970년대에는 소공동을 중심으로 조선호텔 신축, 플라자호텔 건설 등 도심 재개발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1975년 10월 1일에는 서대문구, 성동구, 용산구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행정 구역이 약 1.5배로 크게 확장되었다.[32] 이후에도 몇 차례의 행정동 명칭 변경이 있었다.[33][34]
2. 1. 조선 시대
1395년 조선이 한양(현재의 서울특별시)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인접한 종로구 부근에 도성이 건설되었다. 이후 도성이 확장됨에 따라 현재의 중구 지역 역시 점차 중요성이 커졌다.조선 시대 동안 수도 한성의 중심지였던 이 지역(인접한 종로구 포함)은 많은 학자들이 모여 학문적, 정치적 논의를 펼치는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졌다. 특히 다음과 같은 조선 시대의 주요 인물들이 중구 지역과 관련이 있다.
2. 2. 일제강점기
1943년 4월 1일 구제도 실시를 전제로 경성부 전역에 7개 사무소가 설치되었고, 중구 지역에는 중앙사무소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 구제도가 실시되면서 경성부 직할 구역소로 중구역소가 설치되었다.[29][30] 이때 경기도 경성부의 다음 정(町)과 통(通) 지역을 관할하는 중구가 설치되었다.일본식 행정구역 명칭 | 한자 표기 | 현재 지명 (해당하는 경우) |
---|---|---|
북미창정 | 北米倉町 | |
남미창정 | 南米倉町 | |
장왈정 | 長曰町 | |
태평통 | 太平通 | 태평로 |
남대문통 | 南大門通 | 남대문로 |
봉래정 | 蓬萊町 | 봉래동 |
욱정 | 旭町 | 회현동 |
장교정 | 長橋町 | 장교동 |
무교정 | 武橋町 | 무교동 |
다옥정 | 茶屋町 | 다동 |
명치정 | 明治町 | 명동 |
남산정 | 南山町 | 남산동 |
영락정 | 永楽町 | 저동 |
본정 | 本町 | 충무로 |
대화정 | 大和町 | 필동 |
주정 | 鑄町 | 주자동 |
일지출정 | 日之出町 | 인현동 |
왜성대정 | 倭城台町 | 예장동 |
동서헌정, 서사헌정 | 東西軒町, 西四軒町 | 장충동 |
신정 | 新町 | 묵정동 |
화원정 | 花園町 | 오장동 |
남목정 | 南木町 | 쌍림동 |
광희정 | 光熙町 | 광희동 |
앵정 | 桜井町 | 예관동 |
황금정 | 黃金町 | 을지로 |
주교정 | 舟橋町 | 주교동 |
방산정 | 芳山町 | 방산동 |
입정 | 笠井町 | 입정동 |
임정 | 林町 | 산림동 |
약초정 | 若草町 | 초동 |
광복 이후 1946년 10월 1일, 서울시 중구 내 일본식 행정구역 명칭인 '정(町)'과 '통(通)'을 한국식 명칭인 '동(洞)'과 '로(路)'로 각각 일괄 변경하였다.[31]
2. 3. 해방 이후
해방 이후 1946년 9월 28일 서울시는 서울시 헌장에 의해 경기도를 벗어나 도(道)와 같은 지위를 갖게 되어 서울특별시 중구로 승격되었으며[29][30],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31]1970년대에는 소공동을 중심으로 도심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1970년 3월 17일 조선호텔은 지하 2층, 지상 18층 규모의 현대식 호텔로 새로 개관하였다. 1971년 10월 18일부터 서울 시청 광장 인근의 화교 상가가 철거되었고, 한국화약이 소공동 부지를 화교로부터 매입하여 호텔 부지를 확보했다. 이는 소공동 일대 도심 재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계기였다. 1973년 한국화약은 소공동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22층 규모의 호텔을 짓기 시작해 1976년 9월 준공했으며, 이는 서울 도심부 재개발 사업 제1호인 플라자호텔의 탄생이었다.
1975년 10월 1일에는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인접 구의 일부 지역이 중구로 편입되어 면적이 약 1.5배로 크게 확장되었다.[32] 편입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편입 이전 소속 구 | 편입된 행정구역 |
---|---|
서대문구 |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 중림동 및 충정로 일부 |
성동구 | 황학동, 무학동, 흥인동, 신당동 및 상왕십리동 일부 |
용산구 | 한남동 일부 |
이후에도 행정구역 명칭 변경이 있었다.
- 2005년 3월 15일 을지로3·4·5가동을 을지로동으로 개칭하였다.[33]
- 2013년 7월 20일 신당1동, 신당2동, 신당3동, 신당4동, 신당6동을 각각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동화동으로 개칭하였다.[34]
2019년 8월 3일,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 조치를 발표하자[23], 중구청은 이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노 재팬(No Japan)' 운동의 일환으로 깃발 1,100개를 제작했다. 8월 6일부터 명동 등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을 포함한 관내 주요 거리에 이 깃발을 게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시민들의 비판에 직면했고, 설치 반대 온라인 청원에 약 2만 명이 서명하는 등 논란이 커지자 중구청은 게양 당일인 8월 6일 저녁, 깃발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24]
2. 4. 행정 구역 변천
1943년 4월 1일 구제도 실시를 전제로 경성부 전역에 7개 사무소가 설치되었고, 중구 지역에는 중앙사무소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 구제도가 실시되면서 경성부 직할 구역소로 중구역소가 설치되었다.[29][30] 당시 중구는 북창동(北米倉町), 남미창동, 장왈정, 태평로(太平通), 남대문동, 봉래동, 욱정, 장교동, 무교동, 다원정, 명동(明治町), 남산동, 영락동, 본동, 필동(大和町), 주동, 일출동, 왜성대동, 장충동(東西軒町, 西四軒町), 묵정(新町), 화원정, 남목정, 광희동, 초운정, 앵정, 을지로(黃金町), 주교동, 방산동, 립정, 림정, 약초정 등의 정(町)을 관할하였다.해방 이후 1946년 9월 28일 서울시는 서울시 헌장에 의해 경기도를 벗어나 도(道)와 같은 지위를 갖게 되어 서울시 중구로 승격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 명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31]
1975년 10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32]
- 서대문구에서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 중림동 및 충정로 일부를 편입하였다.
- 성동구에서 황학동, 무학동, 흥인동, 신당동 및 상왕십리동 일부를 편입하였다.
- 용산구에서 한남동 일부를 편입하였다.
이후 몇 차례의 행정동 통폐합 및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
- 2005년 3월 15일: 을지로3·4·5가동을 을지로동으로 개칭하였다.[33]
- 2013년 7월 20일: 신당1동, 신당2동, 신당3동, 신당4동, 신당6동을 각각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동화동으로 개칭하였다.[34]


현재 중구의 행정 구역은 1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9.96km2로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 가장 좁다. 2024년 1월 기준 인구는 121,322명, 세대수는 64,758 세대이다.[35]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소공동 | 小公洞 | 0.95km2 | 1,239 | 2,188 |
회현동 | 會賢洞 | 0.84km2 | 2,506 | 4,390 |
명동 | 明洞 | 0.99km2 | 1,371 | 2,596 |
필동 | 筆洞 | 1.14km2 | 2,486 | 4,004 |
장충동 | 奬忠洞 | 1.36km2 | 2,826 | 4,535 |
광희동 | 光熙洞 | 0.74km2 | 3,972 | 5,806 |
을지로동 | 乙支路洞 | 0.6km2 | 2,140 | 3,059 |
신당동 | 新堂洞 | 0.55km2 | 4,716 | 7,415 |
다산동 | 茶山洞 | 0.51km2 | 6,791 | 13,278 |
약수동 | 藥水洞 | 0.48km2 | 7,761 | 16,098 |
청구동 | 靑丘洞 | 0.34km2 | 6,149 | 12,964 |
신당제5동[36] | 新堂第5洞 | 0.39km2 | 5,395 | 10,140 |
동화동 | 東化洞 | 0.26km2 | 3,983 | 9,938 |
황학동 | 黃鶴洞 | 0.33km2 | 7,440 | 12,721 |
중림동 | 中林洞 | 0.48km2 | 5,983 | 12,190 |
중구 | 中區 | 9.96km2 | 64,758 | 121,322 |
서울 중구는 위치에 따라 크게 극서부(중림동), 중서부(소공동·회현동·명동), 중부(을지로동·광희동·장충동·필동), 동부(신당동·황학동·동화동·청구동·약수동·다산동)로 나눌 수 있다. 중서부 지역은 백화점, 명동 상권, 대형 은행 등이 밀집한 업무상업지구이다. 중부 지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인근에 패션 관련 시장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중서부와 중부에 걸쳐 업무지구가 많다. 또한, 중부 지역에는 도심형 공업 시설이 일부 입지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구 전체 인구의 약 70%는 동부 지역에 거주한다. 반면, 1975년에 편입되기 전의 영역인 중서부와 중부 지역은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거주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
중구는 종로구, 용산구와 더불어 서울 도심권을 형성하며 서울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곳은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과 국민의힘 계열 정당(구 자유한국당) 사이에서 표심이 유동적인 스윙 보터 지역 중 하나로 분류된다.
3. 지리
4. 정치
4. 1. 지방 선거
서울 중구청장 선거는 대체로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와 국민의힘 계열 정당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중구가 특정 정당에 치우치지 않고 선거 때마다 지지 정당이 바뀌는 경향, 즉 스윙 보터 지역으로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실제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당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큰 표 차이로 누르고 승리했으나, 다음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승리하며 정치적 표심의 변화를 뚜렷하게 나타냈다. 이러한 정치 지형은 지방 선거, 특히 서울 중구청장 선거에서도 유사하게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
5. 행정
중구의 중앙청사인 중구청은 1979년에 건립되었으며, 이후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중구 창경궁로 17 (광희동 120-1)이다.
서울특별시청 본청사가 중구에 위치해 있다. 2012년에 개관한 현재 청사는 옛 청사 옆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옛 청사는 현재 서울특별시립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중구 금세기빌딩에 본부를 두고 있다.
한국해양사고조사원(KMST)은 과거 중구 순화동 S1빌딩에 본부를 두었으나,[14][15]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하였다.
5. 1. 구청장
자세한 내용은 서울 중구청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5. 2. 행정 구역
중구의 행정 구역은 15개의 행정동으로 나누어 관할하고 있으며, 면적은 9.96km2로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좁다. 서울 중구의 인구는 2024년 1월 기준으로 121,322명이며, 64,758 세대이다.[35]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소공동 | 小公洞 | 0.95km2 | 1,239 | 2,188 |
회현동 | 會賢洞 | 0.84km2 | 2,506 | 4,390 |
명동 | 明洞 | 0.99km2 | 1,371 | 2,596 |
필동 | 筆洞 | 1.14km2 | 2,486 | 4,004 |
장충동 | 奬忠洞 | 1.36km2 | 2,826 | 4,535 |
광희동 | 光熙洞 | 0.74km2 | 3,972 | 5,806 |
을지로동 | 乙支路洞 | 0.6km2 | 2,140 | 3,059 |
신당동 | 新堂洞 | 0.55km2 | 4,716 | 7,415 |
다산동 | 茶山洞 | 0.51km2 | 6,791 | 13,278 |
약수동 | 藥水洞 | 0.48km2 | 7,761 | 16,098 |
청구동 | 靑丘洞 | 0.34km2 | 6,149 | 12,964 |
신당제5동[36] | 新堂第5洞 | 0.39km2 | 5,395 | 10,140 |
동화동 | 東化洞 | 0.26km2 | 3,983 | 9,938 |
황학동 | 黃鶴洞 | 0.33km2 | 7,440 | 12,721 |
중림동 | 中林洞 | 0.48km2 | 5,983 | 12,190 |
중구 | 中區 | 9.96km2 | 64,758 | 121,322 |
몇 차례의 동 통합을 거쳐 현재는 15개의 행정동이 존재한다.
행정동 | 법정동 |
---|---|
소공동 | 북창동、소공동、서소문동、정동、순화동、태평로2가、의주로1가、충정로1가、남대문로2가、남대문로3가、남대문로4가、봉래동1가 |
회현동 | 봉래동2가、남창동、남대문로5가、순화동、회현동1가、회현동2가、봉래동1가、남대문로3가、남대문로4가、충무로1가 |
명동 | 무교동、다동、태평로1가、을지로1가、을지로2가、남대문로1가、삼각동、수하동、장교동、수표동、남대문로2가、회현동1가、회현동2가、회현동3가、충무로1가、충무로2가、명동1가、명동2가、남산동1가、남산동2가、남산동3가、저동1가、예장동 |
필동 | 충무로4가、충무로5가、묵정동、필동1가、필동2가、필동3가、남학동、주자동、예장동、장충동2가、충무로3가 |
장충동 | 묵정동、장충동1가、장충동2가 |
광희동 | 충무로4가、충무로5가、인현동2가、예관동、광희동1가、광희동2가、쌍림동、을지로6가、을지로7가、오장동 |
을지로동 | 을지로4가、을지로5가、주교동、방산동、을지로3가、입정동、산림동、초동、인현동1가、저동2가 |
신당동 | 신당동、흥인동、무학동 |
다산동 | |
약수동 | |
청구동 | |
신당제5동 | |
동화동 | |
황학동 | 황학동 |
중림동 | 중림동、만리동1가、만리동2가、의주로2가 |
6. 인구
서울특별시 중구의 인구는 1975년에 281,832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도심 공동화 현상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00년대 이후로는 인구 감소폭이 줄어들어 12만 명 선에서 소폭 변동하며 유지되고 있다.
연도 | 총인구 |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156,761명 | 2005년 | 130,072명 |
1970년 | 134,815명 | 2010년 | 132,822명 |
1975년 | 281,832명 | 2015년 | 125,733명 |
1980년 | 238,476명 | 2020년 | 125,240명 |
1985년 | 208,085명 | 2021년 | 122,499명 |
1990년 | 187,355명 | 2022년 | 120,437명 |
1995년 | 156,302명 | 2023년 | 121,312명 |
2000년 | 141,010명 |
7. 산업
중구는 서울의 중심적인 상업 도시로서,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유통 시장의 특징을 보인다. 남대문시장, 중부시장, 평화시장과 같은 대형 재래시장과 함께 롯데, 신세계 등 대형 백화점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명동, 충무로의 현대식 쇼핑가와 굿모닝시티, 두산타워, 동대문 밀리오레, 명동 밀리오레, 케레스타 등 새로운 형태의 쇼핑몰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업 기능 외에도 중구는 중요한 업무 중심 지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소공동, 북창동 등 핵심 지역에는 회사, 무역상사, 은행 본점 등 기업의 중추 관리 기능이 밀집해 있다. 핵심 지역 외곽으로는 보험 및 증권 회사, 행정 관리 기능, 전문 서비스 업체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도서 출판이나 언론사와 같은 보도 기능 관련 서비스 업체들도 위치한다.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 분포도 나타난다. 간선 도로변에는 도심형 소매 상권이 발달해 있고, 그 이면 도로나 을지로, 청계천 일대에는 기계, 기구, 부속품 등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점들이 밀집하여 서로 연계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도심 지역의 빌딩군 뒤편으로는 오래된 주택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 지역은 주로 음식점, 주점, 숙박업소 등으로 활용되어 도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최근에는 이러한 지역을 중심으로 도심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구는 대한민국 주요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세종대로나 을지로 주변에 많은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다.
구분 | 기업/기관명 |
---|---|
주요 기업 | 한화 |
신세계 | |
한진 | |
두산 | |
SK텔레콤 | |
LG유플러스 | |
대우인터내셔널 | |
대한통운 | |
쌍용양회 | |
대우조선해양 | |
롯데쇼핑 | |
금융 | KB금융그룹 |
우리금융그룹 | |
신한금융그룹 | |
하나금융그룹 | |
삼성생명 | |
한국산업은행 | |
한국외환은행 (현 KEB하나은행) | |
삼성카드 | |
언론 | 조선일보 |
중앙일보 | |
동아일보 |
또한 대한민국 식품 회사인 CJ제일제당의 본사는 쌍림동 CJ제일제당 빌딩에 있으며, 이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근처에 위치한다.[5]
8. 문화 · 관광
중구에는 충무아트센터, 국립극장, 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충무로는 한국 근대 영화 산업의 중심지였으며, 이를 기념하여 해마다 충무로 국제 영화제가 열린다. 과거 충무로와 그 주변 지역에는 여러 극장이 있었다. 현재 대신증권 본사 자리에는 1934년 개관한 500석 규모의 중앙극장이 있었으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서울의 주요 극장 중 하나였다. 오장동 묵정공원 인근 상가 건물 자리에는 '조일좌'라는 상영관이 있었는데, 1946년 '장안극장', 1948년 '조선극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49년에 문을 닫았다. 을지로 6가 동대문운동장 주변에는 '계림극장'과 '동대문극장'이, 을지로 5가에는 '중부극장'이 있었고, 을지로 4가에는 1958년 개관한 '초동극장'이 위치했었다.
중구는 역사적인 장소와 현대적인 명소가 공존하는 인기 관광지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6]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청계천''': 서울특별시의 남산, 북악산 등에서 발원하여 중구 등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원래 이름은 '개천'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청계천'으로 바뀌었다. 복원 사업 이후 서울의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 '''덕수궁''':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이자 대한제국의 황궁(1897년~1907년)으로, 사적 제124호이다. 면적은 63069m2이며, 본래는 더 넓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다. 세조가 며느리 인수대비를 위해 마련한 사저에서 유래했으며, 임진왜란 후 선조의 임시 거처로 사용되면서 궁궐이 되었다. 광해군, 인조, 고종이 이곳에서 즉위했다. 1907년 고종이 궁호를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바꾸었다.[37]
- '''서울광장''': 서울특별시청 앞에 위치한 광장이다.
- '''남산''': 중구와 용산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정상에는 N서울타워가 있다.
- '''명동''':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대형 백화점과 면세점, 다양한 상점들이 밀집한 서울의 대표적인 쇼핑 거리이다.[7] 명동성당도 이곳에 있다.
- '''남대문시장''': 숭례문(남대문) 인근에 위치한 대규모 전통시장이다.
- '''기타''':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남산골한옥마을,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광통관 등이 있다.
신당동에는 떡볶이 가게들이 밀집한 '신당동 떡볶이 타운'이 유명하다.[38]
최근에는 옛 서울역 고가도로를 공원으로 재탄생시킨 서울로 7017(서울스카이가든 또는 스카이파크)가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올랐다. 이 공원은 뉴욕시의 하이라인을 모델로 하여 서울역 동서를 잇는 보행자 중심의 녹지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세종대로에서 관광버스가 운행되며, 서울특별시의 다양한 관광 지원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숙박 시설로는 롯데호텔 서울,[19] 웨스틴조선호텔, 밀레니엄 힐튼 서울, 더 플라자, 신라호텔, 티마크 그랜드 호텔 명동,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코리아나호텔 등 다수의 특급 호텔이 있다. 이 외에 ''투어 파이낸셜 허브 센터''[20] 와 세계민속촌도 언급된다.
9. 교육
중구에는 1906년 설립된 사립대학교인 동국대학교가 있다. 동국대학교는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세계적으로도 불교 계열 대학 중 몇 안 되는 대학 중 하나이다.
그 외 교육기관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학교명 |
---|---|
전문대학 | 숭의여자대학교 |
정화예술대학교 |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 |
고등학교 | 환일고등학교 |
성동고등학교 | |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 |
한양공업고등학교 | |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 |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 |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 |
성동공업고등학교 | |
리라아트고등학교 | |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 |
장충고등학교 | |
이화여자고등학교 | |
평생교육 | 정화미용고등학교 |
외국인 학교 | 서울 러시아대사관학교[17]: 2002년 5월 31일 설립, 러시아 외교부 산하 운영. |
서울 중국 소학교 (한효 중국 소학교): 명동[18] 위치, 대만 중심 국제 초등학교. |
10. 교통
중구는 퇴계로, 을지로, 청계천로, 남대문로, 왕십리로 등의 주요 간선도로가 지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등 다수의 지하철 노선이 통과하는 교통의 중심지이다.[39]
서울역은 중구와 용산구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서울의 핵심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운영하는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 열차와 관광 열차, 그리고 공항철도(AREX)가 서울역을 통해 운행된다.[25] 서울역에는 1호선과 4호선도 정차하며, 역 동쪽 출입구 앞에는 대규모 버스 환승 센터가 위치해 있다. 참고로, 1호선과 4호선의 한국철도공사 관할 서울역 승강장은 용산구 동자동에 속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승강장은 중구 봉래동에 위치한다.[39]
중구를 통과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과 역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운영 기관 | 중구 내 정차역 |
---|---|---|
1호선 | 서울교통공사 | 시청역, 서울역[25]주1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시청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당역 |
3호선 | 서울교통공사 |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동대입구역, 약수역 |
4호선 | 서울교통공사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주2 |
5호선 | 서울교통공사 | 서대문역주3,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구역 |
6호선 | 서울교통공사 | 버티고개역, 약수역, 청구역, 신당역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지티엑스에이운영 | 서울역 |
주1: 1호선 및 4호선의 한국철도공사 관할 서울역은 용산구 동자동 소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은 중구 봉래동 소재.[39]
주2: 4호선 서울역은 용산구 소재.
주3: 서대문역은 행정구역상 종로구에 위치하며, 중구로 진입하기 전 종로구를 통과하는 구간에 있다.[25]
서울역 외에도 중구 전역에는 버스와 지하철 노선이 잘 갖추어져 있다. 지선버스(녹색), 간선버스(파란색), 광역버스(빨간색)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가 운행되어 서울 시내 및 수도권 각지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11. 주요 시설
한국은행을 비롯한 여러 금융기관과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기관의 본사가 중구에 위치하고 있다. 중구는 서울의 중요한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많은 기업들이 세종대로나 을지로 주변에 자리 잡고 있다.
금융 기관중구에 본사를 둔 주요 은행 및 금융 회사는 다음과 같다.
언론 기관주요 신문사 본사도 중구에 위치해 있다.
주요 기업중구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12. 스포츠
13. 자매 도시
wikitext
지역 & 국가 | 도시 | |
---|---|---|
대한민국 | ||
호주 | ||
중국 | 베이징시 | |
저장성 | ||
헤이룽장성 | ||
몽골 | ||
러시아 |
14. 외교 공관
도심에 위치한 이 지역에는 많은 외국 대사관이 있다.[16]
볼리비아 | 캄보디아 | 캐나다 | 칠레 |
중국 | 코스타리카 | 크로아티아 | 덴마크 |
도미니카 공화국 | 엘살바도르 | 에스토니아 | 프랑스 |
독일 | 그리스 | 과테말라 | 코트디부아르 |
리투아니아 | 네덜란드 | 뉴질랜드 | 니카라과 |
노르웨이 | 파라과이 | 페루 | 러시아 |
세네갈 | 세르비아 | 싱가포르 | 스리랑카 |
스웨덴 | 터키 | 영국 | 우루과이 |
참조
[1]
웹사이트
https://jumin.mois.g[...]
[2]
논문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헙
2007-08-01
[3]
뉴스
최고 은행 건물 우리은행 종로점 (The Oldest Bank Building the Woori Bank Jongno Branch)
http://news.khan.co.[...]
2005-08-14
[4]
웹사이트
광통관 (廣通館) (Gwangtonggwan)
http://www.cha.go.k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04-05
[5]
웹사이트
Company location
http://eng.cjcheilje[...]
2012-10-09
[6]
웹사이트
Travel Highlights Bucket List: Most Popular Korean Attractions of 2019
https://english.visi[...]
VisitKorea.or.kr
2022-01-25
[7]
웹사이트
Duty Free Shops
https://english.visi[...]
[8]
웹사이트
11th floor, Korean Air Building
http://www.airfrance[...]
Air France
2009-01-16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Offices
http://www.airchina.[...]
Air China
2009-01-18
[10]
웹사이트
ANA city offices Asia
http://www.ana.co.jp[...]
All Nippon Airways
2011-08-13
[1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global.hnair.[...]
2009-01-18
[12]
웹사이트
Contact Us
http://www.miat.com/[...]
2010-06-27
[13]
간행물
World Airline Directory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81-05-16
[14]
웹사이트
footer_copy.gif
https://archive.toda[...]
2012-01-17
[15]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kmst.go.k[...]
2012-01-17
[16]
웹사이트
주한공관주소록
https://www.mofa.go.[...]
외교부
2022-04-25
[17]
웹사이트
Основные сведения
http://seoulschool.r[...]
2016-03-30
[18]
웹사이트
SEOUL CHINESE PRIMARY SCHOOL
http://www.isi.go.kr[...]
2016-03-30
[19]
뉴스
Seoul's most expensive hotel suites
http://www.cnngo.com[...]
2012-01-03
[20]
웹사이트
어지럽게 솟는다 용산 615m, 중구 960m : 이슈추적 : 특집 : 한겨레21
http://legacy.h21.ha[...]
[2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istercit[...]
2020-06-20
[2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23]
웹사이트
半導体国産化アイディア公募、「NO JAPAN」バナー設置…「反日戦争」地方自治体に論争も加熱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8-06
[24]
웹사이트
「ノー・ジャパン」旗、ソウルの区が設置 非難殺到で撤去
https://www.afpbb.co[...]
AFP
2019-08-06
[25]
웹페이지
[26]
웹인용
2024년 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7]
웹인용
2024년 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8]
웹페이지
[2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30]
웹페이지
[31]
법률
서울시 헌장 제1조
[32]
법률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33]
법률
중구 조례 제631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5-03-15
[34]
뉴스
신당1·2·3·4·6동 → 신당·다산·약수·청구·동화동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7-15
[35]
웹사이트
통계정보 - 월별인구통계
https://www.junggu.s[...]
[36]
법률
서울특별시 중구 조례 제1305호
http://www.elis.go.k[...]
[37]
백과사전
덕수궁
[38]
뉴스
"꾼"들에게 물어봐~ 그윽한 국물에 정종 한잔 [박미향기자의 삶과 맛](23) "센나리"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1-19
[39]
웹사이트
https://www.junggu.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9/1, MK추천매물] 중구 중심상권 수익형 관광 호텔 800억원 등
[8/27, MK추천매물] 동탄2신도시 7%대 커피전문점 26억원 등
전세퇴거대출 조이자 전세대란 닥쳤다…서울 신규물량 줄고 가격 상승
[8/4, MK추천매물] 중구 종로 중심상권 수익형 호텔 800억원 등
서울 중구, 공공시설 셔틀버스 운영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