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AJ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는 오픈 액세스 저널을 목록화하고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2002년 룬드 대학교 도서관에서 시작하여, 2013년 독립적인 기관인 IS4OA로 운영 주체가 변경되었다. DOAJ는 오픈 액세스 저널의 정의에 따라, 독자와 기관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저널을 수록하며, 엄격한 선정 기준을 통해 품질을 관리한다. 2019년 말 기준 1만 2천 개 이상의 학술지를 수록하며,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저널을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룬드 대학교 - 라르스 회르만데르
스웨덴 수학자 라르스 회르만데르는 편미분 방정식 이론에 기여하여 1962년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의사 미분 작용소와 푸리에 적분 작용소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해석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픈 소스 - 클램윈
클램윈은 ClamAV 엔진 기반의 오픈 소스 백신 소프트웨어로,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 멀웨어 등 다양한 악성 위협 분석 자료를 제공하며 예약 검사, 수동 검사, 컨텍스트 메뉴 통합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만 실시간 감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 오픈 소스 - VP9
VP9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으로, VP8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고 HEVC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WebM 형식으로 사용되고 주요 웹 브라우저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지원했으나 AV1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오픈 액세스 - 오픈 소스
오픈 소스는 제품 설계 및 재배포를 장려하는 모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작하여 개방형 협업을 장려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와 같은 단체가 운동을 지원한다. - 오픈 액세스 - PLOS ONE
PLOS ONE은 2006년에 설립된 오픈 액세스 학술 저널로, 과학적 엄밀성을 중시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다루고,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통해 논문을 제공한다.
| DOAJ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오픈 액세스 학술지 목록 |
| 원어 이름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 약칭 | DOAJ |
| 웹사이트 URL | DOAJ 공식 웹사이트 |
| 상업성 여부 | 비영리 |
| 사용 언어 | 영어 |
| 출시일 | 2003년 |
| 현재 상태 | 온라인 |
| 정보 | |
| 목적 | 오픈 액세스 학술지 목록 제공 |
| 특징 | 동료 평가(peer-reviewed)를 거친 오픈 액세스 학술지 선별 |
| 조직 | |
| 관리 |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C.I.C. |
| 관리 이사 | 루이스 스토다드(Louise Stoddard) |
| 통계 | |
| 등재 학술지 수 (2023년 4월 12일 기준) | 18,341개 |
| 등재 논문 수 (2022년 12월 기준) | 8,161,275편 |
2. 역사

1994년 미국출판협회는 디지털자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OI 스팩을 작성하고, CNRI(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에 개발을 위탁했다. 1997년 프랑크푸르트 도서 박람회에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고, 1998년 미국출판협회가 국제DOI재단을 설립했다. 1999년 10월에는 과학, 기술, 의학 분야의 출판사 대표들이 프랑크푸르트 도서 박람회에서 개발된 DOI-X에 대해서 시연했다. 2000년 1월, PILA(Publishers International Linking Association, Inc.)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출판사 간 논문 데이터의 참조 링크를 위해 CrossRef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2002년 2월 14일, 연구 논문을 무료로 자유롭게 열람하고 이용할 수 있는 오픈 액세스 운동은 유럽에서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OAI)를 표명하여 그 정의와 방식을 제시했다. 같은 해 10월, 룬드 대학교와 덴마크에서 최초의 북유럽 학술 커뮤니케이션 회의가 개최되었고, 이 때의 논의가 DOAJ 창설을 이끌게 된다.
2015년 MEDLINE, PubMed Central, EMBASE 및 SCOPUS와의 비교에서 DOAJ는 가장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을 보유했지만, 그 중 절반 미만이 DOAJ에 내용을 활발히 게시했다는 결과가 나왔다.[13]
2019년 4월에는 전체 게재 학술지의 덤프를 공개하고, 매주 갱신하고 있다. 논문 투고자와 독자를 위한 서비스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인지 판단하는 포인트를 "최선의 관행"으로 소개한다.
또한 소멸 위기에 있는 소규모 학술지에 관한 국제 연구가 발표되자, 2019년에 DOAJ가 주도하여 연계 협약을 체결했으며, CLOCKSS와 인터넷 아카이브(전자 저널의 아카이브 사업), 키퍼스 레지스트리(전자 연속 간행물의 메타데이터 장기 보존 사업・ISSN 국제 센터 주최), 퍼블릭 널리지 프로젝트(PKP = OA 출판 시스템의 개발 및 제공에 관여하는 대학군 이니셔티브)가 서명했다.
2. 1. 프로젝트의 배경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온라인 저널이 늘어나면서 과학적 지식 보충에 기여했지만, 이러한 자료들을 통합 관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커졌다. 2002년 룬드-코펜하겐에서 열린 북유럽 학술 커뮤니케이션 회의에서 오픈 액세스 저널의 포괄적인 디렉토리를 만들자는 아이디어가 논의되었고, 이는 글로벌 연구 및 교육 커뮤니티에 중요한 서비스가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0][11] 열린 사회 연구소(OSI)는 초기 프로젝트를 지원했다.[10]2. 2. DOAJ의 설립과 발전
오픈 소사이어티 연구소는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 이후 다양한 오픈 액세스 관련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DOAJ는 그러한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10] 2002년 제1차 북유럽 학술 커뮤니케이션 컨퍼런스에서 DOAJ에 대한 아이디어가 논의되었다.[11] 룬드 대학교는 DOAJ를 설립하고 유지하는 조직이 되었다.[11]2003년, 룬드 대학교 도서관장 라르스 비요른쇼그(Lars Bjørnshauge)는 DOAJ를 웹상에 개설하고 300개 학술지를 수록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운영은 룬드 대학교와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의 지원을 받았다. 2013년 1월, 운영 주체가 룬드 대학교에서 오픈 액세스 인프라 서비스(IS4OA)로 변경되었다.[12] IS4OA는 2012년 영국에서 커뮤니티 이익 회사로 오픈 액세스 지지자인 캐롤라인 서튼과 알마 스완에 의해 설립되었다.[12]
2015년, 포식 저널을 배제하고 학술지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재신청 절차를 강화했다. DOAJ에 기 등록된 약 1만 개 학술지에 재신청을 요구했는데, 그중 5천 개 학술지가 재신청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되었다.
2022년 10월, DOAJ와 OpenAIRE 간의 파트너십이 체결되었다.[14][15]
3. 정의 및 선정 기준
DOAJ는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OAI)의 정의를 준수하여, 독자와 기관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읽기,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에 링크할 수 있는 저널을 오픈 액세스 저널로 정의한다.[18] 이러한 저널은 접근을 위해 독자와 그 기관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자금 조달 모델을 사용한다.[39] DOAJ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피어 리뷰 및 편집, 품질 관리를 행사하는 연구 저널이어야 하며, 정기 간행물이어야 한다.[39]
DOAJ는 다음 개념을 준수해야 한다.
- 개념: 오픈 액세스 개념에 적합하도록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무료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40]
- 저널의 수준 유지: 반드시 심사 제도(peer-review)가 시행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편집진의 수준 유지 장치가 있어야 한다.[40]
- 연구성: 저널은 반드시 기초 연구를 알리거나 연구 성과물을 수록하는 학술지로서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40]
- 지속성: 정기적, 지속적으로 간행되어야 한다. 적어도 1년에 1호 이상은 발간되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넘버링되어야 한다. 또한 내용적으로 독립적인 논문과 기사를 수록해야 한다.[41]
- 연속 간행물의 성격: 반드시 ISSN이 부여되어 있어야 한다.[41]
DOAJ 등재를 위한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39][40][41][17][18]
| 기준 | 내용 |
|---|---|
| 적용 범위 | 모든 과학 학술 분야, 전문 연구 및 검토 논문 공개 학술 정기 간행물. 학술, 정부, 상업, 비영리 민간 등 다양한 출처 허용. 연구자 대상, 연구 논문이 주된 내용. 모든 언어 가능. |
| 접근 권한 | 모든 콘텐츠 무료 이용, 사용자 등록 무료 허용. |
| 품질 | 편집자, 편집위원회 또는 심사 시스템(피어 리뷰)을 통한 논문 품질 관리. |
| 개념 | 오픈 액세스 개념에 맞게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 링크 무료 제공. |
| 저널 수준 유지 | 심사 제도(peer-review) 시행 또는 상응하는 편집진 수준 유지 장치. |
| 연구성 | 기초 연구 알림 또는 연구 성과물 수록 학술지 자격. |
| 지속성 | 정기적 간행 (최소 연 1회), 연속 넘버링, 독립적 논문 및 기사 수록. |
| 연속간행물 성격 | ISSN 부여. |
BOAI의 오픈 액세스 정의에 따르면, DOAJ 수록 학술지는 전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합법적 이용이 가능한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DOAJ는 학술지를 정밀 심사하여 웹 편집을 관리하고, 고품질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 오픈 액세스이면 무조건 DOAJ에 게재된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심사 기준 충족 시에만 한정되며, 재등록 시 등록 말소 사례도 있다.
3. 1. 정의
DOAJ는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OAI)의 정의를 준수하여, 독자와 기관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읽기,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에 링크할 수 있는 저널을 오픈 액세스 저널로 정의한다.[18] 이러한 저널은 접근을 위해 독자와 그 기관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자금 조달 모델을 사용한다.[39] DOAJ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피어 리뷰 및 편집, 품질 관리를 행사하는 연구 저널이어야 하며, 정기 간행물이어야 한다.[39]DOAJ는 다음 개념을 준수해야 한다.
- 개념: 오픈 액세스 개념에 적합하도록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무료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40]
- 저널의 수준 유지: 반드시 심사 제도(peer-review)가 시행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편집진의 수준 유지 장치가 있어야 한다.[40]
- 연구성: 저널은 반드시 기초 연구를 알리거나 연구 성과물을 수록하는 학술지로서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40]
- 지속성: 정기적, 지속적으로 간행되어야 한다. 적어도 1년에 1호 이상은 발간되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넘버링되어야 한다. 또한 내용적으로 독립적인 논문과 기사를 수록해야 한다.[41]
- 연속 간행물의 성격: 반드시 ISSN이 부여되어 있어야 한다.[41]
3. 2. 선정 기준
DOAJ에 등재되기 위한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39][40][41][17][18]| 기준 | 내용 |
|---|---|
| 적용 범위 | 모든 과학 학술 분야, 전문 연구 및 검토 논문 공개 학술 정기 간행물. 학술, 정부, 상업, 비영리 민간 등 다양한 출처 허용. 연구자 대상, 연구 논문이 주된 내용. 모든 언어 가능. |
| 접근 권한 | 모든 콘텐츠 무료 이용, 사용자 등록 무료 허용. |
| 품질 | 편집자, 편집위원회 또는 심사 시스템(피어 리뷰)을 통한 논문 품질 관리. |
| 개념 | 오픈 액세스 개념에 맞게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또는 전문 링크 무료 제공. |
| 저널 수준 유지 | 심사 제도(peer-review) 시행 또는 상응하는 편집진 수준 유지 장치. |
| 연구성 | 기초 연구 알림 또는 연구 성과물 수록 학술지 자격. |
| 지속성 | 정기적 간행 (최소 연 1회), 연속 넘버링, 독립적 논문 및 기사 수록. |
| 연속간행물 성격 | ISSN 부여. |
BOAI의 오픈 액세스 정의에 따르면, DOAJ 수록 학술지는 전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열람, 다운로드, 복사, 배포, 인쇄, 검색, 합법적 이용이 가능한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DOAJ는 학술지를 정밀 심사하여 웹 편집을 관리하고, 고품질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 오픈 액세스이면 무조건 DOAJ에 게재된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심사 기준 충족 시에만 한정되며, 재등록 시 등록 말소 사례도 있다.
4. 현황 및 동향
오픈 소사이어티 연구소는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 이후 다양한 오픈 액세스 관련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DOAJ는 그러한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10] DOAJ에 대한 아이디어는 2002년 제1차 북유럽 학술 커뮤니케이션 컨퍼런스에서 논의되었다. 룬드 대학교는 DOAJ를 설립하고 유지하는 조직이 되었다.[11] 2013년 1월, 오픈 액세스 인프라 서비스(IS4OA)가 인수할 때까지 룬드 대학교가 DOAJ를 운영했다.
오픈 액세스 인프라 서비스(IS4OA) C.I.C.는 2012년 영국에서 커뮤니티 이익 회사로 오픈 액세스 지지자인 캐롤라인 서튼과 알마 스완에 의해 설립되었다.[12] IS4OA는 DOAJ를 운영하며, 2017년까지 오픈 인용 코퍼스도 운영했다.
2015년 MEDLINE, PubMed Central, EMBASE 및 SCOPUS와의 비교에서 DOAJ는 가장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을 보유했지만, 그 중 절반 미만이 DOAJ에 내용을 활발히 게시했다.[13] 2022년 10월부터 DOAJ와 OpenAIRE 간의 파트너십이 체결되었다.[14][15]
룬드 대학도서관과 IS4OA는 DOAJ의 운영 관리를 커뮤니티 기반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43] DOAJ는 유럽 도서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연구자들에게 더 넓은 범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42] 또한, 소멸 위기에 있는 소규모 학술지를 보존하기 위해 CLOCKSS, 인터넷 아카이브, 키퍼스 레지스트리, 퍼블릭 널리지 프로젝트(PKP)와 연계 협약을 체결했다.
4. 1. 현황
DOAJ는 자유 이용 지향 저널에 대한 목록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5년 4월 기준 1,543종의 저널이 등록되었으며[35], 2019년 말 기준으로는 총 12,827개 학술지에서 논문 총 385만 8,305편이 수록되어 성장하고 있다.4. 2. 국내 현황 (대한민국)
2011년 8월 기준, 대한민국은 36종의 오픈 액세스 저널을 출판 및 서비스하여 세계 랭킹 35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일본의 34% 수준이다.[37]국내 학술지의 DOAJ 등록을 통해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DOAJ 등록은 DOAJ 웹사이트(https://doaj.org)의 'Suggest a Journal' 메뉴에서 학술지 기본 정보를 입력하여 신청할 수 있다. 등록은 소정의 심사를 거쳐 이루어지며, 등록 후에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하여 DOAJ를 통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36]
4. 3. 동향
룬드 대학도서관과 IS4OA는 DOAJ의 운영 관리를 커뮤니티 기반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43] DOAJ는 유럽 도서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연구자들에게 더 넓은 범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42] 소멸 위기에 있는 소규모 학술지를 보존하기 위해 CLOCKSS, 인터넷 아카이브, 키퍼스 레지스트리, 퍼블릭 널리지 프로젝트(PKP)와 연계 협약을 체결했다.5. Browse (탐색 기능)
DOAJ에 등재된 저널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탐색할 수 있다.[38]
| 분류 | 설명 |
|---|---|
| all journals | 알파벳 순으로 분류 |
| new titles | DOAJ에 새로 추가된 저널 |
| by subject | 농업, 예술, 생물학 등 주제별 분류 |
| by country | 영국, 브라질, 미국, 대한민국 등 국가별 분류 |
| by license | 저작권 라이선스별 분류 |
| by publication charges | 출판 비용별 분류 |
참조
[1]
웹사이트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https://www.is4oa.or[...]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C.I.C.
2020-03-03
[2]
웹사이트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s://doaj.org/
2022-05-06
[3]
웹사이트
About
https://doaj.org/abo[...]
2020-03-03
[4]
웹사이트
The Reapplications project is officially complete
https://blog.doaj.or[...]
2017-12-17
[5]
논문
Open-access index delists thousands of journals
https://www.nature.c[...]
2019-02-25
[6]
논문
Helping journals to improve their publishing standards: a data analysis of DOAJ new criteria effects
http://leo.cineca.it[...]
2017-01-22
[7]
웹사이트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s://doaj.org
2020-03-03
[8]
웹사이트
DOAJ: journals added and removed
https://docs.google.[...]
2023-04-12
[9]
웹사이트
New Managing Director Appointed at DOAJ
https://blog.doaj.or[...]
2022-12-01
[10]
서적
Open access : what you need to know now
https://archive.or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1]
논문
Scholarly publishing and open access in the Nordic countries
[12]
웹사이트
Future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AJ
https://is4oa.org/20[...]
Is4oa.org
2012-12-18
[13]
논문
For 481 biomedical open access journals, articles are not searchable in the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nor in conventional biomedical databases
2015-05-19
[14]
웹사이트
Making research more accessible
https://www.openaire[...]
2022-10-22
[15]
웹사이트
New Partnership between DOAJ and OpenAIRE will make research more accessible
https://blog.doaj.or[...]
2022-10-22
[16]
웹사이트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http://www.is4oa.org[...]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C.I.C.
2019-03-13
[17]
웹사이트
About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doaj.org/abou[...]
2019-03-14
[18]
웹사이트
Information for publishers
http://doaj.org/publ[...]
2019-03-14
[19]
웹사이트
DOAJ、雑誌の新審査基準導入後の登録状況を発表
https://jipsti.jst.g[...]
科学技術振興機構
2015-03-13
[20]
웹사이트
誤解に対するDOAJの反論(記事紹介)
https://jipsti.jst.g[...]
科学技術振興機構
2019-08-05
[21]
웹사이트
DOAJにおけるオープンアクセスの定義(記事紹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20-11-19
[22]
웹사이트
DOAJは世界最大のOA学術誌集か
https://jipsti.jst.g[...]
科学技術振興機構
2007-12-14
[23]
웹사이트
The Reapplications project is officially complete
https://blog.doaj.or[...]
2017-12-17
[24]
웹사이트
Open-access index delists thousands of journals
https://www.nature.c[...]
2016-06-09
[25]
논문
Helping journals to improve their publishing standards: a data analysis of DOAJ new criteria effects
http://leo.cineca.it[...]
2017-01
[26]
웹사이트
DOAJ Data Dumps
https://doaj.org/pub[...]
DOAJ
2020-12-06
[27]
웹사이트
DOAJ収録のジャーナル・論文に関する全てのデータダンプが公開され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19-04-09
[28]
웹사이트
DOAJ、信頼できるオープンアクセス(OA)を識別するための選定基準等を提供する「DOAJベストプラクティスガイド」を公開
https://current.ndl.[...]
2018-02-01
[29]
논문
Open is not forever: a study of vanished open access journals.
Arxiv
2020-12-06
[30]
웹사이트
DOAJ、CLOCKSS・Internet Archive等と連携してオープンアクセスジャーナルの長期保存の保証を目的とした共同イニシアチブを開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20-11-06
[31]
논문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고찰
[32]
웹인용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www.doaj.org/[...]
2013-06-07
[33]
웹인용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www.doaj.org/[...]
2013-06-07
[34]
논문
오픈액세스기반 지식정보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35]
논문
국내 도서관에서의 자유이용(Open Access) 학술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36]
간행물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011
[37]
문서
ROARMAP(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y Material Archiving Polices)
[38]
웹사이트
http://www.doaj.org/[...]
[39]
웹인용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www.doaj.org/[...]
2013-06-07
[40]
논문
오픈액세스 저널 평가범주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2010
[41]
논문
오픈액세스 저널 평가범주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2010
[42]
웹인용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http://www.doaj.org/[...]
2013-06-07
[43]
웹사이트
DOAJ 향후 관리 운영을 위한 새로운 조직 계획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