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이 주최하는 여자 축구 대회이다.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대한민국이 1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EAFF 동아시안컵, EAFF 동아시안 챔피언십을 거쳐 현재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5년부터 EAFF W-Cup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국제 대회로, 2007년 7월 괌에서 예선을 거쳐 2008년 2월 중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선에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 대한민국, 여자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결승 라운드는 일본 도쿄, 예선 라운드는 괌 데데도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
---|---|
대회 정보 | |
종목 | 축구 |
이름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로마자 표기 |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
일본어 표기 | EAFF E-1サッカー選手権 |
중국어 표기 | 東亞足球錦標賽 |
구분 | 여자부 |
시작 연도 | 2005년 |
참가 팀 수 | 예선: 10팀 본선: 4팀 |
지역 | 동아시아 (EAFF) |
웹사이트 | EAFF 공식 웹사이트 |
역대 대회 | |
최근 대회 | 2025년 EAFF W-Cup |
최근 우승팀 | (4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4회 우승) |
남자부 | |
최근 우승 팀 | (2022년) |
첫 우승 팀 | (2003년) |
최다 우승 팀 | (5회) |
현재 시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 역대 대회 결과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은 4회(2008, 2010, 2019, 2022)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2013, 2015, 2017)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한민국은 1회(2005)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총합 |
---|---|---|---|---|---|
일본/日本일본어 | 4회 (2008, 2010, 2019, 2022) | 2회 (2013, 2017) | 2회 (2005, 2015) | – | 8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3회 (2013, 2015, 2017) | 2회 (2005, 2008) | – | – | 5회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1회 (2005) | 2회 (2015, 2019) | 3회 (2010, 2013, 2022) | 2회 (2008, 2017) | 8회 |
중국/中國중국어 | – | 2회 (2010, 2022) | 3회 (2008, 2017, 2019) | 3회 (2005, 2013, 2015) | 8회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 – | – | 3회 (2010, 2019, 2022) | 3회 |
개최국 및 연도는 결승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회차 |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 | ||||||
1 | 200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2 | 2008 | 중국/中國중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2010 | 일본/日本일본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4 | 2013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5 | 2015 | 중국/中國중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6 | 2017 | 일본/日本일본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7 | 2019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8 | 2022 | 일본/日本일본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9 | 202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TBD | TBD | TBD | TBD |
10 | 2028 | 중국/中國중국어 | TBD | TBD | TBD | TBD |
11 | 2030 | 일본/日本일본어 | TBD | TBD | TBD | TBD |
2. 1. 역대 대회 결과 요약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은 4회(2008, 2010, 2019, 2022)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2013, 2015, 2017)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한민국은 1회(2005)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총합 |
---|---|---|---|---|---|
일본/日本일본어 | 4회 (2008, 2010, 2019, 2022) | 2회 (2013, 2017) | 2회 (2005, 2015) | – | 8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3회 (2013, 2015, 2017) | 2회 (2005, 2008) | – | – | 5회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1회 (2005) | 2회 (2015, 2019) | 3회 (2010, 2013, 2022) | 2회 (2008, 2017) | 8회 |
중국/中國중국어 | – | 2회 (2010, 2022) | 3회 (2008, 2017, 2019) | 3회 (2005, 2013, 2015) | 8회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 – | – | 3회 (2010, 2019, 2022) | 3회 |
개최국 및 연도는 결승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회차 |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 | ||||||
1 | 200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2 | 2008 | 중국/中國중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3 | 2010 | 일본/日本일본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4 | 2013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5 | 2015 | 중국/中國중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6 | 2017 | 일본/日本일본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7 | 2019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국/中國중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8 | 2022 | 일본/日本일본어 | 일본/日本일본어 | 중국/中國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9 | 202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TBD | TBD | TBD | TBD |
10 | 2028 | 중국/中國중국어 | TBD | TBD | TBD | TBD |
11 | 2030 | 일본/日本일본어 | TBD | TBD | TBD | TBD |
wikitext
3. 국가별 참가 기록
국가 2005년 2008년 2010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2년 참가 횟수 × 7위 6위 8위 7위 7위 7위 × 6 우승 4위 3위 3위 준우승 4위 준우승 3위 9 × × × × 9위 8위 9위 × 3 × × × × × × 6위 × 1 × × 7위 9위 8위 9위 8위 × 5 † × × × 5위 × × × × 1 3위 우승 우승 준우승 3위 준우승 우승 우승 9 준우승 준우승 × 우승 우승 우승 × × 6 4위 3위 준우승 4위 4위 3위 3위 준우승 9 × 5위 4위 6위 5위 5위 4위 4위 8 × 6위 5위 7위 6위 6위 5위 × 6 총 참가국 4 8 8 9 9 9 9 4
각 팀의 최종 순위는 해당 대회의 결과를 나타낸다.
3. 1. 국가별 참가 기록 요약
2005년
2008년
2010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2년× 7위 6위 8위 7위 7위 7위 × 우승 4위 3위 3위 준우승 4위 준우승 3위 × × × × 9위 8위 9위 × × × × × × × 6위 × × × 7위 9위 8위 9위 8위 × † × × × 5위 × × × 3위 우승 우승 준우승 3위 준우승 우승 준우승 준우승 × 우승 우승 우승 × × 4위 3위 준우승 4위 4위 3위 3위 준우승 × 5위 4위 6위 5위 5위 4위 4위 × 6위 5위 7위 6위 6위 5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