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이 주최하는 여자 축구 대회이다.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대한민국이 1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EAFF 동아시안컵, EAFF 동아시안 챔피언십을 거쳐 현재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5년부터 EAFF W-Cup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국제 대회로, 2007년 7월 괌에서 예선을 거쳐 2008년 2월 중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선에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 대한민국, 여자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결승 라운드는 일본 도쿄, 예선 라운드는 괌 데데도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대회 정보
종목축구
이름EAFF E-1 풋볼 챔피언십
로마자 표기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일본어 표기EAFF E-1サッカー選手権
중국어 표기東亞足球錦標賽
구분여자부
시작 연도2005년
참가 팀 수예선: 10팀
본선: 4팀
지역동아시아 (EAFF)
웹사이트EAFF 공식 웹사이트
역대 대회
최근 대회2025년 EAFF W-Cup
최근 우승팀(4회 우승)
최다 우승팀(4회 우승)
남자부
최근 우승 팀(2022년)
첫 우승 팀(2003년)
최다 우승 팀(5회)
현재 시즌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 역대 대회 결과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은 4회(2008, 2010, 2019, 2022)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2013, 2015, 2017)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한민국은 1회(2005)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우승준우승3위4위총합
일본/日本일본어4회 (2008, 2010, 2019, 2022)2회 (2013, 2017)2회 (2005, 2015) –8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회 (2013, 2015, 2017)2회 (2005, 2008) – –5회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1회 (2005)2회 (2015, 2019)3회 (2010, 2013, 2022)2회 (2008, 2017)8회
중국/中國중국어 –2회 (2010, 2022)3회 (2008, 2017, 2019)3회 (2005, 2013, 2015)8회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3회 (2010, 2019, 2022)3회



개최국 및 연도는 결승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회차연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
12005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
22008중국/中國중국어일본/日本일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32010일본/日本일본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42013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
52015중국/中國중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
62017일본/日本일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72019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82022일본/日本일본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92025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TBDTBDTBDTBD
102028중국/中國중국어TBDTBDTBDTBD
112030일본/日本일본어TBDTBDTBDTBD


2. 1. 역대 대회 결과 요약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은 4회(2008, 2010, 2019, 2022)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2013, 2015, 2017)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한민국은 1회(2005)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우승준우승3위4위총합
일본/日本일본어4회 (2008, 2010, 2019, 2022)2회 (2013, 2017)2회 (2005, 2015) –8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회 (2013, 2015, 2017)2회 (2005, 2008) – –5회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1회 (2005)2회 (2015, 2019)3회 (2010, 2013, 2022)2회 (2008, 2017)8회
중국/中國중국어 –2회 (2010, 2022)3회 (2008, 2017, 2019)3회 (2005, 2013, 2015)8회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3회 (2010, 2019, 2022)3회



개최국 및 연도는 결승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회차연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
12005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
22008중국/中國중국어일본/日本일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32010일본/日本일본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42013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
52015중국/中國중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
62017일본/日本일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72019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국/中國중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82022일본/日本일본어일본/日本일본어중국/中國중국어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92025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TBDTBDTBDTBD
102028중국/中國중국어TBDTBDTBDTBD
112030일본/日本일본어TBDTBDTBDTBD


3. 국가별 참가 기록

wikitext

국가2005년2008년2010년2013년2015년2017년2019년2022년참가 횟수
×7위6위8위7위7위7위×6
우승4위3위3위준우승4위준우승3위9
××××9위8위9위×3
××××××6위×1
××7위9위8위9위8위×5
×××5위××××1
3위우승우승준우승3위준우승우승우승9
준우승준우승×우승우승우승××6
4위3위준우승4위4위3위3위준우승9
×5위4위6위5위5위4위4위8
×6위5위7위6위6위5위×6
총 참가국48899994



각 팀의 최종 순위는 해당 대회의 결과를 나타낸다.

3. 1. 국가별 참가 기록 요약

2005년
2008년
2010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2년×7위6위8위7위7위7위×우승4위3위3위준우승4위준우승3위××××9위8위9위×××××××6위×××7위9위8위9위8위׆×××5위×××3위우승우승준우승3위준우승우승준우승준우승×우승우승우승××4위3위준우승4위4위3위3위준우승×5위4위6위5위5위4위4위×6위5위7위6위6위5위×



각 팀의 최종 순위는 해당 대회의 결과를 나타낸다.




국가200520082010201320152017201920222024참가 횟수
43244332Q9
31123211Q9
1433242322111Q6
4443
참가 국가444444444


4. 국가별 통산 성적

wikitext

국가200520082010201320152017201920222024참가 횟수
43244332Q9
31123211Q9
14332423Q9
22111Q6
4443
참가 국가444444444



=== 4강 기록 ===

국가4강 기록
일본/日本일본어우승4회 — 2008201020192022
준우승2회 — 20132017
3위2회 — 20052015
4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한국어우승3회 — 201320152017
준우승2회 — 20052008
3위
4위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우승1회 — 2005
준우승2회 — 20152019
3위3회 — 201020132022
4위2회 — 20082017
중국/中国중국어우승
준우승2회 — 20102022
3위3회 — 200820172019
4위3회 — 200520132015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국어우승
준우승
3위
4위3회 — 201020192022



=== 결승 대회 기록 ===

순위참가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일본82415454618+2849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151122259+1635
3대한민국82483133032–227
4중국82475121929–1026
5중화 타이베이39009133–320



=== 예선 라운드 기록 ===

순위참가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41313001161+11539
261912077835+4336
362180133780–4324
462271144983–4222
526600281+2718
616213421–177
713201122+106
85131391083–736
937034028–283


4. 1. 4강 기록

wikitable

국가4강 기록
일본/日本일본어우승4회 — 2008201020192022
준우승2회 — 20132017
3위2회 — 20052015
4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한국어우승3회 — 201320152017
준우승2회 — 20052008
3위
4위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우승1회 — 2005
준우승2회 — 20152019
3위3회 — 201020132022
4위2회 — 20082017
중국/中国중국어우승
준우승2회 — 20102022
3위3회 — 200820172019
4위3회 — 200520132015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국어우승
준우승
3위
4위3회 — 201020192022


4. 2. 결승 대회 기록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까지의 여자부 결승 대회 국가별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순위는 승점, 진출 횟수, 최고 성적, 골득실, 다득점, 승자승 순으로 정해진다.

순위국가진출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최고 성적
1일본7회1911353916+1336우승 (3)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회151122259+1635우승 (3)
3대한민국7회1962112129-820우승 (1)
4중국7회1953111525-1018준우승 (1)
5중화 타이베이2회4004019-1904위 (1)



순위참가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일본82415454618+2849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151122259+1635
3대한민국82483133032–227
4중국82475121929–1026
5중화 타이베이39009133–320


4. 3. 예선 라운드 기록

여자부(여자 동아시안컵) 예선 라운드에서의 국가별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순위 기준은 승점, 진출 횟수, 최고 성적, 골득실, 다득점, 승자승 순이다.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까지의 결과를 포함한다.

순위국가진출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최고 성적
14회1313001161+11539우승 (1)
25회1610067033+37304위 (1)
35회1870113472–38215위 (1)
45회1960134482–38186위 (1)
51회3300101+99준우승 (1)
61회3201122+1065위 (1)
74회10118880–7247위 (1)
82회4013023–2318위 (1)



두번째 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 되었다.

순위참가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41313001161+11539
261912077835+4336
362180133780–4324
462271144983–4222
526600281+2718
616213421–177
713201122+106
85131391083–736
937034028–283


5. 수상

대회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상이 수여된다.[4]

연도최우수 선수 (MVP)득점왕최우수 골키퍼최우수 수비수페어 플레이상최우수 심판
2005 호 선희수상 없음1 김정미 유영실
2008 사와 호마레 오노 시노부3 장 옌루 홍명금
2010 사와 호마레 한돤
이와부치 마나
이장미
유영아
2 장 옌루 이와시미즈 아즈사
2013 김은주 호 은별
지소연
2수상 없음수상 없음수상 없음
2015 위 종심 라 은심3 김정미 김남희
2017 김윤미 김윤미4 김명순 김남희
2019 미나미 모에카 이와부치 마나5 야마시타 아야카 장슬기
2022 시미즈 리사수상 없음1 야마시타 아야카 왕린린 케이트 자체비츠


6. 역대 우승 감독

연도감독
2005 안종관
2008 사사키 노리오
2010 사사키 노리오
2013 김광민
2015 김광민
2017 김광민
2019 다카쿠라 아사코
2022 이케다 후토시


7. 명칭

2005년 창설 당시 명칭은 EAFF 여자 풋볼 챔피언십이었다.[1] 2012년 4월, "EAFF 동아시안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5년 12월, "EAFF 동아시안 챔피언십"으로 변경이 승인되었으나,[2] 이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3] 2024년 5월 2일, 2025년 대회부터 대회 명칭이 EAFF W-Cup으로 변경될 예정임이 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35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2-04-20
[2] 웹사이트 47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5-12-28
[3] 웹사이트 50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6-09-01
[4] 웹사이트 EAFF Women's Cup 2005 http://www.eaf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